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크디미티스

Nunc dimittis
1700~1710년경 에르트겔더의 시메온의 찬가

시메온의 노래 또는 시메온의 칸티클로도 알려진 Nunc dimittis[1] (/nʊk dˈmttss/)루카 복음서 제2장 29절부터 32절까지를 인용한 칸티클이다.이것의 라틴어 이름은 벌게이트 구절 번역의 시작 부분인 "이제 출발하라"[2]는 뜻에서 유래했다.4세기부터 컴플라인, 베스퍼, 에벤송 [3]등의 저녁 예배에 사용되었다.

성서적 설명

제목은 라틴어 벌게이트의 첫 단어인 "Nunc dimittis servum tuum, Domine"에서 유래했다.비록 짧지만, 칸티클에는 구약성서의 암시가 풍부하다.예를 들어, "내 눈이 당신의 [4]구원을 보았기 때문"은 이사야 52장 10절을 암시합니다.

누가복음 2장 25-32절에 나오는 이야기에 따르면, 시므온은 독실한 유대인으로, 메시아를 볼 때까지 죽지 않겠다고 성령으로부터 약속받았다.마리아와 요셉이 첫째 아들의 속죄식을 위해 예루살렘 성전으로 아기 예수를 데려왔을 (마리아의 순결화 후, 적어도 40일 후, 할례와는 구별됨) 시므온은 그곳에 있었고, 시므온은 예수를 품에 안고 다음과 같은 다양한 말을 했다.

버전

트레스 부귀휴르스 뒤 뒤 베리 낭크 디미티스의 시작
비석의 독일어 번역.

코이네 그리스어의 '눈크 디미티스' 구절:

νῦν ἀπολύεις τὸν δοῦλόν σου, δέσποτα, κατὰ τὸ ῥῆμά σου ἐν εἰρήνῃ·
ὅτι εἶδον οἱ ὀφθαλμοί μου τὸ σωτήριόν σου,
【μα】【α】【α】【α】【α】【α】【α】
α-α-α-α-α-α-α-α-α-α-α-α-α-α-α-α-α-α-α-α-α-α-α-α-α-α-α-α-α-α-α-α-α-α-α-α-α-α-α-α-α-α-α-α-α-α-α-α-

번역 완료:

Nyn apolyeis ton doulon sou, despota, kata to rahma sou en eirnnē.
소트리온 소우토리온 소우토리온 소우토오토리온소우,
호호토이마사스 카타 프로소폰 판톤 툰라온.
포스 아이스 아포칼립신 민족동 카이독산라우수 이스라슬.

라틴어(Vulgate):

Nunc dimittis servum tuum, Domine, secundum verbum tuum 페이스:
키아비데룬트오쿨리마이살루타레투움
파라스티 이전의 모든 포퓰러럼의 쿼드:
Lumen ad revisionem gentium, et gloriam plebis tuae 이스라엘.

영어(Vulgate 번역):

주님, 주의 말씀에 따라 주의 종을 평안히 내쫓아 주십시오. 주께서 만민 앞에 세우신 구원을 내 눈으로 보았기 때문입니다.이방인의 계시와 주의 백성 이스라엘의 영광에 빛이 있기를

영어(일반기도서, 1662년):

주님, 이제 주의 종에게 주의 말씀대로 평안히 떠나시기를 빕니다.
내 눈으로 당신의 구원을 보았기 때문입니다.
모든 사람들 앞에서 준비하신 말씀입니다.
이방인을 밝게 하는 빛이 되고, 당신의 백성 이스라엘의 영광이 되겠습니다.

영어(로마어 약어):

자, 주인님, 하인을 편히 보내주시지요.당신은 약속을 이행했습니다.
네 구원을 내 눈으로 직접 봤어
모든 민족이 볼 수 있도록 준비하신 것입니다.
어둠 속에서 이방인을 끌어내는 빛이요, 주의 백성 이스라엘의 영광입니다.

야고보 왕전(1611년)에는 '이방인을 밝게 하는 빛과 그대 백성 이스라엘의 영광'이라고 적힌 마지막 줄(루크 2장 32절)을 제외하고는 일반 기도서와 같은 내용이 담겨 있다.

교회 슬라브어(슬라브어)[5]

Ны́не отпуща́еши раба́ Твоего́, Влады́ко, по глаго́лу Твоему́, съ ми́ромъ;
★★★★★★★★★★★★★★★★★★★★★★★★★★★★★★★★★★★★★★★★★★★★★★★★★★★★★★★★★★★★★★★★★★★★★★★★★★★★★,
★★★★★★★★★★★★★★★★★★★★★★★★★★★★★★★★★★★★★★★★★★★★★★★★★★★★★★★★★★★★★★★★★★★★★★★★★★★★★★★★★★★★★★,
светъ во открове́нiе язы́ковъ, и сла́ву люде́й Твои́хъ Изра́иля.

코멘트

프리드리히 유스투스 크네히트는 이 구절에서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이 죽음에 대한 모든 두려움을 몰아낸다"는 결론을 도출한다.그는 다음과 같이 쓰고 있다.

시메온은 이제 죽음을 예상하며 기뻐했다.그러한 센세이션은 지금까지 이스라엘에서 알려지지 않았다."불쌍한 이스라엘 사람들은 죽음에 눈을 감았고, 삶에 지쳤고, 신의 뜻에 순종했다. 전혀 희망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미래에 대한 두려움으로 가득 차 있다.죽음은 두려운 것이었고, 주어진 삶의 하루하루는 이득으로 간주되었다." (그림)하지만 갑자기 모든 것이 바뀌었다.성스러운 시메온은 구세주를 보았고, 이제 즐겁게 죽을 준비가 되어 있었다.사실, 그는 곧 죽었습니다; 경건한 전통은 그가 사원을 떠나기 전에 죽었다고까지 합니다.그래서 그는 구세주가 태어났다는 기쁜 소식을 림보에게 전했고,[6] 구원의 날이 눈앞에 다가왔다.

