도곤어족
Dogon languages도곤 | |
---|---|
민족성 | 도곤족 |
지리학 분배 | 도곤 국가, 말리 (주로 모프티 지방) |
언어구분 | 니제르콩고?
|
소분류 | |
글로톨로지 | dogo1299 |
![]() |
도곤어족(또는 카도르, 카도어족)은 말리의 도곤족이 사용하는 작은 밀접하게 연관된 언어 계열로, 제안된 니제르-콩고족에 속할 수도 있다. 그것의 12개의 언어로 된 약 60만 명의 연사들이 있다. 그것들은 톤 언어인데, 도굴과 마찬가지로 대부분 두 가지 음색을 가지고 있지만, 돈노 소와 같은 몇몇은 세 가지 음색을 가지고 있다. 그들의 기본 단어 순서는 제목-객체-verb이다.
외부관계
도곤과 니제르-콩고 가문을 연결하는 증거는 약하고, 그들이 속한다고 가정할 때 가족 내에서 그들의 위치는 분명하지 않다.[citation needed] 다양한 이론이 제안되어 구르, 만데 또는 독립된 분기로서, 현재 선호되는 접근법이 마지막이다. 도곤 언어는 니제르-콩고의 상당부분의 명사급 체계의 잔재물을 보여주지 않고 있어 언어학자들은 그들이 니제르-콩고에서 매우 일찍 분리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결론지었다.[citation needed]
도곤은 어휘적으로나 구조적으로 대부분의 [나이거-콩고] 가문과는 매우 다르다. 보통 니제르-콩고의 전형으로 간주되는 명사급이 부족하고, 맨데와 ịj을 닮은 단어순서(SOV)가 있지만 다른 가지는 아니다. 프랑스어를 닮은 언어의 변절체계는 주변 언어와 전혀 다르다. 그 결과, 현재의 언어는 아마도 약 3-4000년 전의 기원을 반영하고 있을 것이지만, 도곤의 조상은 매우 일찍 갈라졌을 가능성이 있다. 도곤어는 영토적으로 일관성이 있어, 지역 이주 역사에도 불구하고, 도곤은 말리의 이 지역에 원래부터 존재해왔다는 것을 암시한다.
및:[2]
도곤은 확실히 근거가 있고 논리 정연한 집단이다. 그러나 니제르-콩고의 특징(Noon-classes, 언어 확장, labial-velar)은 없으며 어휘적으로 매우 적은 수의 코인을 가지고 있다. 그것은 똑같이 독립적인 언어 가족이 될 수도 있다.
Bamana와 Fula 언어는 그들의 긴밀한 문화적, 지리적인 관계 때문에 Dogon에 상당한 영향을 끼쳤다.
블렌치(2015년)는 방기메어와 도곤어가 프로토닐로사하라에서 비교적 일찍 갈라진 닐로사하라의 '실종' 지부에서 기하를 가질 수 있음을 시사하며, 잠정적으로 그 지부를 '플라타우'[3]라고 부른다.
내부구분
도곤은 스스로를 단일 민족 집단으로 생각하지만, 그들의 언어가 다르다는 것을 인식한다. 도곤 우주론에서 도곤은 세계 12개 언어 중 6개 언어(다른 언어로는 풀풀데, 무어, 밤바라, 보조, 타마셰크)를 구성하고 있다.[4] 잠세이(Jamsay)는 원래 도곤어로 생각되지만, 도곤은 "마을의 일부와 때때로 개인들 사이에서도 무수히 많은 작은 차이점을 인식하고, 이를 보존하기 위해 노력한다"고 말했다(호흐슈테틀러 2004:18).
가장 잘 연구된 도곤어는 상가의 토로 소(Tɔɔsɔ)어인데, 그곳에서 마르셀 그리울의 연구와 토로 소가 말리의 13개 국어 중 하나로 선정되었기 때문이다. 그것은 다른 비산품종과 상호 이해가능하다. 그러나, 평야어들은—토로가 그렇게 이해할 수 없는 테네 카, 도모 카, 잠세이 등은 연사가 더 많고, 잠세이, 토모 역시 언어적으로 가장 보수적이다.
