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타시스 반응
Petasis reaction
페타시스 반응 | |
---|---|
의 이름을 따서 명명됨 | Nicos A.페타시스 |
반응형 | 결합 반응 |
식별자 | |
유기화학 포털 | 페타시스의 매개에 의한 |
RSC 온톨로지 ID | RXNO:0000232 |
페타시스 반응(Petasis borono-mannich 반응(PBM 반응)은 아민, 카르보닐, 비닐 또는 아릴-보론산의 다성분 반응으로 치환된 아민을 형성한다.
1993년 Nicos Petasis에 의해 기하학적으로 순수한 항진균제인 나프티핀의 [1][2][3]합성을 위한 실용적인 방법으로 보고되었습니다.페타시스 반응에서 유기붕소산의 비닐기가 친핵체 역할을 한다.알릴아민을 생성하는 다른 방법에 비해 페타시스 반응은 다양한 아민과 유기붕소산을 잠재적 시작 재료로 하는 다기능성 골격을 허용한다.또한 이 반응은 무수 또는 불활성 조건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페타시스 반응은 가볍고 선택적 합성으로서 α-아미노산 생성에 유용하며 조합 화학 및 약물 [4][5][6][7]발견에 이용된다.
대응 범위 및 모의 응용 프로그램
아민은 카르보닐에 의해 응축된 후 붕산을 [1]첨가한다.
페타시스 반응의 가장 매력적인 특징 중 하나는 비닐 붕산의 안정성입니다.스즈키 커플링의 등장으로, 많은 것이 시판되고 있습니다.
페타시스 반응에는 알코올, 카르본산 및 아민을 포함한 다양한 관능기가 허용된다.반응 조건에 적합한 것으로 알려진 기질에는 비닐보론산 에스테르, 아릴보론산 에스테르 및 [10][11][12]유기불소화칼륨이 있습니다.또한 2차 아민 외에 다양한 치환 아민을 사용할 수 있다.3차 방향족, 히드라진, 히드록실아민, 술폰아미드 및 인돌은 모두 [13][14][15][16]보고되었다.
알릴아민합성
비닐 붕산은 2차 아민 및 파라포름알데히드의 부가물과 반응하여 3차 알릴아민을 생성한다.시동 비닐 붕산의 이중 결합 형상은 최종 [1]제품에서 유지됩니다.
이 반응은 나프티핀을[1] 합성하는데 사용되었다
아미노산 합성
β, β-불포화, N-치환 아미노산은 유기붕소산, 붕산염 또는 붕소에스테르와 아민 및 글리옥실산의 축합을 통해 제조된다.극성이 높은 프로톤 용제인 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판올(HFIP)은 반응 시간을 단축하고 [17]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페타시스 다성분 결합에는 비닐 붕산 외에 아릴 붕산 및 기타 복소환 유도체를 사용할 수 있다.가능한 기판범위는 티에닐, 피리딜, 퓨릴 및 벤조퓨라닐, 1-나프틸 및 전자공여치환기를 [10]가진 아릴기를 포함한다.
항혈소판제인 라세믹 클로피도그렐은 페타시스 [18]반응을 이용하여 2단계로 합성되었다.
키랄아민 또는 알데히드가 기질로 사용될 경우 페타시스 반응은 높은 수준의 스테레오 제어를 나타냅니다.(S)-2-페닐글리시놀 등의 특정 키랄아민과 α-케토산 및 비닐붕산을 상온에서 혼합하면 대응하는 알레아민이 단일 디아스테레오머로 형성된다.또한 디아스테레오 선택적 생성물을 수소화함으로써 에난티오머 순도를 얻을 수 있다.
