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머넌트 채석장
Permanente Quarry퍼머넌트 채석장은 캘리포니아주 쿠퍼티노 서쪽의 캘리포니아주 산타클라라 카운티의 비법인 지역에 있는 석회석 채석장이다.[1] 채석장은 하이델베르크 시멘트의 자회사인 르하이 사우스웨스트 시멘트가 소유하고 있는 석회석 및 골재 채굴 작업장과 시멘트 공장이다. 이 공장은 1939년부터 가동되어 베이 지역에서 사용되는 시멘트의 절반 이상을 생산하고 있다. 산타클라라 카운티의 지역사회에 사용되는 시멘트의 약 70%는 시멘트 공장에서 취득한다.[2]
블랙 마운틴의 북동쪽 경사면에 있는 쿠퍼티노 위의 기슭에 위치한 이 채석장은 남쪽으로는 퍼머넌트 크릭 상류의 분수령과 평행하게 뻗어 있으며 북쪽으로는 퍼머넌트 리지, 란초 산 안토니오 오픈 스페이스 보존지까지 이어진다.
퍼머넌트 크릭 계곡과 블랙 마운틴 정상에서 발견된 석회암 바위는 베이 지역에서 비교적 독특하다. 석회암 퇴적물의 마이크로포셀은 이 산이 약 1억년 전 열대 태평양의 북쪽 22도에 있는 해산으로 발원해 태평양 판에 의해 로스 알토스로 운반된 것으로 추정한다.[3][4][5] 이 암석들은 블랙 마운틴 정상의 라디오 타워 바로 남서쪽에서 들쭉날쭉한 회색 돌과 돌출부, 그리고 영구 채석장에서 발생한다.
역사
이 채석장은 1939년 헨리 J. 카이저에 의해 카이저 퍼머넌테 시멘트 공장으로 설립되었으며, 이 채석장이 위치한 퍼머넌트 크릭에서 사업체의 이름을 따왔다. 카이저는 채석장을 이용해 샤스타댐 건설에 사용되는 시멘트의 대부분을 공급해 600만 배럴(95만 m3)의 시멘트를 공급할 계획이었다.[6] 또한 카이저 시멘트 회사는 채석장에서 101번 고속도로, 85번 고속도로, 그리고 다른 북부 캘리포니아의 주요 랜드마크를 건설했다.[7] 시멘트 공장은 도시를 관통하는 유일한 철도 노선의 주요 원인이다. 한손시멘트는 1986년 카이저시멘트를 2억 달러에 인수했다.[8] 이 시멘트 회사는 1999년에 한슨 퍼머넌트 시멘트로 개칭되었다.[7] 판매 당시 카이저 시멘트는 미국 전체에서 5번째로 큰 시멘트 생산국이었다.[9]
경제문제와 파산
한슨 퍼머넌트 시멘트는 2016년 미국 파산법원에 11장 파산을 신청했다. 이번 파산은 1만4000건이 넘는 상해 소송과 관련이 있다.[10] 전년도 한손페르머네시멘트는 500만 달러를 들여 고급 폐수처리장을 설치하도록 지시받았고, 민사처벌금 255만 달러도 함께 부과됐다.[2]
오염
수은 배출량 & 인체에 미치는 영향
채석장의 시멘트 공장은 2007년부터 석유 코크스에 의해 연료가 공급되어 왔으며, 후자는 (석회암 자체와 함께) 수은 배출의 주요 원천이다. 이 시멘트 공장은 전체 베이 아리어 공기 중 수은 배출량의 29%를 담당하고 있으며, 32km 떨어진 시골지역인 칼레로 저수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11] 수생식량 거미줄에 농축된 신경독과 오염물질인 수성은 3.0마일(3.2km) 떨어진 대조군보다 시멘트 공장 인근 강수량이 5.8~6.7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12] 2011년 한 연구는 쿠퍼티노 유니온 학군 같은 지역 학군에서 자폐증이 발생하는 것과 텍사스 벡사 카운티의 석탄 화력발전소와 캘리포니아 산타클라라 카운티의 퍼머넌트 채석리 시멘트 공장에서 발생하는 더 높은 수준의 주변 수은 사이에 상당한 지리적 연관성을 보여주었다.[13]
셀레늄 방전
지하수는 현재의 채석장을 채우고 퍼머넌트 크릭으로 펌핑된다. 채석장 하류의 셀레늄 오염은 13~81마이크로그램/ℓ(μg/L)에 달했다. 2010년 1월 북채석수 표본의 용해 셀레늄 농도는 82μg/L로 채석장이 셀레늄 오염의 원인임을 알 수 있다. 셀레늄은 수생식용 거미줄에 생물학적으로 축적된다.[14] 담수 내 셀레늄 농도에 대한 안전기준은 캘리포니아 독성 규칙(미국 환경보호청(USEPA)이 2000년과 2012년에 정한 국가 독성 규칙과 동일)에 따라 5μg/L이다.[15]
침전물이 배출되다.
