굴 양식

Oyster farming
2005년 프랑스 브르타뉴주 캉칼의 부두에서 굴 수확
나미비아 왈비스 만의 굴 양식

양식(또는 양식)은 굴이 주로 진주, 조개껍데기, 내부 장기 조직을 위해 사육되고 사육되는 양식이다.굴 양식업은 기원전 1세기 이탈리아 반도에서[1][2] 고대 로마에 의해 행해졌고 이후 로마로 수출하기 위해 영국에서 행해졌다.프랑스의 굴 산업은 18세기 [3]후반부터 양식 굴에 의존해 왔다.

역사

레이크(위)와 돛으로 움직이는 준설선(아래)을 이용한 굴 채취.1771년 L'Clopédie에서
프랑스 모르비앙의 굴 양식선
미국 워싱턴 주 윌라파 베이의 침상에서 손으로 굴을 캐기
캐나다 프린스에드워드 섬에서 바구니로 양식된 굴
프랑스 지롱드 하구에서 굴 양식용 보트(1920년경)
프랑스 샤일벳의 굴주머니가 달린 평평한 바닥의 굴배

굴 양식업은 기원전 1세기 이탈리아 [4]반도에서 고대 로마에 의해 행해졌다.야만인의 침략으로 지중해와 대서양에서의 굴 양식업은 끝이 났다.

사실, 로마인들이 굴을 처음 양식한 사람들이다.로마의 기술자 Sergius Orata는 굴을 양식하고 상품화하는 혁신적인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그는 연체동물을 [5]수위를 조절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배양함으로써 이것을 했다.

1852년 무슈 드 본은 임시 포수들을 이용하여 굴 알을 수집하여 굴밭의 씨를 다시 뿌리기 시작했다.현대 굴 양식에서 중요한 단계는 일 레에 있는 Hyacinthe Boeuf에 의해 지어진 굴 양식장이었다.해안의 일부에 대한 권리를 획득한 후, 그는 저수지를 만들고 물살을 깨기 위해 벽을 쌓았다.얼마 후, 벽은 평방미터 [6]당 2000개의 아기 굴을 주는 바다에서 저절로 나오는 주걱으로 뒤덮였다.

고대 로마인들은 1세기부터 약 4세기까지 영국의 햄프턴-온해 또는 켄트에서 템스 강 하구 농사를 짓기 시작했다.그들은 로마와 로마 제국 전역에 굴을 수출할 것이다.그리고 1864년 7월 25일, Herne Bay Hampton과 Recuiver Oster Fishing Company는 굴 양식업을 시작하기 위해 그 지역으로 이사했다.1870년대에 굴 거래는 남획으로 어려움을 겪었고 산업은 쇠퇴기에 접어들었다.이것은 영국 정부가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877년 법을 만들도록 만들었다.이에 따라 6월부터 8월까지 준설 굴을, 5~8월까지는 민물 연못 굴을 판매할 수 없게 됐다.몇 년 후 그 회사는 문을 닫았고 1881년에 모든 자산이 매각되어 영국 [7]템즈 강 하구 지역의 굴 양식장을 폐쇄했다.영국에서 굴 낚시로 유명한 또 다른 장소는 휘스터블이다.이 지역의 "켄티쉬 플랫"은 로마가 시작된 이래로 사용되어 왔습니다.굴은 이탈리아로 보내질 것이고, 그곳에서 로마 황제들은 굴의 무게에 따라 금으로 값을 지불했다.[8]

양식 굴의 종류

일반적으로 양식되는 굴은 동부Crassostrea virginica, 태평양Crassostrea gigas, BelonOstrea edulis, 시드니 바위Saccostrea glomerata, 남부 진흙 굴 Ostrea angasi포함합니다.

재배

굴은 기수 하구에서 자연적으로 자란다.농사를 지으면 물의 온도와 염도를 조절(또는 최소한 모니터링)하여 산란과 수정을 유도할 뿐만 아니라 성숙 속도를 높일 수 있으며, 이는 몇 년이 걸릴 수 있습니다.

