펙텐 막시무스

Pecten maximus
펙텐 막시무스
Pecten maximus Pilgermuschel.jpg
웨일즈에서 온 펙텐 막시무스의 비치원 상판(평판) 밸브 2개
과학적 분류 edit
킹덤: 애니멀리아
망울: 몰루스카
클래스: 비발비아
순서: 펙티누스목
패밀리: 펙틴과
속: 펙텐
종:
P. 막시무스
이항식 이름
펙텐 막시무스
동의어[1]
  • 오스트레아 막시마 리나이어스, 1758년
  • 펙텐 메디우스 다니엘, 1883년
  • 펙텐 로게티스 다 코스타, 1778년
  • 플리카툴라 시밀리스 G. B. Sowerby II, 1842년

펙틴 막시무스대파, 왕 가리비, 성 제임스 껍질 또는 에스칼롭이라이름으로 대서양 북동쪽 가리비, 식용 소금물 조개, 펙티누스과의 해양 쌍생 연체 동물이다. 이것은 속종의 일종이다. 이 종은 훨씬 더 제한된 분포를 가진 순례자의 가리비인 펙텐 자코바에우스일치할 수 있다.[2]

설명

펙텐 막시무스의 껍질은 상당히 튼튼하며 꼭지점 양쪽에 동일한 크기의 "귀"가 있는 것으로 특징지어진다. 우측 또는 하부 밸브는 볼록하며 평평한 좌측 또는 상부 밸브와 약간 겹치는데, 이 밸브는 평평하다. 큰 표본은 거의 원형 윤곽을 가지며 가장 큰 표본은 길이가 21 cm일 수 있다. "귀"는 두드러지며, 오른쪽 앞귀에 위치한 비스듬한 노치가 경미하고 톱니하지 않은 상태에서 껍질 폭의 최소 절반이다. 판막의 조각은 독특하며 12~17폭의 방사 갈비뼈와 수많은 동심선으로 이루어져 있어 가리비의 성장 이력이 뚜렷하게 나타나며, '귀'는 부리에서 방사되는 몇 개의 얇은 갈비뼈를 보여준다. 방사 리브는 밸브의 여백에 도달하고 이것은 crenulated 형태를 만든다. 왼쪽 밸브는 일반적으로 적갈색인 반면 오른쪽 밸브는 흰색에서 크림색까지 분홍색, 빨간색 또는 옅은 노란색 틴트와 대비되는 옅은 갈색의 음영까지 다양하다. 어느 한쪽 밸브는 지그재그 패턴을 보일 수 있으며 빨간색, 분홍색 또는 밝은 노란색 띠와 반점이 나타날 수도 있다.[3]

펙텐 막시무스의 몸 색깔은 분홍색 또는 빨간색이며, 맨틀은 갈색과 흰색을 띤다. 어릴 때 그들은 비스듬히 기질에 부착되지만 성숙한 동물들은 밸브가 열리고 빠르게 닫힘으로써 수영을 할 수 있다. 밸브를 닫고 여는 데 사용되는 인덕터 근육은 매우 크고 강력하다. 발은 손가락과 같은 기관으로, 귀의 곁가지 노치를 통과하는 곁가지 실을 돌린다. 맨틀의 여백은 두 겹으로 되어 있는 반면, 안쪽 층은 정교하게 짜여진 반면, 바깥쪽은 긴 촉수로 이루어져 있으며, 두 개의 시리즈는 30–36 다크 블루 또는 녹색 단순 눈 또는 오셀리로 이루어져 있다.[4]

분배

펙텐 막시무스노르웨이 북부에서 유럽 해안을 따라 동대서양에서 발생하며, 이베리아 반도까지 발생하며, 서아프리카, 마카로네시아 제도에서도 보고되었다. 영국과 아일랜드에서는 해안 전체에 분포하고 있지만, 그것은 드물고 동부 북해 연안에 국지화 되어 있다.[5] 그것은 100미터(330피트, 55피트) 깊이 이하의 해양을 선호한다.[4]

