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바토르 KS-172
Novator KS-172KS-172 | |
---|---|
![]() 1994년 Su-30 앞에서 KS-172 목업 | |
유형 | 장거리 공대공 미사일 |
원산지 | 러시아/인도 |
생산 이력 | |
제조원 | NPO 노바케이터 국방연구개발기구 |
사양 | |
덩어리 | 748 kg (1,650파운드) (KS – 172)[1] |
길이 | 6.01m(19.7ft) + 1.4m(4.6ft) (KS–172)[1] |
직경 | 40 cm (16 인치) (KS – 172)[1] |
탄두 | HE 플래그멘테이션(KS-172)[1] |
탄두 중량 | 50 kg (110파운드) |
엔진 | 탠덤 로켓 부스터 (KS-172)[1] |
날개폭 | 61 cm (24 인치) (KS – [1]172) |
추진제 | 고체 연료 |
동작중 범위 | 최소 200km,[2] 300~400km(160~210nmi) |
비행 고도 | 3 m (9.8 피트)– 30,000 m (98,000 피트) (KS – 172)[1] |
최고 속도 | 4,000km/h(2,500mph, 1.1km/s, 마하 3.3)(KS–172)[1] |
지침. 시스템. | 중간 코스:코스 도중 안내가 포함된 관성 항법 터미널:액티브 레이더 호밍 (KS–172)[1] |
시작하다 플랫폼 | Su-27, Su-30, Su-35,[3] Su-30MKI,[1] (용도) |
KS-172는 러시아의 공대공 미사일 프로젝트로 최대 사거리 400km의 AWACS [4]킬러로 설계됐다.이 미사일은 K-100, 이즈델리예 172(프로젝트 172), AAM-L(RV-L), KS-172, KS-1, 172S-1, R-172 등 다양한 이름을 갖고 있었다.이 기체는 9K37 북 지대공 미사일(SAM)에서 파생된 것으로 보이지만 1990년대 중반 [4]자금 부족으로 개발이 중단됐다.이 미사일은 2004년 인도에서 Su-30MKI 전투기를 위해 미사일을 생산하려는 인도와 거래를 한 후 재가동된 것으로 보인다.요즘은 개발이 중단되고 프로젝트가 종료됩니다.
발전
현대 공군은 E-3 Sentry와 A-50 'Mainstay'와 같은 개조된 여객기와 수송 항공기에 의해 전형적으로 운반되는 공중 레이더에 의존하게 되었다.그들은 또한 기내 급유(예: Vickers VC10), 해양 순찰(예: CP-140 Aurora), 정찰 및 전자전(예: Tu-16 '오소리' E&J) 및 C4를 위해 유사한 항공기에 의존한다.ISTAR(예: VC-25 "에어포스 원").이러한 항공기들 중 한 대만 잃는 것은 전투 능력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그들은 보통 전투기 호위대에 의해 엄중하게 방어된다.장거리 공대공 미사일은 전투기 화면을 뚫고 나갈 필요 없이 목표물을 격추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서방 AWACS의 "눈을 멀게 하는" 것의 잠재적 중요성을 감안할 때, 러시아는 이 지역에 상당한 자원을 투입했다.R-37(미사일)(AA-13 '화살표')는 사거리가 최대 400km(220nmi)인 R-33(AA-9 'Amos')의 진화형이며, 확실한 증거는 거의 없지만 Zvez-31에 기반한 200km(110nmi)의 공대공 미사일에 대한 소문이 끊이지 않고 있다.
NPO 노바토르는 1991년 러시아의 프로젝트명 이즈델리예 [5]172와 함께 장거리 공대공 미사일 개발에 착수했다.당초 AAM-L(RV-L)로 불렸던 이 [6]비행기는 1993년 초 아부다비에서 열린 국제방위전시회에 처음 공개되었고,[5] 그 해 말 모스크바 에어쇼에 이어 그 해 말 처음으로 모습을 드러냈다.그것은 사거리가 400km(220nmi)인 것으로 묘사되었다. 전시된 모형은 9K37M1 Buk-M(SA-11 '갓플라이')와 매우 흡사했다.Su-27에 대한 비행시험이 있었던 것으로 보이지만, 러시아인들은 곧 이 프로젝트에 대한 자금 지원을 철회한 것으로 보인다.
