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표:31°12'50°N 29°53'08°E/31.21389°N 29.8856°E/ 31.21389; 29.88556

알렉산드리아 등대

Lighthouse of Alexandria
알렉산드리아 등대
고고학자 헤르만 티에쉬의 그림 (1909)
Map
위치파로스, 알렉산드리아, 이집트
좌표31°12'50°N 29°53'08°E/31.21389°N 29.8856°E/ 31.21389; 29.88556
타워
건설된기원전 284년에서 246년 사이에
토대
시공석공
높이103 ~ 118 m (338 ~ 387 [1]ft)
모양.사각형(아래), 팔각형(가운데) 및 원통형(위)
비활성화됨1303 또는 1323
범위47km (29mi)

알렉산드리아의 등대는 때때로 알렉산드리아의 파로스(/ˈfɛərɒs/FAIR-oss; 고대 그리스어: ὁάροςτῆςνδρείἀςλεξφ romanς:ized,, 로마자 표기: ho Pharrostss Alexandreias, 현대 코이네 그리스어 발음: [hopɛ̂ːárostěːs alleksandrːaʰs];아랍어: فنارالإسكندرية was)는 프톨레마이오스 2세 필라델푸스 (기원전 280–247)의 통치 기간 동안 고대 이집트프톨레마이오스 왕국에 의해 지어진 등대였습니다.전체 높이가 [3]최소 100미터(330피트) 이상이었던 것으로 추정됩니다.고대 세계 7대 불가사의 중 하나로, 수 세기 동안 이것은 세계에서 가장 높은 인공 건축물 중 하나였습니다.

이 등대는 서기 956년에서 1323년 사이에 일어난 세 번의 지진으로 심하게 훼손되어 버려진 폐허가 되었습니다.그것은 할리카르나수스의 무덤현존하는 기자의 거대 피라미드에 이어 세 번째로 오래 남아있는 고대 불가사의였으며, 마지막 남은 돌들이 그 자리에 카이트베이 성을 짓기 위해 사용된 1480년까지 부분적으로 남아있었습니다.

1994년, 프랑스 고고학자 팀이 알렉산드리아의 동방 항구 물 속으로 뛰어들어가 [4]해저에서 등대의 잔해를 발견했습니다.2016년 이집트 고대유물부는 파로스 유적을 포함한 고대 알렉산드리아의 물에 잠긴 유적을 수중 [5]박물관으로 만들 계획이었습니다.

기원.

파로스는 나일강 삼각주의 서쪽 가장자리에 위치한 작은 섬이었습니다.기원전 332년 알렉산더 대왕은 파로스 맞은편 지협알렉산드리아라는 도시를 세웠습니다.알렉산드리아와 파로스는 나중에 1,200 미터(0.75 마일) 이상의 두더지[6] 연결되었는데, 이것은 헵타스타디온("7개의 스타디온")이라고 불렸습니다.파로스의 어원은 확실하지 않습니다.이 단어는 현대 그리스어("faros")로 일반화되었고, 이탈리아어와 스페인어("faro")와 프랑스어("pare")에 의해 차용되었습니다.

두더지의 동쪽은 그레이트 하버가 되었고, 지금은 열려있는 만이 되었습니다. 서쪽에는 유노스토스 항구가 있었고, 내부 분지인 키보토스는 현재 현대적인 항구를 형성하기 위해 엄청나게 커졌습니다.오늘날의 도시 개발은 현재의 대광장과 현대의 라셀틴 구역 사이에 위치해 있으며, 이 점은 점차 넓어지고 지워진 진흙 위에 세워졌습니다.19세기에 라셀틴 궁전이 지어진 라셀틴 곶은 바다에 풍화되어 동쪽 끝에 있는 등대가 있던 자리인 [7]파로스 섬에 남아 있는 모든 것을 나타냅니다.

시공

필립 갈레지은 알렉산드리아 등대; 1572, 릭스 박물관

등대는 기원전 3세기에 지어졌습니다.알렉산더 대왕이 죽은 후, 첫 번째 프톨레마이오스 1세 소테르가 기원전 305년에 자신을 왕이라고 선언했고, 얼마 지나지 않아 건설을 의뢰했습니다.그 건물은 그의 아들 프톨레마이오스 2세 필라델푸스의 통치 기간 동안 완성되었고, 800달란트[8]은을 들여 완성하는데 12년이 걸렸습니다.그 빛은 꼭대기에 있는 용광로에서 만들어졌고, 탑은 대부분 석회암과 [9]화강암으로 단단한 덩어리를 쌓았다고 합니다.

