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주고르제의 성모
Our Lady of Medjugorje![]() |
메주고르제의 성모 | |
---|---|
![]() 메주고르제 성모상 | |
위치 | 메주고르예,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등 여러 지역 |
날짜. | 1981년 6월 24일 ~ 현재 진행 중 |
증인 |
|
유형 | 마리안 영법 |
신사 | 메주고르제 |
메주고르제의 성모(크로아티아어:평화의 여왕(크로아티아어: 크랄히카미라), 구원자의 어머니(크로아티아어: 어머니)라고도 불리는 메주고르스카 복음사.마즈카 오트쿠피텔히카(Majka Otkupiteljica)는 1981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메주고르예에서 6명의 크로아티아인 청소년들에게 시작된 예수의 어머니 마리아의 환영에 붙여진 호칭입니다.선각자로는 이반 드라기체비치, 이반코비치, 야코프 촐로, 마리야 파블로비치, 미르자나 드라기체비치, 비카 이반코비치가 있습니다.그들은 첫번째 출현 당시 10세에서 16세까지 다양했습니다.
또한 그 이후 수년간 선지자들이 성모 마리아의 영전을 보고 받았다는 보고가 계속되어 왔습니다.목격자들은 종종 그 유령을 "고스파"라고 부르는데, 이것은 크로아티아의 여성을 위한 아치즘입니다.2017년 5월 13일, 프란치스코 교황은 청소년들이 보고한 원안은 더 깊이 연구할 가치가 있는 반면, 수년에 걸쳐 계속된 비전은 그가 보기에 불확실한 가치가 있다고 선언했습니다.[1]목회 차원에서 메주고르제에 가는 수많은 사람들과 메주고르제에서 생겨난 풍부한 '은혜의 열매'를 고려한 끝에 2019년 5월 교황에 의해 공식적으로 조직된 순례 금지령이 해제되었습니다.[2]이는 2019년 8월 5일간 메주고리에서 순례자와 가톨릭 성직자들의 청소년 축제를 기념하면서 공식화되었습니다.[3]그러나, 이것은 알려진 사건들의 인증으로 해석될 수 없었고, 이것은 여전히 가톨릭 교회에 의한 조사가 필요합니다.[2]성직자들과 신자들은 그러한 제도의 신뢰성이 당연시 되는 회의, 회의 또는 공개적인 축하 행사에 참석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습니다.[4]
배경
정국
메주고르제 마을은 여러 슬라브 국가들의 연합체인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의 일부인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 있었습니다.대부분의 크로아티아인들은 가톨릭 신자이고, 대부분의 세르비아인들은 동방 정교회 신자인 반면, 보스니아인들과 헤르체고비나인들은 두 사람이 섞여 있고 세 번째 집단인 보스니아 무슬림들을 포함하고 있습니다.[5]1980년 5월 초 요시프 브로즈 티토 대통령의 사망은 반공반동과 민족적 긴장의 고조로 이어져 나라를 불안정하게 만들었습니다.[6][7]유고슬라비아는 정치적, 경제적, 국가적 붕괴를 향해 나아가고 있었습니다.[8]정치적 위기는 경제적 위기를 낳았고 공공 부채는 급증했습니다.1981년 코소보에서 일어난 알바니아계 반 세르비아 폭동은 국가적 불만의 예입니다.티토가 사망한 후, 보안 기구는 특히 티토에게 가장 충성했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 "국가의 적"으로 인식되는 활동을 강화했습니다.그러한 활동은 특히 헤르체고비나의 가톨릭 교회를 지향했습니다.[8]
또한 공산주의 폴란드에서 교황 요한 바오로 2세가 선출되고 가톨릭 연대 운동이 일어나면서 바티칸과 소련이 지배하던 동유럽의 갈등이 심화되었습니다.[9][7]
1980년대에는 유럽, 특히 아일랜드와 이탈리아에서 마리안식이 유행했습니다.Chris Monder는 메주고르제에 있는 것들을 포함하여, 공산주의의 몰락을 가져온 동유럽의 반공 운동과 이러한 음모들을 연결시킵니다.[10]
종교적 상황

헤르체고비나의 프란치스코 관구는 1843년 보스나 스레브레나의 프란치스코 관구에서 분리되면서 신설되었습니다.[11]1846년 교황청은 당시 오스만 제국의 일부였던 헤르체고비나의 사도 대리구를 설립했습니다.[12]최초의 대리인들은 모두 프란치스코회 사람들이었습니다.[12][13][14]1881년, 이 지역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지배하에 들어갔고 교황 레오 13세는 교구를 설립하고 지역 주교를 임명하는 조치를 취했습니다.[15]
헤르체고비나의 프란치스코회는 이것을 위협으로 여겼고, 터키의 지배 하에서 수세기에 걸쳐 "어려운 선교" 활동을 통해 얻은 소득원과 지역 사회 지도자로서의 역할을 박탈했습니다.[16]
1923년 로마가 프란치스코회 신자들에게 자신들이 지배하는 교구의 절반을 세속 성직자들에게 넘기라는 결정을 내리면서 헤르체고비나 사건으로 알려진 관할권 분쟁이 일어났습니다.원활한 전환은 교구 성직자들의 충분한 부족과 그들의 교구를 처분하는 데 대한 수사들의 저항으로 인해 방해되었습니다.프란치스코회는 부분적으로만 따랐을 뿐 그 이후로 로마의 결정에 따르기를 거부했습니다.[16]이 변화에 대한 그들의 저항은 그들을 로마의 프란치스코 수도회를 포함한 교회의 계급과 갈등하게 만들었습니다.그들이 복종하는 것에 저항한 것은 교회의 권위와 교회법에 어긋나는 것이었습니다.[16]

1933년 교황 비오 11세는 예수가 십자가에 못 박힌 지 1900년을 기념하기 위해 가톨릭 세계 전체에 십자가를 세울 것입니다.[17]1933년 지역 가톨릭 교구에 의해 메드주르제 근처의 산에 거대한 십자가가 세워졌습니다.[18]1,770 피트 높이의 그 봉우리는 원래 시포백 산이라고 이름 지어졌지만, 지역 주민들은 그 이름을 "십자가의 산"을 의미하는 크리제백 산으로 바꿨습니다.그들은 모든 건축 자재를 등에 짊어진 채, 6주 만에 15톤 무게의 33피트 높이의 십자가를 지었습니다.[19][20]
1975년 로마니스 폰티피시부스 교황 바오로 6세는 프란치스코회가 모스타르 뒤브노 교구에 있는 대부분의 교구에서 탈퇴하고 30명을 유지하고 52명을 교구 성직자들에게 맡기기로 결정했습니다.1980년대에 프란치스코회는 80명의 수사들의 지휘 아래 40개의 교구를 여전히 보유했습니다.[21]1980년 8월, 모스타르의 새 주교 파오 자닉은 즉시 도시의 4분의 1만이 프란치스코회에 남아있을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non-primary source needed]교회의 어머니 마리아의 모스타르 대성당은 1980년 여름에 완공되었습니다.[citation needed]
마이클 버드(Michael Budde)는 그의 저서 "침례 가톨릭, 충성, 그리고 살아있는 정체성의 국경 너머"에서, 그것이 국내외적 명성을 얻으면서, 메주고르제 순례지는 공산주의 유고슬라비아 정권에 대항한 싸움에서 종교의 힘의 강력한 상징이 되었다고 말했습니다.[22]
초기 이벤트
![]() |


1981년 6월 24일 오후 6시 30분경, 15세의 이반코비치와 그녀의 친구인 16세의 미르자나 드라기체비치는 담배를 피우며 이야기를 나누고 있었습니다.[23]이방카는 근처 팟브라도 산에서 눈부신 불빛에 흠뻑 젖은 여자의 희미한 실루엣을 보고 깜짝 놀랐습니다.[19]그녀는 즉시 "미르자나, 봐, 고스파야!"라고 말했습니다. 그녀는 이것을 미르자나의 주의에 끌렸지만, 미르자나는 그 생각을 비웃었고 그들은 계속해서 길을 갔습니다.그 후 그들은 밀카 파블로비치(13)를 만났고, 그들은 양을 데려오는 것을 도와달라고 부탁했습니다. 그래서 세 사람은 근처 언덕으로 돌아갔고, 그곳에서 세 사람 모두 유령을 보았습니다.그 후 친구인 비카 이반코비치(17)도 그들과 합류했는데, 비카 이반코비치는 복음서를 보고 너무 놀라서 언덕을 뛰어 내려갔습니다.호기심에 이끌려 그녀는 사과를 따던 이반 드라기체비치(16)와 이반 이반코비치(20)와 함께 돌아왔습니다.이반 드라기체비치는 너무 놀라서 사과를 떨어뜨리고 도망쳤습니다.나중에 그들은 모두 같은 유령을 봤다고 말했습니다.[24][23]"제2차 세계대전 중 슈르만치에서 세르비아인들이 우스타샤에 의해 세르비아인들을 대량 학살한 지 40주년을 기념한 날부터 메주고르예 비전이 시작되었습니다."[25]
다음날 이반카 이반코비치, 미르자나 드라기세비치, 비카 이반코비치, 이반 드라기세비치가 현장으로 돌아왔습니다.이반 이반코비치는 그들과 동행하지 않았습니다.밀카 파블로비치의 어머니가 정원에서 도움을 주기 위해 그녀의 집을 지켰을 때, 비카 이반코비치는 밀카의 여동생 마리야 파블로비치와 10살의 야코프 콜로를 데리고 왔습니다.밀카는 더 이상의 상상을 경험하지 못했습니다.여섯 명의 선지자들은 메주고르제 성 제임스 교회의 교구 사제였던 프란치스코회 신부 요조 조브코에게 성모 마리아(고스파)를 보았다고 말했습니다.[23][23][26]그는 처음에는 회의적이었습니다.그는 만약 누군가가 거짓말을 하고 있다고 암시한다면 이 선자들이 동요하게 된다는 것을 알아차렸고 그들의 복음서에 대한 신체적 묘사가 서로 일치한다는 사실에 사로잡혔습니다.[27][citation needed]랜달 설리번에 따르면, 그들은 그녀를 "...푸른 눈, 검은 머리, 그리고 그녀의 머리 주위에 별 왕관을 쓴 20살 정도의 젊은 여성"이라고 묘사했습니다. 그녀는 하얀 베일과 푸르스름한 회색 가운을 입었습니다.각각의 아이들은 처녀의 발을 볼 수 없었다고 말하고, 그녀를 하얀 구름을 타고 땅 바로 위를 맴돌고 있다고 묘사하며, 그녀가 노래하는 목소리로 말했다고 말했습니다."[27]7월 초, 목사 요조 조브코는 처음의 회의를 거절하고 그 상상들을 받아들였습니다.[27]
교회의 어머니 마리아의 모스타르 대성당은 1980년 여름에 완공되었습니다.성당 교구를 만들기 위해 SS 교구를 분할하기로 결정했습니다.피터와 폴.프란치스코회는 이것이 불공평하다고 반대했습니다.[28][non-primary source needed]이비카 베고와 이반 프루시나는 모스타르에 있는 친위대 베드로와 바오로 교구의 사제였으며, 그들은 교황령 로마니스 폰티피시부스를 준수하고 교구에서 이전하기를 거부했습니다.[citation needed]ž니치 주교는 여러 차례 경고를 받은 후 관할 교구 전체에 걸쳐 사제직을 중단했습니다.유고슬라비아 관리들은 이 보도가 크로아티아 극단주의자들의 "종교 민족주의" 음모라고 비난했습니다.[7]ž니치 주교는 선관들과 지역 프란치스코회 사람들을 기소하려는 공산주의 당국에 맞서 그들의 입장을 취했습니다.그는 1981년 9월 교황에게 이 사건에 대해 알렸습니다.[non-primary source needed]

비카는 1981년 12월 19일부터 1982년 9월 29일까지 마돈나로부터 메시지를 받아 일기에 기록했다고 합니다.[29]9월 21일 금요일에.이반 프루시나는 다른 프란치스코회 신자들과 함께 군중의 도움을 받아 교구에서 교구 성직자들을 폭력적으로 추방했습니다.[non-primary source needed]
1982년 1월 15일, 주교는 이 문제에 대해 마돈나로부터 온 메시지가 있는지 물어보기 위해 그들을 자신의 거주지로 초대했고, 그들은 없다고 대답했습니다.그러나 1982년 4월 3일, 주교를 찾아가 마돈나가 진실을 말하지 않은 것에 대해 그들을 꾸짖었고, 그녀는 두 수도사가 모스타르에 남아 미사를 계속 축하하고 고백을 들을 것을 요청했다고 말했습니다.마돈나가 비카에게 그 이야기를 했다고 합니다.이반 프루시나와 프르.이비카 베고는 이 문제에 대해 "아무 죄도 없다"고 말했습니다.[30][31]토미슬라프 블라시치는 주교에게 거짓을 말한 것에 대해 책임을 지었는데, 그는 주교가 그 음모들의 진위를 다툴 수도 있기 때문에 진실을 말하지 말라고 지시했습니다.[32]