이 미사일은 사거리 300km(160nmi)의[6] 수출 모델에 대한 외국 투자가 궁극적으로 러시아 [7]공군에 자금을 대는 새로운 수출 주도[7] 전략의 일환으로 1999년에 [6]KS-172로 다시 등장했다.다시 한 번 말하지만, 거기에는 납치자가 없었던 것 같다.
2003년 말, 이 미사일은 172S-1로 [5]수출 시장에 다시 제공되었다.2004년 3월에 인도는 이 프로젝트에 투자하여 "R-172"[8]를 개발하기 위한 "파트너십 협상"을 진행 중인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2005년 5월 인도인들은 성공적인 BrahMos [9]순항미사일을 생산한 것과 유사한 합작 사업에서 "최종 개발에 자금을 지원하고 무기 생산을 허가하는 협정"을 마무리했다고 한다.이후 이 미사일은 2005년 모스크바 에어쇼에서[5] Su-30을 타고 K-172로 [4]등장했으며 K-100-1로 명명된 2007 모스크바 에어쇼에서 개량형으로 선보였다.이 이름은 2006년 [5]수호이 문서에 처음 등장했으며, 제인과 같은 소식통들은 현재 이 미사일을 [5]K-100이라고 부르고 있다.현재 그 미사일은 러시아에서도 인도에서도 운용되지 않고 있다.아마도 개발은 중단되었고 프로젝트는 2010년까지 종료되었을 것이다.
설계.
1993년에 보여진 모형은 북의 기체와 매우 유사했지만, 인디언들이 관여한 이후 몇 가지 변화가 있었다.인도의 한 잡지는 2004년 4월에 길이 6.01m, 지름 40cm, 날개폭 61cm, 부스터 1.4m, 총중량 [1]748kg의 핵심으로 KS-172의 사양을 제시했다.최고 4,000km/h (2,500mph)의 속도를 낼 수 있는 고체 연료 탠덤 로켓 부스터, 12g의 마노에브링, 그리고 적응형 HE 파편화 [1]탄두를 가지고 있었다.개발은 시커 헤드, 자동 조종, 방해에 대한 저항성 및 3D 스러스트 벡터 컨트롤(TVC)[1]이 있는 스티어링 시스템에 집중됩니다.
2005년 5월,[9] 로켓 부스터가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 각각 400km와 300km의 두 가지 버전이 있다고 보고되었다.2005년 8월 열린 MAKS(에어쇼)에서는 추진기와 [4]동체에 작은 추진기와 핀이 달린 유선형 미사일의 사거리가 300km에 달했다.그러나 2007년 MAKS 에어쇼에서 K-100이라는 이름으로 전시된 모델은 위 사진에서 원래의 1993년 모형과 비슷했으며, 다른 모양의 핀이 동체 위에 있고, TVC [10]통풍구가 있는 훨씬 더 큰 부스터가 있었다.같은 쇼에서 Su-35BM의 날개 아래에 보여졌으며, 이는 중앙선에서 한 대가 아닌 플랭커급 항공기로 최소 두 대를 운반할 수 있음을 암시한다.
유도 방법은 비산물이 터미널 [1]호밍에 능동 레이더를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표적에 근접할 때까지 관성 항법에 의한 것이다.K-100은 R-27 (공대공 미사일) (AA-10 '알라모')[2]에 사용된 Agat 9B-1103M 시커의 350 mm (14인치) 확대된 파생형을 가지고 있다.40km(22nmi)의 록온 범위를 가지며, Agat 설계자가 "전체 범위의 1/5 이하"[2]라고 설명했습니다.
