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교향로불

Paracentral lobule
부교향로불
Sobo 1909 624 - Paracentral lobule.png
왼쪽 대뇌반구의 내측면. (경측 로불은 빨간색으로 표시됨)
Cerebral Gyri - Medial Surface1.png
반감된 인간 뇌의 내경(상단 중앙에 파란색 라벨로 표시된 중심부)
세부 사항
식별자
라틴어측두엽
NeuroNames1341
TA98A14.1.09.209
TA25466
FMA77534
신경조영술의 해부학적 용어

부교향 로불은 반구의 내측면에 있으며, 중앙 전부와 중앙 후 교리의 연속이다. 횡방향 로불은 횡방향 하단의 운동감각 내측을 제어한다. 배변과 배뇨의 통제도 담당한다.

여기에는 전두엽과 두정엽의 일부가 포함된다.[1]

  • 측두엽의 앞부분은 전두엽의 일부로서 브로드만 영역 6(SMA)의 일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이는 측두엽 설커스(변두막 설커스의 분지)가 내측면의 중앙 전 설커스와 일치하지 않기 때문이다.
  • 후부는 두정엽의 일부로 간주되며 원위 사지의 단조증을 다룬다.

중심설커스인 로브 사이의 경계는 대뇌반구의 측면 표면에 위치하기 쉽지만, 이 경계는 중심설커스가 내측면에 보이지 않는 경우 사이토아셰프 방식으로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함수

인접 로불의 뉴런은 다음 사항과 관련이 있다.

  1. 대측 하단의 운동감각 내측
  2. 배변과 독소 등 생리학적 기능의 조절

혈액공급

전뇌동맥의 가지에 의해 공급된다.

응용 해부학

부교향 로불의 손상은 전방 대뇌동맥의 폐쇄로 발생한다. 특성 표시는 다음과 같다.

  • 대측하근근육약
  • 요실금

갤러리

참조

  1. ^ Neuroscience in medicine. Totowa, NJ: Humana Press. 2003. p. 348. ISBN 1-58829-016-6.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