1983년 6월 21일, 주교들 중 한 명인 이반 드라기체비치는 성모 마리아로부터 주교에게 위협적인 메시지를 보냈으며, 그렇지 않으면 그는 "나와 내 아들 예수에 의해 심판"을 받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32][33]1985년 2월 6일, 이반 드라기체비치는 마돈나의 예언을 믿지 않는다면 적어도 그녀의 메시지를 믿고 홍보하는 그녀의 성직자들을 박해해서는 안 된다고 말하면서 다소 관대한 메시지를 보냈다.[32][34]
베드로 잔 마르게의 견해에 따르면, 그러한 보고된 마리아 신앙들의 일탈은 가톨릭의 가르침과 교회와 교황에 대한 복종을 공식적으로 지지하는 것에서 관찰되는 반면, 실제로는 그 메시지들을 진정한 계시로 간주하고, 파문된 사제들과 연관이 있으며, 교회와 교황에 불복종한다고 생각합니다.[35]
처음부터 두 사제에 대한 메시지를 철회하도록 비카를 설득하기 위해 두 사제에 대한 메시지를 처음부터 지지했던 스플리트-마카르스카 프란 프라니치 대주교는 더 쉽게 두 사제의 진실성을 방어할 수 있었습니다.[32]하지만, 비카와 아이반은 두 사제에 대한 메시지가 마돈나로부터 온 것이라고 계속해서 주장했습니다.[31]메시지에는 파보 ž니치 주교에 대한 비난과 두 명의 수사들이 교구를 떠나지 말도록 격려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었습니다.그때 파보 주교가 그의 주장된 음모에 대해 마지막으로 부정적인 입장을 취했을 때였습니다.[37]
그 시간 내내 주교는 어떤 최종 결론도 내리지 못한 채 유령들에 대해 신중한 태도를 유지했습니다.그는 프란치스코회와 교구 성직자들 사이에 존재했던 헤르체고비나의 무질서를 고발하고 교황령 로만리스 폰티피시부스의 요청에 따라 교구를 떠나기를 거부한 두 명의 프란치스코회 신자들을 옹호한 후, 그 종교들에 대해 회의적이 되었습니다.[38][non-primary source needed]
그의 불복종 때문에, 신부님.이반 프루시나는 1980년 10월 9일 파보 ž니치 주교에 의해 사제 관할권이 취소되었습니다.이반 프루시나 신부님이비카 베고는 프란치스코 수도회와 성직자회에 항소를 제기했는데, 이들은 최종 결정이 내려질 것을 고려해 항소를 거부했습니다.그러나 교황청의 최고 사법 재판소인 사도 시냐투라는 1993년 3월 27일 항소권을 가지고 있으며 이것을 절차 위반으로 보고 기각을 무효로 선언했습니다.[39]이비카 베고도.[40]헤르체고비나의 프란치스코 관구는 이것을 주교에 대한 승리의 표시로 보이려 했지만, 주교의 프란치스코 수도회 취소.이반 프루시나의 사제 관할권은 그대로 유지되었고,[39][non-primary source needed] 사도 서명부는 문제 자체를 검토한 적이 없고 절차상의 결함만 있었습니다.[40][non-primary source needed]나중에 그 사실이 알려졌습니다.이비카 베고는 수녀를 임신시켰고, 그는 결국 결혼하여 메주고르제 근처에서 그녀와 함께 살고 있습니다.[41][non-primary source needed]벨리콘자는 "그[clarification needed] 지역의 풍부하고 오랜 종교적 전통이 없었다면 성공하지 못했을 것"이라고 썼습니다.[42]
정부대응
1982년, 공산주의 당국은 메주고르제 현상에 대한 입장을 바꾸었고, 더 이상 이 사건을 정치적인 것이 아니라 경제적인 이익으로 보고 있습니다.1983년 겨울, 당국은 종교 관광을 장려하기 시작했습니다.1983년 국영 출판사인 A. G. 마토스(A. G. Matos)는 "마돈나의 상상은 메주고르제(Medjugorje)"라는 책을 출판했습니다.메주고르제에 충성하는 신학자이자 헤르체고비나 프란치스코회 신자였던 류데비트 럽치치의 고스피나 우카잔자우 메주고르주).국영 여행사들도 1984년 메주고르제 순례자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했습니다.유고슬라비아 국영 항공사인 자트 에어웨이스는 이탈리아에서 온 순례자들을 위해 특별 노선을 도입했습니다.1980년대 중반부터 유고슬라비아 언론도 메주고르제 현상을 지지하면서 경제적 측면을 강조했습니다.[43]
지역 가톨릭 교회의 대응
파바오 ž니치

처음에 ž니치 주교는 비전 자체를 지지하지는 않았지만 이들과 성모 마리아가 그들에게 나타날 수 있는 가능성을 옹호했습니다.그는 1981년 9월 6일 교황에게 이 사건에 대해 알렸습니다.[38]ž니치는 조사위원회를 설치하고 결과를 로마에 전달할 준비를 했습니다.하지만, 상상은 계속되었고, 성모 마리아로부터 온 메시지들이 쌓였습니다.시간이 지나자 성모님은 주교님에 대항하는 불복종 프란치스코회의 편을 드는 것이 분명해졌습니다.비카의 일기에 따르면 성모 마리아는 모스타르에 있는 교구들의 행정권을 이양하라는 명령을 받은 프란치스코회 사제들의 상황에 대해 여러 차례 자문을 받았습니다.성모 마리아는 이 모든 상황에 대해 주교의 책임이 있다며 프란치스코회 사제들이 임무를 계속해야 한다고 답했다고 합니다.[44][46]ž니치는 이 증거를 통해 이들이 조작된 것과 조작된 가상이 거짓임을 보았습니다.
그는 곧 자신의 의심에 대해 공개적으로 말하기 시작했습니다.1983년, ž니치는 선지자 중 한 명인 이반 드라기체비치로부터 성모 마리아가 "주교에게 최후의 경고를 보낸다"는 내용의 편지를 받았고, "만약 그가 자신에게 말을 하거나 정정하지 않으면, 그는 나의 법정과 내 아들 예수의 법정에서 재판을 받을 것이다"라는 내용을 추가했습니다. ž니치는 아연실색하여 같은 날 바티칸에 편지를 전달했습니다.그는 자신을 위해 "문제가 해결되었다"고 말했습니다.[48]ž니치가 교구 재편 과정을 주도했기 때문에, 그는 교구에서 그의 평판을 손상시키기 위해 그 음모들을 프란치스코회의 조작이라고 여겼습니다.성모님께서 보내주신 그런 메시지는 그가 옳았다는 증거였습니다.[45]프란치스코회 사람들은 순례자들을 자신들에게 유리하게 이용했지만, 동시에 성모 마리아의 주도로 그 유령들이 자발적으로 일어났다고 주장했습니다.[49]
1984년 ž니치는 메주고르제 사건의 진위를 논박하는 성명서를 발표하고, 음모를 조장한 프란치스코회 사람들을 비난했습니다.좀 더 구체적으로 ž니치는 선지자들의 영적 아버지였던 메주고르제의 토미슬라프 블라시치 신부가 "조작자이자 기만자"라고 경고했습니다.ž니치는 특히 성추문이 아직 공개되지 않은 선지자들의 영적 책임자가 된 블라시치에 대해 비판적이었습니다.2년 후, ž니치는 요제프 라칭거가 이끄는 신앙교리회에 보고서를 보내 메주고르제의 미신이 진짜가 아니라고 주장했습니다.
ž니치는 공개적으로 교회 조직 내 순례자 폐지를 요구했고, 교황청은 그를 지지했습니다.그러나 바티칸은 개별 순례자들이 목회자의 보살핌과 성찬에 접근할 수 있도록 제공되어야 한다는 견해를 표명했습니다.[48]
그러나 ž니치는 이미 세계적인 현상이 된 메주고르제에 대한 가톨릭계의 여론을 막을 수 없었습니다.기도의 지지자들은 주교의 권위를 거부하고 주교가 개인적인 이유로 신의 개입을 간과했다고 느꼈기 때문에 기도에 대한 1985년 위원회의 부정적인 결정은 무시되었습니다.교황청은 ž니치의 지원에 나서지 않고 침묵을 지키면서 메주고르제에 대한 교황의 지지에 대한 추측을 낳았습니다.1980년대 메주고르제가 바티칸 외교정책에 적합했다는 점에서 교황 요한 바오로 2세가 막후에서 메주고르제를 어느 정도 선호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즉, 당시 교황청은 동유럽의 공산권을 타도하기 위해 미국을 지원하고 있었습니다.[49]
메주고르제 지지자들은 ž니치를 완고하고 부당한 비평가로 묘사하려고 했지만, 무시하기 쉬운 사람은 1991년 유고슬라비아 주교회의에서 메주고르제에서 "이전의 연구에 따르면, 상상들의 초자연적인 성격을 결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선언했습니다.
라트코 페리치
1993년 ž니치의 뒤를 이어 부임한 라트코 페리치는 전임자와 마찬가지로 적대적인 태도를 유지했습니다.페리치는 메주고르제 현상에 대한 자신의 반대를 주장하는 성모 마리아에 관한 두 권의 책을 출판했습니다.그는 자신의 개인적인 의견을 들어, 이 종교들의 초자연적 기원이 확립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비초자연적인 것이 확립되었다는 것이며, 이는 1991년 유고슬라비아 주교회의의 그것보다 더 부정적인 판단이라고 말했습니다.[50]
페타르 팔리치
페타르 팔리치 2020년 페리치의 뒤를 이었습니다.지금까지 팔리치는 메주고르제에 대한 입장을 밝히지 않았습니다.[51]그러나 도이체벨레의 보도에 따르면 팔리치는 전임 페리치와 비슷한 견해를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52]
메주고르제 조사위원회
1982~1984년 제1차 교구위원회
1982년 1월 ž니치는 두 개의 위원회 중 첫 번째 위원회를 설립했습니다.첫 번째 위원회는 네 명의 교회 위원으로 구성되었으며 1982년부터 1984년까지 활동했습니다.[53]1982년에 구성되어 1984년에 재구성된 교구 위원회는 1985년에 초자연적인 것이 성립되지 않았다는 부정적인 결론을 내렸습니다.[49]
1984~1986년 제2차 교구위원회
1984년 2월, ž니치는 15명으로 위원회를 확대했습니다.다양한 신학 교수진 9명과 정신과 의사 2명이 참여했습니다.[54]두번째 위원회는 Fr를 조사했습니다.토미슬라프 블라시치의 연대기와 비카의 일기.연대기와 일기는 비카의 일기 중 일부가 위조되고 불규칙적으로 기록이 보관되는 등 신뢰할 수 없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53]위원회는 블라시치에게 연대기를 넘겨줄 것을 요청했지만, 블라시치는 연대기를 수정한 후 오랜 지연만 겪었습니다.[55]1986년 5월, 위원회는 메주고르제에서 일어난 사건들이 초자연적인 성격을 지녔다는 것을 확립할 수 없다고 선언했습니다.[citation needed]
유고슬라비아 주교회의, 1987-1991
1987년 1월 신앙교리회는 지역 주교로부터 이 문제를 삭제하고 새로운 조사를 만든 유고슬라비아 전국 주교 회의에 결정을 맡겼습니다.[56]주교회의는 1991년 4월 초자연적인 현상과 폭로가 일어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없으며 그 결정을 미래의 날짜로 남겨둘 것이라고 말하면서, 두 번째 위원회에 동의하고 "초자연적이지 않은 것"이라고 판결했습니다.[56]회의는 메주고르제가 초자연적이라는 가정하에 순례를 조직해서는 안 된다고 지시했습니다.[57]위원회는 성명을 통해 전 세계에서 많은 순례자들이 메주고르제에 오기 때문에 이들은 목회자의 보살핌과 지도가 필요하다고 지적했습니다.바티칸은 주교들이 순례단을 조직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지만 그들과 함께 할 수 있다는 것을 분명히 했습니다.[56]
ž니치 주교는 1993년에 은퇴하였고, 후임자인 페릭 주교는 메주고르제의 비전은 초자연적이지 않은 것이라는 개인적인 의견을 표명했습니다(그것은 초자연적인 것이 아닙니다.