칼라메그롤레(1956년)
칼라메 그리올은 도곤의 다양한 품종을 처음으로 알아낸 것으로 보인다. 칼라메-그리오레(1956)는 이 언어를 다음과 같이 분류했는데, 그 이후 발견된 언어에 대해 숙소가 제공되거나(새로운 도곤 언어는 2005년에 늦게 보고되었다), 또는 그 이후 상호 이해가능성이 입증되었다(호흐슈테틀러가 에스크립트 방언에 대해 확인한 바와 같이). 그 두 표준 언어는 별표가 붙어 있다.
- 평원 도곤: 잠사이,* Tɔrɔ tegu, 서부 평원 (대화: 토고 캉, 덴구 캉, 도모 캉)
- Escarpment Dogon(대화: Tɔɔ sɔɔ,* Tɔmmɔ sɔɔ, Donno sɔ 카 캄마 sɔ)
- 웨스트 도곤: 둘레리, 맘보, 암파리-페난지; 부두
- 북고원 도곤: 본둠, 도굴
- 얀다
- 난가:나으아,방칸테이(왈로),벤테이
- 테불
Douyon과 Blench(2005)는 아직 분류되지 않은 추가 품종을 보고한다.
블렌치는 명사에 있는 복수 접미사가 부두가 맘보와 가장 가깝다는 것을 암시하고 있기 때문에, 위에서 웨스트 도곤으로 잠정적으로 포함되었다고 언급했다. 그는 또한 왈로-쿰베가 Naŋa와 어휘적으로 비슷하다고 지적한다; Hochstetler는 그것이 Naŋa일지도 모른다고 의심한다. 이 언어들 사이의 유사점은 얀다와 공유될 수 있다. 이것들은 모두 극히 잘 알려져 있지 않다.
글로톨로그 4.3
글로톨로그 4.3은[5] 모란&프로키치(2013년)와 호크스테틀러(2004년)의 분류를 종합한다. 모란 앤 프로키치(2013년)는 얀다 돔 도곤, 테불 우레 도곤, 나잠바 킨디게를 원래 서부 도곤어로 하는 도곤 내 동서의 2진 분할을 주장하는데, 이는 집중적인 접촉으로 인해 동부 도곤어와 점점 유사해지고 있다.
- 서부 분단
- 웨스트도곤
- 북고원 도곤
- 도굴돔도곤
- 얀다본두테불
- Najamba-Kindige: 본둠돔, 킨디지, 나잠바
- 테불 우레 도곤
- 얀다아나
- 동부 분단
프리 도곤어
이전에 도곤의 여러 갈래로 여겨졌던 뱅가메어(Baggriri mɛ)는 도곤이 전혀 아닌 것으로 판명되어 언어 격리(Blink 2005b)일 가능성이 있다. 블랑크는 그것이 이 지역의 도곤 이전의 언어들의 잔재라고 믿고 있다; 도곤은 이 지역에 수천 년 동안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덧붙여 블렌치(2015년)[6]는 닐로사하라 기질이 현재 닐로사하라 기질로서 닐로사하라 기질(Nilo-Saharan 기질)이 도곤어에 존재한다고 제안하고 있는데, 닐로사하라 기질은 현재 닐로사하라 기질(Nilo-Saharan 기질)은 블렌치가 잠정적으로 "플라타우"라고 부른다.
