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오파오 (카노에)
Paopao (canoe)파오파오(한 통나무로 만든 작은 낚시 카누라는 뜻의 사모아어)는 엘리스 제도(현 투발루)의 폴리네시아어를 사용하는 주민들이 단발톱 카누로 사용하는 이름으로, 그 중 가장 큰 것은 성인 4~6명을 태울 수 있었다. 유럽인들과 접촉하기 얼마 전 엘리스 제도에는 대형 이중 훌루아(Lualua and foulua)가 건설되지 않았다.[1]
1932년부터 1938년까지 길버트·엘리스 제도 식민지의 행정 구역의 주민 지역 책임자인 도널드 길버트 케네디는 바이투푸와 나누메아에서 개발된 파파오의 건설과 단발성 카누의 변형을 설명했다.[2] 인류학자 게르트 코흐는 1960~61년 나누마가, 누쿠페타우, 니우타오 등의 아톨라를 방문해 엘리스 제도의 물질문화에 관한 책을 펴냈는데, 이 책에는 이 섬의 카누도 함께 묘사되어 있다.[3]
바이투푸와 나누메아에서 개발된 단발성 카누의 변형은 암초형이나 노를 젓는 카누였다. 즉, 그것들은 항해하는 것이 아니라 암초 위를 운반하고 노를 젓도록 설계되었다. 누이의 아웃리거 카누는 간접적인 형태의 아웃리거 부착으로 제작되었으며 선체는 이중으로 마무리되어 뚜렷한 활과 선미가 없다. 이 카누들은 누이 석호 위를 항해하도록 설계되었다.[4] 아웃리거의 붐은 엘리스 제도의 다른 카누 디자인에서 발견되는 것보다 더 길다. 이것은 누이 카누를 다른 디자인보다 돛과 함께 사용할 때 더 안정되게 만들었다.[4]
숙련된 목공(투펑가)
나누메아 사람들은 투발루에서 카누 명장으로 유명하다. 1996년 나누메아에 대한 조사는 80여 개의 카누를 발견했다. 2020년에는 약 50개의 카누가 있으며, 최대 5가구가 전통 카누 건물을 연습하고 있다. 그러나, 섬의 성숙한 태나무(Calophyllum inophyllum)의 이용가능성은 감소하고 있다.[5]
아웃리거 카누는 그 가족의 숙련된 목공(투펑가)에 의해 건설될 것인데, 그 토지는 적당한 나무였다. 카누를 만드는 사람들은 다른 가족의 도움을 요청하곤 했다.[2] 카누의 이상적인 형태는 고래(타폴라)의 몸의 형태인 반면, 어떤 투펑가는 카누의 모양을 만들어 보니토(atu)의 몸을 반영했다. 철제 공구가 보급되기 전에 투풍가는 조개껍데기와 돌로 만든 아지트를 사용했는데, 이 아지트들은 사용할 때 급속히 무뎌졌다. 10명에 이르는 투펑가 무리가 카누를 만들면서 하나 둘씩 카누 위에서 일을 하는 한편, 다른 사람들은 하나 둘씩 차례로 아지트 가장자리를 갈고 닦는 일에 열중하고 있었다. 매일 아침, 투펑가는 일이 시작되기 전에 아지트를 통해 종교 의식(로투아토키)을 거행하곤 했다. 철제 공구가 보급되면 투펑가 두 개면 카누를 만들기에 충분할 것이다.[2]
단일 아웃리거 카누의 설계변동향
19세기와 20세기에 지어진 아웃리거 카누를 위해 각 섬에서 사용된 디자인 사이에는 차이가 있었다. 케네디는 바이투푸의 카누를 다음과 같은 3가지 유형으로 묘사했다.[2]
- 바이투푸 유형 – 길이가 19피트(5.8m)에서 29피트(8.8m)인 엘리스 제도의 남쪽 섬들의 전통적인 설계로 설명된다.
- Nanumea 유형 – 길이가 13피트(4.0m)에서 29피트(8.8m)인 북방 섬 중 하나인 Nanumea의 전통적인 설계로 설명됨
- 일반 파오파오(General Paopao)는 길이가 14피트(4.3m)에서 17피트(5.2m)인 모든 종류의 작은 카누를 가리킨다.
