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레초바이러스

Parechovirus
파레초바이러스
바이러스 분류 e
(랭킹되지 않음): 바이러스
영역: 리보비리아
킹덤: 오르토나비라과
망울: 피수비리코타
클래스: 피소니비리케테스
순서: 피코르나비르목
패밀리: 피코르나비르과
속: 파레초바이러스

그리고 텍스트 보기

파레초바이러스피코르나비르과에 속하는 바이러스속이다.인간, 페렛, 그리고 다양한 설치류들은 자연적인 숙주의 역할을 한다.그 속은 현재 6개의 인정된 종으로 구성되어 있다.인간 파레코비루스는 영아에게 위장병이나 호흡기 질환을 일으킬 수 있으며, 심근염뇌염의 경우에 관련되어 있다.[1]

분류학

인간 파레코바이러스 1종(HPeV1, 이전 에코바이러스 22종), 인간 파레코바이러스 2종( 에코바이러스 23종), HPeV3 to HPeV18 등 18종이 확인됐다.[2][3][4][5]현재 총 15개의 유전자형이 인정되고 있다.[6]

ICTV는 다음과 같은 6종을 인정하고 있다.[1][7]

Picornaviridae.com에 의해 추가로 2종이 인식되지만 ICTV에 의해 인식되지는 않는다.[7]

  • Ljungan/Sebokele 유사 파레코바이러스(LCLPV)(팔콘 호스트, 헝가리)
  • 맨해튼 파레코바이러스(MPeV) (로드 호스트, 미국)[8]

구조

파레초비루스(Parechovirus)는 비개발형이며, 이코사이드, 구형, 원형 기하학, T=pseudo3 대칭이 있다.지름은 약 30nm이다.게놈은 선형이며 비분할이며 길이는 약 7.3kb이다.[9]

구조 대칭 캡시드 게놈 배열 게놈 분할
파레초바이러스 이코사헤드랄[9] 유사 T=3 개발되지 않음 선형 단층석

라이프 사이클

바이러스 복제는 세포질이다.숙주세포로의 진입은 바이러스를 숙주 수용체에 부착함으로써 이루어지는데, 이것은 내분포를 매개한다.복제는 양의 좌초된 RNA 바이러스 복제 모델을 따른다.양의 좌초된 RNA 바이러스 전사는 전사의 방법이다.그 바이러스는 용해와 바이로포린에 의해 숙주 세포에서 나온다.[10]

호스트 세부 정보 조직열대주의 입력내역 불출내역 복제 사이트 조립장소 전송
파레초바이러스 인간 호흡기; 위장관 세포수용체 내세포증 용해 세포질 세포질 알 수 없는

임상정보

인간 파레코비루스는 경증, 위장병 또는 호흡기 질환을 일으키지만 심근염뇌염의 경우 관련돼 왔다.인간 파레코비루스는 일반적으로 퍼지고 인간 환자의 95% 이상이 생후 2~5년 이내에 감염된다.[11][12]파레코바이러스 B는 인간에서 당뇨병과 자궁내 태아 사망과 관련된 조노틱 바이러스로 제안되어 왔다.[13][14]단, 이러한 특징에 관한 데이터는 현재 제한되어 있어 확인이 필요하다.파레초바이러스는 생물학적 안전 수준 2의 유기체다.

역사

제1차 파레초비루스(E22, E23)는 1956년에 격리되었고, 1996년에 새로운 속주로 인정되었다.[15][16]파레초바이러스 B는 1990년대 중반 은행 볼륨(Myodes elearolus, 이전의 Clthrionomys elearolus)에서 처음 격리되었다.[17]인간 파레코바이러스 제3형(HPeV3)은 2014년 최소 20명의 미국 유아에서 발견됐다.숫자는 위스콘신 중심부에서 온 일란성 세 쌍둥이를 포함하고 있는데, 위스콘신에서는 바이러스에 감염되었고, 이 세 쌍둥이는 이 건강 시스템에서 알려진 첫 번째 사례였기 때문에, 두 달 후에 많은 테스트를 거쳐서 진단을 받았다.[18]2014년 발병은 예상보다 많은 숫자로, 모태 전염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19]

