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다와
Odawa![]() 오다와 그룹 지역 | |
총인구 | |
---|---|
15,000 | |
인구가 많은 지역 | |
미국(오클라호마, 미시간) 캐나다(온타리오) | |
언어들 | |
영어, 프랑스어, 오지베(오타와 방언) | |
종교 | |
미데윈, 애니즘, 전통 종교, 기독교, 기타 | |
관련 민족 | |
오지베족, 포타와토미족 및 기타 알곤킨족 |
오타와족[1](Ottawa 또는 Odawaa /oʊdɑwə/)은[by whom?] 주로 미국 북동부 및 캐나다 남동부의 동부 우림랜드 지역에 거주하는 원주민 민족 집단이다.그들은 오랫동안 두 나라 사이의 현재의 국경을 넘는 영토를 가지고 있었고, 연방정부에서 미국 원주민 부족들로 인정받고 있고, 캐나다에는 수많은 First Nations 밴드를 가지고 있다.이들은 아니시나베그족 중 하나로 [2]오지베족이나 포타와토미족과 관련이 있지만 구별된다.
고대 동해안에서 이주한 후, 그들은 휴런 호수 북쪽 해안 근처의 매니툴린 섬과 현재의 캐나다 온타리오 주에 있는 브루스 반도에 정착했다.그들은 이곳을 원래 고향으로 여겼다.17세기 이후, 그들은 또한 오타와 강, 현재의 미시건 주와 위스콘신 주, 그리고 오대호 남쪽의 중서부 지역을 거쳐 [3]미국까지 정착했다.21세기에 온타리오주, 미시간주, 오클라호마주(옛 인도령)에는 약 15,000명의 오다가 살고 있다.
오타와 방언은 알곤킨어족에 속한다.이 대가족은 미국에서는 보통 "트리브" 그리고 캐나다에서는 "퍼스트 네이션"이라고 불리는 수많은 작은 부족 집단 또는 "밴드"를 가지고 있다.그들의 언어는 잦은 [4]실신을 특징으로 하는 오지브의 다른 방언으로 여겨진다.
부족명
오다와아(Daawa와 동기화되어 있다)는 아니시나베(Anishinaabe)에서 유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이 용어는 크리족, 알곤킨족, 니피싱족, 몬타냐족, 오타와족, 오지베족에 공통된다.또, 오다와씨의 포타와토미 스펠링이나 영어의 파생어 「오타와」도 일반적이다.아니시나베는 '장사하는 자'를 '와다웨위니'라고 부른다.미시간 주의 가톨릭 선교사인 프레데릭 바라가(Frederic Baraga)는 이것을 번역하여 그의 오트칩웨 언어 사전(A Dictipwe Language)에 "와타위니웍(Watawininininiwok)"이라고 기록했고, 오타와 강의 [5]많은 불룩과 관련된 "불룩한 사람들"을 의미한다고 언급했다.하지만, 이 기록된 의미는 오타와 강을 따라 살았던 역사적인 알곤킨 밴드인 마타와카리니왁과 더 적절하게 연관되어 있다.오다가와 부족은 오타와 인디언의 리틀 트래버스 베이 밴드뿐이고 나머지는 오타와로 여겨진다.
전통시대 초기, 유럽 초기 접촉시대에는 부족간 무역상이나 [6]물물교환상 등으로 주목받았기 때문에 이웃들이 오타와에 '트레이더'라는 이름을 붙였다.오다와는 옥수수 가루, 해바라기 기름, 모피와 가죽, 융단과 매트, 담배, 그리고 약용 뿌리와 [7][8]약초를 취급했다고 묘사되었다.
영어 표기의 오타와 지명은 오타와, 온타리오, 오타와 강의 지명에서 유래했습니다.초기 유럽과의 접촉 당시 오다가와 본토는 교역지역이 아니라 도시와 강의 서쪽에 그들의 이름을 딴 것이었다.오하이오주 오타와(Ottawa)는 푸트남 카운티(Putnam County)의 군청 소재지로 오하이오주의 마지막 오타와 보호구역이 있던 곳에서 개발되었습니다.