카르본산의 비재래적인 합성
아미노산과는 별도로 PBM 반응은 카르본산 제조에도 사용될 수 있다.N-치환 인돌의 아민 당량인 경우, 반응은 N-치환 인돌의 3위 위치가 친전자알데히드에 대한 친핵공격으로 시작되고, 이어서 붕산과 카르본산의 반응을 통해 "산 복합체" 1이 형성된다.중간체는 탈수를 거쳐 붕산-알킬기를 이동시켜 최종 카르본산 생성물을 만든다.비닐 붕산의 사용은 보고되지 않았지만 광범위한 아릴 붕산 사용이 허용된다."N"-치환되지 않은 인돌은 정상 반응 조건 하에서 매우 느리게 반응하여 아래와 [16]같은 메커니즘을 확인한다.
페타시스 반응에서 아민 친핵의 또 다른 등가물로 3차 방향족들을 사용할 수 있다.이 메커니즘은 N-치환 인돌의 경우와 유사합니다.반응은 가혹한 조건(1,4-다이옥산에서 24시간 역류)에서 수행되지만, 결과 카르본산은 합리적인 수율로 얻어진다.글리옥실산 대신 α-케토산을 사용해도 수율이 감소하지 않으며,[15] 3차 방향족 대신 1,3,5-트리옥시제네이트 벤젠 유도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미노디카르본산유도체합성
질소 친핵체로 사용될 때 아미노산은 다양한 이미노디카르본산 유도체를 제공할 수 있다.일반적으로 높은 디아스테레오 선택성이 관찰되며, 새로 형성된 스테레오 중심은 일반적으로 시작 아미노산과 동일한 구성을 공유한다.이 반응은 극성 용제(예: 물, 에탄올 등)에서 잘 작동합니다.질소 말단이 보호되지 않은 펩타이드를 질소 친핵성 당량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페타시스와 동료들은 이 [19]방법으로 ACE 억제제인 에날라프릴랏을 준비했다.
펩티도마틱 복소환 합성
디아민이 PBM 반응에 사용될 때, 피페라지논, 벤조피페라지논, 벤조디아제피논과 같은 다양한 구조의 헤테로사이클이 효율적으로 준비된다.락타미네이션 반응은 보통 강한 산성 조건에서 [19]헤테로사이클을 형성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아미노알코올합성
β-아미노 알코올 합성의 기질로 α-히드록시 알데히드를 사용하면 단일 디아스테레오머가 생성된다.이 반응은 독점적으로 항생성물을 형성하며, H NMR 분광법에 의해 확인되었다.이 제품은 라세미화를 거치지 않으며, 에난티오머적으로 순수한 α-히드록시 알데히드를 사용하면 에난티오머 과잉을 달성할 수 있다.붕산은 먼저 키랄 하이드록실기와 반응하여 친핵성 알케닐 붕산염이 되고 이어서 친전자성 이미늄 카본으로의 얼굴선택적 분자내 이동을 통해 바람직한 C-C 결합을 [3]불가역적으로 형성한 것으로 생각된다.
디아스테레오선택성은 섭취 복합체의 보다 안정적인 형태(이 경우 보다 반응적)의 반응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여기서 1,3 알릴 균주는 [20][21][22]최소화된다.
페타시스 반응은 다소 파격적인 알데히드 [23]당량인 디히드록시아세톤과 함께 강력한 면역억제제인 FTY720의 핵심 구조를 제공한다.
아미노폴리올과 아미노당의 합성
페타시스와 동료들은 PBM 반응에서 카르보닐 성분으로 보호되지 않은 탄수화물의 사용을 보고했다.기존 키랄리티를 가진 α-히드록실 알데하이드와 동등하게 사용되며, 아미노폴리올 제품은 보통 적당한 수율에서 양호한 수율로 선택성이 우수하다.다양한 탄수화물 및 질소 핵 친화체(예: 아미노산)를 사용하여 고입체 화학적으로 농축된 제품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그 후 아미노폴리올 제품은 아미노수가를 제조하기 위한 추가 반응을 거친다.페타시스는 이 반응을 D-아라비노오스로부터 [19]보크로 보호되는 만노사민을 준비하기 위해 사용했다.
