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학 단층 촬영

Optical tomography
광학 단층 촬영
Diffuse Optical Tomography - fiber-optic array - journal.pone.0045714.g001.png
디퓨즈 광학 단층촬영을 통한 유방암 검출을 위한 광섬유 배열.
메슈D041622

광학단층촬영은 물체를 통해 전달되고 산란된 빛으로 만들어진 영상을 재구성해 물체의 디지털 형체 모델을 만드는 컴퓨터단층촬영(computer tomography)의 한 형태다.[1] 광학 단층 촬영은 대부분 의료 영상 연구에 사용된다. 산업 내 광학 단층 촬영은 반도체 두께와 내부 구조의 센서로 활용된다.[2]

원리

광학 단층 촬영은 연구 대상 물체가 최소한 부분적으로 빛을 발하거나 반투명하는 것에 의존하기 때문에 유방이나 조직과 같은 연조직에 가장 잘 작용한다.

관련된 높은 산란 기반 감쇠는 일반적으로 강도, 펄스 또는 강도 변조, 광원 및 매우 민감한 광센서를 사용하고 신체 조직이 가장 투과성이 높은 주파수에서 적외선을 사용하여 처리된다. 연조직은 산란성은 높지만 스펙트럼의 근적외선 및 적색 부분에서는 약하게 흡수되기 때문에 이것이 주로 사용되는 파장 범위다.

종류들

확산 광학 단층 촬영

근적외선 확산 광학 단층촬영(DOT)에서는 전송된 확산 광자를 모아 확산방정식을 사용해 그로부터 영상을 재구성한다.[3]

비행시간 분산 광학단층촬영

광학 단층 촬영의 한 변형은 전송된 빛과 산란된 빛을 구별하기 위한 시도로 광학 비행 시간 샘플링을 사용한다.[4] 이 개념은 유방암 영상촬영과 뇌측정을 위한 여러 학술 및 상업 시스템에 사용되어 왔다. 흡수와 산란을 분리하는 열쇠는 시간 분해 또는 주파수 영역 데이터의 사용이며, 이 데이터는 빛이 조직을 통해 어떻게 전파되는지에 대한 확산 이론에 기초한 추정치와 일치한다. 적절한 정확도로 산포로부터 흡수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비행 시간 또는 주파수 영역 위상 편이 측정되어야 한다.[citation needed]

형광 분자 단층 촬영

형광 분자 단층촬영에서 조직을 통해 전달되는 형광 신호는 조직을 통해 전달되는 흥분 신호에 의해 정상화되며, 따라서 형광 단층촬영 시스템의 상당수는 이 영역에서 여전히 연구가 진행 중이지만 시간 분해 또는 주파수 영역 데이터의 사용을 요구하지 않는다. 인간의 형광 분자의 적용은 상당히 제한적이기 때문에 형광 단층 촬영에서의 대부분의 작업은 임상 전 암 연구의 영역에 있었다. 상업적 시스템과 학술적 연구 모두 종양 단백질 발현과 생성을 추적하고 치료제에 대한 반응을 추적하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citation needed]

콘포칼라 확산 단층 촬영

콘포칼로크 확산 단층촬영은 강력한 레이저를 사용하여 산란 매체를 통해 샘플을 비추고, 이어 보정된 확산 연산자와의 디콘볼루션에 의해 확산 산란 효과가 없는 볼륨을 추정하며, 이후 콘포칼로크 필터를 적용하여 샘플 이미지를 복구한다.[5][6]

참고 항목

참조

  1. ^ 광학+미국 국립 의학 라이브러리 단층 촬영(MesH)
  2. ^ ^ Wojtek J. Waleki 및 Fanny Szondy, "태양전지 제조를 위한 통합 양자 효율, 반사율, 지형 응력 계측", Sunlight 광학 LLC, Proc. SPIE 7064, 70640A(2008); doi:10.11117/12.797541
  3. ^ Hoshi, Yoko; Yamada, Yukio (2016-07-13). "Overview of diffuse optical tomography and its clinical applications". Journal of Biomedical Optics. 21 (9): 091312. doi:10.1117/1.JBO.21.9.091312. ISSN 1083-3668.
  4. ^ Lyons, Ashley; Tonolini, Francesco; Boccolini, Alessandro; Repetti, Audrey; Henderson, Robert; Wiaux, Yves; Faccio, Daniele (August 2019). "Computational time-of-flight diffuse optical tomography". Nature Photonics. 13 (8): 575–579. doi:10.1038/s41566-019-0439-x. ISSN 1749-4885.
  5. ^ Lindell, David B.; Wetzstein, Gordon (December 2020). "Three-dimensional imaging through scattering media based on confocal diffuse tomography". Nature Communications. 11 (1): 4517. doi:10.1038/s41467-020-18346-3. ISSN 2041-1723. PMC 7481188. PMID 32908155.
  6. ^ "Confocal Diffuse Tomography Nature Communications 2020 - YouTube". www.youtube.com. Retrieved 2021-02-10.

추가 읽기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