언어
오다가와어는 오지베어족의 여러 가지 다른 방언 중 하나로 간주되며, 잦은 실신 현상으로 알려져 있다.오다와어에서는 일반적인 언어군을 니시나봄윈, 오다와어는 다와암윈이라고 합니다.오다가와족과 오다가와 혈통을 가진 1만 명으로 추정되는 사람들 중 21세기 초에는 온타리오와 미시간에서 500명으로 추정되는 사람들이 이 언어를 사용한다.오클라호마의 오타와 부족은 세 명의 유창한 [9]화자를 가지고 있다.
초기 역사
구술 이력 및 초기 기록 이력
아니시나베그 전통에 따르면, 그리고 Wiigwaasabak(자작나무 껍질 두루마리)의 기록에서, 오타와족은 북아메리카의 동쪽 지역, 즉 거북섬과 동부 해안의 Dawnland라고 불리는 지역(알곤킨어족들이 많이 있는 곳)에서 왔다.아니시나베 족은 미이지족(발광)의 지휘를 받아 세인트로렌스 강을 따라 내륙으로 이주했다.현재의 미시간주 디트로이트 부근의 「제3의 정지 장소」에서는, 아니시나베그의 남쪽 그룹이 오지베족, 오다와족, 포타와토미의 [10]3개의 그룹으로 나뉘었다.
중기 삼림시대에 브루스 반도에 있던 호프웰의 영향을 받은 소겐 콤플렉스족이 오타와족으로 진화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고고학적 증거가 있다.Hopewell의 전통은 약 200BCE에서 500 CE까지 광범위하게 확장된 무역 네트워크였습니다.이 사람들 중 일부는 매장하기 위해 흙을 쌓은 무덤을 만들었는데,[11] 이 관습은 약 250년 전에 끝났다.사우젠 고분군은 아직 발굴되지 않았다.
오지베족, 포타와토미족과 함께 오타와족은 이로쿼이족과 다코타족과 싸웠던 [12]삼불회의라는 오랜 부족 동맹의 일부였다.1615년 프랑스 탐험가 사무엘 드 샹플랭은 프랑스 강 하구 근처에서 300명의 사람들을 만났는데, 그는 "우리는 레쉐외 레울레(les chueux releuz)"라고 불렀다.이 중 그는 "그들의 팔은 활과 화살, 삶은 가죽으로 만든 버클러와 곤봉으로만 구성되어 있었다.그들은 반바지를 착용하지 않았고, 그들의 몸은 여러 가지 스타일과 디자인으로 문신을 했고, 그들의 얼굴은 페인트칠을 했고, 코는 [7]뚫었습니다."1616년, 샹플랭은 휴런 마을을 떠나 휴런 [10]연맹의 땅에서 서쪽으로 살고 있는 "쉐외 레유즈"를 방문했다.
1667년의 예수회 관계에서는 오다가와, 키스카콘 오다가와, 시나고 오다가와라는 세 부족이 같은 마을에 살고 있다고 보고한다.세 부족 모두 같은 언어를 [13]사용했어요.
모피 무역
오다가와 가문이 유지한 광범위한 무역망으로 인해, 많은 북미 내륙 국가들은 자국의 이름(내명)이 아니라 무역 상대국이 그들을 위해 사용한 이름으로 알려지게 되었다.예를 들어, 이러한 별명에는 Winnebago(Wiinibiigoo에서 온 Winnebago), Dakota에서 온 Sioux(Naadawensiw에서 온 Wioux)가 포함됩니다.뉴프랑스의 식민지가 시작된 이후, 오타와족은 모피 무역에서 프랑스와 캐나다인들에게 매우 중요해져 1670년 이전 퀘벡의 식민지 주민들은 보통 오대호 지역의 알곤킨어 화자를 오타와라고 불렀다.그들만의 언어로, 오지와는 "사람"을 뜻하는 아니시나베(네슈나베크)로 식별되었다.