에난티오 선택적 합성에서의 응용
친핵성 키랄아민으로
일반적으로 페타시스 커플링에 키랄아민을 사용할 경우 페타시스 반응의 입체화학적 결과는 아민의 키랄성과 강하게 관련지어 부피가 큰 키랄 유도기를 사용하지 않아도 높은~뛰어난 디아스테레오선택성을 볼 수 있다.키랄벤질아민,[24] 2-치환피롤리딘 [25]및 5-치환피롤리논은[26][27] 서로 다른 페타시스 반응 조건에서 양호한~뛰어난 디아스테레오머 과량을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키랄 N-아실리미늄 이온 함유
키랄 N-아실리미늄 이온 "시작 물질"은 일반적으로 고리형 헤미아미닌의 현장 탈수에 의해 제조된다.그들은 또한 이미늄 카본과 가까운 키랄 하이드록실기를 운반한다. 붕산은 이러한 키랄 하이드록실기와 반응하여 키랄 및 전자량이 풍부한 붕소산종을 형성하고, 이어서 측면 선택적이고 분자 내 붕소산 비닐/아릴이 이미늄 카본으로 전달된다.따라서 시스보르네이트 아릴/비닐 전달이 지배 경로이며, 이 반응은 매우 디아스테레오 선택적이다.히드록시피롤리딘과[28] 히드록시-γ-락탐은[29] 매우 디스테레오 선택적 반응을 보이며 양호한 수율에서 우수한 수율을 보였다.단, 이러한 절차는 비닐 또는 전자농축 아릴 붕산 사용으로 제한된다.
(±)-6-디옥시카스타노스페르민은 비닐 붕소에스테르로부터 7단계로 제조되었다.디옥시카스타노스페르민(A)의 핵심 비환식 전구체는 먼저 비닐 붕소에스테르 1과 Cbz 보호 히드록시-피롤리딘 2를 PBM 커플링으로 응축한 후 디히드록시화 및 TBS 보호를 통해 형성된다.이어서 A는 1포트 이민 형성 및 환원 후기를 통해 분자 내 환화를 거쳐 TBS 탈보호에 이어 (±)-6-디옥시카스타노스페르민을 [30]얻는다.
티오요소 촉매 사용
에난티오 선택적 페타시스형 반응은 알케닐 붕산 및 키랄 티오요소 [31]촉매를 사용하여 퀴놀린을 각각의 키랄 1,2-디히드로퀴놀린(제품)으로 변환한다.
친전자활성제로는 클로로포름산염이 필요하다.또한 반응이 입체적으로 진행되기 위해서는 촉매에 1,2-아미노 알코올 기능이 필요하다.
키랄 비페놀 사용
톨루엔에 알케닐 디에틸 붕소네이트, 2차 아민, 글리옥실레이트 및 키랄 비페놀 촉매를 [32]1포트에 혼합하여 다양한 기능을 가진 키랄 α-아미노산을 편리하게 제공한다.
이 반응은 알케닐 붕소산염과 2차 아민 양쪽에서 광범위한 기능을 허용한다: 기질의 전자 농도는 수율 및 항선택성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입체적으로 요구가 높은 기질(디알킬 치환 알케닐 붕소산염과 α-스테레오센터)이 있는 항선택성만 손상시킨다.y는 약간.반응률은 상황에 [32]따라 다릅니다.
