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스 블랙

Case Black
케이스 블랙
유고슬라비아 제2차 세계 대전의 일부
Map of Case Black.JPG
현대 국경에 겹쳐진 케이스 블랙 지도
날짜1943년 5월 15일 - 6월 16일
위치
결과

결론에 도달하지 못함

  • 당파당 사상자가 많음에도 축전파괴
호전성
:
이탈리아
독일.
크로아티아
불가리아[1][2][3]
연합군:
유고슬라비아 빨치산
지휘관과 지도자
Nazi Germany 알렉산더 뢰르
Nazi Germany 루돌프 뤼테르스
요시프 브로츠 티토()WIA
벨리미르 테르지치
코차 포포비치
페코 다프체비치
파블레 야키치
라도반 부카노비치
사바 코바체비치
12만7000명
300대 이상의 항공기
약 22,106명의 남자들[4]
사상자 및 손실
Nazi Germany 583명 사망, 1760명 부상, 425명 실종[5][6]
Fascist Italy (1922–1943) 290명 사망, 541명 부상, 1502명 실종[7]
Independent State of Croatia 40명 사망, 166명 부상, 205명 실종[5][6]
총 사상자 수:
913명 사망, 2467명 부상, 2,467명 실종[5][7]
2/3 사망 및 부상[4][8]
(6,391[8]–7,543명[9] 사망)
친당파 동조자 2,537명 처형[10][11]

대소문자 구분(독일어:Fall Schwarz), also known as the Fifth Enemy Offensive (Serbo-Croatian Latin: Peta neprijateljska ofanziva) in Yugoslav historiography and often identified with its final phase, the Battle of the Sutjeska (Serbo-Croatian Latin: Bitka na Sutjesci pronounced [bîtka na sûtjɛst͡si]) was a joint attack by the Axis taking place from 15 May to 16 June 19보스니아 남동부의 수트제스카 강 인근, 유고슬라비아의 주요 당파 세력을 파괴하는 것을 목표로 한 43.공세의 실패는 제2차 세계대전유고슬라비아에 전환점이 되었다.그것은 또한 빨치산들에 대한 독일-이탈리아 연합작전의 마지막이었다.[12]

이 작전은 중앙 당파당 조직들을 없애고 그들의 사령관인 Josip Broz Tito를 포로로 하는 같은 목표를 달성하는 데 실패한 Case White를 즉시 뒤따랐다.

배경

이전의 와이스 작전 동안 체트니크스는 이탈리아의 지휘 아래 파르티잔인들과 싸웠다.그러나 작전 중에도 독일과 이탈리아 지도자들 사이에 체트니크군의 군축에 관한 협상이 진행되었다.독일인 베흐마흐트는 북아프리카 선거전에서 승리한 후 연합군이 발칸 반도를 침공할 것이라고 깊이 믿었다.위스 1세위스 2세 작전에서는 위르마흐트가 소기의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고 빨치산들을 파괴하지 않아 새로운 모험을 위한 준비가 시작되었다.

슈바르츠 작전과 함께 베흐마흐트는 여전히 헤르체고비나몬테네그로에서 확고히 자리잡은 체트니크 운동과 파르티당 운동을 모두 파괴함으로써 아드리아 해안의 배경을 정리할 생각이었다.히틀러는 영국이 발칸 반도를 침공할 경우 이탈리아 보호하에 있는 체트니크들이 편을 바꾸어 연합군에 합류할 것이라고 계산했다.[13]

그러나 1단계에서는 그 문제에 대해 독일군과 이탈리아군 사이에 긴장과 오해가 있었다.유고슬라비아의 이탈리아 지휘관들은 체트니크인들의 무장해제를 매우 꺼렸기 때문에 히틀러는 무솔리니 정부와 총참모부를 통해 동의를 얻었다.마리오 로봇티 장군은 적어도 빨치산들이 멸망할 때까지 체트니크족의 군축에 격렬히 반대했다.이러한 태도는 이탈리아 육군의 총참모장인 비토리오 암브로시오 장군이 공유했지만, 그는 무솔리니가 히틀러에게 한 약속에 따라야 했다.1943년 3월 초, 암브로시오 장군은 체트니크의 군축과 빨치산들에 대한 작전을 논의하기 위해 로보티와 알레산드로 피르지오 비롤리로마로 소환했다.[13]

축 평면도

엑시스는 독일, 이탈리아, 크로아티아, 불가리아, 300대가 넘는 비행기 등 12만7000여 명의 지상군을 집결시켜 공세를 펼쳤다.