가장 높이 평가된 털은 비버였다.거래되는 다른 모피에는 사슴, 담비, 너구리, 여우, 수달, 머스크랫 등이 있었다.그 대가로 오다와 씨에게는 '도끼, 칼, 주전자, 덫, 바늘, 낚싯바늘, 천과 담요, 보석과 장식품, 나중에는 총기와 술'[14]이 주어졌다.니콜라스 페로트 시대까지, 오다가와 가문은 그린 베이, 위스콘신, 솔트 스테를 통해 들어오는 모든 모피 무역을 독점하고 있었다. 미시건 주 마리.그들은 "카누를 사용하지 않는 그 지역의 부족들과 철과 강철의 조각과 낡아빠진 유럽 물품들을 엄청난 양의 모피와 맞바꾸어" "착취하기 위해 최선을 다했다"고 한다.예를 들어, "크리스 가족은 그들의 모든 비버 가운을 오래된 칼을 위해 오타와에게 주었고, 무딘 송곳, 형편없는 그물, 그리고 그들이 봉사할 때까지 사용했던 주전자를 주었다."[15]
전쟁과 난민
오다가와족은 다른 부족들과 분쟁과 전쟁을 벌였고, 특히 수익성이 높은 모피 무역을 두고 있었다.예를 들어, 그 부족은 마스쿠텐과 전쟁을 벌인 적이 있다.17세기 중반, 오타와 부족은 오대호 주변의 다른 알곤킨 부족들과 동맹을 맺어 비버 전쟁에서 강력한 모호크와 이로쿼이 동맹에 대항했다.유럽의 총기 및 기타 무기 도입으로 이 지역의 전통적인 힘의 균형이 파괴되어 경제적 위험과 보상이 변화했다.양측의 모든 원주민들은 붕괴되거나 소멸되었다; 이로쿼이안 에리와 같은 일부 집단은 부족으로서 말살되었다.17세기 중반까지, 부족들은 전쟁보다 질병에 더 심하게 영향을 받았다.유럽의 새로운 전염병에 대한 후천성 면역력이 부족하여, 그들은 높은 사망률과 함께 전염병을 앓았다.
1701년 프랑스 식민지 개척자들은 디트로이트 요새를 건설하고 교역소를 세웠다.많은 오다와가 브루스 [10]반도 근처의 전통적인 고향인 매니툴린 섬에서 그곳으로 이주했고, 윈도트(휴론)도 그 초소 근처로 이주했다.일부 오다와는 이미 하부 반도의 미시간 북부 지역에 정착했고, 더 많은 밴드가 디트로이트 주변과 남쪽에 마을을 세웠다.그들의 지역은 현재의 오하이오까지 뻗어 있었다.
전쟁과 식민지 침탈과 관련된 부족들의 움직임과 함께, 부족들은 대략 다음과 같은 패턴으로 정착했다: "프랑스의 북쪽과 서쪽과 남쪽과 동쪽, 그리고 영국인들 사이에 모래로 둘러싸인 마이애미족은 현재의 인디애나 주와 서쪽 오하이오 주에 정착했다; 오타와 가족은 8월 마우미 강을 따라 북서부 오하이오 주에 정착했다.에이즈와 블랜차드 강, 와이앤도트 강, 오하이오 남서부 쇼니 강, 오하이오 [16]남동부와 동부 델라웨어 강.
18세기 중반, 오다가와 가문은 북미 식민지에서 프렌치 인디언 전쟁이라고 알려진 7년 전쟁에서 그들의 프랑스 무역 상대국들과 동맹을 맺었다.그들은 영미 식민지 주민들을 습격했다.오다가와 족장[17] 폰티악은 역사적으로 마우미강과 오글라이즈강이 합류하는 곳에서 태어났다고 보고되어 왔다.이 강은 후에 오하이오주 디파이언스강이 발달했다.1763년, 영국이 프랑스를 물리친 후, 폰티악은 영국에 대한 반란을 이끌었지만, [18]그는 영국의 식민지 정착을 막을 수 없었다.
10년 후, 톨레도가 발달한 에리호 하구의 마우미강 하구에 마을을 가지고 있던 에구샤와 추장(아구샤와라고도 함)은 미국 독립전쟁에서 영국의 동맹자로서 오다와 강을 이끌었다.그는 오하이오 북서부와 미시간 [19]남부의 자기 영토에서 유럽계 미국인 식민지 개척자들을 배제하기 위해 그들의 지지를 얻기를 희망했다.미국에 의한 영국의 패배는 영국과 동맹을 맺고 있는 아메리카 원주민 부족들에게 광범위한 영향을 끼쳤으며, 많은 사람들이 그들의 땅을 미국에 넘겨주어야 했다.