굴을 양식하는 첫 번째 단계는 수육을 조절하는 것이다.브로드스톡은 유충에게 배우자를 제공하는 "부모" 굴입니다.야생의 굴은 짧은 창을 위해 배우자와 함께 "익어" 있을 뿐이다.한 지역의 모든 굴은 동시에 알을 낳아 생식체가 만나 번식할 수 있는 유충을 낳는다.계절 내내 산란을 위해 잘 익은 굴을 보장하기 위해, 일부 재배자들은 농부가 온도와 음식을 조절할 수 있는 별도의 시스템에 성숙한 굴을 보관하는 것을 선택한다.순환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지만, 식물성 플랑크톤의 자연적인 다양성이 [9]굴을 조절하는 데 더 좋은 식단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흐름 시스템이 더 좋습니다.이 별도의 시스템을 설치함으로써, 양식업자는 겨울에서 여름으로의 전환을 실시간보다 빠르게 흉내 낼 수 있고, 근본적으로 양식업자가 더 많은 유충이 필요할 때마다 산란을 할 때라고 굴을 설득할 수 있다.

실제로 굴을 산란하려면 쟁반에 굴 한 묶음을 담고 물을 빠르게 데워 식혀 산란을 유도한다.굴은 겉모습으로 볼 때 수컷인지 암컷인지 구분할 수 없기 때문에 많은 수의 굴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일단 굴이 알을 낳기 시작하면, 굴은 모든 생식체를 방출할 때까지 주워 별도의 용기에 넣을 수 있다.난자와 정자가 함께 섞여 [10]수정될 수 있다.

유충 탱크는 탱크에 물을 넣기 전에 세척 및 소독해야 합니다.수질은 특정 종에 맞게 조정되어야 하지만, 대부분의 애벌레는 일반적으로 따뜻한 물에서 더 빨리 자랍니다.수조에 수정란과 초기 애벌레를 넣은 후에는 매일 여과하거나 배양한 해조류를 먹이고, 이틀에 한 번씩 물을 갈아줘야 한다.이를 통해 병원균이나 외래 생물이 체내에 침입하여 유충과 경쟁하거나 유충을 잡아먹지 않도록 하고, 유충의 수질은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깨끗한 상태를 유지합니다.이것은 굴의 일생 [11]중 가장 연약한 단계이다.

약 2주 후에 굴은 굳을 준비가 될 것이다.그들은 보기 위해 사용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아이팟이라고 불리는 작고 둥근 변색이 생길 것이다.그들의 근육질 발은 현미경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이 시점에서 유충은 다양한 컬치 옵션을 가진 시스템에 넣을 수 있습니다.최고의 컬치는 보통 꽉 차거나 굴 껍질을 갈아 만든 것인데, 왜냐하면 굴은 미래의 [11]번식을 확실히 하기 위해 자연스럽게 다른 굴 껍질에 끌리기 때문입니다.애벌레가 정착한 후, 그들은 "스팟"으로 여겨집니다.

일반적으로 세 가지 재배 방법이 사용됩니다.각각의 경우 굴은 기질에 붙는 지점인 '스팟' 크기로 양식된다.기판은 "컬치"(cutch 또는 "culch"[12]라고도 함)라고 합니다.느슨한 주걱은 작은 껍데기를 가진 "씨앗" 굴을 형성하기 위해 더 숙성될 수 있다.어느 경우든(스패트 또는 시드 단계) 그들은 성숙하도록 준비된다.숙성기술은 재배방법을 선택하는 곳이다.

한 가지 방법에서는 스패트 또는 씨앗 굴이 기존의 굴바닥에 분포되어 자연적으로 숙성되도록 방치한다.그런 굴은 준설같은 야생 굴 어획 방법을 사용하여 채취될 것이다.

두 번째 방법에서는 스패트 또는 씨앗을 바닥 위에 있는 랙, 가방 또는 케이지에 넣을 수 있다(또는 세로줄에 3개씩 접착할 수도 있다).이와 같이 양식된 굴은 봉지 또는 선반을 수면으로 들어올려 성숙한 굴을 제거하거나, 간조 시 인클로저가 노출되었을 때 단순히 큰 굴을 회수함으로써 수확할 수 있다.후자의 방법은 일부 포식자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지만 비용이 [13]더 많이 듭니다.