루이니 위원회 - 국제 바티칸 위원회, 2010-2014
![]() |
2010년 교황 베네딕토 16세는 메주고르제를 연구하기 위해 국제 바티칸 위원회를 설립했습니다.[49][59]교황청은 메주고르제 현상을 조사하기 위해 카밀로 루이니 추기경을 위원장으로 하는 위원회를 설립했다고 발표했습니다.[60][61]위원회의 다른 유명한 구성원들은 심리학자, 신학자, 해양학자, 교회론자 뿐만 아니라 요제프 톰코, 빈코 풀지치, 요시프 보자니치, 줄리앙 헤란츠, 안젤로 아마토를 포함했습니다.위원회는 "모든 자료를 수집하고 검토하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세부보고서'를 발간하기 위해 설립되었습니다.[62]공식적인 순례 금지에도 불구하고 메주고르제에 계속 간 순례자들을 위해 그들의 주장에 대한 평가와 적절한 목회적 권고를 하는 임무를 맡았습니다.위원회는 2014년 1월 17일까지 활동했습니다.[63]
루이니 위원회는 1981년 6월 24일부터 1981년 7월 3일까지 처음 등장하는 것을 구분하였는데, 보도에 따르면 이러한 등장은 "초자연적인" 기원을 가진 13표, 반대 1표, 그리고 보류된 투표를 가진 전문가가 있다고 합니다.안드레아 토르니엘리(Andrea Tornielli)에 따르면, 위원회는 "선관자들은 유령에 의해 깜짝 놀랐고, 그들이 본 것 중 어떤 것도 교구의 프란치스코회나 다른 주제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습니다.이들은 경찰에 체포돼 죽음의 위협을 받으면서도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말하는 데 거부감을 보였습니다.위원회는 또한 이 유령들의 악마적 기원에 대한 가설도 기각했습니다."나머지 장치들에 관해서, 위원회는 그것들이 교구의 프란치스코회와 주교 사이의 갈등으로 야기된 극심한 간섭의 영향을 받는 것을 발견했습니다.위원회는 이후의 비전을 "사전에 발표되고 프로그램화된 것"으로 간주했고, 그들은 종료될 것이라고 언급했음에도 불구하고 계속했습니다.[62]
또한 위원회는 메주고르제의 유령들과 연관된 기적적인 치유가 없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64]
메주고르제의 목축적 결실과 관련해서는 위원회가 두 단계로 나눠 투표를 진행했습니다.먼저 그들은 선자들의 행동은 제쳐두고 메주고르제의 정신적 결실에 초점을 맞췄습니다.그들은 6명에게 긍정적인 결과에 찬성표를 던졌는데, 7명은 대부분 긍정적인 결과와 다른 3명의 전문가들은 과일이 긍정적인 것과 부정적인 것이 섞인 결과라고 말했습니다.2단계에서는 선견자들의 행동을 고려하여 12명의 구성원들이 의견을 표현할 수 없다고 하였고, 나머지 2명의 구성원들은 현상의 초자연적 기원에 반대표를 던졌습니다.[62]
위원회는 메주고르제에서 조직된 순례 금지령의 종료를 승인했습니다.[62]신디 우든 위원회는 교황이 "교황청의 감독을 받는 성 야고보 교구 교회를 교황청 성지로 지정할 것"을 권고했다고 밝혔습니다.[65]
루이니 보고서는 2014년에[1] 완성되었고 프란치스코 교황이 받았습니다.교황은 이를 검토한 후 폴란드 대주교 헨리크 호저에게 목회 상황을 탐구할 목적으로 '성좌의 특별 임무'를 부여했습니다.[62][56]2015년 5월 7일 프란치스코 교황은 곧 결과를 발표할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66]2015년 6월 11일, 바티칸 수석 대변인은 2015년 가을까지 어떤 결정도 예상되지 않는다고 밝혔습니다.[67]
바티칸 인사이더의 안드레아 토르니엘리는 이 보고서가 게르하르트 루트비히 뮐러 추기경이 이끄는 신앙교리회에 의해 일부 유보된 채 읽혔으며, 이는 이 신화들과 "루이니 보고서는 다른 의견과 보고서들과 비교될 수 있는 권위적인 기여로 간주된다"는 것에 대해 의구심을 나타냈습니다.[62]이카이에 따르면 뮐러는 2017년 4월 메주고르제와 관련해 "메주고르제에 있는 위증들의 진위가 확인되려면 오랜 시간을 기다려야 한다"고 말했습니다.그는 호저 대주교가 목회 문제의 규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반면, 신앙교리성회는 주장되는 비전의 진실성을 다루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카이는 뮐러가 뮐러가 "성스러운 지방에게 우리의 작업 결과를 제시하기 위해 그녀의 메시지의 진실성을 검토한다"고 말한 것에 주목합니다.그가 그들의 진실성을 결정하고 선언할 수 있도록 그녀를 결정합니다." eKai는 뮐러가 "목회적인 질문과 계시들의 진실성에 대한 질문을 분리할 수 없습니다."[68]라고 말했다고 보고합니다.
2018년 5월 31일, 교황은 호저 대주교를 메주고르제 교구의 특별 사도 방문자로 두 번째 지명했다고 메리 레이스는 밝혔습니다.." 교황의 재량에 따라호저 대주교는 프란치스코 교황에 의해 메주고르제에서 사람들이 받고 있는 목회적 돌봄의 질을 평가하기 위해 임명되었습니다.[69]
위원회는 메주고르제에서 조직된 순례 금지령의 종료를 승인했습니다.[62]위원회는 이 도시의 교구인 성 야고보 교회를 바티칸의 감독하에 교황청 성지로 만들 것을 권고했습니다.[65]루이니 보고서는 2014년에[1] 완성되었고 프란치스코 교황이 받았습니다.[62]
교황의 위치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 |

역사학자 로버트 오르시(Robert Orsi)는 그의 책 역사와 현존에서 "메드주고르제의 성모님은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를 포함한 가톨릭 계층의 많은 구성원들을 포함한 거대한 국제적 추종자들을 끌어 모았습니다."[70] 로마 가톨릭 전통에서 요한 바오로 2세는 메주고르제 영성에 대한 결정을 지역 성직자들에게 맡깁니다.동시에 메주고르제 마리안 유적지에 대해서도 동정심을 갖고 있다는 것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습니다.[71]메주고르제에 대한 교황의 지지는 암묵적이었고 1980년대 동안 교황청의 외교 정책적 이유에 기여했습니다.즉, 당시 교황청은 동유럽의 공산권을 타도하기 위해 미국을 지원하고 있었습니다.[49]
메주고르제 현상과 관련하여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에게 귀속된 여러 진술이 있습니다.이러한 진술 중 일부가 거부되었습니다.훗날 교황 베네딕토 16세가 된 요제프 라칭거는 신앙교리성의 수장으로서 성명서 목록을 제시했을 때, "저는 단지 교황님과 저에게 귀속된 메주고르제에 대한 성명서들은 단지 날조된 것이라고 말할 수 있을 뿐입니다."라고 대답했습니다. ("freierfunden")[72][73] 메주고르제 현상을 지지하는 다른 많은 유사한 주장들도 있습니다.교황뿐만 아니라 다른 많은 교회 관계자들의 공으로 여겨졌으며, 그들 중 누구도 진짜라고 증명되지 않았습니다.[74][non-primary source needed]교황청 국무위원회는 파볼 흐닐리카 주교의 그러한 주장을 부인했습니다.[75][non-primary source needed]
페릭 주교에 의하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베네딕토 16세 모두 지역 주교들의 판단을 지지했다고 합니다.[76]교황의 개인 비서인 Staniswaw Dziwisz는 교황이 모든 문제를 신앙교리회에 맡겼고 그 후 "신중한 거리"를 유지했다고 말했습니다.[77]전하는 바에 따르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메주고르제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가톨릭 신자들에게 털어놨다고 합니다.바티칸은 그러한 성명을 확인한 적이 없습니다.[78]
기독교 옹호자인 패트릭 마드리드는 메주고르제 지지자들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가 어떻게 그 미신들의 진위를 선호했는지에 대해 증언한 것을 "전설적"이라고 특징짓습니다.
나는 성하께서 메주고르제에 대해 어떤 식으로든 공개적으로 언급하신 것을 알지 못합니다.[T]다음은 JPII가 Medjugorje에 대해 언급한 사적인 의견의 예입니다. 그러나 비디오나 오디오 녹음과 같은 문서로 확인된 것은 없습니다.이 댓글들을 잘 읽어보세요. 그러면 여러분은 그 댓글들이 모두 중고라는 것을 알게 될 것입니다.[79]
다니엘 클리멕은 그의 책, "메드주고르제와 초자연적인 것"에서 슬라보미르 오데르가 자신의 책에서 요한 바오로 2세의 메주고르제에 대한 헌신을 조사하는 부분을 헌정했다고 언급했습니다.그는 또한 오데르가 요한 바오로 2세의 시성을 위한 주장을 펼치기 위해 집전관으로 임명되었다고 썼습니다.[80]오데르는 2005년 5월 13일 카밀로 루이니 추기경에 의해 임명되었으며, 그의 책인 "왜 그는 성자인가"는 그가 수집하고 그에게 맡겨진 자료의 양을 검토하는 과정에서 했던 일을 되짚어 보고 있다고 썼습니다.오데르에 따르면, 요한 바오로 2세는 메주고르제에서의 사건들이 진실이라고 느꼈다고 다른 사람들에게 개인적으로 털어놨습니다.[81]
폴 켄고르에 따르면 1982년 5월 테레사 수녀와 요한 바오로 2세 교황과 친분이 있던 파볼 흐닐리카 주교가 테레사 수녀의 고해성사이자 정신적 조언자인 레오 마스부르크 몬시뇰과 함께 러시아를 방문했는데, 이 때 요한 바오로 2세 교황이 1982년 5월 13일 러시아를 '무결한 성모의 심장'에 봉헌했습니다.[19][21]마리 체르닌은 흐닐리카가 로마로 돌아왔을 때 교황 요한 바오로 2세가 그를 만나 무엇보다도 "메디주고르제는 파티마의 연속이며, 파티마의 완성이다!"[81][82]라고 말했다고 썼습니다.흐닐리카는 요조 조브코와 슬라브코 바르바리치를 포함한 메주고르제 현상의 저명한 지지자들과 함께 평화의 여왕 위원회의 사무국의 일원이었습니다.[83]
바티칸 인사이드의 안토니오 가스파리는 교황이 "만약 내가 교황이 아니었다면, 아마 지금쯤 메주고르제를 방문했을 것입니다"[19][84][85][86][citation needed]라고 말했다고 썼습니다.
안토니오 가스파리 추기경에 따르면 프라하의 명예 대주교인 프란티섹 토마섹 추기경은 교황 요한 바오로 2세가 교황이 아니었다면 순례를 돕는 메주고르제에 있고 싶었을 것이라고 진술하는 것을 들었습니다.[84][87][88]
다니엘 클리멕(Daniel Klimek)에 따르면, 관람객 중 한 명인 미르자나 드라기체비치(Mirjana Dragicevic)는 세인트루이스에서 열린 일반 청중에 참석했습니다.1987년 7월 로마의 베드로 대성전에서 요한 바오로 2세가 그녀가 누구인지 발견했을 때, 그는 다음날 아침 교황의 사저인 카스텔 간돌포에서 그녀를 사적인 모임에 초대했습니다.그들이 대화하는 동안에, 그는 메주고르제에 대해서 이렇게 말했습니다.[80]
"메주고르제에 있는 순례자들에게 제 뜻을 비는 것을 부탁해 주십시오.메주고르제에 대해서는 다 알고 있습니다.저는 처음부터 메시지를 따라 했습니다.메주고르제를 잘 보살펴 주시오, 미르자나.메주고르제는 전 세계를 위한 희망입니다.내가 교황이 아니었다면 오래 전에 메주고르제에 갔을 겁니다."[89][80]
Dziwisz 추기경은 "가장 강력한 용어로 그것을 배제할 수 있습니다.그들은 선지자 중 한 명이 미르자나인지 비카인지는 확실하지 않지만, 어느 날 교황이 지나갈 때 일반 청중들에게 와서 인사를 했다고 말합니다.하지만 그는 그녀에게 아무 말도 하지 않았습니다.그렇지 않았더라면 그는 기억했을 것입니다.게다가 교황은 자신이 누군지도 모르고 있었습니다."[77]
요한 바오로 2세의 개인적인 친구인 마렉과 조피아 스크워니키는 그들에게 폴란드어로 쓴 편지를 쓸 수 있게 했고, 메주고르제를 긍정적으로 언급했습니다.[80][87]클리멕은 "한 편지에서 요한 바오로 2세는 메주고르제의 성모 마리아의 존재를 직접적으로 언급했다"[80]고 썼습니다.데니스 놀란은 요한 바오로 2세가 스크워니키에게 바치는 성인의 사진 뒷면에 다음과 같이 썼다고 지적했습니다. "저는 조피아에게 메주고르제에 관한 모든 것에 감사합니다.나도 날마다 기도하러 그 곳에 갑니다. 거기에서 기도하는 사람들과 거기에서 기도하는 부르짖음을 받는 모든 사람들과 하나가 되어 있습니다.오늘 우리는 소환장을 이해하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87][88]
언론인 메리 루크에 따르면, 1992년 6월 17일, 음모 사건 당시 프란치스코회 목사였던 요조 조브코가 전 유고슬라비아 전쟁 중 로마에서 요한 바오로 2세를 만났습니다.교황은 메주고르제에 대해 "당신에게 축복을 드립니다.용기를 내 나는 당신과 함께 합니다.메드주고르제에게 내가 당신과 함께 있다고 말하세요.메주고르제를 지켜주십시오.성모님의 메시지를 보호합니다."[90]루크는 또한 조브코가 "교황께서 내 손을 아주 단호하게 흔들며 '메드주고르제를 지키소서, 메주고르제를 보호하라'고 말씀하셨다"고 기록했습니다.[91]
안토니오 가스파리는 프란치스코 수도회 총사령관을 만난 자리에서 "메드주고르제 주변의 모든 폭탄이 떨어지고 있지만, 메주고르제 자체는 훼손되지 않았습니다.이것은 어쩌면 신의 기적이 아닐까요?"[19][84]
바오로 켄고르는 요한 바오로 2세가 자신의 저서 '교황과 대통령'에서 "만약 그들이 개종하고, 기도하고, 단식하고, 고백하고, 참회하고 있다면, 그들을 메주고르제로 가게 하라"고 말했다고 썼습니다.[19]
교황 베네딕토 16세 (2005–2013)

교황 베네딕토 16세와 신앙교리회는 친 메주고르제로 여겨지지 않았습니다.베네딕토 교황의 재임기간 동안 바티칸 관리들은 일반적으로 프란치스코회 신자들을 통제하고 마리아의 메시지와 기도를 선전하는 사람들에 대해 불신했습니다.베네딕토 16세가 교황직에서 물러났을 때, 많은 메주고르제 지지자들은 안도했습니다.[92]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마찬가지로, 메주고르제에 대한 많은 긍정적인 진술들은 교황 베네딕토 16세가 추기경으로 남아있을 때 그가 1998년 7월에 "날조된 것"이라고 일축한 것에 기인합니다.[72][73]
페리치 주교는 2006년 로마를 방문하여 교황 베네딕토 16세와 메주고르제 현상에 대해 논의한 결과, 교황은 "우리는 신도들이 어떻게 그렇게 오랜 세월 동안 매일 일어나는 진정한 미신을 받아들일 수 있는지 자문했다"[93]고 말했다고 보도했습니다.