독립 전쟁 이후인 1790년대에 에구샤와는 욘도트족과 3불 평의회, 쇼니족, 레나페족, 밍고족 등 다른 지역 부족들과 함께 북서 인디언 전쟁이라고 알려진 일련의 전투와 전쟁에서 미국과 싸웠다.인디언들은 애팔래치아 산맥 서쪽에 정착하기 위해 오는 유럽계 미국인 개척자들을 물리치기를 원했지만, 결국 패배했다.[19]1794년 동안의 캠페인으로, 앤서니 웨인은 폰티악이 태어난 곳으로부터 강을 가로질러 포트 디파이언스(Fort Defience)를 포함한 마우미 강 상류 유역에 일련의 요새를 건설했다.영국은 이러한 노력을 장려했지만, 미국과 다시 공공연한 분쟁에 휘말리는 것을 원치 않았고, 아메리카 원주민들에게 직접적인 지원을 제공하는 것을 철회했다.웨인의 군대는 오하이오 마우미의 미래 장소 근처와 현재의 톨레도 상류 약 11마일 부근의 폴른 팀버스 전투에서 수백 명의 인디언 연합군을 물리쳤다.
피카윌라니 급습격
1751-1752년 겨울, 찰스 랭글레이드는 피카윌라니를 여행한 오다와, 포타와토미, 오지베 전사들의 전단을 조직하기 시작했다.그들은 1752년 6월 21일 아침 한낮에 마을을 공격하여 13명의 마이애미 사람을 죽이고 5명의 영국 무역상을 붙잡았다.마이애미는 항복 조건을 협상하기 위해 노력했고 랭글레이드는 영국군을 넘기면 마이애미 병사들의 귀국을 허용하겠다고 약속했다.마이애미는 영국인 5명 중 3명만 보냈다.영국인들이 랭글레이드의 전선에 도착했을 때, 그의 부하들 중 한 명이 영국인 중 한 명을 칼로 찔러 죽였고, 그를 메우고 그의 심장을 찢어 마이애미 사람들 앞에서 먹었다.랭레이드의 부하들이 마이애미 추장 메메스키아를 체포했고, 그는 마이애미 부하들 앞에서 살해되고 삶아지고 먹혔다.그 후 오다가와호는 마이애미 여성들을 석방하고 4명의 영국인 생포와 30만 달러 이상의[when?] 무역 상품과 함께 디트로이트로 떠났다.영국군에 대한 이 승리는 프랑스와 인디언 전쟁으로 이어졌고 7년 [20]전쟁에 기여했다.
조약 및 삭제
1795년 그린빌 조약에 따라, 오타와와 서부 연맹의 다른 회원들은 북서쪽 지역을 제외한 오하이오 전역을 양도했다.이곳은 디트로이트 오다가와가 관할하는 지역의 일부였다.
1807년 디트로이트 오다가와는 미국의 압력으로 오지베족, 포타와토미족, 윈도트족 등 세 부족에 합류하여 디트로이트 조약을 맺었다.부족과 미시간 준주를 대표하는 윌리엄 헐이 맺은 이 협정은 오늘날의 미국 남동부 미시간과 마우미 강 근처의 오하이오 북서부 지역을 상당 부분 차지하게 했다.많은 오다와 악단이 미시간 북부로 이주했다.그 부족들은 마우미 [21]강의 영토에 있는 비교적 작은 땅의 공동 지배권을 유지했다.오다와의 무리들은 로체 드 보우프와 [22]모미 [23]강 상류의 울프 래피즈로 알려진 지역을 점령했다.
1817년, 1812년 전쟁 후 토지 양도 관련 첫 번째 조약에서, 오하이오 오다와는 블랜차드 크릭과 리틀 어글라이즈 강(총 34평방 마일)의 유보권을 받아들이며 그들의 땅을 양도했다.이것은 단지 적립금일 뿐이고, 10년간 연금수당을 지급받았다.유럽계 미국인 정착민들이 그 지역으로 이주하면서 오다가와에 대한 압력은 계속되었다.