이 작전을 위해 알렉산더 뢰어 동남부 사령관은 동부전선으로부터 정예 1 산악사단을 증원군으로 받았다.뢰르는 크로아티아의 독일군 사령관 루돌프 뤼터스에게 전술지휘를 맡겼다.따라서 이 작전을 위한 전투단은 크로아티아 군단이라고 불렸다.

독일군 사령부는 파르티잔인에 대한 행동 계획을 지형의 특성에 맞게 조정했다.그들은 타라와 피바 협곡 사이에 자연적으로 고립되고 거의 사람이 살지 않는 지역, 더미토 산간에 주요 당파 사단들과 그들의 최고본부를 집중시키고, 항공, 포병, 산악부대의 대량 활용으로 그곳에서 파괴할 계획을 세웠다.The 1st Mountain Division with its northern wing, the Italian 19th Infantry (Mountain) Division Venezia, the battle group Ludwiger (724th German, 61st and 63rd Bulgarian Regiments), the 369th Infantry Division, the 118th Jäger Division with the 4th Home Guard Jäger Brigade of the Independent State of Croatia were deployed in a semicircle on the ea북쪽과 북쪽제1단계에서는 이들 부대가 산닥을 장악하고 파르티니 부대를 타라 강 왼편으로 밀어내도록 되어 있었다.알프스 1사단 타우리넨스, 23사단 페라라, 7 SS산악사단 프린츠 유겐의 남쪽 날개는 남부와 동남쪽에서 파르티잔인들을 밀어내기로 되어 있었다.그 후 제118 야거사단은 피바의 왼쪽 둑을 점령하여 환경을 폐쇄하는 임무를 맡았기 때문에 강한 세력뿐 아니라 깊은 강물 고개에 의해서도 돌파에 장애가 되었다.이것은 빨치산 세력을 막다른 골목에 몰아넣고 그들을 파괴할 것이다.

In addition to these forces, there were additional 4 Italian divisions deployed in Adriatic hinterland, from the Albanian border to the lower course of the Neretva: were these Italian divisions: 155th Infantry Division Emilia in the Bay of Kotor, 151st Infantry Division Perugia in area of Vilusi, Bileća and Trebinje, 154th Infantry Division Murge a모스타르에서 메트코비치까지 네레트바 하류에 있는 두브로브니크32보병사단 마르체.[14]

Axis 공격 전 Partisans 활동

수트제스카 전투 중 당파란

추축이 슈바르츠 작전을 준비하는 동안 헤르체고비나와 몬테네그로 영토에서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다.와이스 작전 후, 파르티니 사단의 공작군은 헤르체고비나를 통해 몬테네그로를 침입하여 그 경로에 있던 체트니크 부대와 이탈리아 부대를 파괴하고 그 지역을 장악하기 위해 전력을 다해 출발했다.그 지역에서는 기진맥진한 전투기들이 휴식을 취하고 부상자들은 치료를 받은 다음 코소보와 세르비아 남부로 이동했다.

포차-칼리노빅-가코-샤브니크 지역에서 빨치산들과 이탈리아-체트니크군 사이의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다.네베신제는 무려 여덟 번이나 손으로 넘겼다.4월 6일 파르티니군은 드리나 일대를 강제 진압하고 이프사르 인근의 타우리넨스 사단과 체트니크 일대를 격파하고 체트니치 일대를 사로잡아 포차(Focha)를 포위했는데, 그곳에는 이탈리아 대대와 약 1,000명의 체트니크가 포위되어 있었다.체트니크족을 점점 더 몬테네그로 깊숙이 추격하면서 최고사령부는 더미토 산으로 이동했다.

피브카 자보르카에서 이탈리아인들에게 가해진 대패 후, 5월 1일, 제1·제2 프롤레타리아 사단은 베란으로 계속 진격할 생각으로, 콜라신의 이탈리아-체트니크 수비대를 청산하기 위한 종합 공세에 착수했다.[15]콜라신 포위 공격의 일환으로 5월 15일, 제5몬테네그린 여단 제4대대대와 제5대대대 1대대대대의 스트라이크 그룹이 바이오치 근방의 이탈리아 연대를 격파했다.