세 번째 방법에서는 스패트 또는 씨앗을 인공 성숙조 내의 컬치 안에 넣는다.성숙 탱크는 굴의 성장 속도를 가속화하기 위해 특별히 준비된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특히 물의 온도와 염도는 가까운 바닷물에서 다소 변경될 수 있다. 속의 탄산염 광물인 칼사이트와 아라곤나이트는 굴의 껍데기를 더 빨리 발달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수조에 도입되기 전에 물 처리에도 포함될 수 있습니다.후자의 재배 기술은 포식자와 밀렵에 가장 덜 취약할 수 있지만,[14] 건설과 운영에는 가장 많은 비용이 듭니다.태평양굴 M. gigas는 이런 양식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종이다.

보트

19세기 동안 미국에서는 다양한 얕은 돛단배 디자인이 체서피크 만에서 오이스팅용으로 개발되었습니다.이것들은 부게이, 통나무 카누, 쏘는 것, 샤피, 스킵잭을 포함합니다.1880년대에 체서피크데드라이즈라고 불리는 동력선도 개발되었다.

1977년부터 브르타뉴의 몇몇 보트 제작자들은 홍합과 굴 양식 산업에 사용할 수 있는 특수 수륙양용 차량을 만들었다.보트는 알루미늄으로 제작되고 바닥이 비교적 평평하며 보트의 크기에 따라 3개, 4개 또는 6개의 휠이 있습니다.썰물이 빠지면 보트는 바퀴를 이용해 갯벌 위를 달릴 수 있다.조수가 차면 그들은 프로펠러를 사용하여 물 속을 이동한다.뉴저지의 굴 양식업자들은 비슷한 배를 이용한다.

환경에 미치는 영향

굴과 다른 조개류의 양식은 비교적 온화하고 심지어 원기를 회복시키는 것으로, 육지 단백질 [15]공급원에 대한 압력을 완화할 가능성이 있다.굴 개체수의 회복은 수질 유지, 해안선 보호와 퇴적물 안정화, 영양 순환과 격리, 그리고 다른 [16]유기체의 서식지를 포함한 그들이 제공하는 생태계 서비스를 위해 장려된다.워싱턴 [17]리버티 베이에서 올림피아 토종 굴 복원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다.체서피크 만의 굴 양식업은 주변 [18]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하거나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체서피크 [19]만에서는 수많은 굴 복원 프로젝트가 진행 중이다.미국에서는 델라웨어주가 유일하게 굴 양식업이 없는 동해안 주이지만 양식업을 에이커 단위로 물을 빌려 조개류를 상업적으로 수확하는 국영산업으로 만드는 방안이 [20]검토되고 있다.델라웨어의 양식업 허용 법안 지지자들은 수익, 일자리 창출 및 영양 사이클링 혜택을 꼽습니다.1에이커당 약 750,000개의 굴을 생산할 수 있다고 추정되는데,[20] 이것은 매일 1,500만 갤런에서 4,000만 갤런의 물을 걸러낼 수 있다.