로저 백스터명상에서 이 구절을 반성하며, "오, 당신도 모든 지상의 것들과 작별을 고하고, 사도에게 '그러나 나는 - 용해되고 싶은 욕망을 가지고 있고, 그리스도와 함께 있고 싶은 욕망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7]

예배 및 음악 설정

St. St.에 스테인드글라스 창문이 있어. 덴마크 코펜하겐에 있는 알반 성공회, '눈크 디미티스' 장면을 묘사하고 있습니다.

베네딕토스매그니펫[4]아침기도와 저녁기도의 전통적인 가스펠 칸티클인 것처럼 눈크 디미티스는 밤기도의 전통적인 '고스펠 칸티클'이다.따라서 Nanc Dimittis는 1662년 공동기도서의 성공회 에벤송, 1928년 공동기도서의 컴플라인, 그리고 공동예배의 야간기도회를 포함한 많은 서양 교파의 예배당 야간 사무실에서 발견된다.동양 전통에서 칸티클은 동방 정교회에서 볼 수 있다.영국에서 가장 잘 알려진 배경 중 하나는 토마스 탈리스의 평범한 주제이다.

하인리히 쉬츠는 적어도 두 가지 설정을 썼는데, 하나는 Musikalische Exquien (1636년)이고 다른 하나는 Symphoniae sacrae 2 (1647년)이다.J.S. 바흐의 시간대에 루터교회에서 마리아 레니궁이 축제일을 지켰다.그는 그 행사를 위해 Mit Fried und Freud Ich fahr dahin, BWV 125, Martin Luther가 칸티클을 바꿔초랄 칸타타, 그리고 Ich habe genug, BWV 82포함한 여러 칸타타를 작곡했습니다.

많은 루터교 예배 명령에서 Nunc Dimittis성찬식[8][9]리셉션 후에 부를 수 있다.1530년 요하네스 앵클리스쿠스의 운율 버전 "Im Frieden dein, o Herre mein"과 볼프강 닥슈타인의 멜로디[10]그러한 목적을 위해 스트라스부르에서 쓰여졌다.

많은 작곡가들이 보통 성공회 교회와 매그니페라트와 결합되어 있는 음악에 텍스트를 설정했는데, 1662년 일반기도서(저녁기도서)와 컴플라인(야간기도서)에 따르면 저녁기도서(또는 말함)의 성공회 예배 중에 모두 불려지기 때문이다.이베를로는 두 가스펠 칸티클을 모두 채용하면서 하나의 서비스에 통합되었다.공동 예배에서, 그것은 "장례식 및 추모 [11]예배에 사용하는 성전" 허버트 하웰스가 그것의 20개의 설정을 구성했습니다. 여기에는 매그니페스트와 넌크 디미티스(글로스터)(1947년)와 세인트 폴 대성당 매그니페스트와 넌크 디미티스(1951년)가 포함됩니다.찰스 빌리어스 스탠포드의 Nunc Dimittis 배경은 마가렛 대처의 장례식에서 열성적[12]곡으로 불려졌다.스탠포드는 MagnificatNunc dimittis[13]많은 설정을 썼다.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는 올나잇 철야 제5악장으로 슬라브어 Nunc dimittis의 설정인 Nyne otpushchayeshi를 썼다.베이스가 베이스 클리프 [14]아래의 B♭에서 끝나는 내림차순 음계를 부르는 최종 측정으로 알려져 있습니다.1979년 팅커 테일러 솔저 스파이(TV 시리즈)를 각색한 영국 작곡가 제프리 버곤의 설정.

문학적 설정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1. ^ Machen, Minnie Gresham (1903). The Bible in Browning: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The Ring and the Book. Macmillan. p. 157.
  2. ^ 콜린스 사전, "Nunc dimittis"
  3. ^ "Nunc Dimittis". Encyclopedia Britannica.
  4. ^ a b Herbermann, Charles, ed. (1911). "Nunc Dimittis". Catholic Encyclopedia. Vol. 11. New York: Robert Appleton Company.
  5. ^ 1896년 모스크바 시노달 프레스
  6. ^ Friedrich Justus Knecht (1910). "VII. The Presentation in the Temple" . A Practical Commentary on Holy Scripture. B. Herder.
  7. ^ Baxter, Roger (1823). "Simeon's Prophecy" . Meditations For Every Day In The Year. New York: Benziger Brothers.
  8. ^ The Lutheran Service Book. Concordia Publishing House. 2005.
  9. ^ Evangelical Lutheran Worship. Augsburg Fortress. 2006.
  10. ^ Marti, Andreas (2011). "222 Im Frieden dein, oh Herre mein". In Herbst, Wolfgang; Alpermann, Ilsabe (eds.). Liederkunde zum Evangelischen Gesangbuch (in German). Vandenhoeck & Ruprecht. pp. 8–13. ISBN 978-3-64-750302-8.
  11. ^ "The Church of England - Common Worship - Canticles for Use at Funeral and Memorial Servic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9 September 2017.
  12. ^ "Margaret Thatcher: the funeral Order of Service". Telegraph. 17 April 201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2-01-12.
  13. ^ Nunc dimittis, King's College, King's College의 합창단이 부른 2014-11-29 Wayback Machine (2014년 11월 1일)
  14. ^ Warrack, John (2013-01-09). "Rachmaninov Vespers". www.gramophone.co.uk. Retrieved 2018-05-28.
  15. ^ Brands, H. W. (2003). The Strange Death of American Liberalism. Yale University Press. ISBN 978-0-300-09824-2.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