슈바르츠 작전 초기 유고슬라비아 민족해방군은 16개 여단에 2만2148명의 병사를 주둔시켰다.[9]크로아티아 출신 파르티잔인은 8925명(달마티아 출신 5,195명),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출신은 8,293명, 세르비아 출신은 1,492명(보즈보디나와 코소보 포함), 몬테네그로 출신은 3,337명이었다.민족별로는 세르비아인 11,851명, 크로아티아인 5,220명, 몬테네그린인 3,295명, 이슬람교도 866명이었다.[16][17]

빨치산 부대들은 약 3,000명의 부상자를 가진 중앙 병원을 가지고 오고 있었다.[18]게다가 YNLA 부대는 식량과 의약품이 심각하게 부족하여 많은 사람들이 장티푸스로 쓰러졌다.

작전

축 준비

베흐마흐트군은 북쪽과 동쪽으로부터 몬테네그로를 향해 진격하고 있었다.당파 세력은 4월 15일부터 포차에서 이탈리아 알파인 사단 '타우리넨제'의 일부와 약 1,100명의 체트니크들을 봉쇄하고 있었다.5월 초 독일 369군단 일부가 포차까지 침투해 제6동보스니아와 15대 마제비카 여단을 진압하면서 23일 동안 포위당군이었던 이탈리아 타우리넨자 사단의 아오스타 대대와 약 1,000명의 체트니크군을 해방시켰다.체트니크인들은 무장해제를 받고 풀려났다.

369군단 좌익은 프리보즈 방향에서 플레예블자를 향해 진격했고, 아무런 저항도 겪지 않고 '타우리넨자' 사단의 본체와 합쳐졌다.

체트니크의 군축

동부 헤르체고비나를 통해 제7 SS 산악사단과 제118 야거사단이 진격하는 과정에서 독일군은 어느 정도 이탈리아군의 방해와 체트니크군과 교전을 벌였다.수백 명의 체트니크들이 무장해제를 당했다.

5월 초, 파블 이루리시치는 제1 산악 사단 및 제4 브란덴부르크 연대 일부와 접촉을 맺었다.독일인들은 본심을 감추기로 결심하여 무장해제된 체트니크 일행을 집으로 돌려보냈다.체트니크족과의 통신을 받아들임으로써 1943년 5월 중순까지 독일 전투부대가 이미 배치되어 있는 콜라신 마을 주변에 술리시치가 이끄는 다수의 체트니크를 간신히 집결시켰다.5월 14일 아침 기습으로, 이탈리아 14군단 사령관 론칼라의 확립된 접촉과 강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독일군은 잠결에 체트니크족을 붙잡아 무장해제를 단행했다.지상에 있던 독일군은 슈트니크족 체포 결정을 재고해 달라고 상급 지휘부에 호소했는데, 이들이 빨치산들에 대항해 믿을 만한 동맹국임을 증명했기 때문이지만 독일군 사령부는 당초의 생각을 포기하지 않았다.츄리시치 등 붙잡힌 체트니크의 한 부분은 그리스와 폴란드의 포로수용소에 수감될 예정이었고, 나머지는 다가오는 파르티잔과의 싸움에서 노동대대를 위해 수용될 예정이었다.그 사이 미하일로비치는 고르네 리포보 마을을 떠나 세르비아로 향했다.콜라신 근처에서 몬테네그랭 체트니크의 대다수를 포로로 잡은 뒤 독일군은 슈바르츠 작전을 계속했다.

1단계: 초기 전투 (5월 15~20일)

어느 정도의 병력 집중을 거쳐 1943년 5월 15일 공세가 시작되었다.축군 부대는 출발 지위가 더 좋다는 이점을 살려 몬테네그로 북부 산악지대의 타라와 피바 강 사이에 위치한 더미토르 산지에서의 빨치산들을 포위하고 고립시켜 한달 동안 치열한 폐토전투에 나설 것을 강요했다.

슈바르츠 작전 개시 후 첫 충돌은 북쪽, 차즈니치-포차간, 369군단 일부, 동쪽, 브로다레보-모이코바크 인근, 1산단과의 충돌로 벌어졌다.

