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설적인 몸짓
Obscene gesture![]() |
외설적인 몸짓은 신체, 특히 손이나 팔의 움직임이나 위치를 의미하며, 어떤 특정한 문화권에서는 극도로 불쾌하거나 천박하다고 여겨진다. 그런 몸짓은 종종 성적으로 선정적이다.
핑거
비록 "손가락"이 "무례의 보편적 표시"[1]라고 불렸지만, 그것은 진정으로 보편적인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일본 수화에서는 손바닥이 바깥쪽을 향할 때 문자 せ("se")으로 인식된다. 같은 감정을 표현하기 위해 세계 각지에서 손가락 외에 또는 손가락 대신 많은 다른 제스처가 사용된다. 세계 일부 지역에서는 '손가락'은 전혀 의미가 없다.
인도, 파키스탄, 스리랑카에서 서양 문화에 노출된 사회에서는 가운데 손가락 제스처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의미로 사용하고 있다. 대부분의 남아시아 국가들도 마찬가지다.
포르투갈에서는 이 동작을 "피레테" 또는 "망구이토"라고도 부른다.
러시아에서 가운데 손가락은 단순히 (대개 화자 자신을 가리키며) 강조를 전달하는 데 사용된다.
브이 사인

영연방 국가(캐나다 제외)에서는 모욕으로서의 V 기호(중간 및 검지손가락을 치켜들고 수신인을 향해 손등으로 주는 것)가 손가락과 유사한 목적을 제공한다.[citation needed] 손바닥을 바깥으로 내민 V자판은 승리를[2] 의미하거나 평화의 상징으로 쓰인다.[3]
둘리야
러시아에서 영향을 받은 지역에서 더 흔하게 볼 수 있는, 둘리야(무화과 간판이나 샤이시라고도 한다)가 있다. 이 제스처는 도움을 주지 않거나 제스처의 목표에 동의하지 않을 때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보통은 금융 대출 요청이나 육체적 업무 수행에 대한 보조와 연결된다. 제스처는 일반적으로 손과 손가락을 오므리고 엄지손가락을 가운데 손가락과 집게 손가락 사이에 밀어넣는 방식으로 만들어진다. 이 제스처는 인도네시아, 터키, 한국, 중국, 몽골, 헝가리(이하 "fityisz"라 함), 남슬라브 국가(선박/시팍), 루마니아("그림")에서도 비슷하게 사용된다. 미국 일부 지역에서는 얼굴에서 코뼈가 제거된 것처럼 보이게 하기 위해 어린 아이의 코를 움켜쥔 후 종종 "코를 잡았다"는 문구를 곁들여 사용한다.
코르나
뿔의 기호, 즉 이탈리아어로 된 코르나("호른")는 몸짓의 위치나 움직임에 따라 다양한 의미를 갖는 몸짓이다. 특히 이탈리아와 지중해 지역에서 흔히 볼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손의 문맥과 위치에 따라 두 가지 다른 의미를 갖는다. 이탈리아와 지중해에서 처음으로 악의 없는 제스처를 사용하는 것은 불운이나 "악마의 눈"을 피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구식 또는 미신을 목적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제스처의 사용은 불행한 사건과 마주쳤을 때 또는 그러한 사건이 언급되었을 때에도 사용될 수 있으며, 제스처의 외설적인 사용과 제스처의 외설적인 사용을 구분하기 위해 대개 손가락을 아래쪽으로 향하게 하거나(또는 누군가를 향해 향하게 하지 않는) 손가락으로 행해진다.
이탈리아를 비롯한 지중해 및 라틴 국가(아르헨티나, 브라질, 콜롬비아, 쿠바, 프랑스, 그리스, 포르투갈, 스페인, 우루과이 포함)[4][5][6][7]에서도 이 제스처를 두 번째로 사용한 것은 오히려 음란하고 무례하며 모욕적이다. 이 음란한 제스처의 사용은 처음의 제스처와는 달리 두 손가락을 위쪽으로 향하게 하거나 제스처를 누군가를 향해 지시하고 손을 앞뒤로 돌리는 것을 포함한다. 이 제스처의 사용은 그것이 지향하는 사람에게서 오코홀드를 암시한다. 이탈리아어, 그리스어, 스페인어로 오쿠아올드어의 공통어로는 각각 코르누토, εεαας ((케라타스), 코르누도(코르누도)가 있는데, 말 그대로 '호른'[8]이다.
무차
그리스에서는 다섯 손가락이 넓게 펼쳐지고 손바닥이 무차라고 알려진 몸짓으로 누군가를 향해 밀린다. 그러나 가운데 손가락은 여전히 사용되며, 더 모욕적인 것으로 여겨진다. 가운데 손가락이 만들어 내는 축에서 손을 앞뒤로 움직이면서 가운데 손가락이 아닌 모든 손가락이 넓게 펼쳐지는 또 다른 변형법이 사용된다. 이 동작에서 엄지는 때때로 가운데 손가락에 닿는다. 이것의 모욕은 손가락에 해당한다.[citation needed]
이란 문화권에서는 '머리에 묻은 흙'을 나타내는 비슷한 제스처가 사용되는데, 이는 종종 사용되는 언어적 모욕으로, 수신자의 죽음과 그에 따른 매장 등을 암시한다.[citation needed]
일부 아프리카와 카리브해 국가에서는 비슷하게 외설적인 제스처가 손바닥을 앞으로 향하게 한 채 다섯 자리 숫자를 모두 확장하고 있는데, 이는 '너희에게는 다섯 아버지가 있다'(따라서 누군가를 사생아라고 부른다)는 뜻이다.[9]
이라크와 아시리아 문화에서 갑자기 손바닥을 누군가에게 들이대는 것은 그들이 수치심을 느낄 만한 가치가 있고 불명예스럽다는 것을 의미한다.
기운 내!