2009년, 교황 베네딕토 16세는 토미슬라프 블라시치의 전 영적 지도자를 비난했습니다[94].[49]
2010년 교황 베네딕토 16세는 메디조르제를 연구하기 위해 국제 바티칸 위원회인 루이니 위원회를 설립했습니다.[49][59]위원들의 의견이 맞지 않아 위원회의 업무가 처음부터 어려웠습니다.일부 핵심 위원들은 의혹 제기가 진행되는 동안 위원회가 결정을 전혀 내릴 수 없다고 느끼고 위원회 회의 참석을 중단했습니다.그러나 베네딕토 교황의 임기가 끝날 때까지 위원회는 작업을 완료하지 못했고, 그 결과는 베네딕토 교황의 후임 교황 프란치스코가 승계했습니다.[92]
프란치스코 교황 (2013년 ~ 현재)

2017년 5월 인터뷰에서 프란치스코 교황은 카밀로 루이니 추기경이 위원장을 맡은 위원회의 조사 결과에 대해 언급하면서 보고서가 초기 계획들에 대해 "계속 연구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고 이후 계획들에 대해 의문을 표시했다고 말했습니다.그는 또한 그가 "매일 메시지를 보내는 전신국의 책임자가 아닌 어머니, 어머니로서의 마돈나"를 선호한다고 말하며 그 유령들에 대한 자신의 의심을 표현했습니다.[62]
로마리포트는 교황이 "거기에 가서 개종하는 사람들이 있고, 하나님을 발견하고 삶이 변화하는 사람들이 있다"며 "이는 부정할 수 없는 영적이고 목회적인 사실"이라고 말했다고 보도했습니다.[95]
조란 밀라노비치 크로아티아 대통령은 2021년 11월 교황을 만난 뒤 "메드주고르제의 상업화는 메주고르제의 지위에 대한 심각한 규제에 장애가 된다"며 "고스파가 매일 등장하는 것을 중단한다면 좋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96]
목회평가
![]() |
2017년 2월, 바티칸 뉴스의 베르나데트 메리 레이스(Sr. Bernadette Mary Reis)는 프란치스코 교황이 폴란드 대주교 헨리크 호저(Henryk Hoser)를 특사로 임명하여 "메드주고르제의 목회 상황에 대해 더 깊이 있는 지식을 습득"하고 "무엇보다도 순례를 오는 신자들의 요구"를 "미래를 위한 어떤 목회적 이니셔티브를 제안"할 것이라고 보도했습니다.[69][97]
2017년에는 전 세계 80여 개국에서 온 약 2백만 명의 사람들이 메주고르제를 방문했습니다.[98]대주교는 2017년 여름 교황에게 자신의 연구 결과를 보고했습니다.[99]
2018년 5월 31일 교황 프란치스코는 호저 대주교를 교황의 재량에 따라 장기간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특사로 임명했습니다.호저 대주교는 프란치스코 교황에 의해 메주고르제에서 사람들이 받고 있는 목회적 돌봄의 질을 평가하기 위해 임명되었습니다.[69]가톨릭 뉴스 서비스의 신디 우든 씨는 루이니 위원회가 이 마을의 성 야고보 교구 성당을 바티칸의 감독을 받는 교황청의 성지로 만들 것과 교구와 교구 모두의 순례 금지를 해제할 것을 권고했다고 밝혔습니다.우든은 페렐라 신부가 목회적 관점에서 이것은 메주고르제를 여행하는 수백만 명의 헌신과 기도, 개종을 인정할 것이며 "여행사가 아닌 목사가 그곳에서 일어나는 일을 책임지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고 썼습니다.[65]
언론사 California Network의 Marshall Connolly에 따르면, Hoser가 목격한 것은 대주교에게 진정한 일이 일어났다는 것을 확신시켰습니다.[100]가톨릭 온라인에 따르면 호저는 폴란드 가톨릭 통신사 KAI에 "모든 징후는 아마도 올해까지도 폭로가 인정될 것이라는 것입니다."라고 말했습니다.그는 "구체적으로 루이니 위원회가 제안한 최초의 장치들의 진위를 인정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생각한다"[100]고 덧붙였습니다.
2017년 2월부터 메주고르제 교구의 특별 사도 방문객이었던 폴란드 대주교 헨리크 호저가 2021년 8월 13일 금요일 폴란드 바르샤바 내무부 병원에서 선종하였습니다.[101]2021년 11월 27일 프란치스코 교황은 메주고르제 교구에 알도 카발리 대주교를 임명했습니다.[102]
공식 순례 허가

엘리스 해리스(Elise Harris)는 2019년 5월 12일 프란치스코 교황이 메주고르제에 오는 많은 사람들과 "그로부터 흐르는 풍부한 은혜의 열매"를 고려하여 메주고르제 순례를 허가했다고 밝혔습니다.[1]순례는 이제 공식적으로 교구와 교구에 의해 조직될 수 있지만, 이 허가서는 주장된 비전의 진위와 관련된 여전히 중요한 교리적 문제를 다루지 않았습니다.[103]이에 따라 사도 방문자는 "이들 지역의 주교들과 함께 이들 순례를 주관하는 사제들과 관계를 맺는 더 많은 능력을 갖게 될 것"이며, 이들이 "건전하고 잘 준비될 수 있도록" 할 것입니다.[104]제30회 연례 청소년 축제는 2019년 8월 1일부터 6일까지 개최된 제1회 청소년 축제입니다.순례 기간 동안, 전세계에서 온 약 5만명의 젊은 가톨릭 신자들이 참여했습니다.[105]
선견자로 추정되는 인물들
이방카 이반코비치
이반카 이반코비치는 1966년 비하코비치에서 태어났습니다.그녀는 14살의 나이였습니다.그녀의 어머니는 그 해 5월에 돌아가셨습니다.그녀는 그 유령을 가장 먼저 보았습니다.이반 드라기체비치나 비카 드라기체비치처럼 그녀는 고스파가 1983년 1월에서 5월 사이에 자신의 전기를 말했다고 주장합니다.그녀는 1985년 5월 7일까지 정기적인 파티를 열었고, 그 이후로 그녀의 첫 파티 기념일인 1981년 6월 24일에 1년에 한 번 파티를 열었다고 주장합니다.[106]그녀는 10개의 비밀 모두를 복음서에 의해 전해졌다고 주장합니다.[106][107]
그녀는 라즈코 엘레즈와 결혼하여 3명의 자녀를 두고 있습니다.라즈코 엘레즈는 지역 식당을 운영하는 여섯 아들 중 한 명입니다.[106]그들은 메주고르제에 삽니다.[106][107]
미르자나 드라기체비치 솔도
미르자나 드라기체비치 솔도는 1965년 사라예보에서 태어났습니다.그녀는 15살이었고, 그 당시에 그는 15살이었습니다.그녀는 사라예보에서 얼마 동안 살았고, 그곳에서 그녀는 교육을 마쳤습니다.그녀는 복음서를 본 두 번째 사람이었습니다.그녀는 1981년 6월 24일에서 1982년 12월 25일 사이에 정기적인 파티를 열었다고 주장합니다.그녀는 환영이 멈추고 복음서를 다시 보기를 기도하자 우울해졌다고 말했습니다.쿠틀레샤(Kutlesha)에 따르면 솔도는 "일반적으로 인류를 위해, 세계를 위해, 메주고르제를 위해, 유고슬라비아를 위해, 그리고 일부 다른 지역과 표지판에 대한" 10가지 비밀을 모두 받았습니다.미르자나는 복음서가 생일에 복음서를 볼 것이라는 선물을 남겼다고 말했습니다.[108]《오글레달로 프라브데》에 따르면, 1987년 8월 2일 현재 솔도는 "매달 둘째 날마다 내 안에서 성모님의 목소리가 들리고, 가끔 성모님을 뵙고, 성모님과 함께 불신자들을 위해 기도합니다"라고 말했습니다.1997년 1월 2일 현재, 솔도는 복음서가 몇 시에 올지 알고 있었습니다 - 오전 10시에서 11시.[109]
그녀는 그 유령이 "일반적으로 인류를 위해, 세계를 위해, 그리고 메주고르제, 유고슬라비아, 그리고 일부 다른 지역을 위해" 의도된 10가지 비밀을 말해주었다고 주장합니다.솔도는 또한 모든 목격자들에게는 특별한 임무가 있다고 말했습니다.그녀에게는 신의 사랑을 모르는 사람들, 아픈 사람들에게는 비카 이반코비치와 야코프 촐로, 젊은 사람들과 성직자들에게는 이반 드라기체비치, 연옥에 있는 영혼들에게는 마리야 파블로비치, 가족들에게는 이반코비치가 주어졌습니다.[110]
솔도는 1989년부터 프란치스코회 고 슬라브코 바르바리치 신부의 조카인 마르코 솔도와 결혼해 두 자녀를 두고 있습니다.그들은 호텔을 소유하고 있는 [106]메주고르제에 살고 있습니다.[111]그들은 또한 수추라지의 크로아티아 흐바르 섬에 저택을 소유하고 있습니다.[111]그녀의 딸 중 한 명인 베로니카는 모스타르 대학에서 공부했습니다.[111]
솔도는 "내 마음은 승리할 것입니다"라는 제목의 자서전을 썼습니다.[111]
2020년 3월 18일, 미르자나 드라기체비치는 매달 두 번째로 축복받은 어머니가 더 이상 그녀에게 나타나지 않을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112][113]
마리야 파블로비치 루네티

마리야 파블로비치 루네티는 1965년 메주고르제 근처의 비하코비치에서 태어났습니다.[106]그녀는 모스타르에서 중등학교를 마쳤습니다.동생의 생명을 구하기 위해 그녀는 신장 중 하나를 기증했습니다.그녀는 1981년 6월 25일에 처음 본 성모 출현설 당시 16살이었습니다.[114]그녀는 매일 기도를 받고, 복음서로부터 9개의 비밀을 받았고, 전 세계를 대상으로 매달 25일에 메시지를 받는다고 말합니다.이 메시지들은 선지자 토미슬라프 블라시치를 감독하는 프란치스코회 사람들에 의해 처음 공개되었고, 그 후 슬라브코 바르바리치를 따라 공개되었습니다.그녀는 연옥에 있는 영혼들을 위해 기도하는 임무를 받았습니다.[114]
그녀는 이탈리아인 파올로 루네티와 결혼하여 4명의 자녀를 두고 있습니다.[106]1년 중 대부분을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녀는 메주고르제를 자주 방문합니다.[115][106]그녀는 이탈리아 기자로부터 왜 수녀가 되지 않았느냐는 질문을 받았는데, 그 질문에 그녀는 수도원에 끌린다고 느꼈지만, 그녀의 천직은 자신이 보고 느낀 것을 목격하는 것이라는 것을 깨달았다고 대답했습니다.그녀는 수도원 밖에서 거룩한 길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114]
1988년 2월, 그녀는 이탈리아 파르마에 위치한 "평화의 여왕, 당신의 완전한 당신의" 커뮤니티에서 뉴에이지 홍보자인 [116]프라 토미슬라프 블라시치와 [citation needed]그의 15명의 젊은 남녀 그룹에 합류했습니다.[117]르네 로랑탱은 그녀가 블라시치의 그룹에 합류한 것이 "열정적"이었다고 썼습니다.[118]그들은 함께 기도에 완전히 집중된 다섯 달 동안 영적인 운동에 참여했습니다.블라시치는 1987년부터 독일인 조력자인 아그네스 휴펠과 함께 신비로운 공동체를 설립한 전직 수도사였습니다.휴펠은 복음서로부터 메시지를 받았다고 주장했습니다.[117]블라시치는 루네티의 증언을 통해 공동체는 복음서 자신의 작품이며, 루네티는 1987년 3월에 공동체에 대한 자신의 질문에 대한 답을 복음서에 전달했다고 주장했습니다.블라시치는 루네티가 "이것은 신의 계획이다"라고 말했고, "고스파는 아버지 토미슬라프와 아그네스를 통해 그룹을 이끌었고, 이를 통해 그녀는 공동체를 위해 자신의 메시지를 보낸다"고 주장했습니다.[119][non-primary source needed]
메주고르제에 있는 그녀의 친구들과 가족들은 블라시치의 야망을 염려하여 그녀의 순응을 두려워했습니다.[120][citation needed]그들은 그녀가 그룹에서 탈출하는 것을 도왔습니다.[120]그녀는 1988년 7월에 떠났고 복음서로부터 공동체에 관한 어떤 메시지도 받지 않았다고 서면으로 부인했습니다.[117]랜달 설리번에 따르면, 1988년 7월 그룹을 탈퇴한 후 작성된 루네티의 공개 서한에서 그녀는 블라시치의 주장이 "절대적으로 진실과 일치하지 않는다"고 말했습니다.[120]
파블로비치 루네티는 마리아 발토르타의 책 '인간-신의 시'를 공개적으로 지지하면서 큰 당혹감을 자아내기도 했습니다.발토르타의 책에는 교회 당국이 "사기꾼이거나 병든 마음에서 비롯된 것"으로 지정한 초자연적 폭로가 담겨 있습니다.파블로비치 루네티는 마돈나가 이 책에 대해 "읽을 수 있다"고 말했다고 전했습니다.좋은 읽기에 도움이 됩니다."그녀의 진술은 가톨릭 신학자들을 추문했습니다.[121]