1830년 인디언 이주법이 통과된 후, 미국 정부는 1831년 오다가와가 그들의 보호구역을 양도하도록 주선했다.다음 4개의 밴드: Blanchard's Creek, Little Auglaise, Roche de Boeuf,[23] 그리고 Wolf Rapids는 결국 캔자스의 지역으로 모두 사라졌다.
근대사
오다가와 그룹의 인구는 추정되고 있다.1906년 마니툴린 섬과 콕번 섬의 오지베와 오다가와는 1497명이었고, 그 중 절반 정도가 오다가와였다.미국 남북전쟁 이후 정착한 오클라호마의 세네카 학교와 관련된 197명의 오다가와가 있었다.1900년에 미시간에는 오지베와 오다와가 5,[10]587명, 그 중 약 3분의 2가 오다와였다.
21세기 초, 연방에서 인정한 오클라호마 오타와 부족의 총 등록 회원 수는 약 4,700명이었다.미국에는 약 1만 명의 오다가와가 있으며, 대부분은 미시간 주에 있다.또 다른 수천 마리는 캐나다 온타리오에 살고 있다.
오타와와 치페와 인디언의 그랜드 트래버스 밴드에 대한 인류학적 연구가 있었다.제인 윌렛츠 에타와게시크는 오타와와 치페와 인디언의 그랜드 트래버스 밴드에서 약 2년 동안 공부했다.제인 윌렛츠 에타와게시크는 아니시나베 사람들이 미시간 북부 및 그 주변에서 자신들의 땅, 사람들, 그리고 그들의 가치관, 견해, 역사를 전달하는 다양한 수단과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에 대해 말하는 아니시나베 이야기들을 기록했습니다.이 이야기들은 하워드 웹카미가드가 쓴 책 아니시나베 다이바지모위난 와디 빈지바미각 와디 무코지웅[24] 에 지니카덱으로 번역되었다.
알려진 마을
오다와 촌은 다음과 같다.
보호구역/보호구역이 아닌 이전 마을
이전 보호구역/보호구역 및 그 마을
18세기 말까지, 오하이오에 있는 오타와 강은 마우미 강을 따라 북서쪽 지역에 집중되었다.아래의 유보 및 보호구역은 그린빌 조약(1795년)과 그에 따른 조약으로 인해 발생하였다.이것들은 프레드릭 웹 호지가 1910년 [25]멕시코 북부 인디언의 역사에 등재했다.리설츠만,[23] '오타와 역사'도 참조.
- 오글라이즈 리저브(오하이오)– 오쿠아녹사 마을
- 블랜차드 포크 리저브(오하이오 주)– 로어 타와 타운, 어퍼 타와 타운
- 오하이오 주 노스모미 강 유역 – 메쉬케모 마을, 바손케트 마을, 워가우 마을
- Obidgewong 보호구역, 온타리오주 Obijewong(온타리오주 Evansville 동쪽 2.5km(1.6mi)에 위치)
- 오하이오 주 로슈 드 부프 보호구역 – 나와쉬 마을, 톤타게니 마을
- 오하이오 주, 사우스 마우미 강 보호구역 – 강 남쪽에 위치한 34마일 평방미터의 보호구역.매카티의 마을("Tushquegan")은 프레스케 섬 근처에 위치한 주요 마을이었다.오토키와 그의 무리는 마우미 강 하구에 살았다; 그는 오투사의 아들이자 폰티악 족장의 손자였다.그의 무리는 [26]1839년 오하이오에서 캔자스로 이주한 마지막 오타와였다.