다른 자료들은 한 마리의 굴이 하루에 24~96리터를 걸러낼 수 있다고 말한다.[21]1에이커에 75만개의 굴이 있어 1800만~7200만리터의 물을 여과할 수 있어 물기둥에 떠 있는 입자성 물질을 대부분 제거할 수 있다.굴이 제거하는 입자는 모래, 점토, 실트, 이물질, 식물성 플랑크톤이다.[21]이러한 미립자는 모두 인공 발생원(육지 또는 [22]수역으로 직접 유입되는)에서 발생하는 유해 오염을 포함할 수 있다.대신은 그 때 더 큰 유기체에 의해서 소화할 수 있어 다른 거름식 섭식자에 의해 섭취가 되는, 굴, 그리고 침전물에 물길을 아래에 그들을 이 가능한 유해 물질이 가지 거나할 수 있다.[21]이 퇴적층에서 이 같은 오염 물질을 제거하려면 미역의 종들은 그들의 식물 조직에서, 그 오염은 주변 환경에 양성이 포함된 지역으로 잡혀 제거할 만한 이런 오염 물질을 차지할 추가될 수 있다.[23]는 지질 시대에 안정적인 한 형태(탄산 칼슘)에 때문에 굴 껍질의 성장 sequesters 대기 중의 이산화 탄소를 좀 더 최근에, 굴과 조개류는 다른 갑각류의 대규모 재배 방법 기후 변화에 맞서기 위해, 제안되고 있다.[24][25][26][27]미국에서 태평양 굴의 조력 지역의 재배 뿐만 아니라 바다에 굴 재배도 정부 정책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물 질을 향상시킨다.굴 농업 연방 규칙, 지도, 그리고 모델들에 복종해야 한다.연방 규제 감시자들은 그 환경의 안전과 인류에게 미치는 건강에 미치는 영향.[28]칼즈배드 Aquafarm 남부 캘리포니아에 위치한 우주에 있을 동안 새로 개장한 클로드 루이스 주 해수 담수화 플랜트 인근 조업 생산 최적화에 활용할 구명정과 트레이를 사용하여 태평양 굴을 경작하고 있다.[29]새로운 입양된 환경 영향 규제와 정책과 업데이트된 미국 환경 보호국은 연방 수질 오염 방지 법을 통해 4월 7일 2016년까지 주요 목적이 conjuncti에 환경 영향 최소화한 클로드 루이스 주 해수 담수화 플랜트의 위치와 건설 승인에 의해 만들어졌다.칼즈배드 Aquafarm 있어요[30]는 아발론 오션 팜 같은 양식 프로젝트를 위한 응용 프로그램과 허가 공개하고 EPA와 CivilWorksAdministration토목 사업국의 같은 지침을 따르도록 만들어진다.수질, 해병 Mammals(멸종 위기에 처한 종을 포함한),이라고 전망했다 환경 영향 평가는 프로젝트의 설명, 처리 및 환경 영향을 경감하기를 최소화하기 위해 나열되어 있습니다.[31일]

포식자, 질병 및 해충

굴 포식자는 불가사리, 굴 굴착 달팽이, 가오리, 플로리다 돌게, 굴잡이, 갈매기 같은 새, 그리고 인간을 포함합니다.

양식된 버진리카 또는 기가스 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병원체로는 퍼킨수스 마리누스(Dermo)와 하플로스포리디움 넬슨(MSX)이 있다.하지만, C. 버진리카C. 기가스 [32]굴보다 더 Dermo 또는 MSX 감염에 훨씬 더 취약합니다.오에둘리스 굴의 병원체에는 마르테일리아 리프링겐스보나미아 오스트레아 [33]등이 있다.북대서양에서, 굴게는 숙주 굴 안에서 내생생물적 공생관계에서 살 수 있다.굴게는 식용 별미로 여겨지기 때문에 어린 양식 굴에서 제거되지 않을 수 있다. 왜냐하면 굴게 자체가 판매를 위해 수확될 수 있기 때문이다.

진피병은 굴의 혈구를 감염시키는 원생동물 기생충인 Perkinsus marinus에 의해 발생한다.감염된 굴로부터 감염 단계가 물기둥으로 방출되어 새로운 숙주로 흡수될 때 확산됩니다.이는 화씨 [34]77°F 이상의 물에서 가장 흔합니다.

MSX는 "Multinucleated Spore Unknown"을 의미하며 C. virginica에 치명적입니다.그것은 단세포 원생동물이며 굴 사이에서 전염되는 알려지지 않은 방법을 가지고 있다.그것은 더모처럼 굴에서 굴로 옮겨지는 것처럼 보이지 않는다.1997년 발병 후 MSX 내성 굴 품종이 개발됐다.MSX는 저온과 저염도에서도 억제할 수 있지만 한번 감염되면 한 [35]달 안에 죽는다.