2단계: 보스니아 동부를 향한 돌파구 시도 (21-27년 5월)

동쪽에서부터 대규모 독일군의 진전에 직면한 최고사령부는 포차(Focha)를 붙잡아 링의 폐쇄를 막고 보스니아 동부와 교신을 제공하기로 했다.이번 공격은 지난 5월 21일부터 25일까지 독일 118예거사단의 다수파와 크로아티아 독립국 홈 가드 야거 여단 4대를 상대로 강화 1 프롤레타리아 사단에 의해 실시됐다.특정한 전술적 성공(5월 21일 7 산악연대와 5월 24일 13 산악연대의 해체)에도 불구하고, 5월 25일 그라닥 인근 369사단 일부의 측면 공격 후, 이 공격은 절망적인 것으로 판명되었다.거기서부터 5월 27일 최고사령부는 모든 병력을 타라의 왼쪽 둑으로 이양할 것을 명령했다.

제118 야거사단은 서쪽에서 피바를 돌파하여 저지하는 임무를 가지고 있었다.5월 22일, 그녀의 738 연대는 파르티당 부대와의 접촉 없이 피바 서쪽의 고원 부체보에서 발발했다.그러나 이 넓고 통행할 수 없는 지역에서 통신과 물자를 정리할 수 없어 연대장인 아나커 중령은 남쪽에 1개 대대를 파견하여 7 SS 사단과의 연계를, 서쪽에 1개 대대를 파견하여 사단 본부와 연계를 맺었다.나머지 2대대는 5월 29일 전투에서 제2프롤레타리아 여단 2개 대대에 의해 지배적인 위치에서 격퇴되었다.북쪽으로부터 사단 일부의 개입, 드리나 건너편에서 타라를 가로지르는 프롤레타리아 1사단의 세력에 의해 진압되었다.이리하여 당파 세력은 부체보를 확고히 점령하고 독일군이 피바 위에서 링을 닫는 것을 막았다.그 다음으로 118사단이 할 수 있는 자연적인 장애물은 수트제스카 강의 계곡이었다.

5월 18일, 제7 SS 사단과 이탈리아 사단의 페라라가 남쪽으로부터 샤브니크, 쟈블작, 밀라틴제 쪽으로 나타나기 시작했다.7 SS 사단과 이탈리아군의 우익의 외모를 탄압한 제1달마티안과 제5몬테네그린의 성공적인 방어가 제7 SS 사단의 좌익 공격 조직을 가능케 했다.

3단계: 영국 임무의 도착(5월 27일 – 6월 3일)

1943년 5월 20일 영국군 임무가 도착했음을 알린 최고사령부는 주르셰비차 타라를 떠나 더미토르 기슭의 블랙레이크 인근 숲에 정착했다.

5월 27일 밤, 영국 연락부가 도착했다.이 임무의 선두에는 윌리엄 F 대위가 있었다.전쟁 전 자그레브 주재 영국영사관에서 일했던 스튜어트는 세르보크로아티아어를, 윌리엄 디킨 옥스퍼드대 역사학 교수가 연설했다.이 미션에는 두 사람 외에도 4명의 멤버가 더 있었다.

바로 다음 날, 티토는 영국인을 받았다.그는 군사 지원을 요구하고 영국 공군이 독일 집중 센터를 폭격할 것을 요구했다.

5월 31일부터 6월 5일까지 제4차 몬테네그린, 7차 크라지나, 10차 헤르체고비니아 여단은 바이오치 산의 험준한 측면과 피바의 상류 코스에서 독일군과 격렬하고 소모적인 전투를 벌였다.독일군이 사용할 수 있는 비축량을 감안할 때, 달성한 성공은 불충분했다.

4단계: 포위된 최고사령부(6월 4일~6월 9일)

전투 중 산악 1사단의 사령관 월터 스테트너

포차(Focha)를 통해 전선을 돌파하려는 시도가 실패로 돌아가자 최고사령부는 독일군이 훨씬 더 강력한 고리를 만들던 초심으로 돌아가야 했다.수트제스카 협곡은 매일 매일 비행기로부터 매우 낮은 비행으로 폭격당했다.6월 3일 티토는 최고본부와 함께 밀라틴제 근처의 피바 강을 건넜다.그리하여 6월 초순에 수트제스카 계곡의 중앙병원과 함께 최고본부 전체가 포위되어 있는 것을 알게 되었다.