비카 이반코비치 미야토비치
비카 이반코비치 미야토비치는 1964년 메주고르제 인근의 비하코비치에서 태어난 것으로 추정되는 목격자들 중 가장 나이가 많은 사람입니다.그녀는 16살에 범행을 저질렀다고 주장했습니다.그녀는 일상적인 상상을 하고, 때로는 하루에 두 번, 세 번, 네 번 또는 다섯 번씩 한다고 말했습니다.[106]Vika는 Gospa가 1983년 1월부터 1985년 4월까지 그녀의 지상 생활의 세부사항들을 그녀에게 지시했다고 말했습니다.그것은 공책 세 권을 가득 채웠습니다.[106][122]그녀는 성모 마리아와 기도하고 대화를 나누며 9가지 비밀을 받았다고 말했습니다.축복받은 성모 마리아에 의해 주어진 그녀의 기도 임무는 아픈 사람들을 위해 기도하는 것입니다.비카는 그녀의 일상적인 모습들이 아직 멈추지 않았다고 말합니다.[114]
위원회를 위해 비카의 일기를 조사했던 니콜라 불라트에 따르면, 토미슬라브 블라시치는 선지자들의 첫 번째 정신적 안내자이자 상상의 연대기 작가였습니다.이 연대기는 1981년 8월 11일부터 1983년 10월 15일까지의 기간을 다루고 있습니다.[123]비카는 그녀의 일기 중 일부는 그녀의 여동생에 의해 쓰여진 것이고 일부는 그녀가 쓴 것이라고 말했습니다.[124]메주고르제 현상에 대한 논란 중 하나는 그녀의 동의 여부와 관계없이 공개된 그녀의 상상에 대한 일기였습니다.그녀는 자신의 일기를 베낀 것이 자신도 모르게, 또는 동의 없이 일어났다고 주장했습니다.[citation needed]
2002년[122] 마리호 미야토비치와 결혼하여 슬하에 두 자녀를 두고 있습니다.[106]미야토비치 가족은 메주고르제 근처 크레힌 그라다크에 있는 벽으로 둘러싸인 별장에 살고 있습니다.[111]
이반 드라기체비치
이반 드라기체비치는 1965년 모스타르에서 태어났습니다.그는 15살이었고, 그 당시에 그는 15살이었습니다.초등학교를 졸업하고 치틀루크에 있는 중등학교에 입학했지만 합격하지 못했습니다.1981년 8월, 그는 헤르체고비나 프란치스코 주의 신학교에 지원하였고, 그곳에서 그는 이미 소문난 유령들로 알려져 있었고, 그래서 그는 비소코에 있는 신학교로 보내졌습니다.신학교에서도 매일매일의 환영회를 갖는다고 주장했습니다.[125]
프란치스코 신학교에 있을 때, 그는 복음서가 예수의 모습을 보고 "천사님, 이 분이 당신의 아버지입니다"라고 말했다고 주장했습니다.이러한 교리는 성경이나 교회의 전통에서 어디에도 찾아볼 수 없다고 Ogledalo pravde에서 쓰여졌습니다.드라기체비치는 비카 드라기체비치와 마찬가지로 1982년 12월부터 1983년 5월까지 복음서가 자신의 전기를 자신에게 전해주었다고 주장했습니다.[126]목격자들은 복음서가 1981년 11월 12일 이반 드라기체비치를 자신들에게 선물하고 인사를 전했다고 주장했습니다.[127]이반 드라기체비치가 다른 지도자들에게 나타났을 때, 그들은 이반 드라기체비치가 "기쁨으로 날아가기 위해 팔을 뻗는 것"을 보았고, 마돈나는 그에게 학교 의무 때문에 11월 15일부로 그에게 나타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그는 3일 후에도 비카와 야코프에게 나타났습니다.[128][non-primary source needed]또다시 그는 합격에 실패하여 더 쉽게 합격할 것으로 생각되는 두브로브니크의 체육관으로 보내졌습니다.그는 그곳에서도 성공하지 못했고 1983년 1월에 학교를 완전히 떠났습니다.[125]
드라기체비치는 1994년 미스 매사추세츠 출신의 로린 머피와 결혼했습니다.그들은 4명의 자녀를 두고 보스턴에서 6개월간 살다가 나머지 절반은 메주고르제 교구에서 생활합니다.[129][130]그의 아내는 메주고르제 순례자들을 위한 여행사를 소유하고 있습니다.드라기체비치는 메주고르예에 호텔을 소유하고 있으며 100만 달러 상당의 재산을 소유하고 있습니다.[111]
2013년 10월 신앙교리성의 게르하르트 뮐러 대주교는 미국 주교들이 드라기체비치가 전국의 교구에서 발표를 할 예정이고 이 회담 동안 더 많은 기도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는 것을 알기를 바랐습니다.가톨릭 입장에 따르면, 미국 주재 사도 수녀회는 1991년 자다르 선언에서 가톨릭 신자들은 성직자든 평신도든 회의, 회의 또는 공개적인 축하 행사에 참가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으며, 이 기간 동안 이러한 '예배'의 신뢰성은 당연하다고 생각할 것이라고 주교들에게 조언했습니다.[131]CDF가 그러한 모임을 금지한 유고슬라비아 주교들의 판결이 여전히 유효하다고 판단함에 따라 이 편지는 미국의 모든 교구로 보내졌습니다.[132]
야코프 촐로

야코프 촐로는 1971년 3월 6일 비하코비치에서 태어났습니다.그의 아버지는 그가 8살 때 가족을 버렸고 그의 어머니는 그가 12살 때 알코올 중독으로 세상을 떠났습니다.[106]그는 10살이었고, 그 당시에 그는 10살이었습니다.1981년 6월 25일부터 1998년 9월 12일까지 매일 출연했다고 주장했습니다.그때를 기준으로 크리스마스에 1년에 한 번의 환영이 있고 복음서가 열 번째 비밀을 알려줬다고 했습니다.[133]
그는 1993년 이탈리아인 아날리사 바로치와 결혼했습니다.그들은 세 명의 자녀를 두고 있으며 메주고르제에 살고 있습니다.[133]
다른 목격자 주장
요조 조브코
비전의 시작부터 그곳에 있었던 메드주고르제의 전 교구 사제 요조 조브코는 처음에는 회의적이었지만, 마침내 그는 선견지명 있는 옹호자이자 보호자가 되었습니다.[134]그는 1983년 4월 11일 교회에서 성모님의 환영을 받았다고 합니다.[135]
야코프 촐로와 비카 이반코비치는 1981년 10월 19일 그가 재판을 받는 동안 조브코의 유령을 보았다고 주장합니다.기도하는 동안 마돈나와 함께 웃고 있는 조브코를 보게 되었습니다.르네 로랑탱은 조브코가 "그를 두려워하지 말라고, 모든 것이 잘 되었다고 그들에게 말한다"고 썼습니다.[136][137]
마돈나는 1981년 10월 21일 야코프와 비카에게 나타난 것으로 전해지고 있습니다.르네 로랑탱은 조브코에 대해 걱정하지 말라고 말했고, "조조는 잘 생기고 따뜻하게 맞이합니다.조조를 두려워하지 마십시오.그는 성인입니다.이미 말씀드렸습니다."[127]르네 로랑탱은 유령이 그들에게 "오늘 저녁에는 이 문장이 발음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고 썼습니다.두려워 말라, 그는 엄중한 처벌을 받지 않을 것이니..."[136]라고 말했다. 블라시치의 연대기에 따르면, 그들에게 재판이 계속될 것이라고 예언자들이 말했지만, 그 날 재판은 끝났고, 그 다음날 선고가 내려졌습니다.[138][non-primary source needed]조브코의 형은 다음과 같이 감형되었습니다.3+1 ⁄ 2년 징역형.1983년 2월 공산주의자들은 18개월간의 힘든 노동 끝에 조브코를 석방했습니다.[19]
옐레나 바실리
메주고르제 출신의 젊은 여성인 옐레나 바실즈는 1983년 5월 24일 성모 마리아의 내부 장소를 가지고 있었다고 전해집니다.[140]
경제적 영향
아일랜드 타임즈의 다니엘 맥라흘린에 따르면 유고슬라비아 당국은 처음에는 이 음모를 크로아티아 극단주의자들의 음모에 불과하다고 여겼지만, 점차 "돈이 부족한 유고슬라비아 당국은 메드주고르제의 상업적 잠재력을 실현했습니다."[7]Paolo Apolito는 1980년대 동안, Medjugorje는 평균적으로 백만 명의 순례자들이 방문했다고 말합니다.방문 횟수는 1995년 보스니아 전쟁이 끝난 후에도 계속되었습니다.[141]


메주고르제의 인기는 지역 사회를 시골에서 지역 중심지로 바꾸어 놓았습니다.[142]저널리스트 이네스 산 마틴(Inés San Martin)은 메주고르제를 "1981년 마을 이상이 되지 않았고, 그 이후 식당과 종교 상점이 당면한 유일한 상업 활동인 하나의 큰 호텔로 성장했습니다."라고 설명했습니다. 산 마틴은 이어 "메주고르제의 신성한 산업은 결코 독특하지 않습니다.로마의 성(聖)에서.성모 마리아의 모습에서부터 교황의 머리를 까딱거리는 모습에 이르기까지 끝없이 종교적인 기사들을 파는 상인들인 베드로 광장에서 루르드까지 모든 주요 가톨릭 장소에서 볼 수 있는 풍경의 일부입니다.[85]
일부 수익은 크로아티아 군대에 자금을 대는데 불법적으로 사용되었습니다.영국 출신의 한 사업가가 전쟁고아들을 위해 모은 것으로 보이는 돈을 사용했지만 그 돈은 크로아티아군에 전달됐습니다.[143]
가디언에 따르면, 1997년에 헤세고바치카 방카는 "여러 민간 회사와 프란치스코 수도회에 의해 설립되었는데, 이는 순례자들과 해외에 거주하는 크로아트인들의 기부금 모두를 통해 주요 수입원인 메주고르제의 종교 성지를 통제하는 것입니다."모스타르에 위치한 이 은행은 여러 마을에 지점이 있습니다.2001년, 이 은행은 보스니아의 크로아티아 지역에서 독립적인 미니 국가를 설립하려는 보스니아계 크로아티아 분리주의자들과의 관련 가능성에 대해 조사를 받았습니다.[144]프라 토미슬라프 페르반과 프라 이반 셰반은 크로아티아 국방 위원회의 전직 장교 3명과 함께 은행 감독 위원회의 일원이었습니다.[145]가디언에 따르면 2001년 4월 6일 "나토가 이끄는 안정화군(S-For)의 지원을 받은 복면 경찰이 이 은행을 장악했다"고 말하자 현지인들은 반응했습니다.가디언에 따르면 "모스타르 은행의 대변인인 밀란 수탈로는 이러한 조치를 '공공기관이 아닌 민간 은행이기 때문에 절대적으로 불법'이라고 말했습니다.무장한 사람들이 은행에 올 이유가 없었습니다."[144]베체른지리스트 BiH에 따르면 수십 년 후 외국계 은행이 추진한 내용에 따르면 사실상 메가 범죄로 간주될 만한 중요한 사항이 발견되지 않았지만 은행은 물론 다수의 회사가 파괴되었고 수백 개의 회사와 저축자의 돈이 차단되었습니다.[146]
2016년, 한 이탈리아인이 메주고르제 신사로 순례객들을 안내하던 외국인들로부터 돈을 갈취하는 단체에 소속된 것으로 유죄 판결을 받았습니다.[147]
2018년 7월 메주고르제의 사도 방문객 헨리크 호저는 마피아가 순례지, 특히 나폴리 마피아인 카모라를 침투했다고 말했습니다.나폴리에 있는 나폴리 신문 Il Mattino에 따르면, 치안판사들은 메주고르제에 있는 순례 사업, 3개의 호텔, 가이드 서비스, 기념품 판매업자들에 대한 카모라티들을 조사하고 있습니다.[148]
2020년 3월 20일, AP통신은 메주고르제의 텅 빈 거리에 대한 영상을 선보였는데, 현지인들은 현재 "국제 및 유럽의 광범위한 여행 제한과 코로나바이러스 팬데믹에 대한 불안이 방문객들의 극적인 감소로 이어지고 생계에 피해를 줄 것을 두려워한다"고 썼습니다.[149]
2020년 6월 25일, 로이터 통신은 여행 제한으로 인해 연간 10만 명이 넘는 순례객이 크게 줄었고 지역 사업의 수익도 감소했다고 보도했습니다.[150]
크로아티아 민족주의
메주고르예는 크로아티아와의 국경에서 동쪽으로 약 20km 떨어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 위치한 도시로, 민족적으로 크로아티아 지역이 압도적으로 많습니다.[151]크로아티아 작가인 슬라벤카 드라쿨리치는 "크로아티아에서 종교는 국가를 의미하고 국가는 종교를 의미합니다.그녀는 이어 "지난 인구조사에서 크로아티아인의 90% 이상이 자신들이 가톨릭 신자라고 말했습니다.그들이 신자이기 때문이 아니라 '우리는 세르비아인이 아니다'라고 말하는 식으로 말입니다.그래서 메주고르제는 상징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크로아티아는 가톨릭 국가로서의 크로아티아 정체성의 일부입니다."[152]크리스 메릴(Chris Merrill) 교수는 "그 유령들이 실제로 일어났든 아니든 간에, 그것들은 국가 정체성 구축의 일부가 되었습니다."[152]라고 언급했습니다.