MSX와 Dermo는 둘 다 인간에게 해롭지 않은 것으로 여겨진다.그러나 비브리오균은 굴과 다른 조개류에 의해 전염되는 질병으로 사람을 아프게 할 수 있지만 굴 자체에는 해롭지 않다.비브리오를 생으로 먹어야만 굴에서 사람에게 전해질 수 있다.비브리오균은 따뜻한 물에서 더 흔하며,[36] 모든 상업용 조개류는 비브리오균을 죽이기 위해 제공되기 전에 냉장 보관해야 한다.

폴리도리드 폴리카에테는 양식된 [37]굴의 해충으로 알려져 있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1. ^ Higginbotham JA (1997). Piscinae: artificial fishponds in Roman Italy.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p. 247, note 44. ISBN 9780807823293.
  2. ^ Bannon CJ (March 2001). "Servitudes for Water Use in the Roman "Suburbium"". Historia: Zeitschrift für Alte Geschichte. 50 (1): 34–52. JSTOR 4436602. 이러한 초기 대처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Sergius Orata를 참조하십시오.
  3. ^ Kurlansky M (2006). The Big Oyster: History on the Half Shell. New York: Ballantine Books. p. 49. ISBN 978-0-345-47638-8.
  4. ^ Higginbotham JA (1997-01-01). Piscinae: Artificial Fishponds in Roman Italy. UNC Press Books. ISBN 9780807823293.
  5. ^ "10 pearls of wisdom about the opulent oyster". BBC. BBC. Retrieved 2 December 2021.
  6. ^ Toussaint-Samat M (2009-03-25). A History of Food. John Wiley & Sons. ISBN 9781444305142.
  7. ^ Easdown, Martin (2005). Adventures in Oysterville: The failed oyster and seaside development of Hampton-on-Sea. Ramsgate: Michael's Bookshop. ISBN 1-907369-14-7. Retrieved 12 November 2021.
  8. ^ "10 pearls of wisdom about the opulent oyster". BBC. BBC. Retrieved 2 December 2021.
  9. ^ Utting SD, Millican PF (1997-09-20). "Techniques for the hatchery conditioning of bivalve broodstocks and the subsequent effect on egg quality and larval viability". Aquaculture. 155 (1–4): 45–54. doi:10.1016/S0044-8486(97)00108-7. ISSN 0044-8486.
  10. ^ Helm MM, Bourne N, Lovatelli A (2004). "The hatchery culture of bivalves: a practical manual". Rome: Food and Agricultural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Retrieved 2018-04-26.
  11. ^ a b Wallace R. "Oyster Hatchery Techniques" (PDF).
  12. ^ Myer R (Oct–Dec 1948), "Oyster Terms in the Puget Sound Region", American Speech, The American Dialect Society, 23 (3/4): 296–298, doi:10.2307/486938, JSTOR 486938
  13. ^ "Oyster Farming in Louisiana" (PDF). Louisiana State University.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3 March 2016. Retrieved 2012-10-01.
  14. ^ "Pacific Oyster". Korea/U.S. Aquacultur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8-07-06. Retrieved 2008-08-08.
  15. ^ "Wayback Machine에서 2009-05-12년에 보관된 물고기와 굴 양식 사례"라고 2009년 5월 17일 서던 캘리포니아 대학의 Carl Marziali는 말합니다.
  16. ^ The Nature Conservancy. "Shellfish Reefs at Risk: Critical Marine Habitat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3-10-04.
  17. ^ "Recovery of the Olympia Oyster in Kitsap County". USDA Natural Resources Conservation Servic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0-10-08.
  18. ^ Turner JS, Kellogg ML, Massey GM, Friedrichs CT (2019-11-07). "Minimal effects of oyster aquaculture on local water quality: Examples from southern Chesapeake Bay". PLOS ONE. 14 (11): e0224768. Bibcode:2019PLoSO..1424768T. doi:10.1371/journal.pone.0224768. PMC 6837484. PMID 31697739.
  19. ^ Chesapeake Bay Foundation. "RESTORE - Oyster Restoration". Retrieved May 18, 2012.
  20. ^ a b Brown A (June 10, 2013). "'Aquaculture' shellfish harvesting bill moves forward". Delaware State New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October 22, 2013. Retrieved June 11, 2013.