채석장 운영과 시멘트 공장과 관련된 인류화는 개발되지 않은 조건에서 예상되는 3.5배의 퍼머넌트 크릭으로 침전물이 배출되는 결과를 낳았다.[16] 상층 퍼머넌트 크릭 본체에서 침전물 하중은 대부분 공원 지대로 배수되는 웨스트 포크 퍼머넌트 크릭의 15배다. 이러한 침전물 하중은 개울에 사는 무지개송어(Oncorynchus mykiss) 개체군을 위협할 수 있다.[17]
반대
1985년 간척계획의 조건에 따르면, 채석장은 채석장 폐자재를 상설 능선으로 알려진 자연 채파랄 능선보다 100피트 이상 높게 버려서는 안 되었다. 이 폐자재 저장 구역(WMSA)은 영구 능선 위와 위에 쌓였고, 이 갈색의 흉터는 남부 베이 지역의 많은 부분에서 볼 수 있다. 2004년 주인인 한손 시멘트의 주장에도 불구하고, 매년 천연 잔디 혼합물로 배수 처리되었으며, 면적의 80%를 나무와 관목에 심었다는 것이다(사진 참조). inset) 인접 랜초 샌 안토니오 오픈 스페이스 보존소의 미적 가치를 떨어뜨리는 불모지 지역.[18] Lehigh Southwest에 의해 WMSA(West Materials Storage Area)라고 일컬어지는 이 불모의 능선선은 실리콘 밸리의 많은 곳에서 볼 수 있다.
2011년 12월 19일, 시에라 클럽은 셀레늄과 다른 독성 수질 오염물질의 무단 방출을 막기 위해 연방 법원에 Lehigh Southwest Sement Company와[19] Heelberg Sement를 고소했다. 시에라 클럽은 리히가 미국 환경보호청(EPA)과 샌프란시스코만 지역 수질관리위원회(San Francisco Bay Regional Water Quality Control Board)에 의해 '장애수체'로 등재된 이후 수년간 수질법 위반으로 퍼머넌트 크릭을 오염시켰다고 주장하고 있다.[20] 리히의 자체 수질 분석 결과 리히가 하천으로 배출하는 채석장 폐수가 청정수법 하천 기준치의 16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오염은 셀레늄 농도가 주 및 연방 기준이 허용하는 것보다 5배 이상 높은 랜초 샌 안토니오 카운티 공원과 같은 하류 지역의 수생 생물에게 특히 해로울 것이다.[20]
2012년 6월 7일, 산타클라라 카운티 감독위원회는 채석장 동쪽 끝의 새로운 폐자재 저장 구역(EMSA) 승인을 포함한 1985년 르하이 남서 시멘트 회사의 영구 채석재 매립 계획 수정안을 승인했다. 새롭게 승인된 간척계획은 89개 조건(1985년 개정의 73개 조건보다 현저히 많음)을 가지고 있으며, 셀레늄 유출량을 최소화하고 보고와 감시 수준을 높이는 모든 교란지역의 재채취를 위한 보다 높은 성능 기준을 요구하고 있다. 또한 IASB는 캘리포니아 환경품질법에 따라 최종 환경영향보고서를 비준하였다.[21]
미드페닌술라 지역 오픈 스페이스 지구는 2012년 12월 산타클라라 카운티를 상대로 환경 영향 보고서가 대기질, 유해물질, 레크리에이션, 그라운에 미치는 프로젝트의 영향을 분석하고 완화하지 못했다며 쿠퍼티노 인근 르하이 사우스웨스트 시멘트 퍼머넌트 채석장의 매립 계획에 이의를 제기하며 소송을 제기했다.바다와 멸종 위기에 처한 [22]종들
리하이 측은 2013년 최소 1000만달러(약 1000억원)의 수처리제 시행을 통해 소송을 해결했고, 합의금의 일부는 '작업 완료를 보장하는 1200만달러(약 1200억원)의 보증채권'[23]이다.
2011년 촬영
2011년 10월 5일 르하이 사우스웨스트 시멘트 공장은 불만을 품은 직원인 47세의 샤리프 올먼이 저지른 총격 사건 현장이었다. 오전 4시 안전대책회의에서 올맨은 223구경 반자동소총과 40구경 권총으로 총격을 가해 동료 3명이 숨지고 6명이 다쳤다. 그는 후에 한 여성을 총으로 쏴 부상을 입혔고, 총격 몇 시간 후 그녀를 체포하려고 시도했다. 총격으로 인해 수색 작업이 시작되었고, 이로 인해 인근 지역사회의 일부 학교와 기업체들이 폐쇄되었다. Allman은 다음날 Sunnyvale의 한 동네에서 산타클라라 카운티 보안관 대리들과 대치했는데, 그곳에서 그는 그들을 향해 화기를 겨누었고 세 명의 보안관이 총으로 응수했다. 당초 올먼은 이 장교의 총탄에 의해 사망했다고 보도되었으나, 후에 머리에 자해된 총상으로 사망했다고 밝혀졌다.[24][25]
참조
- ^ "Permanente Quarry". Geographic Names Information System.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 ^ a b 수질 오염을 해결하기 위해 750만 달러를 지불해야 하는 쿠퍼티노 시멘트 채석장 – 머큐리 뉴스
- ^ Weintraub, David (2003). Peninsula Trails and Tales. Portland, OR: Graphic Arts Books. p. 384. ISBN 978-1-55868-850-6.