헤르체고비나 프랑크인들은 독립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보다 크로아티아의 분리된 국가를 선호했고, 보즈니아 무슬림들과 싸우는 크로아티아 민족주의자들을 지지했습니다.[153]보스니아 전쟁의 종결은 서부 보스니아에 크로아티아의 자치권을 요구하는 것을 종식시키지 못했습니다.유럽안보협력기구(OSCE)의 대변인 헤닝 필립은 보스니아에 크로아티아 독립체를 만든 것은 전쟁을 끝낸 데이턴 협정에 따른 것이 아니라고 말했습니다.[151]2001년 4월, NATO가 이끄는 안정화군은 프란치스코 지방이 은행의 주주였던 헤르체고바치카 은행(헤르체고바치카 은행)의 지역 지점들을 폐쇄하고 수색했습니다.[154][155]이 은행은 메주고르제를 위한 국제 기부금을 포함하여 헤르체고비나의 통화 거래의 많은 부분을 처리했습니다.이번 단속은 헤르체고비나의 크로아티아 분리주의자들을 위한 무기 구입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화이트칼라 범죄 의혹과 크로아티아 민주연합(HDZ)[151]에 돈을 뿌렸다는 의혹에 근거했습니다.[citation needed]2004년 1월 23일, 보스니아계 크로아티아인 정치인 미로슬라프 프르체와 안테 옐라비치, 그리고 사업가 미로슬라프 룹치가 은행 예금을 횡령한 혐의로 체포되었습니다.[156]메주고르제 교구 목사는 신사와 HDZ의 연관성에 대한 생각을 일축했습니다.[151]
한편으로, 마을 사람들은 보스니아의 국제 행정에 대해 불평했습니다.그들은 외국인들이 우리에게 무슬림과 그들의 강력한 군대와의 연합을 강요했다고 말했습니다.저널리스트 아리 파남(Arie Farnam)은 이 마을 주민이 "아무도 우리가 어떻게 생각하는지 묻지 않았습니다.그들은 우리의 선출된 대표자들을 금지하고, 그들 자신이 선택한 사람들을 우리 정부에 투입시켰습니다."[151]파남은 또한 "HDZ의 행동이 수익성이 좋은 메주고르제 부지 주변의 정치적, 경제적 거점을 방어하고 있다"는 대안적인 견해라고 언급했습니다.[151]
반응
회의론
모스타르 뒤브노 교구의 두 전직 주교 파보 ž니치와 라트코 페리치는 이 음모들이 거짓말이라고 믿는다고 말했습니다.안토니오 가스파리(Antonio Gaspari)는 처음에 자닉이 젊은 선지자들에게 지지를 보냈지만, 이후 마음을 바꿔 "메드주고르제의 주요 비평가이자 반대자"가 되었다고 썼습니다.[84]
마리아의 전문가 도날 폴리는 "슬프게도 메주고르제에 대한 유일한 합리적인 결론은 메주고르제가 매혹적이기는 하지만 거대한 종교적 환상으로 밝혀졌다는 것"이라고 말합니다.폴리는 메주고르제 컬트의 인기를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변화로 혼란에 빠진 가톨릭 신자들에게 메주고르제가 어필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습니다.[160]
가톨릭 작가 E와 같은 비평가들.Michael Jones는 그 상상들이 거짓말이라고 생각하고, 언덕에 있는 불가사의한 빛에 대한 보고들은 대기 상태에 의해 만들어진 환상이나 지역의 젊은이들에 의해 불이 붙은 불에 의해 쉽게 설명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161][162][163]Chris Maunder 그의 책 "Our Lady of the Nations"에 따르면, 작가 E.마이클 존스는 메주고르제에 적대적이고 객관적이지 않으며 "철저한 분석이 아닌 음모론을 제시"합니다.[56]
사회학 교수 레이먼드 이브는 <회의적 인콰이어러>에서 다음과 같이 썼습니다.
십대들이 처녀와 처음 만난 것은 개인적인 요인에 의한 것일 수도 있다는 것을 인정합니다.예를 들어, 방문을 처음으로 인지한 이방카는 방금 친어머니를 잃었습니다.겉모습 경험에 대한 인식은 그녀의 친밀한 동료 집단 사이에 빠르게 퍼졌습니다.그 지역의 긴장과 불안은 이러한 전염 과정과 젊은 주인공들 사이에서 믿음의 필요성을 악화시켰을 가능성이 있습니다.[90]
회의적인 조사관 조 니켈은 이야기의 모순과 같은 미신의 진위를 의심하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다고 지적했습니다.예를 들어, 처음 목격했을 때, 청소년들은 담배를 피우기 위해 포드브라도 언덕을 방문했다고 주장했습니다.이후 이들은 꽃을 따러 언덕에 갔다고 주장하며 이를 철회했습니다.Nickell에 따르면, 메시지의 "부끄러운 문맹" 성격의 문제도 있다고 합니다.[161]
서포터즈
크로아티아의 원로 성직자인 스플리트의 프래니치 대주교는 1985년 유고슬라비아 성공회 회의에서 메주고르제의 기도를 지지하고 자닉에 반대했습니다.[164]
이네스 산 마르틴에 따르면 한스 우르스 폰 발타사르는 "메드주고르제의 신학은 사실로 들립니다.나는 그것의 진실을 확신합니다.메주고르제에 관한 모든 것은 가톨릭의 관점에서 진실한 것입니다."[85]크리스 먼더는 신학자 한스 우르스 폰 발타사르가 자닉 주교를 "메드주고르제의 지지자들을 비난할 때 그의 비타협적인 스타일"로 비난했다고 썼습니다.[56]
크리스 먼더(Chris Monder)는 신부이자 신학자였던 마리학자 르네 로랑랭(René Laurentin)이 다음과 같이 메주고레의 성모에 대해 긍정적인 책을 저술했다고 언급했습니다. 마르크스주의 국가에서 한 세계를 위한 긴급한 메시지(1984), 메드주고르제의 유령에 대한 과학 및 의학 연구(1987), 그리고 지지자들을 최신으로 업데이트하기 위한 일련의 책들(최신 뉴스).[165]조앤 마리 그리어와 데이비드 O.Moberg는 Laurentin과 의학박사이자 Montpellier 대학의 교수인 공동저자 Henry Joyeux가 "정상적인 삶 동안 그리고 황홀경에 있을 때, 선지자들을 대상으로 수행된" 과학적 테스트의 결과를 사용했고, 이러한 테스트가 "신념을 방어하는 가장 강력한 논거"가 되었다고 설명했습니다.[166]

Emmanuel Maillard 수녀는 또한 메주고르제의 유령으로 알려진 것에 대한 주요 지지자이며, 가장 잘 팔리는 책들 중 일부인 메주고르제, 심장의 승리, 메주고르제의 숨겨진 아이, 메주고르제의 아름다운 이야기를 저술하고 인터넷을 통해 성모 마리아의 메시지를 홍보하고 있습니다.
프란치스코 교황의 가까운 협력자인 오스트리아의 크리스토프 쇤보른 추기경은 2009년 직접 메주고르제를 순례했습니다.[85]존 타비스(John Thavis)에 따르면, 쇤본즈의 순례는 "그가 환영에 대해 호의적으로 말하고 선지자들 중 적어도 한 명을 만난 곳에서 매우 널리 알려졌습니다."[167]
메주고르제 외곽에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비전의 위치
메주고르제는 1981년에 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비전들이 아직도 발생하고 있다고 주장되는 곳입니다.일부 선지자들은, 여행을 하거나 이사를 갈 때, 다른 장소에서 시력을 갖는다고 보고했습니다.다음은 그 중 몇 가지 목록입니다.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모스타르,[168] 사라예보,[168] 비소코 (이반 드라기체비치 고등학교)[169]
- 크로아티아: 자그레브, 바라 ž딘, 두브로브니크 신학교 (이반 드라기체비치),
- 미국:보스턴, 메사추세츠,[169] 버밍엄, 앨라배마,[170]
- 이탈리아: 밀라노,[115] 몬차[171]
- 스위스[168]
미디어
라디오 방송국 미르 메주고르제는 1997년 11월 25일부터 방송을 시작했습니다.[172]
2006년 1월부터 MIR 메주고르제는 크로아티아어 월간지 글라스니크미라("Glasnik mira")를 발행하고 있으며, 메주고르제 신사로부터 소식, 이야기, 증언을 전하고 있습니다.[173][174]
메주고르제 인 아트
만화책
- 밀리체비치, 이보, 라딜로비치, 줄리호, 젤레니카, 고란카.메주고르제: Gospai djeca, Mezugorje, 1989.
- 멀리건, 제임스.메주고르제: 2013년 첫 날. ISBN1490389083
다큐멘터리
영어에서
- 메주고르제: Martin Sheen이 내레이션을 맡은 The Lasting Sign, 작가: Rob Wallace, 1989.[175]에이신 B001O8G420
- 메두고르제:평화의 여왕 - 카르민스키 가문이 전하는 평화의 메시지 아신 B008PDGTEU
- 메두고르제(Medjugorje): 1993년 중간에서 붙잡혔습니다.에이신B003194R1K
영화들
음악
- 토미슬라프 이브치치, 메주고르제 노래, 주고톤, 1988, STEREO LSY-10032
참고 항목
각주
- ^ a b c d 2017년 해리스.
- ^ a b "Pope authorizes pilgrimages to Medjugorje - Vatican News". www.vaticannews.va. 2019-05-12. Retrieved 2020-06-17.
- ^ Luxmoore, Jonathan (2019-08-07). "Vatican confirms Medjugorje approval by joining youth festival". Catholic News Service. Retrieved 2020-07-06.
- ^ Vigano, Archbishop Carlo Maria (21 October 2013). "Vatican Warns U.S. Bishops on Medjugorje". Catholic Culture. Retrieved 6 July 2020.
- ^ Maunder 2016, 페이지 155.
- ^ Perica 2002, 110쪽.
- ^ a b c d 맥라플린 2011.
- ^ a b Belaj 2012, 페이지 81.
- ^ Maunder 2016, p. 153.
- ^ Maunder 2016, p. 5.
- ^ 니키치 1979, 43-44쪽.
- ^ a b 니키치 1979, 45-46쪽
- ^ 페리치 2002, 페이지 264.
- ^ 브란키치 2016, 페이지 164.
- ^ "Catholic Church in Bosnia-Herzegovina" (PDF). Sarajevo: Catholic News Agency, Bishops Conference of Bosnia and Herzegovina. 2002.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11-09-27. Retrieved 2011-02-22.
- ^ a b c 헤레로 1999, 페이지 143-144.
- ^ 졸리치 2013, 페이지 325.
- ^ 위블 1989, 페이지 356.
- ^ a b c d e f g Kengor, Paul (2017). A Pope and A President. Wilmington, Delaware: ISI Books. pp. 346–347, 441. ISBN 9781610171526.
- ^ Odell, Catherine M. (2010). Those Who Saw Her – Apparitions of Mary. Huntington, Indiana: Our Sunday Visitor. p. 211. ISBN 9781592765980.
- ^ a b Perica 2002, pp. 110, 116.
- ^ Budde, Michael L. (2016). Beyond the Borders of Baptism Catholicity, Allegiances, and Lived Identities. Cascade Books. p. 110. ISBN 9781498204736.
- ^ a b c d Klimek, Daniel Maria (2018). Medjugorje and the Supernatural Science, Mysticism, and Extraordinary Religious Experience.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pp. 13–18.
- ^ Kraljević, Svetozar (1984). The Apparitions of Our Lady at Međugorje. Chicago: Franciscan Herald Press. pp. 7–9. ISBN 9781610171526.
- ^ 루소, T.K., The Limits of Pilgrimage Place Routledge,[page needed] 2021, ISBN 97810422399
- ^ 콜드웰 2008.
- ^ a b c Sullivan, Randall (2004). The Miracle Detective. New York: Grove Press. pp. 78, 83–85.
- ^ 페리치, 라트코.2017년 5월 2일 "파보 ž니치 주교에 대한 메주고르제 '파피케이션'의 공격"
- ^ Kutlesha 2001, p. 75.
- ^ Kutlesha 2001, pp. 77.
- ^ a b 조프키치 1993, 페이지 84.
- ^ a b c d 조프키치 1993, 페이지 83.
- ^ Kutlesha 2001, 페이지 89: "나는 그에게 최후의 경고를 보낼 것입니다.그가 개종하거나 교정되지 않으면 나와 내 아들 예수님의 심판을 받을 것입니다.그가 내가 그에게 말하는 것을 성취하지 못한다면, 그것은 그가 내 아들 예수의 길을 찾지 못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 Kutlesha 2001, 91-92쪽: "아버지, 저의 사제들, 하나님의 말씀의 전령자들을 박해하지 마십시오. 내가 오는 것과 내가 전하는 전령들을 아직 믿지 않으시고, 그들을 생명으로 인도하십시오.사랑하는 신부님, 제 말을 잘 들으시고 입장을 취하라구요.일 시작!"
- ^ Margry, Peter Jan (2019). The Global Network of Deviant Revelatory Marian Movements - Found in Maunder, Chris (ed.). The Oxford Handbook of Mary. Oxford, UK: Oxford University Press. pp. 665–668, 670.
- ^ Kutlesha 2001, pp. 75–78.
- ^ Kutlesha 2001, p. 80.
- ^ a b Kutlesha 2001, 페이지 42.
- ^ a b Kutlesha 2001, p. 81.
- ^ a b Kutlesha 2001, 페이지 64.
- ^ ž니치 1990, p. 2.
- ^ 벨리콘자 2003, 페이지 208.
- ^ Belaj 2012, 페이지 90-91.
- ^ a b c d Thavis 2015, 페이지 66.
- ^ a b c Maunder 2016, 페이지 160.
- ^ Kutlesha 2001, 페이지 43.
- ^ Kutlesha 2001, 페이지 89.
- ^ a b c d e Thavis 2015, 페이지 67.