비교 어휘
언어 | 위치 | 눈독을 들이다 | 귀를 기울이다 | 코를 찌르다 | 이가 나다 | 혓바닥 | 입을 | 핏덩어리 | 뼈를 발라내다 | 나무 | 물을 주다 | 먹다 | 이름을 붙이다 |
---|---|---|---|---|---|---|---|---|---|---|---|---|---|
요르노소 | Gìrǐː. | 수구르슈 | 킨 | ɛn | nɛ́nɛ́́, nɛnɛːːː. | kɛ̀nɛ́, áŋá | ìîː | kǐː | 나흐 | dǐː | 카우 | by | |
토오테구 | 타비 | 지로, 고로 | 수구루 | ⁿòⁿò-ka | 지르소 | 렐라 | 카 | néŋ. | 쎄라 | 나으리, X 나으리 | ni | li ~ lɛ́́ | ìsǒŋ |
벤 테이 | 베니 | 제레 | 수르슈 | cirⁿì. | rú, ìíi | lɛ̀mdɛ̂ː | mǒː, m̀bǒː | 게그로 | 케르셰이 | 나으리, 나으리, 나으리, 나으리, 나으리! | nîː | ñɛ́ | ìrⁿîː |
얀다 돔 | 얀다 | 게디예, 게디 | 수앤 | 쿤자 | ì | 냐흐흐흐흐끄흐 | cɛ́nɛ́́, m̀bò | 젠지 | 키르차 | tìmé, tìmɛ, nìː | 은주 | ʔə́ñɛ́ ~ ʔə́ñá-lì | 닌 |
잠세이 | 두엔차 | 제레 | sûn | 시르제 | ìé | nɛ̀nɛ́ | 카우 | nyⁿ | 씨르제 | 나흐 | niː | ñɛ́ː | 벤 |
퍼지 테구 | 페르게 | 게레 | 수루르 | 키르제 | ìé | lɛ̀lɛ́ | 카우 | nɛm | 키르제 | 나흐 | niː | ñɛ́ː | 소르수 |
구루 | 키리 | 게레 | 수앤 | 키르제 | ìé | nɛ̀nɛ́ | 카우 | nyⁿ | 키르제 | ̀̌ | niː | ñɛ́ː | 벤 |
난가 | 안다 | 게레 | 수루르 | 키르셰 | ǹnɛ́́, ìnɛ,,,, ,r,,́, | nɛ́ndɛ̀ | Nɔː | 귄드고 | 키르차 | déː, naː dûː. | nîː | Kɔ́ː | nè, ìè |
뱅크안테이 | 왈로 | 게레 | sûn | 시르제 | ŋìrⁿɛ́́, 뇨ŕ́́́́ | lɛmbìrɛ̂ | mbǔː | 게그로 | 키르시 | 나동그라미 | nîː | ñɛ́ | ŋìnîː, ñnîː |
나잠바 | 쿠브웰아디아 | Gìro ~ Gìé | 수니 ~ 수니 | kj ~ ~ kjːːː | ìnɔː ~ ~ ìnɛːːː | Nɛndɔː ~ ~ Nɛndɛːːː | ìbi-ŋgé ~ ìbi | gn-gé ~ gnn | n나-ŋgo ~ k나 | nǐː ~ nìː-mbo | ígé ~ ígé, íé ~ ,é. | kwwwww | 이엔 ~ 이엔 |
토모소 | 통고통고 | 게레 | 수굴루 | 키누 | ì누 | Ninndɛitude. | kɛ̀nnɛ́, áŋá | éé | 케예 | 티미슈티크 | di | ńyɛ́ | 부이 |
토고칸 | 고포로펜 | 게레 | 수구루 | 키르시 | ri | nɛ́nɛ́ | 카우 | nɛ́ | 키르시 | 나흐 | diː | ñíː ~ ñíː | bɔ́ⁿ |
맘보 | 송호 | 기레 | 수굴리 키지키지 | 킨자 | 아인슈 | 네엔데 | 도네슈 | 게제 | 가위바위보 | 티니지시 | mîː | ɲɛ́ː | 아이니 |
뱅가메[8] | ɡìé | 타짜 | 숨비르 | noɔitude niìⁿ. | Nóitude nʒɛri. | nɔ́̀̀ | ʒíì | nnòɔr̀̀ | 다, 다, 다, 다 | ɥíè | d-a | (마하 |