생물학

오른쪽의 오스트레아 에둘리스 옆에 있는 펙텐 막시무스의 살아 있는 개인

펙텐 막시무스는 맨틀 캐비티에서 물을 빼내기 위해 밸브를 열었다가 닫아 기질에 누울 수 있도록 기질에 약간 움푹 들어간 구멍을 자주 만들어 내는데, 이것은 기질에 비스듬히 껍질을 올려서 이후의 물이 퇴적물로 분출되어 휴식처를 만든다.[5] 일단 자리를 잡으면 모래나 진흙, 자갈이나 살아있는 유기체가 윗판막을 덮고, 껍데기의 여백은 촉수와 눈으로 보이는 것이 전부다.[3] 그들은 음식 입자가 갇혀 있는 아가미를 가로질러 섬유가 끌어낸 후 점액줄로 입으로 가져가는 공급 전류를 통해 주변 물에서 입자를 추출하는 필터 공급기이다.[6]

펙틴 맥시무스는 수영을 하지만 이것은 일반적으로 반응을 피하는데 제한된다. 이 반응을 일으키는 주요 포식자는 불가사리 아스테리아스 루벤스아스트로펙텐 불규칙성을 먹는 연체동물이지만, 연체동물을 먹지 않는 불가사리는 제한된 점프나 밸브 닫힘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수영 작용은 밸브를 빠르게 두드리고 경첩의 양쪽에서 물을 뿜어내어 쉘의 곡선 가장자리를 전면에 두고 움직이게 하는 것이다. 가리비는 인덕터 근육을 서서히 이완시킨 다음 밸브를 빠르게 열고 닫아줌으로써 앞으로 점프한다.[5]

펙틴 맥시무스는 강한 조류에 완전히 노출되지 않은 지역에서 더 많은 수가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보호 서식지에 사는 가리비는 파동 작용이 있는 지역의 가리비보다 빨리 자라는데, 이는 파동 노출이 심한 지역의 물속 입자 농도가 높아 필터 공급 장치가 제 기능을 못하기 때문일 수 있다. 유의할 수 있는 또 다른 요인은 애벌레 정착과 샛별 부착 과정이 다소 까다롭고 강한 조류에서 교란된다는 점이다. 풍부함과 성장률은 기질에 있는 진흙의 양과 부정적으로 상관된다.[3]

가리비는 성인 가리비의 이동성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자기 분배를 위해 애벌레 운동성을 이용한다. 유충의 분포는 국지 수력체제와 그 생존 등의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고, 이는 가리비들이 지리적 범위 내에서 집계된 분포를 갖는 결과를 낳는다. 이는 주요 어장이 일반적으로 널리 분리되어 있고 각 어장의 환경조건은 가리비의 유전자가 그 범위에 걸쳐 다소 균일하지만 개체군의 구조에 현저한 차이가 있음을 의미한다.[5]

펙텐 맥시무스의 생식 주기는 매우 가변적이며 산란기는 각각 나이와 온도 등 내적, 외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지만 유전적 적응에도 영향을 받는다. 일반적으로, 다 자란 가리비는 4월이나 5월에 시작해서 9월까지 여름 동안 산란을 한다. 그들은 헤르마프로디틱이고 암컷 고나드는 빨간색 또는 주황색이고 수컷 고나드는 흰색인 뚜렷한 혀 모양의 고나드를 가지고 있다.[6] 3년 된 가리비 한 마리가 배출량당 1500만~2100만 개의 난모세포를 방출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보통 봄에는 일부, 8월 하순에는 한 마리씩, 늦여름에는 한 마리씩 산란한다. 일부 지역에서는 이러한 패턴이 역전되어 주요 산란지는 봄에 발생한다. 그 동물들은 산란 후 다시 산란하기 전에 고나드의 회복 기간을 거친다. 생식체의 수정은 외부적이며 정자난모세포 중 하나가 먼저 물기둥으로 방출될 수 있다.[5]

펙텐 막시무스의 애벌레 단계는 비교적 길고, 최대 한 달까지 분산의 가능성이 상당히 높기 때문에, 심지어 작은 어른들도 비수를 이용하여 표류할 수 있다. 그러나, 적어도 일부 개체군에서, 유전자 연구는 더 먼 개체군으로부터의 기여가 거의 없고, 이러한 개체군들이 아마도 그들 자신을 지탱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5]