변종
- KS-172
- 1993년 시제품.
- KS-172S-1
- 2003년 시제품.
유사 무기
- R-37(미사일)(AA-X-13/AA-13 '화살표')는 R-33(미사일)(AA-9 '아모스')에서 개발되었으며 수호이 Su-35 플랭커-E, 수호이 Su-37 플랭커-F, 미그-142 전투기를 위한 것이다.Defense Today에 따르면, 그 범위는 직격탄인[9] 80해리(150km)에서 크루즈 글라이드 [9]프로필인 215해리(398km)까지 비행 프로파일에 따라 달라진다.Jane's는 R-37과 R-37M의 두 가지 변형을 보고했는데, R-37M은 사거리를 "300-400km" (160-220nmi)[3]로 늘리는 분사식 로켓 부스터를 가지고 있다.이 미사일에 대한 작업은[3] 2006년 말에 [3]재개된 것으로 보이며, 새로운 레이더와 지상 공격 능력으로 폭스하운드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MiG-31BM 프로그램의 일환이다.
- Kh-31 (AS-17 '크립톤') – 중국은 이 러시아 공대지 미사일의 대레이더 버전 (Kh-31P)을 허가 받았으며, YJ-91 [9]파생 모델의 "AWACS 킬러" 변형을 개발 중일 수 있다.러시아 측은 항우편인 Kh-31A가 AWACS [9]킬러로 사용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 AIM-54 Phoenix – 현재 퇴역했으며 미 해군의 F-14 Tomcat이 탑재한 사거리 100해리(190km) 미사일.
- AIM-97 Seekbat - 스탠다드 미사일 SAM을 기반으로 한 시크뱃은 당시 거의 신화적인 성능 추정치를 가지고 있던 MiG-25 폭스뱃을 격추하기 위해 설계된 초장거리 미사일이었다.폭스뱃의 실제 성능이 극적으로 좋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을 때, 개발은 취소되었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India Starts Defence Exports : Joint Ventures Now yielding rich Dividends", FORCE magazine, Arun Vihar, India, vol. 1, no. 6, p. 55, April 2004
- ^ a b c Johnson, Reuben F (11 July 2007), "Russia develops K-100-1 for Su-35", Jane's Defence Weekly
- ^ a b c d "R-37, R-37M (AA-X-13) (Russian Federation), Air-to-air missiles – Beyond visual range", Jane's Air-Launched Weapons, Jane’s Information Group, 12 January 200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4 September 2008
- ^ a b c d Fisher, Richard (12 September 2005), Chinese Dimensions of the 2005 Moscow Aerospace Show, International Assessment and Strategy Center,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9 June 2015, retrieved 29 January 2009
- ^ a b c d e f "K-100 (Izdeliye 172, KS–172, AAM-L)", Jane's Air-Launched Weapons, 12 January 200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3 September 2008
- ^ a b c Saradzhyan, Simon; Barrie, Douglas (16 August 1999), "Russia Offers Extended Range Missile For Export", Defense News: 8
- ^ a b Battilega; et al. (2000), Transformations in Global Defense Markets and Industries: Implications for the Future of Warfare – Russia (PDF), National Intelligence Council, p. 12,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14 January 2009, retrieved 29 January 2009
- ^ "India, Russia in talks for a new missile", The Times of India, India, Press Trust of India, 2 March 200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3 October 2012, retrieved 29 January 2009
- ^ a b c d e f g "Missiles in the Asia Pacific" (PDF), Defence Today, Amberley, Queensland: Strike Publications: 67, May 2005,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6 January 2009
- ^ "외부 링크" 섹션의 사진 보기
외부 링크
- sukhoi.ru – MAKS 에어쇼 사진을 포함한 비공식 사이트입니다.사진 10, 12 및 13은 K-100의 지상에 있는 maks2007d1013.jpg 중 어느 것이 가장 좋은지 보여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