- 오하이오주 울프래피즈 보호구역 – 킨조이노 마을 ('안파토나조윈'(아비타나가아지완))
- 블랜차드 포크 인디언 보호구역의 오타와스 - 오타와
- 캔자스 주, 로체 드 부프 앤 울프 래피즈 인디언 보호구역의 오타와스
현재 보호구역/보호구역 및 관련 마을
- 그랜드 트래버스 인디언 보호구역 및 오프 리저브 트러스트 랜드(미시간주)– 페쇼베스타운
- 리틀 리버 인디언 보호구역, 미시간 – 머스케곤 마니스티
- 미시간주 리틀 트래버스 베이 인디언 보호구역('Wekettonsing'(Wikwedoonsing))– 샤를부아, 크로스 빌리지, 라브레 크로체('Waganakisi'(와가나키지)), 미들 빌리지, 페토스키지
- 온타리오 주, M'Chigeeng 22 인디언 보호구역 – M'Chigeeng (이전의 "West Bay")
- Ottawa OTSA, 오클라호마 – 마이애미, 오클라호마
- 포인트 그론딘 인디언 보호구역, 온타리오 – 비버스톤
- 쉐관잉 20 온타리오 인디언 보호구역 - 쉐관잉
- 온타리오 주 월폴 섬 46 인디언 보호구역(Bakejiwanong [Bkejuwanong])– 포플렉스, 마이어스빌, 월레스버그, 월폴 섬, 윌리엄스빌
- Wiikwemkoong Unced Reserve, 온타리오 – Buzwah, Kaboni, Maiangowi, Murray Hill, South Bay, Two O'Clock, Wabozominissing, Wikwemikonsing
- 온타리오주 지이바하싱 19 인디언 보호구역(옛 '콕번 섬 19 인디언 보호구역')
- 지이바하싱 19A 온타리오 인디언 보호구역 – 지이바하싱
정부

오다와 정권 인정/현황
미국:
- 미시간주 오타와와 치페와 인디언의 그랜드 트래버스[27] 밴드(구 미시간 북부 오타와 협회, 유닛 2)
- 미시간주 오타와 인디언의 리틀 리버 밴드(구 미시간 북부 오타와 협회, 유닛 7)
- 미시간주 오다가와 인디언의 리틀 트래버스 베이 밴드(구 미시간 북부 오타와 협회, 유닛 1)
- 오클라호마 오타와 부족
캐나다:
- M'Chigeeng First Nation(구 "웨스트베이 First Nation")
- 온타리오 주[28] 셰관잉 퍼스트 네이션
- 온타리오와 미시간 사이에 위치한 월폴 섬의 미양도 영토에 있는 월폴 섬 퍼스트 네이션
- Wiikwemkoong First Nation, 온타리오주 Wiikwemkoong Unced 보호구역에 위치
- 온타리오주 지이바하싱 퍼스트 네이션(옛 "콕번 섬 퍼스트 네이션")
오다와 인구가 많은 기타 인정 정부/지위 정부
캐나다:
- 온타리오주 아암지우난 퍼스트 네이션(사르니아)
- 온타리오주, 애덕-옴니-케닝 퍼스트 네이션(서커 크릭)
- 온타리오 주 케틀 앤 스토니 포인트의 치페와스
- Chippe는 온타리오주 나와시 Unceded First Nation(옛 "케이프 크로커 First Nation") 출신입니다.
- 치페는 온타리오 주 템스 강(캐러독)의 주민이었다.