보고된 조건 하에서 붕산 기질은 에난티오선택성을 주지 못했다.또, 반응계에는 3Ω 분자 체를 이용한다.저자들은 이 논문에서 이러한 사용의 이유를 제시하지 않았지만, 3Ω 분자 체가 물 스캐빈저 역할을 하고 각각의 붕소산으로의 알케닐 디에틸 붕소산염의 분해를 방지하기 위해 추측되었다.촉매는 수율이나 에난티오선택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반응으로부터 [32]재활용되어 재사용될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중국과학원 청두(成都) 유기화학연구소 동료들과 함께 두 가지 방법(키랄티오요소 촉매와 키랄비페놀)을 단일 촉매로 결합해 살리실랄데하이드와 순환세균 사이에서 항안티오 선택적 페타시스 반응을 수행할 수 있는 촉매 시스템을 처음으로 보고했다.콘다리아민 및 아릴 또는 알케닐보론산:[33]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서 페타시스 반응은 발산 합성을 위한 다기능성 골격에 대한 빠른 접근을 위해 사용된다.반응물은 L-페닐-유산 및 아세톤 유래 락톨, L-페닐알라닌 메틸에스테르 및 붕산이다.이 반응은 상온의 에탄올에서 일어나 높은 디아스테레오머 과잉을 가진 [34]항1,2-아미노 알코올을 생성한다.
저자들은 내재적 기계적 선택성 때문에 이 방법으로 syn-1,2-amino 알코올을 평가할 수 없으며, 저자들은 그러한 내재적 선택성이 소분자 스크리닝의 사용을 위해 입체 이성체 생성물의 전체 매트릭스에 접근하는 그들의 능력을 방해한다고 주장한다.최근 보고서에서 Schaus와 동료들은 자신들이 개발한 [35]키랄 디브로모-비페놀 촉매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반응 조건으로 Syn 아미노 알코올을 얻을 수 있다고 보고했습니다.
합성 대 항이아스테로미어비는 보통에서 양(1.5:1~7.5:1)에 이르지만, 이러한 반응에 대한 기판 범위는 다소 한정되어 있으며, 이아스테로 리오셀렉티브는 아민 시작물질의 [35]입체 중심부에 의존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페타시스 반응 및 전체 합성
뷰와 동료들은 PBM 반응과 철(II)이 촉진하는 탈보호-환원 시퀀스의 조합을 통해 자나미비르 착향료의 핵심 디히드로피란 프레임워크를 조립했습니다.입체화학적으로 정의된 α-히드록시알데히드2, 디알릴아민 및 디메틸케탈 보호 붕소산1을 결합하여 비환식 입체화학적으로 정의된 아미노알코올3을 형성하고, 비환식 아미노알코올3은 철(III) 촉진된 환화를 거쳐 이환식 디히드로플란4를 형성한다.디히드로피란 중간체 4의 옥사졸린 부분을 물 또는 티멜실릴아지드로 선택적으로 개방하여 자나미비르족과 [36]유사한 구조를 가진 하류 제품을 제공한다.
Wong과 동료들은 N-아세틸뉴라민산을 PBM 커플링과 함께 조제하고, 이어서 니트론-[3+2] 시클로디션을 준비했다.먼저 비닐보론산을 L-아라비노스1 및 비스(4-메톡시페닐)메타나민2와 결합하여 입체화학적으로 정의된 알릴아민3을 형성한다.그 후, 쌍극자 시클로디션, 염기 매개 N-O 결합 파괴 및 가수 분해의 배열에 의해 N-아세틸뉴라민산의 [37]합성이 완료된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 ^ a b c d Petasis, N. A.; Akritopoulou, I. (1993). "The boronic acid mannich reaction: A new method for the synthesis of geometrically pure allylamines". Tetrahedron Lett. 34 (4): 583–586. doi:10.1016/S0040-4039(00)61625-8.
- ^ Petasis, N. A.; Zavialov, I. A. (1997). "A New and Practical Synthesis of -Amino Acids from Alkenyl Boronic Acids". J. Am. Chem. Soc. 119 (2): 445–446. doi:10.1021/ja963178n.
- ^ a b Petasis, N. A.; Zavialov, I. A. (1998). "Highly Stereocontrolled One-Step Synthesis of anti-β-Amino Alcohols from Organoboronic Acids, Amines, and α-Hydroxy Aldehydes". J. Am. Chem. Soc. 120 (45): 11798–11799. doi:10.1021/ja981075u.
