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is a good article. Click here for more information.

파크락 충돌

Pakrac clash
파크락 충돌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의 일부
Pakrac is located in Croatia
Pakrac
파크락

크로아티아의 파크락 위치
날짜1991년 3월 1-2일
위치
결과

크로아티아의 승리

호전성
SR 크로아티아 세르비아 크라지나 공화국 세르비아 반란군
Yugoslavia유고슬라비아
지휘관과 지도자
크로아티아 사회주의 공화국 마르코 루키치
Socialist Republic of Croatia믈라덴 마르카치
크로아티아 사회주의 공화국 스테판 쿱작
세르비아 크라지나 공화국 조보 베즈마르
Yugoslavia밀라노 켈레케티치
관련 단위
루치코 대테러 부대
오메가 특별 경찰 회사
265 기계화 여단의 기갑 대대,
파카크 경찰
200명의 경찰특공대알 수 없는
사상자 및 손실
없음180명의 반란군 생포

크로아티아에서는 파크락 전투로 알려진 파크락 충돌(크로아티아어:비트카 파크락)은 1991년 3월 크로아티아 도시 파크락에서 벌어진 핏기 없는 교전이었다.이번 충돌은 유고슬라비아 해체 과정에서 크로아티아의 민족 갈등이 고조된 결과였다.이것은 크로아티아 독립전쟁이 된 최초의 심각한 폭력사태 중 하나이다.[1][2]

이 충돌은 반군 세르비아인들이 이 마을의 경찰서와 시립 건물을 점거하고 크로아티아 정부 관계자들을 괴롭힌 후 시작되었다.크로아티아 정부는 반군에 대항해 반격을 감행하여 내무부 특별경찰을 파견하여 통제를 재정립했다.쌍방간에 싸움이 벌어졌다.유고슬라비아 국민군(Jugoslovenska Narodna Armja – JNA)의 개입 시도에도 불구하고 크로아티아 정부는 이 도시에 대한 통제를 재확인했다.JNA와 대치한 후, 특별 경찰과 JNA를 철수하는 합의가 이루어졌고, 세르비아 경찰이 그곳의 경찰들을 장악하기 전에 이 마을을 상태로 복원시켰다.

배경

1990년 크로아티아 민주연합(크로아티아어:Hrvatska demokratska zajednica, HDZ) 크로아츠세르비아 사이의 민족적 긴장이 악화되었다.유고슬라비아 인민군(Jugoslovenska Narodna Armja – JNA)은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크로아티아의 영토 방어(Teritoryjalna obrana - TO) 무기를 압수했다.[3]8월 17일, 그 긴장은 크로아티아 세르비아인들공개적인 반란으로 확대되었는데,[4] 크닌 주변의 세르비아인들이 주로 거주하는 달마티아 후미트랜드,[5] 리카, 코르둔, 바노비나, 크로아티아 동부의 일부 지역에 집중되었다.[6]크로아티아 세르비아계 세르비아인들은 1990년 7월 세르비아 국가평의회를 설립해 프란조 투크로아티아 대통령독립 추구 정책에 대한 반대 의견을 조율했다.남부 도시 크닌 출신의 치과의사인 밀라노 바비치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고 크닌의 경찰서장 밀라노 마르티치는 준군사 민병대를 설립했다.두 사람은 결국 세르비아계 거주지역인 크로아티아를 통합한 자칭 국가인 세르비아 크라지나(RSK) 공화국의 정치군사 지도자가 됐다.[7]

1991년 초 크로아티아는 정규군이 없었다.크로아티아는 방어를 강화하기 위해 경찰 인력을 2만 명으로 두 배로 늘렸다.병력 중 가장 효과적인 부분은 군사기구를 도입하는 12개 대대에 배치된 3,000명의 특수경찰이었다.16개 대대, 10개 중대 등으로 편성됐지만 무기가 부족한 지역조직 예비경찰도 9000 대 1만 대에 달했다.[8]크로아티아 1991년 인구조사에 따르면, 세르비아인이 파카크 자치구에서 가장 많은 민족(46.4%)을 차지했고, 크로아티아인(35.8%)이 그 뒤를 이었다.[9]세르비아 민주당 정치인 벨지코 다쿨라는 서부 슬라보니아에서 크로아티아 세르비아인의 정치 지도자가 되었다.[10]그는 세르비아인들이 크로아티아에서 탈퇴해야 한다는 견해를 가지고 있었다.[11]

2월 22일, 드라쿨라가 장악한 시의회는 세르비아 자치주 크라지나(RSK로 개칭)에 가입하고 파카 경찰서(Pakrac)를 크라이나(Krazina) 내무부로 예속하는 것을 의결했다.[12]이 투표는 2월 28일 크로아티아 헌법재판소에 의해 무효화되었다.[13]