영국 주변 해역에서는 펙텐 막시무스가 2~3세 전후에 성적으로 성숙하고 껍질 길이가 80~90mm에 이르면 성적으로 성숙한다. 착취되지 않은 곳에서는 20년 이상 살 수 있고 껍데기 길이가 200mm 이상에 이를 수 있다.[7] 얕은 물에 있는 가리비는 깊은 물에 있는 가리비보다 더 빨리 자란다; 그 성장은 겨울에 멈췄다가 봄에 다시 시작되어 가리비 노화에 사용되는 동심원 성장 고리를 생산한다.[5]

게노믹스

초안 게놈은 케니 외 2020년에 의해 제시된다.[8][9] 이들의 조합은 918Mb이며, 유전자 크기는 총 67,741개의 유전자 코딩에서 27.0%가 반복되고 있는 1,150Mb, 이형성 1.7%로 추정한다.[9] 최근(2021년 기준) 읽기 길이 향상은 케니가 이전에는 이해할 수 없었던 P. maximus복사 번호 변동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8]

포식자 및 질병

아스테리아스 루벤스, 아스트로펙텐 불규칙한 포식자들뿐만 아니라 펙텐 막시무스주요 포식자들 역시 암 파구루스, 발암성 마에나스, 리오카르시누스 푸버, 리오카르시누스 디퍼레이터와 같은 게들이 자라면서 가리비를 잡아먹는다.[10] 아네모네 안톨레푸라 발리이는 아일랜드 남서부의 P.maximus의 어린 표본에서 미리 발견되었다.[11]

펙텐 막시무스의 유충은 1990년대 초 프랑스에서 양식된 가리비 중 사망 사고가 발생한 후 1998년 신종으로 기술된 비브리오 펙티니티다 박테리아에 의해 공격받는다.[12] 다른 병원성 박테리아 변종은 배양 유충의 대량 폐사 이후 노르웨이에서 검출되었다.[13]

어업 및 양식업

1999년 유엔식량농업기구가 보고한 총 어획량은 35,411톤으로 영국프랑스에서 보고된 가장 큰 어획량은 각각 19,108톤과 12,745톤이었다.[3] 일부 자연주가 어업법제의 엄격한 시행과 재고증진 관행의 발달로 인해 과도한 착취의 징후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14] 큰 가리비는 뉴헤이븐 가리비 준설물을 이용해 양식하고, 다이버들이 손으로 채집하는 비율은 5%도 안 된다. P. maximus와 여왕 가리비 Aequipecten operalis의 가리비 어업은 모두 영국 해역 기준 5대 어장 중 하나이다. 그러나 가리비를 수확하기 위해 견인된 큰 것을 사용함으로써 더 넓은 생태계에 피해를 입힌다.[7]

펙텐 맥시무스양식업에서 재배될 수 있으며 프랑스와[15] 노르웨이에서는 상당히 발달되어 있다.[16] 스페인, 프랑스, 아일랜드, 영국, 노르웨이는 가리비 양식업에 관여해 왔다; 생산량은 512톤이 상륙한 1998년에 정점을 찍었지만, 이후 생산량은 감소했고, 2004년에는 213톤만이 상륙했으며, 추정치는 852 000유로로서 1킬로그램 당 4유로에 상당했다.[6]

펙텐 막시무스아메네시크 조개독을 일으킬 수 있는 독소인 도모산이 함유된 것으로 밝혀졌다. 가리비 소비와 관련된 위험은 공중 보건과 조개 산업에 심각한 위협으로 간주된다.[5]

문화적 의미

석유회사 로열더치셸은 이 종에서 매우 인지도가 높은 로고를 추출한다.[17]

갈리시아산티아고 콤포스텔라 마을로 여행하는 순례자들은 세인트 제임스를 기리기 위해 가리비 껍질을 가지고 갔다. 이로 인해 대체 이름인 세인트 제임스 셸이 생겨났다.[17]