- ^ Candeias, N. R.; Montalbano, F.; Cal, P.M.S.D., Gois, P.M.P. (2010). "Boronic Acids and Esters in the Petasis-Borono Mannich Multicomponent Reaction". Chem. Rev. 110 (10): 6169–6193. doi:10.1021/cr100108k. PMID 20677749.
{{cite journal}}
: CS1 maint: 여러 이름: 작성자 목록(링크) - ^ Batey, R.A. (2005). "Nucleophilic Addition Reactions of Aryl and Alkenylboronic Acids and Their Derivatives to Imines and Iminium Ions". In Hall, D.G. (ed.). Boronic Acids: Preparation and Applications in Organic Synthesis and Medicine. Wiley-VCH. pp. 279–304. doi:10.1002/3527606548.ch7. ISBN 9783527606542.
- ^ Ramadhar, T.R.; Batey, R.A. (2011). "Recent Advances in Nucleophilic Addition Reactions of Organoboronic Acids and Their Derivatives to Unsaturated CN Functionalities". In Hall, D.G. (ed.). Boronic Acids: Preparation and Applications in Organic Synthesis, Medicine and Materials, Second Edition. Wiley-VCH. pp. 427–477. doi:10.1002/9783527639328.ch9. ISBN 9783527639328.
- ^ Wu, Peng; Givskov, Michael; Nielsen, Thomas E. (27 August 2019). "Reactivity and Synthetic Applications of Multicomponent Petasis Reactions". Chemical Reviews. 119 (20): 11245–11290. doi:10.1021/acs.chemrev.9b00214. PMC 6813545. PMID 31454230.
- ^ Hoffmann. R.W.; Dresely, S. (1988), "Preparation of 3-substituted (E)-1-alkenylboronic esters", Synthesis, 1988 (2): 103–106, doi:10.1055/s-1988-27480
- ^ Brown, H.C.; Bhat, N.G.; Iyer, R.R. (1991), "A novel route to 1,3-dienyl-2-boronic esters providing simple syntheses of conjugated (E,E)-dienes and conjugated (E)-alkenones", Tetrahedron Lett., 32 (30): 3655–3658, doi:10.1016/s0040-4039(00)79758-9
- ^ a b Petasis, N.A.; Goodman, A., Zavialov, I.A. (1997), "A new synthesis of α-arylglycines from aryl boronic acids", Tetrahedron, 53 (48): 16463–16470, doi:10.1016/S0040-4020(97)01028-4
{{citation}}
: CS1 maint: 여러 이름: 작성자 목록(링크) - ^ Kabalka, G.W.; Venkataiah, B.; Dong, G. (2004), "The use of potassium alkynyltrifluoroborates in Mannich reactions", Tetrahedron Lett., 45 (4): 729–731, doi:10.1016/j.tetlet.2003.11.049
- ^ Tremblay-Morin, J.-P.; Raeppel, S.; Gaudette, F. (2004), "Lewis acid-catalyzed Mannich type reactions with potassium organotrifluoroborate", Tetrahedron Lett., 45 (17): 3471–3474, doi:10.1016/j.tetlet.2004.03.014
- ^ Portlock, D.E.; Naskar, D.; West, L.; Li, M. (2002), "Petasis boronic acid-Mannich Reactions of substituted hydrazines: synthesis of α-hydrazino carboxylic acids", Tetrahedron Lett., 43 (38): 6845–6847, doi:10.1016/S0040-4039(02)01511-3
- ^ Naskar, D., Roy, A., Seibel, W.L., Portlock, D.E. (2003), "Hydroxylamines and sulfinamide as amine components in the Petasis boronic acid–Mannich reaction: synthesis of N-hydroxy or alkoxy-α-aminocarboxylicacids and N-(tert-butyl sulfinyl)-α-amino carboxylicacids", Tetrahedron Lett., 44 (49): 8865–8868, doi:10.1016/j.tetlet.2003.09.179
{{citation}}
: CS1 maint: 여러 이름: 작성자 목록(링크) - ^ a b Naskar, D.; Roy, A.; Seibel, W.L., Portlock, D.E. (2003), "Novel Petasis Boronic Acid—Mannich Reactions with Tertiary Aromatic Amines", Tetrahedron Lett., 44 (31): 5819–5821, doi:10.1016/S0040-4039(03)01405-9
{{citation}}
: CS1 maint: 여러 이름: 작성자 목록(링크) - ^ a b Naskar, D.; Neogi, S.; Roy, A.; Mandal, A.B. (2008), "Novel Petasis boronic acid reactions with indoles: synthesis of indol-3-yl-aryl-acetic acids", Tetrahedron Lett., 49 (48): 6762–6764, doi:10.1016/j.tetlet.2008.08.029
- ^ Jourdan, H.; Gouhier, G.; Van Hijfte, L.; Angibaud, P.; Piettre, S. R. (2005). "On the use of boronates in the Petasis reaction". Tetrahedron Lett. 46 (46): 8027–8031. doi:10.1016/j.tetlet.2005.09.060.