바이투푸 타입과 나누메아 타입의 주요 차이점은 더그아웃 카누에 추가된 나비 커버(Puke mua)와 선미 커버(Puke tua) 등 상부 구조에 있다.[2] 예를 들어 나누메아형의 엄지 덮개에는 토쿨루(tokoulu)가 없거나, 보니토 한 떼를 사냥하면서 보니토 낚싯대를 트롤링 각도로 운반하기 위한 빌트업 휴식이 없었다. 나누메아 타입은 선미 커버 안쪽 가장자리 바로 앞에 세워진 크로스피스(랑고 코페)인 토쿨루(Tokoulu)를 대신했다. 보니토 낚싯대는 크로스피스 중앙에 홈이 뚫려 있었다.[2]
전통적인 나누메아 타입도 카누의 좌현(아마 또는 아웃리거 측)에 있는 붐(카우푸아탕가)의 리프팅 그립(사웅가)과 플랫폼(카우푸아탕가)의 디자인이 달랐다.[2] 전통적인 나누메아 타입의 설계로 후미에는 좌석을 차지하고 있는 노 젓는 사람들이 아웃리거 쪽에는 노를 쓸 수 없게 되었고, 이는 우현(카테아) 쪽에서만 장거리를 노를 저을 때 더 피로하기 쉽다는 것을 의미했다.[2]
건설자재
바이투푸에서 사용된 목재는 투발루 환초들의 넓은 잎 숲에서 나온 것이었다. 테페타우(Calophyllum inophyllum) 또는 테푸카(Hernandia peltata)의 통나무를 파내어 카누를 만들었다. 아웃리거의 플로트에 붙어 있던 붐(키아토), 붐 레그(타푸바에)는 푸아(Guetarda speciosa)나 타우수누(Heliotropium foertherrianum)의 나뭇가지로 만들어졌다. 현외 부유층(ama)은 보통 테푸카로 만들어졌다.[2]
플로트의 지름은 카누의 크기에 따라 5인치(130mm)에서 9인치(230mm)로 되어 있었다. 플로트는 보통 카누와 관련하여 길이가 길어서 플로트의 앞쪽 끝은 보우패들러(티노 i mua)의 발과 측면으로 반대편이고, 뒤쪽 끝은 카누의 후미에 있는 스테어맨(토타이)의 발과 반대편이었다.[2]
카누의 선체와 부엉이, 붐다리, 플로트 등은 강한 3플랫 센니트(툴리 카파)를 이용해 함께 부착했다. 내구성이 떨어지는 2플릭 트위스트 센니트(콜로콜로)는 시공에서 중요하지 않은 부분에만 사용됐다.[2]
두 가지 뚜렷한 유형의 노들이 사용되었는데, 일반적인 유형의 노들과 스테어맨들이 사용하는 큰 유형이다.[2] 노를 젓는 데 사용되는 나무는 푸아, 테푸카, 타우수누, 페타우(Calophyllum inophyllum), 밀로 또는 미로(Thespesia popula), 카나바(Cordia subcordata)와 fau 또는 fafiniini, 또는 여성의 섬유나무(Hibiscus tiliacus tilius)이다.[2]
모든 보석상은 삽 모양을 하고 있었다. 케네디는 카누를 만들 때 카누를 "구출하라"는 것과 "내부를 비우라"는 말이 같은 것을 의미한다고 언급했다.[2]
카누는 낚시 원정에 있을 때 몽둥이(테시키)를 들고 다녔다. 이것은 보통 어떤 무거운 나무의 나뭇가지로 대충 다듬어지고 길이가 8피트(2.4m), 직경이 약 2인치(51mm)로 큰 물고기를 카누에 끌어들이기 전에 잡아 죽이는 데 사용되었다.[2]
테푸카로 만든 카누는 선체가 페인트로 보호되고 카누는 사용하지 않을 때 햇빛을 받지 못하게 하면 10년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te fetau로 만든 카누는 훨씬 더 오래 지속된다.[6]
투발루안 보트 제작업체들은 2021년 현대적인 재료(합판, 에폭시 글루, 레진)를 이용해 만든 패들링 카누를 제작해 기존 카누보다 가볍고 오래 지속할 수 있도록 했다. 적합한 나무가 부족하기 때문에, 현대적인 재료를 사용하는 것은 토종 숲을 보존하는 데 도움이 된다.[7]
카누를 이용한 어업 및 섬간 항해
낮에는 참다랑어(Tunnus albacares)를 잡거나 깊은 낚시를 위해 카누를 잡았고,[6] 밤에는 날치용 횃불낚시나 팔루(Rubettus pretiosus)를 잡으려고 했다.
각각의 카누는 적절한 이름이 주어질 것이고 가족의 중요한 자산이었다. 더 큰 카누는 엘리스 제도 사이를 여행하는 데 사용될 수 있었다. 니울라키타의 발견은 바이투푸로 사람들을 집으로 데려가던 카우나투가 이끄는 누이에서 온 여행자들에 의해 주장되었다. 그러나 그들은 카누가 남쪽으로 항로를 이탈하여 니울라키타에 도착한 후에 집으로 돌아왔다.[8]
참조
- ^ Simati Faaniu, Hugh Laracy (ed.) (1983). "Chapter 16 – Travellers and Workers". Tuvalu: A History. Institute of Pacific Studies, University of the South Pacific and Government of Tuvalu. p. 121.CS1 maint: 추가 텍스트: 작성자 목록(링크)
- ^ Jump up to: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Kennedy, Donald (1931). The Ellice Islands Canoe Journal of the Polynesian Society Memoir no. 9. Journal of the Polynesian Society. pp. 71–100.
- ^ Gerd Koch (translated by Guy Slater) (1981). The Material Culture of Tuvalu. Suva: University of the South Pacific. ASIN B0000EE805.
- ^ Jump up to: a b McQuarrie, Peter (1976). "Nui Island sailing canoes". Journal of the Polynesian Society. 85 (4): 543–548.
- ^ FCG ANZDEC Ltd (7 August 2020). Tuvalu Coastal Adaptation Project: Environmental and Social Impact Assessment - Nanumaga and Nanumea (Report). The Pacific Community. pp. 92 & 97. Retrieved 6 February 2021.
- ^ Jump up to: a b FCG ANZDEC Ltd (7 August 2020). Tuvalu Coastal Adaptation Project: Environmental and Social Impact Assessment - Nanumaga and Nanumea (Report). The Pacific Community. p. 92. Retrieved 6 February 2021.
- ^ Stuart, Matelina (27 July 2021). "Launching of the first new paddling canoe at Fisheries". Tuvalu Fisheries (Tuvalu Ministry of Natural Resources). Retrieved 11 August 2021.
- ^ Sotaga Pape, Hugh Laracy (ed.) (1983). "Chapter 10 – Nui". Tuvalu: A History. Institute of Pacific Studies, University of the South Pacific and Government of Tuvalu. p. 77.CS1 maint: 추가 텍스트: 작성자 목록(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