같은 날 최고참모회의에서는 병원과의 파르티파 단체들의 입장이 논의돼 사태가 위중하다는 결론이 내려졌다.최고사령부는 수트제스카 계곡을 통해서만 주요 작전단이 서쪽을 향해 돌파할 수 있는 것은 그곳에는 독일군의 힘이 약했기 때문이라고 보았다.그러나 독일인들은 이러한 발전을 예견하여 수트제스카 계곡 전체를 요새화하려고 서둘렀다.수트제스카와 가타치코 폴제의 원천 부분을 통해 이러한 방향이 깊이 있게 점령되고 있음을 확인한 최고본부는 파르티파 세력을 두 부분으로 나누기로 결정했다.제1조는 이미 피바를 강요한 1·2사단과 최고본부로, 제3사단과 7사단으로 구성되었으며(약간 변경된 구성으로), 중앙병원과 피바 동쪽에 위치한 AVNOJ의 참의원 일부가 소속되어 있었다.두 번째 그룹은 최고 사령부의 대표로서 밀로반 제일라스가 이끌었고, 3사단 사령관으로 임명된 사바 코바체비치(Sava Kovachevich)가 이끌었다.두 집단은 독일군을 확장하기 위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돌파할 예정이었다.첫 번째 그룹은 서북쪽으로 수트제스카를 돌파하는 것이었고, 두 번째 그룹은 타라의 오른쪽 둑, 산닥 쪽으로 돌아가는 과제가 주어졌다.

1943년 6월 9일 달마티아 제2여단 장병들이 밀링클레이드에서 휴식을 취하고 있다.작가: 조지 스크리긴

제1 프롤레타리아 사단은 피바와 부체보를 거쳐 수테스카 골짜기를 공격하기 위해 파견되었다.지배적인 요지로서, 수트제스카를 넘어 젤렝고라 방향으로 나아가 보스니아로 가는 자유통로를 만들기 위해서는 부체보 언덕을 택할 필요가 있었다.독일군 사령부도 그런 가능성을 예감했기 때문에 부체보를 탈환하기 위해 전진군을 보냈다.수전투에서 제1 프롤레타리아 사단의 세력이 독일군을 가까스로 이기고 이 우세한 지점을 장악했다.그 후 독일인들은 첸티슈테로부터 첸티비치 근처의 드리나와의 합류에 이르기까지 수테스카 계곡 전체를 점령하기 시작했다.대다수의 병력과 중앙병원을 포위한 7 SS사단 유진왕자가 그 방향으로 침투했다.

수트제스카와 수하의 협곡 주변에서는 주변의 높은 곳을 놓고 치열한 전투가 시작되었는데, 둘의 손에 번갈아 넘어갔다.대다수의 병력이 통과하기 위해 5~6km의 면적이 만들어졌다.부상자들도 그곳에 가기로 되어 있었다.

제1 프롤레타리아 사단은 밀링클레이드를 거쳐 1943년 6월 8일 젤렝고라에서 발발했다.제2 프롤레타리아 사단은 운이 덜 좋았다.볼루작에서 멀지 않은 베어(Bare)의 자리에서는 독일 118사단 부대들과 피비린내 나는 전투 장면이 연출됐다.

수트제스카 전투 중 최고 사령관 조셉 브로즈 티토이반 리바르: 사보오로비치

6월 9일, 티토는 선두 그룹 근처에 폭탄이 떨어져 그의 팔에 부상을 입었을 때 밀링클레이드에서 거의 죽을 뻔했다.이 행사의 인기 있는 전후 보도는 티토의 독일산 셰퍼드 개 루크가 티토의 목숨을 바쳐 티토의 목숨을 구했다고 인정했다.[19]윌리엄 F. 선장스튜어트(지난[20] 5월 윌리엄 디킨 선장과 함께 티토의 본부로 낙하산으로 실려간 특수작전 집행관)도 폭발로 사망했다.[21]

5단계: 보스니아 동부를 향한 당파적 돌파구(6월 10일~6월 15일)

6월 상황과 당파적 돌파 방향
수테스카 전투 중 프로레타리아 1사단 코차 포포비치·다니일로 레키치 지휘관

거의 독점적인 독일군과 대치한 유고슬라비아민족해방군(YNLA)은 마침내 서북방향의 독일 118·104 야거369(크로아티아) 보병사단의 노선을 통해 수테스카 강을 건너 보스니아를 향해 돌파하는 데 성공했다.3개 여단과 2000여 명의 부상자를 낸 중앙병원이 포위됐다.히틀러의 지시에 따라 알렉산더 뢰어 장군의 독일군 사령관은 부상자와 비무장 의료진을 포함한 그들의 전멸을 명령했다.