{{cite journal}}
: CS1 maint: 여러 이름: 작성자 목록(링크) - ^ Kalinski, C.; Lemoine, H.; Schmidt, J.; Burdack, C.; Kolb, J.; Umkehrer, M.; Ross, G. (2008). "Multicomponent Reactions as a Powerful Tool for Generic Drug Synthesis". Synthesis. 2008 (24): 4007–4011. doi:10.1055/s-0028-1083239.
- ^ a b c Petasis, N.A. (2005). "Multicomponent Reactions with Organoboron Compounds". In Zhu, J.; Bienayme, H. (eds.). Multicomponent Reactions. Wiley-VCH. pp. 199–223. doi:10.1002/3527605118.ch7. ISBN 9783527605118.
- ^ Davis, A.S.; Pyne, S. G.; Skelton, B. W.; White, A. H. (2004). "Synthesis of putative uniflorine A". J. Org. Chem. 69 (9): 3139–43. doi:10.1021/jo049806y. PMID 15104453.
- ^ Au, C. W. G.; Pyne, S.G. (2006). "Asymmetric synthesis of anti-1,2-amino alcohols via the Borono-Mannich reaction: A formal synthesis of (−)-swainsonine". J. Org. Chem. 71 (18): 7097–9. doi:10.1021/jo0610661. PMID 16930074.
- ^ Pyne, S.G.; Au, C. W. G.; Davis, A. S.; Morgan, I. R.; Ritthiwigrom, T.; Yazici, A. (2008). "Exploiting the borono-Mannich reaction in bioactive alkaloid synthesis". Pure Appl. Chem. 80 (4): 751–762. doi:10.1351/pac200880040751.
- ^ Sugiyama, S.; Arai, S.; Kiriyama, M.; Ishii, K. (2005). "A convenient synthesis of immunosuppressive agent FTY720 using the petasis reaction". Chem. Pharm. Bull. 53 (1): 100–2. doi:10.1248/cpb.53.100. PMID 15635240.
- ^ Jiang, B.; Yang, C.-G.; Gu, X.-H. (2001). "A highly stereoselective synthesis of indolyl N-substituted glycines". Tetrahedron Lett. 42 (13): 2545–2547. doi:10.1016/s0040-4039(01)00229-5.
- ^ Nanda, K.K.; Trotter, B.W. (2005). "Diastereoselective Petasis Mannich reactions accelerated by hexafluoroisopropanol: a pyrrolidine-derived arylglycine synthesis". Tetrahedron Lett. 46 (12): 2025–8. doi:10.1016/j.tetlet.2005.01.151.
- ^ Harwood, L.M.; Currie, G. S.; Drew, M. G. B.; Luke, R. W. A. (1996). "Asymmetry in the boronic acid Mannich reaction: diastereocontrolled addition to chiral iminium species derived from aldehydes and (S)-5-phenylmorpholin-2-one". Chem. Commun. (16): 1953. doi:10.1039/cc9960001953.