- ^ a b c d e f g 모더 2016, 페이지 161.
- ^ Maunder 2016, 페이지 162.
- ^ 바이얼 2021.
- ^ DW 2020.
- ^ a b 조프키치 1993, p. 77.
- ^ ž니치, 파바오1987년 7월 25일, "Izjava Mostarskog Biskupao Medjugorju"
- ^ Bulat 2006, pp. 26–29: "크로니클이 수정되었다는 것은 1982년 1월 3일 발췌한 것에서 알 수 있습니다.Msgr에게 제출된 크로니클에서.ž니치는 두 개의 예배당에 대한 두 개의 원본 전단을 가지고 있는데, 하나는 비카가 쓴 것이고, 다른 하나는 미르자나가 쓴 것입니다.똑같은 발췌문을 Fr가 가져왔습니다.그라페나워와 그는 토미슬라프의 연대기를 베꼈다고 주장합니다.그러나 크로니클에 실린 비키의 원래 논문은 Msgr에게 제출되었습니다.ž니치는 그라페나우어가 제시한 발췌문에 전혀 동의하지 않으며, 그라페나우어의 명시적인 진술에 따르면 그것은 FR이 작성한 연대기에서 복사되었을 것입니다.토미슬라프 블라시치
- ^ a b c d e f Maunder 2016, pp. 153–155, 157, 161–163
- ^ "Biskupije Mostar-Duvno i Trebinje-Mrkan Dioeceses Mandetriensis-Delminiensis et Tribuniensis-Marcanensis". Cbismo.com (in Croatian). Retrieved 2017-01-08.
- ^ 페리치, 라트코.티에리 부테에게 보내는 편지, 1997년 10월 2일
- ^ a b Thavis 2015, 94-95쪽.
- ^ "Holy See confirms creation of Medjugorje Commission". Catholic News Agency (ACI Prensa). 17 March 2010.
- ^ "Medjugorje Commission Announced". Catholic News Service. 28 March 2010.
- ^ a b c d e f g h i 토르니엘리 2017.
- ^ "Commission to submit study on Medjugorje". News.va. 2014-01-18. Retrieved 2017-01-08.
- ^ "Vatican says no miracles have taken place at Medjugorje". La Croixe International. 7 January 2022. Retrieved 6 June 2022.
- ^ a b c Cindy Wooden (2017-05-18). "What's going on with Medjugorje? An interview with a priest assigned to investigate it". www.americamagazine.org. Retrieved 2022-01-08.
- ^ Sotelo, Nicole (2015-06-06). "Francis: Decision on Medjugorje visions to come soon National Catholic Reporter". Ncronline.org. Retrieved 2017-01-08.
- ^ Edward Pentin (2015-06-26). "Vatican Remains Mum on Medjugorje: No Decision Has Been Made". Ncregister.com. Retrieved 2017-01-08.
- ^ eKAI (26 June 2017). "The authenticity of the apparitions in Medjugorje". www.ekai.pl/. Retrieved 2022-01-07.
- ^ a b c "Pope's envoy to Medjugorje begins his ministry". Vatican News. 21 July 2018. Retrieved 1 December 2020.
- ^ Orsi, Robert A. (2018). History and Presence. Cambridge, MA: Belknap Press: An Imprint of Harvard University Press. p. 50. ISBN 9780674047891.
- ^ Klimek, Daniel M. (2018). Medjugorje and the Supernatural - Science, Mysticism, and Extraordinary Religious Experience.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pp. 64–67.
- ^ a b Kutlesha 2001, 페이지 283.
- ^ a b "Progonstvo Fra Zovka: Zašto je Papa prognao fra Zovka iz Međugorja - English: The exile of Fr. Zovko: Why the Pope exiled Fr. Zovko from Medjugorje". Nacional. 2019-10-18. Retrieved 2020-08-17.
- ^ Kutlesha 2001, 페이지 257.
- ^ Kutlesha 2001, 페이지 256.
- ^ 2006년 7월 4일 가톨릭 월드 뉴스 "Medjugorje 유령의 주장은 분열을 일으킵니다.
- ^ a b 스비데르코스키, 지안 프랑코."성 교황 윌.요한 바오로 2세가 메주고르제에 대한 교황의 언명에 영향을 미쳤는가?", 알레티아, 2015. 7. 16. 16.
- ^ 타비스, 존."25년 후의 메주고르제:표시 및 진위여부 확인", CNS, 2006년 7월 3일
- ^ 마드리드, 패트릭.메주고르제와 '마시엘 효과', 2010년 4월 6일
- ^ a b c d e Klimek, Daniel Maria (2018). Medjugorje and the Supernatural Science, Mysticism, and Extraordinary Religious Experience.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pp. 2, 64–65, 197–198.
- ^ a b Oder, Slawomir Appointed the Postulator of the cause of beautification and canonization of Pope John Paul II (2010). Why He Is A Saint. New York, NY: Rizzoli International Publications, Inc. pp. 3, 167–169. ISBN 978-0-8478-3631-4.
- ^ Czernin, Marie (2004). "Medjugorje and Pope John Paul II – An Interview with Bishop Hnilica". Politik und Religion (PUR). Germany.
- ^ Kutlesha 2001, 페이지 251.
- ^ a b c d Gaspari, Antonio (November 1996). "Medjugorje Deception or Miracle?". Inside the Vatican.
- ^ a b c d San Martín, Inés (2016-09-23). "As Debate Rages Over Medjugorje, Maybe a Place of Prayer is Enough". Crux.
- ^ Sullivan, Randall (2004). The Miracle Detective. New York: Grove Press. p. 211.
- ^ a b c Oder, Slawomir Appointed the Postulator of the cause of beautification and canonization of Pope John Paul II (2010). Why He Is A Saint. New York, NY: Rizzoli International Publications, Inc. pp. 167–169. ISBN 978-0-8478-3631-4.
- ^ a b Nolan, Denis (1995). Medjugorje and the Church. Goleta, CA: Queenship Publishing. pp. 23–24, 153. ISBN 1-57918-330-1.
- ^ Soldo, Mirjana (2016). My Heart Will Triumph. Catholic Shop Publishing. pp. 197–198. ISBN 978-0-9978906-0-0.
- ^ a b "성모 마리아의 정치화: '메드주고르제 마돈나의 예'.Csicop.org .2015-08-02 검색.
- ^ Rourke, Mary (1997-05-26). "Mysticism & Miracles". The Los Angeles Times.
- ^ a b Thavis 2015, 페이지 95.
- ^ Thavis, John (2006-07-03). "Medjugorje 25 years later: Apparitions and contested authenticity". The Catholic Voice.
- ^ 2009년 라탈.
- ^ "Pope Francis' opinion on the Medjugorje apparitions". Rome Reports. 2017-05-13. Retrieved 2018-03-17.
- ^ "Milanović: Bilo bi dobro da se Gospa u Međugorju ne ukazuje svaki dan". Bljesak.info. 15 November 2021. Retrieved 6 June 2022.
- ^ "What Pope's Envoy concluded in Medjugorje?". 03 April 2017. 21 July 2018. Retrieved 1 December 2020.
- ^ "Vatican Mission Begins in Medjugorje! Archbishop Hoser's Historic Mass". Medjugorje Miracles. 23 July 2018. Retrieved 1 December 2020.
- ^ Medjugorje; Ruini 보고서의 결과, 2017년 5월 17일, www.lastampa.it , 2020년 7월 21일 접속
- ^ a b "Archbishop reveals a surprise about Medjugorje". Catholic Online. 23 August 2017. Retrieved 15 March 2022.
- ^ "Archbishop Hoser, Apostolic Visitor to Medjugorje, dies at 78". Vatican News. 14 August 2021. Retrieved 8 January 2022.
- ^ "Resignations and Appointments - Appointment of special apostolic visitor for the parish of Medjugorje". Holy See Press Office. 27 November 2021. Retrieved 8 January 2022.
- ^ 메니체티, 마시밀리아노.2019년 5월 12일 바티칸 뉴스국, "교황, 메주고르제 순례 허가"
- ^ 오코넬, 에드워드.2019년 5월 12일 미국 "프란치스코 교황, 메주고르제 순례단 조직 승인"
- ^ 메를로, 프란체스카.2019년 8월 2일 바티칸 뉴스국, "제30회 청소년 축제, 메주고르제에서 개막"
- ^ a b c d e f g h i j k l Connell, Janice T. (2007). The Visions of the Children (Revised ed.). New York: Grove Press. pp. 43, 84–85, 137–141, 111–115.
- ^ a b Kutlesha 2001, 페이지 36.
- ^ Kutlesha 2001, 페이지 24-25.
- ^ Kutlesha 2001, p. 24.
- ^ Kutlesha 2001, p. 25.
- ^ a b c d e f 라세타 & 마흐무토비치 2019.
- ^ "Medjugorje 'visionary' says monthly apparitions have come to an end". Catholic News Agency. 2020-03-18. Retrieved 2020-11-30.
- ^ Angelus News 2011.
- ^ a b c d Kutlesha 2001, pp. 25, 28–31.
- ^ a b 개리슨 2012a.
- ^ Kutlesha 2001, p. 29.
- ^ a b c Kutlesha 2001, p. 29-30.
- ^ 1994년 로랑, 페이지 19.
- ^ Kutlesha 2001, p. 28-29.
- ^ a b c Sullivan, Randall (2004). The Miracle Detective. New York: Grove Press. pp. 234–236.
- ^ 헤레로 1999, 페이지 155.
- ^ a b Kutlesha 2001, pp. 21 & 23.
- ^ Bulat 2006, p. 20.
- ^ Bulat 2006, 페이지 34-35.
- ^ a b Kutlesha 2001, 페이지 33.
- ^ Kutlesha 2001, 페이지 34.
- ^ a b Kutlesha 2001, p. 113.
- ^ 페리치 2010, p. 115.
- ^ "The Visionaries of Medjugorje". Retrieved 2020-11-04.
- ^ Kutlesha 2001, 페이지 34-35.
- ^ "바티칸, 미국 주교들에게 Medjugorje Apparations에 대해 조언하다", National Catholic Register/Catholic News, 2013년 11월 6일
- ^ 사이먼즈, 케빈.가톨릭의 입장, 2015년 2월 18일, "메주고르제: 해명과 불복종"
- ^ a b Kutlesha 2001, 페이지 37.
- ^ Kengor, Paul (2017). A Pope and a President. Delaware: ISI Books. p. 433.
- ^ Perica 2002, pp. 111–112.
- ^ a b Laurentin / Lejeune, Rene / Rene (1988). Messages and Teachings of Mary of Medjugorje. Mostar: The Riehle Foundation. pp. 167–170.
- ^ Kutlesha 2001, 페이지 112-113.
- ^ 페리치 2012, 페이지 98.
- ^ Sullivan, Randall (2004). The Miracle Detective. New York: Grove Press. pp. 116–118, 197, 390.
- ^ Kutlesha 2001, 페이지 122.
- ^ 폴리토 2005, 페이지 240.
- ^ Maunder 2016, 페이지 168.
- ^ Maunder 2016, p. 166.
- ^ a b 2001년 4월 6일 가디언, "당국, 보스니아 은행 '부패' 압수"
- ^ Grandits, Hannes (2016). The Power of Armchair Politicians: Ethnic Loyalty and Political Factionalism among Herzegovinian Croats, Chapter 4 from The New Bosnian Mosaic. Identities, Memories and Moral Claims in a Post War Society. Routledge New York. p. 113.
- ^ Krešić, Zoran (2021-04-06). "Hercegovacka Banka was destroyed in an attempt to turn Croats into a minority". Vecernji list. Retrieved 2022-01-09.
- ^ "Pope sending bishop to Medjugorje, Bosnian pilgrimage site". Associated Press. 28 July 2009. Retrieved 4 February 2022.
- ^ "호저, '마피아파의 메주고르제 표적'", 라 스타모아, 2018년 7월 10일
- ^ "Virus deters Catholic pilgrims from Medjugorje". AP Archive. March 15, 2020. Retrieved 6 October 2020.
- ^ Sito-Sucic, Daria (2020-06-25). "Coronavirus keeps pilgrims away from Bosnian shrine". Reuters. Retrieved 2020-10-06.
- ^ a b c d e f 파남, 아리."Medjugorje의 호전적인 메시지", The Christian Science Monitor, 2001년 7월 31일
- ^ a b 루크, 메리."신비주의와 기적", 로스엔젤레스 타임즈, 1997년 5월 26일
- ^ Budde, Michael L., "크로아티아 가톨릭 민족주의와 메주고르제의 사례", 세례의 국경 너머: 가톨릭, 충성, 그리고 살아있는 정체성 미국, 캐스케이드 북스, 2016. p. 110 ISBN 9781498204736
- ^ 동유럽 헌법 검토 자료 2008-08-21 뉴욕대학교 웨이백 머신, 2001.
- ^ SFOR은 Hercegovacka Banka nato.int , 2001년 4월 18일, 2020년 7월 6일 액세스에 대한 HR의 조치를 지원합니다.
- ^ "JELAVIÆ, PRCE AND RUPÈIÆ ARRESTED". 2004. Retrieved 17 April 2022.
- ^ "Local Bishop: Medjugorje Apparitions Are Not Credible". www.total-croatia-news.com.
- ^ "Local bishop: 'The Madonna has not appeared in Medjugorje'". www.catholicnewsagency.com.
- ^ "The Truth About Medjugorje—Donal Foley Part I". January 29, 2018.