전쟁범죄

수트제스카에서 6,000명 이상의 파르티니 전투기가 살해된 가운데, 많은 수가 독일군에 의해 처형된 전사와 부상자였다.1 산악 사단 보고서는 "포획: 498명, 그 중 411명이 총에 맞았다"고 밝히고 있다.움직이지 않는 부상자(약 700명)의 대부분은 빨치산들에 의해 숨겨져 있었고, 간호사도 있었다.그러나 독일군은 수색견과 함께 지형을 수색하던 중 간호사와 함께 거의 최후까지 이들을 사살했다.또 민간인들도 대거 희생됐다.

SS 마운틴 사단은 또한 빨치산들을 도운 것으로 의심되는 민간인들을 살해한 것으로 악명이 높았다.

전후 재판에서는 장군 알렉산더 뢰르, 프리츠 네이드홀트, 요제프 뮐러 등이, 당시 전투 중 스탠다텐프 총통 아우구스트 슈미두베르가 전쟁범죄 혐의로 기소되었다.그들은 사형을 선고받고 1947년에 처형되었다.

여파

첸티슈테의 수테스카 기념 전투

총 7,543명의 당파적 사상자가 발생했는데, 이는 초기 병력의 3분의 1이 넘는 것이다.[9]독일의 야전 사령관 루돌프 뤼테르스 장군은 최종 보고서에서 소위 "공산주의 반군"을 "잘 조직적이고 능숙하게 지휘하며 믿을 수 없을 정도로 전투 사기가 높다"고 묘사했다.

성공적인 파르티니파 이탈은 지역 민중과의 생존 가능한 전투력으로서의 그들의 명성에 도움이 되었다.결과적으로 그들은 자신들의 손실을 새로운 신병으로 보충하고 재정비하고 보스니아 동부에서 일련의 반격을 가할 수 있었으며, 이후 20일 안에 블라세니차, 스레브레니차, 올로보, 클라단지, 즈보르니크의 축성(Axis garrisons of Blasenica, Srebrenica, Kladanj, Zvornik)을 정리할 수 있었다.

이 전투는 유고슬라비아에 대한 당파적 통제로의 전환점을 맞이했으며, 유고슬라비아 전후 신화의 필수적인 부분이 되어 빨치산들의 자기 희생과 극도의 고통, 도덕적 확고함을 자축했다.

전투순서

1943년 5월 유고슬라비아의 해방령

연합군 전투훈장

Democratic Federal Yugoslavia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파르티잔스 주요 운영 그룹)

축 전투 순서

독일.

이탈리아

크로아티아

  • 4 홈 가드 야거 여단

불가리아

  • 63 보병 연대
  • 61 보병 연대도 그 지역에 있다.
    (369(크로아티아) 보병사단의 지휘를 받는 두 부대 모두)

필름에

수트제스카 전투는 1973년 리차드 버튼이 당파 세력의 리더인 조셉 브로츠 티토 역을 맡아 영화로 만들어졌다.

인송

수트제스카 전투에 관한 몇 곡의 노래가 있다.더 인기 있는 것 중 하나는 송골매라는 뜻의 "시비 소콜레"이다.사바 코바체비치 사령관의 죽음을 언급하고 있다.

세르보크로아티아누스 영어

시비 소콜레, 프리자텔주 스타리,
Daj mi krila, Sokole da preletim Planine.

비소카 제플란리나 네보 이스나드 엔제
나부 시비 소코, 그레다 나 메네.

두보카제 수트제스카, 칸존 이즈나드 엔제
Na Kanjonu Tito Stoji, gleda ranjene

나칸조누 티토 스토지 이 뽀루추제
수테스카세모라프로치,다스파시모란제네
시비 소콜레...