- ^ Currie, G.S.; Drew, M. G. B.; Harwood, L. M.; Hughes, D. J.; Luke, R. W. A.; Vickers, R. J. (2000). "Chirally templated boronic acid Mannich reaction in the synthesis of optically active α-amino acids". J. Chem. Soc., Perkin Trans. 1 (17): 2982–2990. doi:10.1039/B003067H.
- ^ Batey, R.A.; MacKay, D. B.; Santhakumar, V. (1999). "Alkenyl and Aryl BoronatesMild Nucleophiles for the Stereoselective Formation of Functionalized N -Heterocycles". J. Am. Chem. Soc. 121 (21): 5075–5076. doi:10.1021/ja983801z.
- ^ Morgan, I.R.; Yazici, A.; Pyne, S. G. (2008). "Diastereoselective borono-Mannich reactions on cyclic N-acyliminium ions". Tetrahedron. 64 (7): 1409–1419. doi:10.1016/j.tet.2007.11.046.
- ^ a b Batey, R.A.; MacKay, D.B. (2000). "Total synthesis of (±)-6-deoxycastanospermine: an application of the addition of organoboronates to N-acyliminium ions". Tetrahedron Lett. 41 (51): 9935–9938. doi:10.1016/s0040-4039(00)01790-1.
- ^ Yamaoka, Y.; Miyabe, H.; Takemoto, Y. (2007). "Catalytic enantioselective petasis-type reaction of quinolines catalyzed by a newly designed thiourea catalyst". J. Am. Chem. Soc. 129 (21): 6686–7. doi:10.1021/ja071470x. PMID 17488015.
- ^ a b c Lou, S.; Schaus, S.E. (2008). "Asymmetric petasis reactions catalyzed by chiral biphenols". J. Am. Chem. Soc. 130 (22): 6922–6923. doi:10.1021/ja8018934. PMC 2440570. PMID 18459782.
- ^ Han, W.-Y.; Wu, Z.-J.; Zhang, X.-M.; Yuan, W.-C. (2012), "Enantioselective Organocatalytic Three-Component Petasis Reaction among Salicylaldehydes, Amines, and Organoboronic Acids", Org. Lett., ASAP (4): 976–979, doi:10.1021/ol203109a, PMID 22292670
- ^ Naoya Kumagai, Giovanni Muncipinto, Stuart L. Schreiber; Muncipinto; Schreiber (2006). "Short Synthesis of Skeletally and Stereochemically Diverse Small Molecules by Coupling Petasis Condensation Reactions to Cyclization Reactions". Angewandte Chemie International Edition. 45 (22): 3635–3638. doi:10.1002/anie.200600497. PMID 16646101.
{{cite journal}}
: CS1 maint: 여러 이름: 작성자 목록(링크) - ^ a b Muncipinto, G.; Moquist, P.N.; Schreiber, S.L.; Scahus, S.E. (2011). "Catalytic Diastereoselective Petasis Reactions". Angew. Chem. Int. Ed. 50 (35): 8172–8175. doi:10.1002/anie.201103271. PMC 4673970. PMID 21751322.
- ^ Soule, J.-F.; Mathieu, A.; Norsikian, S.; Beau, J.-M. (2010). "Coupling the Petasis condensation to an iron(III) chloride-promoted cascade provides a short synthesis of Relenza congeners". Org. Lett. 12 (22): 5322–5325. doi:10.1021/ol102326b. PMID 20945892.
- ^ Hong, Z.; Liu, L.; Hsu, C.-C.; Wong, C,-H. (2006). "Three-Step Synthesis of Sialic Acids and Derivatives" (PDF). Angew. Chem. Int. Ed. 45 (44): 7417–7421. doi:10.1002/anie.200601555. PMID 17031889.
{{cite journal}}
: CS1 maint: 여러 이름: 작성자 목록(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