숫자
개별 언어의 숫자 비교:[9]
언어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
도굴루 돔(1) | tm̀̀ | 네제 | 탄두 | Kɛ́́́́̀̀ | ǹó | 쿨레 | sɔ́ɔ́wɛ̀ | 셀레 | tùùẃ́́ | pɛ́ɛl. |
도굴돔도곤(2) | 토모 | 니제 | 타안두 | Ksoso | n | 쿨로이 | 시이 | 실밥을 짓다 | 투웨스트 | 삐걱거리다 |
토모 소 도곤 | ti(수식어로서의 tummɔq) | 네에 | 탠두 | 니키 | ǹnɔ́́ | 쿨루이 | sɔ́y. | 아차라 | 투우́́́́ | pɛ́l. |
돈노 소 도곤 | ti (카운트용), 투루 | 리지 | 타우누 | 나이의 | nmmoro/nnmo | 쿨루이/쿨레이 | 시지 | 아차라 | tùo/tuɡɔ | 푸르́루 |
잠세이 도곤 | 투루 | 리지/리지 | 툰/타툰 | nǎⁿ / nayⁿ * | nǔːⁿ/nùːⁿ | 쿠루이 | ⁿⁿ | 아차라 | 라루와 / 라루와 | 푸́루 |
토오 소 도곤(1) | tiì (카운트용), 투루 | lɛ́j. | 타아누 | 나지 | nùmɔ́r̃ɔ́ | 쿨르지 | Sɔ́j. | 차라 | 투우́́́ | 푸́루 |
토오 소 도곤(2) | 티루(카운트용), 투루 | 리 | 타아누 | 나이의 | númɔ́rɔ́n | 쿨루이 | 시피티 | 아샤라 | 투우́́́ | 푸두루 |
토오테구도곤 | 투루 | 리지 | 틸리 | nǎyⁿ * | nǔːⁿ | 쿠레이 | 소이슈 | 아차라 | 라라 | 피디크루 |
뱅크안 티 도곤 | 타마 | Jjj. | 타우니 | ìŋŋěⁿ | Nùmmǔjⁿ | 쿠루지 | 시지지 | 아라지 | 테숨 | pɛ́ːrú |
벤 테이 도곤 | tùmɔ́́́: | yy | 타우누 | nǐːⁿ | Nùmǔyⁿ. | 쿠르시 | 수이슈지 | 아차라이 | 티셈 | 푸́루 |
맘보 도곤 | 예̀ː / / tiːta(계속) | n ńáa | 탄두 | kɛ́ːjɔ́ | 누름 | 쿨레예 | Sɔ́ːì. | 셀레 | 토와 | pɛ́ːùù |
나잠바킨디게 | 쿤데 | nôːj | 탠드드슈 | Kɛ́dʒɛj. | nmîː | 쿨레즈 | 스웨지 | 사슈 | 트위즈 | pijɛ́́́ |
난가도곤 | ââ | Wǒj. | 탠드드슈 | Nɔjⁿ | nmǐː | 쿠레 | 쑤지슈 | 아흐레주 | 테슈 | pɛ́ːrú |
토고 칸 도곤(1) | ti | lɔ́y | 타안, 타안누 | nǎⁿ | núnɛ́ɛ́ⁿ | 쿠레 | Sɔ́̀̀ | 실라아 | 투와아 | 푸́루 |
토고 칸 도곤(2) | ti | lɔ́ì | 탄 | 나흐 | 누메지 | 쿨렌 | sɔ́ | 실라 | 투와 | ɛ́lì |
얀다 돔 도곤 | 타마: | nɔ́ː/no | 탄두 | ɛ́z̀̀ | nûm | 쿨레 | swɛ́ː | 사제 | 트위스트 | 피엘 |
참고 항목
- 말리의 언어
- Dogon 단어 목록(Wiktionary)
메모들
- ^ 2013년 5월 19일 회수된 웨이백 머신에 2013년 6월 15일 보관된 Dogon 언어
- ^ 로저 블렌치, 니제르콩고: 대안적 견해
- ^ 블렌치, 로저 2015년 도곤 고원에 지금 갈고 닦은 닐로사하라의 가지가 있었을까? 뱅가메와 도곤의 기질 어휘에서 나온 증거. 모국어, 2015년호 20: 해롤드 크레인 플레밍(1926-2015)을 기리며.