참조

  1. ^ a b "ICTV Master Species List 2018a v1". International Committee on Taxonomy of Viruses. Retrieved 15 December 2018.
  2. ^ Ito M, Yamashita T, Tsuzuki H, Takeda N, Sakae K (2004).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 novel human parechovirus". J. Gen. Virol. 85 (2): 391–398. doi:10.1099/vir.0.19456-0. PMID 14769896.
  3. ^ Al-Sunaidi M, Williams CH, Hughes PJ, Schnurr DP, Stanway G (2007). "Analysis of a new human parechovirus allows the definition of parechovirus types and the identification of RNA structural domains". J. Virol. 81 (2): 1013–21. doi:10.1128/JVI.00584-06. PMC 1797470. PMID 17005640.
  4. ^ Watanabe K, Oie M, Higuchi M, Nishikawa M, Fujii M (June 2007).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novel human parechovirus from clinical samples". Emerg Infect Dis. 13 (6): 889–95. doi:10.3201/eid1306.060896. PMC 2792847. PMID 17553229.
  5. ^ "Virus Taxonomy: 2019 Release". talk.ictvonline.org. International Committee on Taxonomy of Viruses. Retrieved 7 May 2020.
  6. ^ 치에오찬신 T, 비치와타나 P, 코르콩 S, 테암부글러 A, 푸보라와완 Y(2011) 분자 역학, 게놈 특성화, 인간 파레코바이러스 재조합 사건.바이러스학
  7. ^ a b "Parechovirus". Picornaviridae.com. Retrieved 15 February 2019.
  8. ^ Picornaviridae.com: Manhatten PeV 유전자 시퀀스
  9. ^ a b Shakeel, Shabih; Westerhuis, Brenda M.; Ora, Ari; Koen, Gerrit; Bakker, Arjen Q.; Claassen, Yvonne; Wagner, Koen; Beaumont, Tim; Wolthers, Katja C.; Butcher, Sarah J. (2015). "Structural Basis of Human Parechovirus Neutralization by Human Monoclonal Antibodies". Journal of Virology. 89 (18): 9571–9580. doi:10.1128/JVI.01429-15. PMC 4542383. PMID 26157123.
  10. ^ "Viral Zone". ExPASy. Retrieved 15 June 2015.
  11. ^ Stanway G, Joki-Korpela P, Hyypiä T (2000). "Human parechoviruses--biology and clinical significance". Rev. Med. Virol. 10 (1): 57–69. doi:10.1002/(SICI)1099-1654(200001/02)10:1<57::AID-RMV266>3.0.CO;2-H. PMID 10654005.
  12. ^ Joki-Korpela P, Hyypiä T (2001). "Parechoviruses, a novel group of human picornaviruses". Ann. Med. 33 (7): 466–71. doi:10.3109/07853890109002095. PMID 11680794.
  13. ^ Niklasson B, Samsioe A, Papadogiannakis N, Kawecki A, Hörnfeldt B, Saade GR, Klitz W (2007). "Association of zoonotic Ljungan virus with intrauterine fetal deaths". Birth Defects Research Part A: Clinical and Molecular Teratology. 79 (6): 488–93. doi:10.1002/bdra.20359. PMID 17335057.
  14. ^ Niklasson B, Heller KE, Schonecker B, Bildsoe M, Daniels T, Hampe CS, Widlund P, Simonson WT, Schaefer JB, Rutledge E, Bekris L, Lindberg AM, Johansson S, Örtqvist E, Persson B, Lernmark Å (2003). "Development of type 1 diabetes in wild bank voles associated with islet autoantibodies and the novel ljungan virus". Int. J. Exp. Diabesity. Res. 4 (1): 35–44. doi:10.1080/15438600303733. PMC 2480497. PMID 12745669.
  15. ^ Stanway, G. & Hyypiä, T. (1999). "Parechoviruses". Journal of Virology. 73 (7): 5249–5254.
  16. ^ Pringle, C.R. (1996). "Virus Taxonomy 1996". Archives of Virology. 141 (11): 2251–2256. doi:10.1007/BF01718231. PMC 7086844. PMID 8992952.
  17. ^ Niklasson B, Kinnunen L, Hörnfeldt B, Hörling J, Benemar C, Hedlund KO, Matskova L, Hyypiä T, Winberg G (1999). "A new picornavirus isolated from bank voles (Clethrionomys glareolus)". Virology. 255 (1): 86–93. doi:10.1006/viro.1998.9557. PMID 10049824.
  18. ^ "Parechovirus.com". Parechovirus Research. Retrieved 2016-01-15.
  19. ^ "Viral meningitis in Kansas City-area babies probed". The Kansas City Star. The Associated Press. August 13, 2014.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