- ^ 2006년 6월 25일 가톨릭 뉴스 서비스 "메드주고르제의 신비"
- ^ a b 닉켈, 조 (1993)기적을 찾아서: 우는 아이콘, 유물, 스티그마타, 비전과 치유의 치료법.프로메테우스 북스 페이지 190-194ISBN 1-57392-680-9
- ^ 존스, E. 마이클.(2010).메주고르제 속임수: 평화의 여왕, 인종청소, 폐허가 된 삶.피델리티 프레스.ISBN 978-0-929891-05-7
- ^ Coffin, Patrick (September 23, 2019). "147: The Medjugorje Deception—Dr. E. Michael Jones".
- ^ Maunder 2016, p. 163.
- ^ Maunder 2016, 페이지 162-163.
- ^ Greer, Joanne; Moberg, David, eds. (1999). Research in the Social Scientific Study of Religion. Vol. 10. Stamford, CT: Jai Press Inc. p. 148. ISBN 0-7623-0483-9.
- ^ Thavis 2015, 페이지 74.
- ^ a b c d e Kutlesha 2001, 페이지 49.
- ^ a b c Kutlesha 2001, 33-35쪽.
- ^ 개리슨 2012b.
- ^ Kutlesha 2001, p. 31.
- ^ 우리에 대해서 radio-medjugorje.com .접속일 2023년 4월 19일.
- ^ Glasnik mira medjugorje.hr .접속일 2023년 4월 17일
- ^ Glasnik mira plus.cobiss.net .접속일 2023년 4월 17일
- ^ 메주고르제 : 세계 고양이의 지속적인 기호.접속일 2023년 4월 19일.
- ^ Gospa imdb.com .IMDb.
참고문헌
책들
- Adriano, Pino; Cingolani, Giorgio (2018). Nationalism and Terror: Ante Pavelić and Ustasha Terrorism from Fascism to the Cold War. Budapest: Central European University Press. ISBN 9789633862063.
- Apolito, Paolo (2005). The Internet and the Madonna: Religious Visionary Experience on the Web.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ISBN 9780226021508.
- Belaj, Marijana (2012). Milijuni na putu - Antropologija hodočašća i sveto tlo Međugorja [The millions of a way - the anthropology of pilgrimage and the holy ground of Medjugorje] (in Croatian). Zagreb: Jasenski i Turk. ISBN 9789532225884.
- Budde, Michael L. (2016). Beyond the Borders of Baptism Catholicity, Allegiances, and Lived Identities. Cascade Books. p. 110. ISBN 9781498204736.
- Bulat, Nikola (2006). Istina će vas osloboditi [The Truth will set you free] (in Croatian). Mostar: Biskupski ordinarijat Mostar.
- Connell, Janice T. (2007). The Visions of the Children (Revised ed.). New York: Grove Press. pp. 43, 84–85, 137–141, 111–115.
- Emmanuel, Sister (1997). Medjugorje, the 90's - The Triumph of the Heart. Goleta, CA: Queenship Publishing Company. pp. 71–72. ISBN 978-1-7359106-0-4.
- Greer, Joanne Marie; Moberg, David O. (2001). Research in the Social Scientific Study of Religion. Vol. 10. BRILL. ISBN 9780762304837.
- Herrero, Juan A. (1999). "Medjugorje: Ecclesiastical Conflict, Theological Controversy, Ethnic Division". In Moberg, David O.; Greer, Joanne Marie (eds.). Research in the Social Scientific Study of Religion. Leiden: BRILL. ISBN 9789004496224.
- Jones, E. Michael (2010). The Medjugorje Deception: Queen of Peace, Ethnic Cleansing, Ruined Lives. Fidelity Press. ISBN 978-0-929891-05-7.
- Kraljević, Svetozar (1984). The Apparitions of Our Lady at Međugorje. Chicago: Franciscan Herald Press. pp. ?. ISBN 9781610171526.
- Kutleša, Dražen, ed. (2001). Ogledalo pravde [Mirror of Justice] (PDF) (in Croatian). Mostar: Biskupski ordinarijat Mostar (Bishop's Ordinariate Mostar).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21-11-08.
- Laurentin / Lejeune, Rene / Rene (1988). Messages and Teachings of Mary of Medjugorje. Mostar: The Riehle Foundation. pp. 167–170.
- Laurentin, Rene / Rene (1994). Medjugorje: Thirteen Years Later. Mostar: The Riehle Foundation.
- Margry, Peter Jan (2019). "The Global Network of Deviant Revelatory Marian Movements". In Maunder, Chris (ed.). The Oxford Handbook of Mary.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2511140.
- Maunder, Chris (2016). Our Lady of the Nations: Apparitions of Mary in 20th-Century Catholic Europe.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8718383.
- Orsi, Robert A. (2018). History and Presence. Cambridge, MA: Belknap Press: An Imprint of Harvard University Press. p. 50. ISBN 9780674047891.
- Pandžić, Bazilije (2001). Hercegovački franjevci – sedam stoljeća s narodom [Herzegovinian Franciscans – seven centuries with the people] (in Croatian). Mostar–Zagreb: ZIRAL.
- Pavičić, Darko (2019). Međugorje: prvih sedam dana: cijela istina o ukazanjima od 24. lipnja do 3. srpnja 1981 [Medjugorje: the first seven apparitions: the whole truth on apparitions from 24 June to 3 July 1981] (in Croatian). Zagreb: Pavičić izdavaštvo i publicistika. ISBN 9789534862001.
- Perić, Marko (1986). "Život i rad mostarsko-duvanjskih i trebinjsko-mrkanskih biskupa u zadnjih 100 godina" [The life and work of the bishops of Mostar-Duvno and Trebinje-Mrkan in the last 100 years]. In Babić, Petar; Zovkić, Mato (eds.). Katolička crkva u Bosni i Hercegovini u XIX i XX stoljeću: povijesno-teološki simpozij prigodom stogodišnjice ponovne uspostave redovite hijerarhije u Bosni i Hercegovini [The Catholic Church in Bosnia and Herzegovina in the 19th and 20th centuries: A historical-theological symposium on the occasion of the centenary of the restoration of the regular hierarchy in Bosnia and Herzegovina] (in Croatian). Sarajevo: Vrhbosanska visoka teološka škola.
- Perica, Vjekoslav (2002). Balkan Idols: Religion and Nationalism in Yugoslav State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 Perić, Marko (2002). Hercegovačka afera: pregled događaja i važniji dokumenti [Herzegovina Affair: review of events and relevant documents] (in Croatian). Mostar: Biskupski ordinarijat Mostar.
- Soldo, Mirjana (2016). My Heart Will Triumph. Catholic Shop Publishing. ISBN 978-0-9978906-0-0.
- Sullivan, Randall (2004). The Miracle Detective. New York: Grove Press. pp. 116–118, 197, 390.
- Thavis, John (2015). The Vatican Prophecies: Investigating Supernatural Signs, Apparitions, and Miracles in the Modern Age. New York City: Viking. ISBN 9780525426899.
- Velikonja, Mitja (2003). Religious Separation and Political Intolerance in Bosnia-Herzegovina. College Station: Texas A&M University Press. ISBN 9781603447249.
- Weible, Wayne (1989). Medjugorje The Message. Paraclete Press. ISBN 1-55725-009-X.
- Žanić, Pavao (1990). La verita su Medjugorje [The truth about Medjugorje] (in Italian). Mostar: Diocese of Mostar-Duvno.
저널과 잡지
- Czernin, Marie (2004). "Medjugorje and Pope John Paul II – An Interview with Bishop Hnilica". Politik und Religion (PUR). Germany.
- Jolić, Robert (2013). "Fabrications on Medjugorje: on Mart Bax' Research". Studia ethnologica Croatica. 25: 309–328.
- Nikić, Andrija (1979). "Osnivanje Apostolskog vikarijata u Hercegovini" [Establishment of the Apostolic Vicariate in Herzegovina]. Croatica Christiana Periodica (in Croatian). 3 (3): 21–50.
- Perić, Ratko (2012). "Međugorske stranputice" [The Medjugorje side roads]. Službeni vjesnik (in Croatian) (1): 97–102.
- Perić, Ratko (2010). "Duhovna zvanja "međugorskih vidjelaca"" [The spiritual callings of the "seers of Medjugorje"]. Službeni vjesnik (in Croatian) (1): 114–122.
- Vrankić, Petar (2016). "Izbori i imenovanja biskupa u Hercegovini" [Elections and nomination of bishops in Herzegovina]. Hercegovina (in Croatian). 2: 109–140.
- Zovkić, Mato (1993). "Problematični elementi u fenomenu Međugorja" [The problematic elements in the Medjugorje phenomenon]. Bogoslovska Smotra (in Croatian). 63 (1–2): 76–87.
뉴스기사
- Baier, Stephan (19 June 2021). "Medjugorje, eine globale Marke, bekannt wie CocaCola". Die Tagespost. Würzburg. Retrieved 17 June 2022.
- Caldwell, Simon (1 October 2008). "Sex, lies and apparitions". The Spectator. London. Retrieved 17 June 2022.
- Garrison, Greg (3 July 2012). "Visionary from Medjugorje says Virgin Mary is aware of economic crisis". The Washington Post. Retrieved 17 June 2022.
- Garrison, Greg (17 July 2012). "Could an Alabama shrine become the next Catholic pilgrimage site?". The Washington Post. Retrieved 17 June 2022.
- Harris, Elise (13 May 2017). "Pope Francis: I am suspicious of ongoing Medjugorje apparitions". Catholic News Agency. Retrieved 17 June 2022.
- Latal, Srecko (28 July 2009). "Bosnia: Medjugorje Priest Defrocked". Balkan Insight. Retrieved 17 June 2022.
- McLaughlin, Daniel (6 July 2011). "Little peace or tranquillity at Bosnian village with murderous history near Medjugorje". The Irish Times. Dublin. Retrieved 17 June 2022.
- "Medjugorje 'visionary' says monthly apparitions have come to an end". Angelus News. Congers, New York. 18 March 2020. Retrieved 17 June 2020.
- "Medjugorje 'visionary' says monthly apparitions have come to an end". Catholic News Agency. 2020-03-18. Retrieved 2020-11-30.
- Luxmoore, Jonathan (2019-08-07). "Vatican confirms Medjugorje approval by joining youth festival". Catholic News Service. Retrieved 2020-07-06.
- "Archbishop reveals a surprise about Medjugorje". Catholic Online. 23 August 2017. Retrieved 1 December 2020.
- Symonds, Kevin (18 Feb 2015). "Medjugorje: A Clarification and Disobedience". Catholic Stand.
- "Virus deters Catholic pilgrims from Medjugorje". CRUX. AP Archive. March 15, 2020. Retrieved 6 October 2020.
- "Novi mostarski biskup dobro zna šta je suživot na Balkanu". Deutsche Welle. Sarajevo. 1 November 2020. Retrieved 20 June 2021.
- "Autentyczność objawień w Medziugorie (The authenticity of the apparitions in Medjugorje)". eKai (in Polish). 11 April 2017. Retrieved 17 August 2020.
- Rašeta, Boris; Mahmutović, Denis (5 August 2019). "Vidjelice iz Međugorja imaju milijune - hoteli, vile, auti..." Express. Retrieved 2 November 2020.
- "Ovo Je Vila Vidjelice Iz Medugorja Pred Kojom Je Betonirana Plaza, A Za Koju Ona Kaze 'Kakva Kuca, Koja Plaza?'". Jutarnji list (in Croatian). 31 July 2019. Retrieved 2 November 2020.
- Dzaferovic, Amina (3 April 2017). "What Pope's Envoy concluded in Medjugorje?". Sarajevo Times. Retrieved 1 December 2020.
- Rourke, Mary (1997-05-26). "Mysticism & Miracles". The Los Angeles Times.
- Menichetti, Massimiliano (12 May 2019). "Pope authorizes pilgrimages to Medjugorje". Vatican News. Retrieved 3 November 2020.
- Reis, Sr Bernadette Mary (21 July 2018). "Pope's envoy to Medjugorje begins his ministry". Vatican News. Retrieved 1 December 2020.
- Tornielli, Andrea (17 May 2017). "Medjugorje; the findings of the Ruini report". La Stampa. Rome. Retrieved 17 June 2022.
웹사이트
- "The Visionaries of Medjugorje". Medjugorje Web. Retrieved 2020-11-04.
- "Approval by the Bishop". The Fatima Center. 1930. Retrieved 23 November 2020.
- "Detailed Description of Our Lady, the Queen of Peace, as she appears in Medjugorje". Medjugorje - Place of Prayer and Reconciliation. Retrieved 8 Nov 2020.
- Majdandžić-Gladić, Snježana (2017). "O međugorskim zelotima ili Gospom protiv Gospe" [On the zealots of Medjugorje or with Gospa against Gospa]. Vjera i djela (in Croatian). Retrieved 15 August 2020.
- Arcement, Katherine (13 October 2017). "Our Lady of Fatima: The Virgin Mary promised three kids a miracle that 70,000 gathered to see". The Washington Post. Retrieved 23 November 2020.
- "Pope Francis' opinion on the Medjugorje apparitions". Rome Reports. 2017-05-13. Retrieved 2018-03-17.
- ""The Gospels According to Christ? Combining the Study of the Historical Jesus with Modern Mysticism", Daniel Klimek". Glossolalia.sites.yale.edu.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15-06-11. Retrieved 2013-04-01.
- Vigano, Archbishop Carlo Maria (21 October 2013). "Vatican Warns U.S. Bishops on Medjugorje". Catholic Culture. Retrieved 6 July 2020.
외부 링크
- 메주고르제 성모 성지 – 공식 웹사이트 (영어)
- Mary TV – Medjugorje의 라이브 스트림 (영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