주로 이란과 이라크의 옛 페르시아에서는 손가락 대신 엄지손가락만을 수직 방향으로 노출시키는 제스처( 엄지손가락을 치켜세우는 동작)가 사용되는데, 이는 대략 "엉덩이 위로 밀어넣어라", "네 위로" 또는 "너 자신을 엿먹으라"와 같은 의미와 같다.[10]
일부 아랍 국가들, 특히 이집트에서, 가운데 손가락은 손바닥을 향해 내려 누군가를 향하고, 다른 손가락은 모두 곧게 유지된다. 그것은 전통적인 중지 제스처의 반대 움직임으로 여겨질 수 있지만, 그것은 같은 목적과 의미를 제공한다.[citation needed]
엄지손가락 깨물기
엘리자베스 여왕 시대 영국에서는 엄지손가락 끝을 앞니 뒤에 놓고 앞으로 튕겨 나가는 방식으로 이 동작을 했다. 누군가에게 중지를 주거나 싸움에 도전하는 것과 맞먹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 버전은 일부 국가에서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11]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희곡 로미오와 줄리엣에서 카풀렛의 하인 샘슨은 몬태규의 하인인 아브람에서 "엄지를 비벼라"며 싸움을 시작한다.
OK 제스처

OK 제스처를 널리 사용함으로써 국제적인 동의를 얻었지만, 중동과 지중해 지역 일부에서는 부정적이거나, 천박하거나, 불쾌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12] 일본이 동전과 부를 나타내는 표현을 사용한 것과 대조적으로 제스처 'O'자형은 프랑스, 벨기에, 튀니지에서 '아무 가치도 없다'는 의미의 '제로'를 의미한다.[13][14]
터키, 튀니지, 그리스 등 지중해 여러 나라와 중동, 독일 일부, 남미 국가 등에서는 이 제스처가 인간의 항문을 닮은 저속한 표현으로 해석될 수 있는데, 이는 모욕("너는 병신이다") 또는 동성애와 비도덕적 행위에 대한 모욕적인 언급으로 해석될 수도 있다. 브라질에서 그것은 누군가에게 중지를 주는 것과 동의어가 될 수 있다.[15][16]
아랍 세계에서는 이 간판이 사악한 눈을 나타내며, 때로는 언어적 비난과 결부되어 저주로 이용되기도 한다.[17]
참조
- ^ 예: Echard 대 Kraft, 159 Md. App. 110, 115, 858 A.2d 1018, 1021(2004)
- ^ "C is for Courtesy". Safety Review. 12–13. United States Office of Industrial Relations. January 1959.
- ^ Sheehy, Gail (1 September 1969). "The End of the Drinking Generation". New York Magazine.
- ^ "Rude hand gestures of the world". Telegraph.co.uk. Retrieved 13 December 2017.
- ^ "International field guide to rude hand gestures". Theloop.c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4 December 2013. Retrieved 13 December 2017.
- ^ "Hand Gestures in Different Cultures". Buzzle.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7 April 2017. Retrieved 13 December 2017.
- ^ Romana Lefevre (2011). Rude Hand Gestures of the World: A Guide to Offending without Words. Chronicle Books. ISBN 978-0811878074.
- ^ "Hand Gestures Part Two — The Cuckold Gesture". Reading-Body-Language.co.uk.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2-04-19. Retrieved 2016-12-11.
- ^ "What's A-O.K. in the U.S.A. Is Lewd and Worthless Beyond". The New York Times. August 18, 1996. Retrieved 2008-04-11.
- ^ Roger E. Axtell (14 October 1997). Gestures: The Do's and Taboos of Body Language Around the World (Second revised ed.). Wiley. ISBN 978-0471183426.
- ^ "Excerpt – 'How to Behave Badly in Elizabethan England' by Ruth Goodman".
- ^ 매튜 링크의 해외 위험한 바디 랭귀지. 2010년 7월 26일 01:00 게시. 2017년 7월 26일 회수
- ^ "What's A-O.K. in the U.S.A. Is Lewd and Worthless Beyond". New York Times. August 18, 1996. Retrieved 15 November 2018.
- ^ Merritt, Anne (September 22, 2010). "10 common gestures easily misunderstood abroad". Matador Network. Retrieved 17 September 2018.
- ^ Cameron, Tim (June 4, 2008). "7 Innocent Gestures That Can Get You Killed Overseas". Cracked.com. Retrieved 15 November 2018.
- ^ Freny (5 July 2016). "4 weird unspoken laws in foreign lands! Chill Feel". ChillFeel.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5 November 2018. Retrieved 15 November 2018.
- ^ "Gestures, Arab Culture" (PDF).. GlobalSecurity.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