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로드만 영역 25

Brodmann area 25
브로드만 영역 25
Brodmann Cytoarchitectonics 25.png
브로드만 영역 25는 주황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Gray727-Brodman.png
브로드만의 부위가 번호가 매겨진 뇌의 안쪽 표면.
세부 사항
식별자
라틴어면적 하위유전자
NeuroNames1029
FMA68622
신경조영술의 해부학적 용어

브로드만 영역 25(BA25)는 대뇌피질 내에 있는 하위 유전자 영역, 부유전성 또는 하위유전성 영역이며, 그 사이토아키텍처 특성에 기초하여 기술된다.

코르비니아 브로드만(이름)이 정의한 25번째 "브로드만 지역"이다. BA25는 부호(paraterminal gyrus)에 인접한 부호(caudal) 부분의 협대역으로서 Cingulate 영역에 위치한다. 후측 부갑상구균은 부갑상선회(BA25)를 분리한다. 로스트랄리 그것은 브로드만의 앞쪽 11구역에 묶여있다.[1]

역사

브로드만은 이 지역을 1909년에 현재 라벨이 붙어 있는 것처럼 묘사했다. 원래 1905년에 브로드만은 이 지역을 24구역의 일부로 표시했다. 1909년에 그는 그 지역을 24구역과 25구역으로 나누었다.[2]

함수

이 지역은 세로토닌 전달체가 매우 풍부하며 식욕과 수면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시상하부뇌간, 기분과 불안감에 영향을 미치는 편도체인슐라, 기억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해마, 그리고 일부 지역을 포함하는 광대한 네트워크의 주지사로 여겨진다. 자존감을 책임지는 전두엽 [3]피질 이 지역은 특히 슬픔의 정상적인 처리와 관련이 있다.[4][5]

우울증 관련

BA25와 BA24, BA32의 일부뿐만 아니라 BA25로 구성된 부호화합회 CG25는 주요 우울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관여되어 왔으며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심뇌 자극의 대상이 되어 왔다.[6]

한 연구에서는 BA25가 치료 내성 우울증에서 대사적으로 지나치게 활동적이라는 것을 발견했다.[7] 다른 연구에서는 이 영역의 대사성 과잉활동이 인지행동요법브닐라팍신 등에 대한 주요 우울장애인의 열악한 치료반응과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8]

2005년 헬렌 S. 메이버그와 협력자들은 그들이 수년간의 대화요법, 약물, 전기충격요법에도 불구하고 우울증으로 사실상 격변한 개인들을 25구역에서 심박조율기 같은 전극(심층자극)으로 성공적으로 치료한 방법을 설명했다.[9]

최근의 한 연구에서는 특히 브로드만 46 지역을 대상으로 했을 때 초자연적 자기 자극이 임상적으로 우울증을 치료하는 데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발견했다. 왜냐하면 이 영역은 25 구역과 본질적인 기능적 연결성(부정적 상관관계)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10]

또 다른 최근의 연구는 슬픈 자극을 보는 것에 대한 영역 25의 반응이 코티솔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발견했다.[11] 이는 영역 25의 활동에서 우울증과 관련된 변화가 저체온증-피하수체-아드레날린 축의 조절 이상 때문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미지

참고 항목

참고 및 참조

  1. ^ 하위 유전자1ual 지역 25. 2007년 1월 21일 웨이백 머신 braininfo.rprc.washington.edu에 보관되어 2006년 11월 18일에 회수되었다.
  2. ^ 브로드만-1909년 지역 25번지 2007년 1월 21일 웨이백 머신 braininfo.rprc.washington.edu에 보관되어 2006년 11월 19일에 회수되었다.
  3. ^ 2010년 4월, Scientific American "Faulty Circuits"
  4. ^ Mayberg, HS; Liotti M; Brannan SK; McGinnis S; Mahurin RK; Jerabek PA; et al. (May 1999). "Reciprocal limbic-cortical function and negative mood: converging PET findings in depression and normal sadness". Am J Psychiatry. 156 (5): 675–82. doi:10.1176/ajp.156.5.675 (inactive 31 October 2021). PMID 10327898.{{cite journal}}: CS1 maint : 2021년 10월 현재 DOI 비활성화(링크)
  5. ^ Phan, KL; Wager T; Taylor SF; Liberzon I (June 2002). "Functional neuroanatomy of emotion: a meta-analysis of emotion activation studies in PET and fMRI". NeuroImage. 16 (2): 331–48. doi:10.1006/nimg.2002.1087. PMID 12030820. S2CID 7150871.
  6. ^ Hamani C, Mayberg H, Stone S, Laxton A, Haber S, Lozano AM (15 February 2011). "The subcallosal cingulate gyrus in the context of major depression". Biological Psychiatry. 69 (4): 301–309. doi:10.1016/j.biopsych.2010.09.034. PMID 21145043. S2CID 35458273.
  7. ^ 2005년 3월 3일 치료 저항성 우울증을 위한 심뇌 자극 neuron.org. 2018년 11월 18일 회수
  8. ^ Konarski JZ, Kennedy SH, Segal ZV, Lau MA, Bieling PJ, McIntyre RS, Mayberg HS (2009). "Predictors of nonresponse to cognitive behavioural therapy or venlafaxine using glucose metabolism in major depressive disorder". J Psychiatry Neurosci. 34 (3): 175–80. PMC 2674969. PMID 19448846.{{cite journal}}: CS1 maint : 복수이름 : 작성자 목록(링크)
  9. ^ Lozano, Andres M; Peter Giacobbe; Clement Hamani; Sakina J Rizvi; Sidney H Kennedy; Theodore T Kolivakis; Guy Debonnel; Abbas F Sadikot; Raymond W Lam; Andrew K Howard; Magda Ilcewicz-Klimek; Christopher R Honey; Helen S Mayberg (2011-11-18). "A multicenter pilot study of subcallosal cingulate area deep brain stimulation for treatment-resistant depression". Journal of Neurosurgery. 116 (2): 315–22. doi:10.3171/2011.10.JNS102122. PMID 22098195. S2CID 9778445.
  10. ^ Fox, MD; Buckner, RL; White, MP; Greicius, MD; Pascual-Leone, A (2012). "Efficacy of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targets for depression is related to intrinsic functional connectivity with the subgenual cingulate". Biological Psychiatry. 72 (7): 595–603. doi:10.1016/j.biopsych.2012.04.028. PMC 4120275. PMID 22658708.
  11. ^ Sudheimer, KD; Abelson JL; Taylor SF; Martis B; Welsh RC; Warner C; et al. (April 2013). "Exogenous glucocorticoids decrease subgenual cingulate activity evoked by sadness". Neuropsychopharmacology. 38 (5): 826–45. doi:10.1038/npp.2012.249. PMC 3599059. PMID 233030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