- ^ 마지막은 호크스테틀러의 출처에서는 언급되지 않았다.
- ^ 글로톨로그 4.3.
- ^ 블렌치, 로저 2015년 도곤 고원에 지금 갈고 닦은 닐로사하라의 가지가 있었을까? 뱅가메와 도곤의 기질 어휘에서 나온 증거. 모국어, 2015년호 20: 해롤드 크레인 플레밍(1926-2015)을 기리며.
- ^ 히스, 제프리, 맥퍼슨, 로라, 프로호로프, 키릴, 모란, 스티븐. 도곤 비교 단어 목록. 미발표 원고.
- ^ a b 히스, 제프리 2013년 Bangime과 Dogon 비교 단어 목록. m.s.
- ^ Chan, Eugene (2019). "The Niger-Congo Language Phylum". Numeral Systems of the World's Languages.
참조
- Bendor-Samuel, John & Olsen, Elizabeth J. & White, Ann R. (1989) Bendor-Samuel & Ronda L에 있는 '도곤'이다. 하텔 (eds) 니제르-콩고어군: 아프리카의 가장 큰 언어군에 대한 분류와 설명 (pp. 169–177) 메릴랜드 주 랜햄: 미국의 대학 출판부.
- Bersto, J. (1953) 'La place des des doogon de la falaise de Bandiagara parmi les autes groups loguistics de la zone soudanaise,' Bulletin de l'IFAN, 15, 405–441.
- Blench, Roger (2005a). "A survey of Dogon languages in Mali: Overview". OGMIOS: Newsletter of Foundation for Endangered Languages. 3.02 (26): 14–15. Retrieved 2011-06-30..
- Blench, Roger(2005b) '북말리에서 알 수 없는 제휴 언어인 Baŋgi me', OGMIOS: 멸종위기 언어 재단 소식지 3.02 (#26), 15-16. (단어 목록과 함께 보고)
- 칼라메-그리우레, 제네비에브(1956) 레사투리스 도곤. 아프리카, 26(1), 62-72.
- 칼라메 그리아울레, 제네비예브(1968) 어법가 도곤 사투르테 trɔ: 랑구 에 문명화. 파리: 클린크시크: 파리.
- 히스, 제프리(2008) 잠세이 문법. 베를린/뉴욕 : 무튼 데 그루터(Muton de Gruyter.
- Hochstetler, J. Lee; Durieux, J. A.; Durieux-Boon, E. I. K., eds. (2004). Sociolinguistic Survey of the Dogon Language Area (PDF). SIL International. Retrieved 2021-02-22.
- Moran, Steven; Prokić, Jelena (2013). "Investigating the Relatedness of the Endangered Dogon Languages". Literary and Linguistic Computing. University of Zurich. 28 (4): 676–691. doi:10.1093/llc/fqt061.
- 플런지안, 블라디미르 알렉산드로비치(1995) 도곤(세계 소재 언어 64권). 뮌헨: LINCOM Europa
- Williamson, Kay & Blench, Roger(2000) 'Niger–Congo', 하이네, Bernd 및 간호사 데릭(eds) 아프리카 언어 – An Introvation. 케임브리지: 케임브리지 대학 신문 11-42쪽
외부 링크
![]() | 위키보이지는 도곤을 위한 구절집을 가지고 있다. |
- 도곤과 뱅가임 언어학
- 도곤 언어학 웹사이트
- Rogerblench.info의 Dogon 언어(영문 언어 데이터와 사진)
- 도곤어언어언어언어언어언어언어언어언어언어언어언어언어언어언어언어(sic)종합주석서적서적자료아비 한트간(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