타임라인

1991년 3월 2일, 파크라 경찰서의 크로아티아 특별 경찰

1991년 2월 바비치와 마르티치는 세르비아 파라미타들에게 마을의 경찰서와 시립 건물을 인수하라고 지시했다.[14]3월 1일,[15] 반군들은 그 마을의 16명의 크로아티아 경찰들을 무장 해제하고 지역 크로아티아 관리들에게 비방과 협박의 캠페인을 벌였다.[1][14]파크라크의 경찰은 바비치와 마르티치의 편을 든 조보 베즈마르의 지휘를 받았다.[16]

이에 투지만 대통령은 크로아티아 내무부에 이 도시에 대한 정부의 권한을 회복하라고 지시했다.1991년 3월 2일 04시 30분, 크로아티아 경찰 200명 중 1부대가 파크라에 진입했다.[14]비엘로바르에서 파견된 '[17]오메가' 특수경찰대의 한 회사바들제비나 마을을 통해 접근했는데, 그곳에서는 다수의 크로아티아 민간인들이 파카르를 향해 병력을 따라갔다.파크라크 외곽의 바리케이드는 아무런 저항도 받지 않고 치워졌고 크로아티아 경찰은 이 마을의 경찰서를 무단으로 확보했다.몇 시간 뒤 베즈마르가 지휘한 힘에 의해 인근 야산에서 경찰서에 총성이 발사됐다.곧이어 자그레브에서 크로아티아 제2특공대인 루치코 대테러 부대가 도착했다.베즈마르는 프순지 산의 슈에비카와 부치제 마을을 향해 동쪽으로 후퇴했다.[18]마르코 루키치믈라덴 마르카치가 지휘하는 특수경찰은 어느 쪽도 사망이나 부상을 입히지 않은 채 32명의 소수민족-세르브 반군 등 180명을 체포했다.[14][19][20]베즈마르는 파크락 경찰서장으로 스테판 킵작에 의해 교체되었다.[16]

크로아티아 정부의 조치는 연방 유고슬라비아 정부의 개입을 촉발했다.보리스야프 조비치 유고슬라비아 집단대통령 세르비아 대표는 벨지코 카디예비치 유고슬라비아 국방장관이 JNA를 현장에 파견해 달라는 요청을 지지했다.[14]처음 열 대의 JNA 탱크는 3월 1일 저녁 늦게 파카크에 도착하여 시내 각지에 자리를 잡았는데, 대부분이 마을 병원 근처에 배치되어 있었다.[18]다음 날 오후, 밀라노 첼레케티치 대령이 이끄는 JNA 부대가 추가로 파카크에 도착하여 크로아티아 특수경찰과 가까운 위치를 맡았다.[21]체레케티치는 제32군단(바라딘) 지휘관인 제브렘 코키치 소장의 명령에 따라 행동하고 있었다.[22]코키치는 비엘로바르에 본부를 둔 265 기계화여단 기갑대대의 3개 중대 배치를 승인했다.[23][24]

Pakrac에 JNA 탱크의 도착은 크로아티아 특수 경찰의 마을 재탈환을 막기에는 너무 늦었다.그러나, 그것은 나머지 세르비아 반군들이 주변 언덕에서 마을을 향해 총을 쏘기 시작하도록 자극했다.[14]순찰 중이던 경찰차를 향해 총성이 발사되었다.경찰은 JNA 위치로 후퇴하는 남성들을 향해 총을 쏘았고, JNA는 그 대가로 경찰 차량을 향해 총을 쏘았다.[25]이번 총격은 크로아티아 연방 대통령직을 맡고 있는 스테판 메시치알렉산다르 바실제비치 JNA 대령의 대화가 크로아티아 경찰이 이 도시를 통제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는 합의를 이끌어내면서 끝이 났다.[14]JNA는 경찰특공대로부터 파카크에 대한 통제권을 강제로 빼앗을 계획이었다.이번 공격은 3월 3일 저녁까지 크로아티아 당국이 특별경찰을 철수시키기로 합의하면서 취소됐다.[26]JNA는 유고슬라비아 대통령직의 결정에 따라 파크락에서 철수했고,[27] 3월 12일 북부의 이 도시에 대한 접근을 포기했으며, 7일 후 완전히 철수했다.[28]

