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네우스

Cuneus
쿠네우스
Sobo 1909 624 - Cuneus.png
좌측 대뇌반구의 내측면. (좌측에서 붉은색으로 보이는 쿠네우스)
Cuneus.png
시상 MRI 슬라이스(Cuneus 및 설교)가 빨간색으로 표시됨.
세부 사항
동맥후뇌동맥
식별자
NeuroNames157
NeuroEx ID버넥스_1396
TA98A14.1.09.224
TA25485
FMA61903
신경조영술의 해부학적 용어

쿠네우스("웨지"를 위한 라틴어; 복수형, 쿠네이)는 후두엽에 있는 더 작은 로브다. 쿠네우스는 앞쪽에 두정강-구두정맥이 경계를 이루고 있고, 아래쪽에 칼카린강낭이 경계를 이루고 있다.

함수

쿠네우스(Brodmann 영역 17)는 같은 면의 상부 사분면 망막(대측 열등 시야에 대응)으로부터 시각 정보를 수신한다. 그것은 기본적인 시각 처리에 관여하는 것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쿠네우스의 시각 피질(또는 선조체 피질)에 있는 피라미드형 세포외주 피질(BA 18,19)에 투영된다. 쿠네우스의 외주 투영 분야에서 발생하는 중간 수준의 시각적 처리는 주의력, 작업 기억력, 보상 기대와 같은 담배 외 효과에 의해 변조된다.

임상연구

기본적인 시각 처리를 위한 장소로서의 전통적인 역할 외에도, 큐네우스의 회색 물질 용적은 양극성 우울증 환자의 더 나은 억제 조절과 관련이 있다.[1]

병리학적 도박꾼들은 제어에 상대적인 코네우스를 포함한 등측 시각 처리 스트림에서 더 높은 활동을 한다.[2]

갤러리

참조

  1. ^ Haldane M, Cunningham G, Androutsos C, Frangou S (March 2008). "Structural brain correlates of response inhibition in Bipolar Disorder I". Journal of Psychopharmacology. 22 (2): 138–43. doi:10.1177/0269881107082955. PMID 18308812.
  2. ^ Crockford DN, Goodyear B, Edwards J, Quickfall J, el-Guebaly N (November 2005). "Cue-induced brain activity in pathological gamblers" (PDF). Biological Psychiatry. 58 (10): 787–95. doi:10.1016/j.biopsych.2005.04.037. PMID 15993856.

이 기사는 현재 공개 영역에 있는 출판물의 텍스트를 통합한다. ("쿠네우스"에 대한 참조는 397 페이지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