  21. ^ a b c Rice MA (January 2001). "Environmental impacts of shellfish aquaculture: filter feeding to control eutrophication." (PDF). Marine aquaculture and the environment: a meeting for stakeholders in the Northeast. Falmouth, MA, USA: Cape Cod Press. pp. 77–86.
  22. ^ Buschmann AH, Herna'ndez-Gonza' lez HC, Aranda C, Chopin T, Neori A, Halling C, Troell M. "Mariculture Waste Management". In Jørgensen SE, Fath BD (eds.). Ecological Engineering. Encyclopedia of Ecology. Vol. 3. pp. 2211–2217.
  23. ^ Neori A, Chopin T, Troell M, Buschmann AH, Kraemer GP, Halling C, Shpigel M, Yarish C (March 2004). "Integrated aquaculture: rationale, evolution and state of the art emphasizing seaweed biofiltration in modern mariculture". Aquaculture. 231 (1–4): 361–91. doi:10.1016/j.aquaculture.2003.11.015.
  24. ^ Hickey JP (February 2009). "Carbon Sequestration Potential of Shellfish". University of South Australia.
  25. ^ Fodrie FJ, et al. (2017-06-17). "Oyster reefs as carbon sources and sinks".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B. Institute of Marine Sciences,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3431 Arendell Street, Morehead City, NC 28557, USA. 284 (1859): 20170891. doi:10.1098/rspb.2017.0891. PMC 5543224. PMID 28747477.{{cite journal}}: CS1 유지보수: 위치(링크)
  26. ^ Moore D, et al. (December 2020). "Saving the Planet with Appropriate Biotechnology: 2. Cultivate Shellfish to Remediate the Atmosphere". School of Biological Sciences, Faculty of Biology, Medicine and Health, The University of Manchester, UK (retired).
  27. ^ Moore D (January 2020). "A biotechnological expansion of shellfish cultivation could permanently remove carbon dioxide from the atmosphere". Mexican Journal of Biotechnology. School of Biological Sciences, Faculty of Biology, Medicine and Health, The University of Manchester, UK . 5 (1): 1–10. doi:10.29267/mxjb.2020.5.1.1. S2CID 212849469.
  28. ^ Fisheries, NOAA (2022-04-28). "Pacific Oyster NOAA Fisheries". NOAA. Retrieved 2022-05-26.
  29. ^ "CARLSBAD AQUAFARMS, INC" (PDF). STATE OF CALIFORNIA—NATURAL RESOURCES AGENCY (PDF). Retrieved May 26, 2022. {{cite web}}:확인. archive-url=(도움말)CS1 유지보수:url-status(링크)
  30. ^ "Ocean Plan Requirements for Seawater Desalination Facilities California State Water Resources Control Board". www.waterboards.ca.gov. Retrieved 2022-05-26.
  31. ^ "SPL-2020-00039-TS Avalon Ocean Farm". www.spl.usace.army.mil. Retrieved 2022-05-30.
  32. ^ Goedken M, Morsey B, Sunila I, De Guise S (August 2005). "Immunomodulation of Crassostrea gigas and Crassostrea virginica cellular defense mechanisms by Perkinsus marinus". Journal of Shellfisheries Research.
  33. ^ "FAO Fisheries & Aquaculture Ostrea edulis".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Retrieved 2008-08-06.
  34. ^ Sunila I. "Dermo Disease" (PDF). Connecticut Department of Agriculture.
  35. ^ Sunila I. "MSX Disease" (PDF). Connecticut Department of Agriculture.
  36. ^ Center for Food Safety and Applied Nutrition. "Health Educators - Vibrio vulnificus Health Education Kit Fact Sheet". www.fda.gov. Retrieved 2018-04-26.
  37. ^ Simon CA (June 2011). "Polydora and Dipolydora (Polychaeta: Spionidae) associated with molluscs on the south coast of South Africa, with descriptions of two new species". African Invertebrates. 52 (1): 39–50. doi:10.5733/afin.052.0104. S2CID 86711527.

추가 정보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