수트제스카제비제나, 란제니 수 스파셰니
나시 스타리 영웅 사바 오스타 미스터타브 다 레지
시비 소콜레...

라딜리모, 라디모, 라디트 치에모 조쉬
드루제 티토, 쿠네모 세, 포비즈편집 치에모

송골매, 내 오랜 친구,
날개, 매, 내가 산 위를 날아갈 수 있게 날아라.

산은 높고 하늘은 높고
그리고 하늘에서는 송골매, 나를 내려다보고 있다.

수트제스카는 깊다, 그 위에 협곡이 있다.
협곡 위에는 티토가 서 있고, 부상자들을 지켜보고 있다.

협곡 위에는 티토와 명령이 서 있고
수트제스카를 건너야 부상자를 구할 수 있고
송골매...

수트제스카는 뚫리고 부상자는 구한다
하지만 우리의 옛 영웅 사바는 죽은 채로 누워있었다.
송골매...

우리는 열심히 일했고, 열심히 일했고, 여전히 열심히 할 것이다.
티토 동지, 우리는 반드시 승리할 것이다.

메모리얼 콤플렉스

조각가 미오그라그 지브코비치(Miodrag Iivkovich)는 1970년대 수트제스카 전투에 바쳐 추모 단지를 설계했다.[22]콤플렉스에는 크로아티아 화가 크르스토 헤게두시치의 프레스코화가 담겨 있다.[23]

참고 항목

인용구

  1. ^ J. B. 티토, 유고슬라비아 도로, 99년
  2. ^ 슬로보단 네쇼비치, 유고슬라비아-불가리아 관계, 1941-1945, 95
  3. ^ 토마세비치 1975, 페이지 199.
  4. ^ a b 쿠찬 1996년
  5. ^ a b c 1943년 6월 20일(크로아티아어), 유고슬라비아 민족해방전쟁에 관한 문서와 정보수집, 제13권(독일 문서), 제3권 94쪽
  6. ^ a b 크로아티아 독일군 사령관 보고서(Befehlshaber der Deutschen Truppen in Kroatien), 6월 20일 워싱턴 국립문서보관소 T314, 560, 프레임 750-751
  7. ^ a b Cloutier, Patrick (2013). Regio Esercito: The Italian Royal Army in Mussolini's Wars, 1935-1943. lulu.com. p. 182. ISBN 978-1105074011.
  8. ^ a b 안테 쿠발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A to Z, 237
  9. ^ a b c 2006년 호레 341페이지.
  10. ^ Andric, Milan (1964). Hronologija oslobodilačke borbe naroda jugoslavije. Beograd: Vojnoistorijski institut. p. 471.
  11. ^ 국립문서보관소 워싱턴 T315, 롤 1294, 프레임 537-545
  12. ^ 토마세비치 1975, 페이지 255.
  13. ^ a b 밀로바노비치 1983, 페이지 295–296.
  14. ^ 터지치 1958 페이지 8.
  15. ^ 쿠찬 1996, 페이지 7-8.
  16. ^ 마르코 아틸라 호아레; (2002) 당파 운동은 누구인가? 세르비아, 크로아티아 공유 저항의 유산 페이지 7 [1]
  17. ^ 빅토르 쿠잔; (1996) 보르시 수트제스 페이지 33-35 ISBN 8617049847
  18. ^ 쿠찬 1996, 페이지 8.
  19. ^ Doder, Duško (1979). The Yugoslavs. Vintage Books. p. 130. ISBN 978-0-394-74158-1.
  20. ^ Gilbert, Martin (1971). Winston S. Churchill: Challenge of War 1914-1916. Houghton Mifflin. p. 319. ISBN 978-0-395-13153-4.
  21. ^ Ritchie, Sebastian (2004). Our Man In Yugoslavia: The Story of A Secret Service Operative. Routledge. p. 46. ISBN 978-0-7146-5559-8.
  22. ^ "Miodrag Živković".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6-10-29. Retrieved 2011-10-06.
  23. ^ 레나타 잠브레시치 키린.크로아티아 사회주의 문화의 기억의 정치: 일부 의견

참조

책들

저널스

외부 링크

좌표:43°20′46″N 18°41′16″E/43.34611°N 18.68778°E/ 43.34611; 18.687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