- 온타리오 주 가든리버 퍼스트 네이션
- 마타가미 퍼스트 네이션, 온타리오
- 온타리오주 미시소가 퍼스트 네이션
- 사가목 아니슈나우벡 퍼스트 네이션, 온타리오
- 온타리오 주 사우진 퍼스트 네이션
- 서펜트 리버 퍼스트 네이션, 온타리오
- 시귀안다 퍼스트 네이션, 온타리오
- 테살로니 퍼스트 네이션, 온타리오
- 온타리오 주 와수킹 퍼스트 네이션(패리 아일랜드)
- 온타리오 주 화이트피시 레이크 퍼스트 네이션
- 화이트피시 리버 퍼스트 네이션(버치 아일랜드), 온타리오 주
미국:
- 미시간 포타와토미 인디언의 매치-베-나쉬-소원 밴드(이전 그랜드 리버 오타와 인디언의 건레이크 밴드 및 북부 미시간 오타와 협회 3, 4호기)
- 미시간 주, 사기나우 치페와 부족
미지의 오다와 정권
- 오타와와 치페와 인디언스의 버트 레이크 밴드(이전 "북미시간 오타와 협회, 유닛 8"로 현재 미시간에서 인정됨)
- Genesee Valley Indian Association(구 Northern Michigan Ottawa Association, 9호기)
- 미시간 주 오타와 인디언의 그랜드 리버 밴드(이전에는 북부 미시간 오타와 협회, 3호기, 현재 미시간 주에서 인정)
- 미시간주[29] 치페와 오타와 인디언의 매키낙 밴드(이전 "북미시간 오타와 협회, 11~17호기"로 현재 미시간주에서 인정됨)
- 미시간 주 오타와 메이플 리버 밴드
- 미시간주 오타와 인디언의 Muskegon 리버 밴드(구 "북미시간 오타와 협회, 5호기")
- 미시간 주 그랜드 리버 오타와 인디언의 오타와 식민지 밴드(현재는 미시간 주 포타와토미 인디언스의 성냥개비 나쉬쉬-소원 밴드의 일부로만 인식됨) (이전에는 북부 미시간 오타와 협회, 유닛 3)
유명한 오다와인
- 장밥티스트 아시기나크, 수석 및 공무원
- 앤드류 블랙버드(1814/7년 경-1908년), 부족 지도자, 역사학자, 부족사 저자
- 켈리 처치, 검은 재바구니 직조 및 자작나무 껍질 비터
- 코브무사 (1768년-1866년), 족장
- 에구샤와(江川, 1726년 ~ 1796년)
- Enmegahbowh (1807년–1902년), 성공회 사제로 서품된 최초의 아메리카 원주민
- Odawa-French 모피 트레이더이자 비즈니스우먼인 Magdeline Laframboise는 또한 Mackinac Island의 아이들을 위한 공교육을 지원했다; 1984년에 미시간 여성 명예의 전당에 추가되었다.
- Daphne Odjig(1919-2016), 우드랜드 스타일 화가이자 인도 그룹 오브 세븐의 멤버
- 페토세가이(1787년-1885년), 상인 및 모피 무역상
- 폰티악 (1720–1769년경), 서장.폰티악의 영미 전쟁 지도자
- 와탐 (1762년-1764년), 주임
레퍼런스
- ^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ly 5, 2019. Retrieved March 9, 2019.
{{cite web}}
: CS1 maint: 제목으로 아카이브된 복사(링크) - ^ 2019년 9월 4일 캐나다 백과사전의 오다와 씨
- ^ "First Nations Culture Areas Index". Canadian Museum of Civilization.
- ^ 캐나다 옥스퍼드 사전 '오다와'
- ^ 바라가, 프레데릭 (1878년)Otchipwe 언어 사전 I, 300
- ^ 벡, 데이비드(2002년).포위 및 생존: 메노미네 인디언의 역사, 1634–1856, 페이지 27.네브라스카 대학 출판부ISBN 0-8032-1330-1.
- ^ a b 버튼, 클라렌스 M. (ed.) (1922).미시간주 디트로이트 시, 1701–1922, 페이지 49.S. J. Clarke 출판사.
- ^ Wurm, Stephen A. 등 (ed.) (1996년)태평양, 아시아, 아메리카의 이종문화 커뮤니케이션 언어 지도, 페이지 1118.월터 드 그루이터ISBN 3-11-013417-9.
- ^ 앤더튼, 앨리스, 박사오클라호마의 인디언 언어 현황.2010년 9월 17일 Wayback Machine Intertribal Wordpath Society에서 아카이브 완료.2009년 (2009년 2월 16일)
- ^ a b c d 프레데릭 웹 호지, "오타와", 멕시코 북부 아메리카 인디언 핸드북, Vol.워싱턴 DC, N-Z: 미국 정부 인쇄국, 1910, 167-172페이지
- ^ "The Archaeology of Ontario-The Middle Woodland Period". Ontario Archaeolog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ly 15, 2009. Retrieved July 10, 2009.
- ^ 윌리엄슨, 파멜라, 로버츠, 존 (2004년 제2판).First Nations People, 102페이지토론토:에몬드 몽고메리 출판사.ISBN 1-55239-144-2.