여파

특수경찰과 JNA를 철수하기로 한 합의는 대체로 안테 벨럼 현상을 회복시켰다.[28]체포된 경찰관 32명 중 17명은 3월 5일까지 복역했으며, 결국 베즈마르를 포함한 5명에 대한 고소가 제기되었다.[19]이 사건은 크로아티아 독립전쟁이 될 크로아티아와 세르비아와 JNA가 지원하는 세르비아의 반군 세르비아인 사이의 전면전인 크로아티아 독립전쟁이 될 첫 번째 심각한 교전이었기 때문에 지속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었다.[14]세르비아 정부는 크로아티아가 세르비아 인구를 상대로 집단 학살을 저지르고 있다는 민족주의 선전 주장을 강화하기 위해 파카크 충돌을 이용했다.세르비아와 몬테네그린 언론은 이번 충돌로 최대 40명이 사망했다고 보도했다.베오그라드 일간지 베체른제 노보스티는 보도 내용이 혼란스럽고 매우 부정확한 것을 암시하여 1면에 마을의 정교회 신부가 살해당했다고 보도했으며, 2면에 부상을 입었다고 보도했으며, 3면에 그의 성명을 실었다.유고슬라비아 대통령직은 마침내 파크락에서 아무도 죽지 않았다는 성명을 발표했다.[29]

세르비아에서 슬로보단 밀로셰비치가 이끄는 집권당인 세르비아 사회당(SPS)은 크로아티아 경찰의 이번 조치를 "파라크의 인구와 폭력적이고 파시스트적인 방법에 대한 크로아티아 정부의 교묘한 공격"이라고 비난했다.SPS는 세르비아인들에게 "크로아티아 HDZ 정부의 폭력 행위에 반대하는 시위 모임"[30]에 참석할 것을 촉구했다.밀로셰비치는 Pakrac 충돌을 이용하여 JNA가 크로아티아를 강제로 무장 해제할 수 있도록 승인할 것을 요구했다.[31]특히 JNA에 대한 전시권한 부여와 국가비상사태 도입을 요구하는 이 요청은 5월 11~15일 대통령 주재 회의에서 카디제비치를 통해 이루어졌다.[32]이 요청은 거절되었고, 밀로셰비치는 더 이상 연방 대통령직의 권한을 인정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31]

경찰의 개입으로 오쿠차니에 있는 세르비아 정치 지도자들은 쿠티나와 노브스카에서 경찰 병력이 이동하고 있다는 것을 증명하면서, 또 다른 개입을 막기 위해 지역 주민들에게 바리케이드를 세우라고 촉구했다.바리케이드는 무장한 민간인들이 지키고 있었다.[25]파라크에서는 약 500명의 세르비아 시위대가 크로아티아 국기 철거를 요구하며 시의회 건물 앞에 모였다.[33]

각주

  1. ^ a b 뉴욕 타임즈 & 1991년 3월 3일
  2. ^ 뉴욕 타임즈 & 1991년 3월 4일
  3. ^ 호아레 2010, 페이지 117
  4. ^ 호아레 2010, 페이지 118
  5. ^ 뉴욕 타임즈 & 1990년 8월 19일
  6. ^ ICTY & 2007년 6월 12일
  7. ^ 2009년 폐지, 페이지 141-142
  8. ^ CIA 2002 페이지 86
  9. ^ 미슈쿨린 2011, 페이지 356–357
  10. ^ 미슈쿨린 2011, 페이지 362
  11. ^ 미슈쿨린 2011, 페이지 365
  12. ^ 미슈쿨린 2011, 페이지 377
  13. ^ 미슈쿨린 2011, 페이지 378
  14. ^ a b c d e f g h 라멧 2006, 페이지 384–385
  15. ^ 2009년, 페이지 141
  16. ^ a b 글라스 슬라보니제 & 2013년 2월 20일
  17. ^ 카라울라 2007, 페이지 14
  18. ^ a b 미슈쿨린 2011, 페이지 379
  19. ^ a b 미슈쿨린 2011, 페이지 384
  20. ^ 드고리치야 2008, 페이지 155
  21. ^ 미슈쿨린 2011, 페이지 379–380
  22. ^ 미슈쿨린 2011, 페이지 382
  23. ^ 미슈쿨린 2011, 페이지 381
  24. ^ 카라울라 2007, 페이지 13
  25. ^ a b 미슈쿨린 2011, 페이지 380
  26. ^ 미슈쿨린 2011, 페이지 382–383
  27. ^ 아렌스 2007, 페이지 113
  28. ^ a b 미슈쿨린 2011, 페이지 383
  29. ^ 쿠르스파히치 2003, 페이지 72
  30. ^ 고디 2010, 페이지 38, 노트 37
  31. ^ a b 카우프만 2001, 페이지 189–190
  32. ^ 메시치 2004, 페이지 51-55
  33. ^ 미슈쿨린 2011, 페이지 380–381

참조

책들
과학저널 기사
뉴스 리포트
기타 출처

좌표:45°26′17″N 17°11′24″e/45.438°N 17.19°E/ 45.438; 17.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