- ^ Sloan, Doris (2006). Geology of the San Francisco Bay Region. Berkeley and Los Angeles, Californi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p. 172. ISBN 978-0-520-23629-5.
- ^ John A. Tarduno; Michael McWilliams; Michel G. Debiche; William V. Sliter; M. C. Blake (1985). "Franciscan Complex Calera limestones: accreted remnants of Farallon Plate oceanic plateaus". Nature. 317 (6035): 345–347. doi:10.1038/317345a0. S2CID 4350067.
- ^ 샤스타 댐 –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 ^ a b 자주 묻는 질문 – Cupertino의 도시
- ^ Kaiser Sement OKs By Hanson Trust : 경쟁사인 Lone Star, 다른 영국 회사에 일부 홀딩스를 매각할 것 - LA 타임즈
- ^ – Hanson to Acquire Kaiser Sement – New York Times
- ^ 한슨 퍼머넌트 시멘트 파산신청서 - 글로벌 시멘트
- ^ Sarah E. Rothenberg; Lester McKee; Alicia Gilbreath; Donald Yee; Mike Connor; Xuewu Fu (March 2010). "Evidence for short-range transport of atmospheric mercury to a rural, inland site". Atmospheric Environment. 44 (10): 1263–1273. doi:10.1016/j.atmosenv.2009.12.032.
- ^ Sarah E. Rothenberg; Lester McKee; Alicia Gilbreath; Donald Yee; Mike Connor; Xuewu Fu (March 2010). "Wet deposition of mercury within the vicinity of a cement plant before and during cement plant maintenance". Atmospheric Environment. 44 (10): 1255–1262. doi:10.1016/j.atmosenv.2009.12.033.
- ^ Blanchard KS, Palmer RF, Stein Z (May 2011). "The value of ecologic studies: mercury concentration in ambient air and the risk of autism". Reviews on Environmental Health. 26 (2): 111–118. doi:10.1515/reveh.2011.015. PMID 21905454.
- ^ Lemly, Dennis (1998). Selenium Assessment in Aquatic Ecosystems: A guide for hazard evaluation and water quality criteria. Springer. ISBN 978-0-387-95346-5.
- ^ CH2MHILL and Environmental Science Associates (April 2012). Lehigh Permanente Quarry Selenium Treatment (PDF) (Report). Retrieved 2012-12-22.
- ^ K. Michael Nolan; R. Barry Hill (1989). Effects of Limestone Quarrying and Cement-Plant Operations on Runoff and Sediment Yields in the Upper Permanente Creek Basin, Santa Clara County, California (Report). U. S. Geological Survey. p. 46. Retrieved 2012-12-23.
- ^ Sediment Impact and Management Practice Assessments (PDF) (Report). Santa Clara Valley Urban Runoff Pollution Prevention Program (SCVURPPP). January 2006. Retrieved 2012-12-23.
- ^ Stewart Smith (July 2004). "The Quarry's Perspective: Reclamation status of Hanson Quarry". Committee on Green Foothills. Retrieved 2012-08-04.
- ^ Ferrier, Mike (19 December 2011). "Sierra Club Files Suit Against Lehigh for Permanente Creek Pollution" (PDF). Sierra Club Press Release.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12-03-21. Retrieved 25 July 2012.
- ^ a b "Cupertino: Sierra Club follows through with lawsuit against Lehigh Cement". The Mercury News. 2011-12-23. Retrieved 2021-03-19.
- ^ Gwendolyn Mitchell (2012-06-26). "County Upholds Planning Commission Approval of Lehigh Permanente Quarry Reclamation Plan Amendment". Santa Clara County. Retrieved 2012-08-04.
- ^ Matt Wilson (2012-12-04). "Cupertino: Open space district files lawsuit against county over Lehigh Cement's EIR". San Jose Mercury News. Retrieved 2012-12-22.
- ^ "Lehigh cement settles Cupertino pollution suit for $10 million". www.bizjournals.com. Retrieved 2021-03-19.
{{cite web}}
: CS1 maint : url-status (링크) - ^ "Deputies kill the suspected Cupertino quarry shooter Shareef Allman". CBS News. October 6, 2011.
- ^ Fernandez, Lisa; Webby, Sean (October 11, 2011). "Coroner's report: Cupertino cement plant worker killed himself". San Jose Mercury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