- ^ Bélanger, Claude. "Quebec History". faculty.marianopolis.edu.
- ^ The Wisconsin Cartographers' Guild (1998). Wisconsin's Past and Present: A Historical Atlas. Madison, WI: The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p. 4.
- ^ Brebner, John Bartlet (1966). The Explorers of North America: 1492–1806. Cleveland, OH: The World Publishing Company. p. 188.
- ^ Helen Hornbeck Tanner, ed., 5대호 인디언 역사 지도책(오클라호마 대학 출판부: Norman, 1986년) 3, 58-59페이지 및 R.오하이오 프론티어 더글라스 허트: 구 북서부의 도가니, 1720–1830(인디아나 대학 출판부: 블루밍턴, 1998), 8-12페이지.
- ^ a b "Biography – PONTIAC – Volume III (1741-1770) – Dictionary of Canadian Biography". www.biographi.ca.
- ^ Vogel, Virgil J. (1986)미시건의 인디언 이름, 페이지 46~47. 47.미시간 대학 출판부ISBN 0-472-06365-0.
- ^ a b 반즈, 셀리아(2003)미국의 원주민 권력, 1783–1795, 페이지 203.페어리 디킨슨 대학 출판부ISBN 0-8386-3958-5.
- ^ Treuer, David (2019). The Heartbeat of Wounded Knee. New York: Riverhead Books. p. 50. ISBN 9781594633157.
- ^ "Treaty Between the Ottawa, Chippewa, Wyandot, and Potawatomi Indians". World Digital Library. November 17, 1807. Retrieved August 3, 2013.
- ^ "Waterville, Ohio: Roche de Bout Metropark".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rch 29, 2016. Retrieved March 29, 2016.
- ^ a b c 리설츠만, '오타와 역사', 웹사이트
- ^ "Ottawa Stories from the Springs". Michigan State University. Retrieved April 10, 2022.
- ^ Hodge, Frederick Webb (April 10, 1910). "Handbook of American Indians North of Mexico: N-Z".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 via Google Books.
- ^ Janet E. Rozick, "Side Cut, Farnsworth, Bend View, Providence Metroparks", 페이지 10–11(태너 인용, 48–51), Larry Angelo, 1615에서 현재까지의 오타와족의 이주(1997), 페이지 3–6.
- ^ [1] 2005년 7월 9일 Wayback Machine에서 아카이브 완료
- ^ "Domain Default page". Sheshegwaning.org. Retrieved August 31, 2012.
- ^ "mackinacbands.com". mackinacbands.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rch 5, 2016. Retrieved August 31, 2012.
추가 정보
- 카펠, 콘스탄스, 오다와어 및 전설: Andrew J. Blackbird and Raymond Kiogima, Xlibris, 2006년 (자작)
- 1763년 라브레 크로슈의 오타와 부족의 천연두 집단 학살, 카펠, 콘스탄스: The History of a Native American People, Edwin Mellen Press, 2007 (학술지에 의해 배니티 프레스라고 기술)
- 맥클러켄, 제임스 A델의 직원 여러분, 델의 여정: 오타와 인디언의 리틀 리버 밴드.미 동부 랜싱: 미시간 주립 대학 출판부, 2009.이 작품은 미시건 도서관이 선정한 2010 미시간 주의집이다.ISBN 978-0-87013-855-3
- 맥도날드, 마이클 A.제국의 달인: 오대호 인디언과 아메리카 제조.뉴욕 힐 앤 왕, 2015년지도 416쪽ISBN 978-0-8090-2953-2.
- 울프, 제럴드 W., 캐시, 조셉 H.애리조나 피닉스 오타와 피플:인디언 부족 시리즈, 1976년
외부 링크

- '오타와 역사' 슐츠만, L. (2000).First Nations Histories.
- 프레데릭 웹 호지, "오타와", 멕시코 북부 아메리카 인디언 핸드북, Vol.워싱턴 DC, N-Z: 미국 정부 인쇄국, 1910, 167-172페이지, 전문 온라인
- 온타리오 고고학 '중간 삼림 시대'
- 캐나다 백과사전의 오다와
- 오다와 – 퍼스트 네이션스 탐색자
공식 부족 웹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