참고 항목

참조

  1. ^ a b "Pecten maximus (Linnaeus, 1758)". World Registry of Marine Species. Retrieved 1 January 2017.
  2. ^ Latchford, John W.; Beaumont, Andy R.; Wilding, Craig S. (October 1999). "Are Pecten maximus and Pecten jacobaeus different species?". Journal of the Marine Biological Association of the United Kingdom. 79 (5): 949–952. doi:10.1017/S0025315499001149.
  3. ^ a b c d "Pecten maximus (Linnaeus, 1758)".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Department of Fisheries and Aquaculture. Retrieved 1 January 2017.
  4. ^ a b "Mollusca of the North Sea M.J. de Kluijver, S.S. Ingalsuo & R.H. de Bruyne Pecten maximus". Marine Species Identification Portal. ETI BioInformatics. Retrieved 1 January 2017.
  5. ^ a b c d e f g h "BIOTIC Species Information for Pecten maximus". BIOTIC (Biological Traits Information Catalogue). MarLIN (Marine Life Information Network). Retrieved 1 January 2016.
  6. ^ a b c A. Beaumont; T. Gjedrem (2007). Scallops - Pecten maximus and P. jacobaeus (Report). Genimpact. Retrieved 1 January 2017.
  7. ^ a b Bryce D. Beukers-Stewart; Joanne S. Beukers-Stewart (2009). Principles for the Management of Inshore Scallop Fisheries around the UK (PDF) (Report). University of York. Retrieved 1 January 2016.
  8. ^ a b Potts, Robert W. A.; Gutierrez, Alejandro P.; Penaloza, Carolina S.; Regan, Tim; Bean, Tim P.; Houston, Ross D. (2021-04-05). "Potential of genomic technologies to improve disease resistance in molluscan aquaculture".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B. The Royal Society. 376 (1825): 20200168. doi:10.1098/rstb.2020.0168. ISSN 0962-8436. PMC 8059958.
  9. ^ a b Yang, Zhihui; Zhang, Lingling; Hu, Jingjie; Wang, Jing; Bao, Zhenmin; Wang, Shi; (ORCID 0000-0002-9571-9864) (2020-04-14). "The evo‐devo of molluscs: Insights from a genomic perspective". Evolution & Development. Wiley. 22 (6): 409–424. doi:10.1111/ede.12336. ISSN 1520-541X.CS1 maint: 여러 이름: 작성자 목록(링크)
  10. ^ N. C. H. Lake; M. B. Jones; J. D. Paul (1987). "Crab predation on scallop (Pecten maximus) and its implication for scallop cultivation". Journal of the Marine Biological Association of the United Kingdom. 67 (1): 55–64. doi:10.1017/s0025315400026357.
  11. ^ Dan Minchin (1982). "Predation on young Pecten maximus (L.) (Bivalvia), by the anemone Anthopleura ballii (Cocks)". Journal of Molluscan Studies. 49 (3): 228–231. doi:10.1093/oxfordjournals.mollus.a065717.
  12. ^ C Lambert; JL Nicolas; V Cilia; S Corre (1998). "Vibrio pectenicida sp. nov., a pathogen of scallop (Pecten maximus) larvae". International Journal of Systematic Bacteriology. 48 (2): 481–487. doi:10.1099/00207713-48-2-481. PMID 9731288.
  13. ^ Lise Thorkildsen; Christophe Lambert; Are Nylund; Thorolf Magnesen; Øivind Bergh (2005). "Bacteria associated with early life stages of the great scallop, Pecten maximus: impact on larval survival" (PDF). Aquaculture International. 13 (6): 575–592. doi:10.1007/s10499-005-9002-5. S2CID 20819269.
  14. ^ R.P. Briggs (2000). "The great scallop: an endangered species". Biologist. 47 (5): 260–264. PMID 11153135.
  15. ^ Nicole Devauchelle; Christian Mingant (1991). "Review of the reproductive physiology of the scallop, Pecten maximus, applicable to intensive aquaculture" (PDF). Aquatic Living Resources. 2: 41–51.
  16. ^ Øivind Bergh; Øivind Strand (2001). "Great scallop, Pecten maximus, research and culture strategies in Norway: a review". Aquaculture International. 9 (4): 305–317. doi:10.1023/A:1020452715518. S2CID 45170157.
  17. ^ a b "Great scallop". Ecomare. Retrieved 1 January 2016.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