기원전 1세기 후반 알렉산드리아를 방문한 스트라보는 백과사전인 지리카에서 크니두스의 소스트라투스가 등대에 금속 문자로 새겨진 "구원하는 신들"에 대한 봉헌을 했다고 보고했습니다.서기 1세기에 글을 쓰면서, 대 플리니우스그의 자연사에서 소스트라투스가 건축가라고 진술했지만, 이 결론은 [10]논쟁의 여지가 있습니다.그의 2세기 교육 논문 "역사를 쓰는 방법"에서, 루치안은 소스트라투스가 프톨레마이오스의 이름이 새겨진 회반죽 아래에 자신의 이름을 숨겨 결국 회반죽이 떨어져 나갔을 때,[11][12] 소스트라투스의 이름이 돌에 보일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등대 건설에 사용된 사암과 석회암 덩어리들은 그것들이 어디에서 기원했는지를 발견하기 위해 과학적으로 분석되었고, 광물학적, 화학적 분석은 [13]알렉산드리아의 동쪽 사막에 위치한 와디 함마마트 채석장을 가리키고 있습니다.

높이 및 묘사

1909년(내부형태)과 2006년(외부형태) 건축물의 크기 비교

아랍인들의 설명에 따르면 이 등대는 지진 피해 후 여러 차례 수리를 거쳤음에도 불구하고 일치합니다.주어진 높이는 30 x 30 m(98 x 98 ft)[1] 정사각형 베이스에서 103 ~ 118 m(338 ~ 387 ft)로 단지 15 % 차이가 납니다.

아랍 작가들은 이 등대가 밝은 색의 돌 덩어리로 지어졌다고 말합니다.탑은 세 개의 층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중앙에 중앙 코어가 있는 아래 사각형 부분, 가운데 팔각형 부분, 그리고 꼭대기에는 원형 [14]부분이 있습니다. 마수디는 10세기에 바다를 향한 면에 [15]제우스에게 바치는 비문이 있다고 썼습니다.지리학자 알 이드리시는 1154년 등대를 방문하여 직사각형의 축대 전체에 벽의 구멍이 뚫린 것을 주목했으며, 축대의 석조 블록 사이에 납을 충전제로 사용했습니다.그는 등대의 총 높이를 300 디라샤슐 (162 m)[16]로 계산했습니다.

그 꼭대기에는 낮에는 햇빛을 반사하는 거울이 있고, 밤에는 불이 켜졌습니다.알렉산드리아 조폐국에 의해 주조된 현존하는 로마의 동전들은 트리톤의 조각상이 건물의 네 모서리에 위치해 있었고,[17] 포세이돈이나 제우스의 조각상이 꼭대기에 있었다고 보여줍니다.

이 등대의 전체적인 묘사는 [18]서기 1166년 알렉산드리아를 방문했던 아랍인 여행가 Abou Hagagag Youssef Ibn Mohammed el-Balawi el-Andloussi로부터 비롯되었습니다.발라위는 등대의 직사각형 모양의 축 내부에 대한 묘사와 측정을 제공했습니다.내부 경사로는 두 명의 마부가 동시에 지나갈 수 있도록 7시브르(189cm, 6.2피트)의 석조 지붕으로 묘사되었습니다.경사로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2층, 3층, 4층에 각각 [16]18개, 14개, 17개의 방을 가진 4층 규모로 지어졌습니다.

발라위는 등대의 바닥이 가로 20m, 세로 600디라(300m, 984ft), 세로 20디라(10m, 32ft)로 양쪽에 45바(30m, 100ft) 길이라고 설명했습니다.팔각형 부분은 폭이 24 ba(16.4 m, 54 ft)이고 원통형 부분의 직경은 12.73 ba(8.7 m, 28.5 ft)입니다.등대 웅변의 정점은 직경 6.4 ba (4.3 m 20.9 [16]ft)로 측정되었습니다.

1303년 크레타 지진으로 파괴된 이후 등대에 대한 최근의 기록으로는 1326년과 1349년에 알렉산드리아를 통과한 모로코의 학자이자 탐험가인 이븐 바투타가 있습니다.바투타는 당시 등대의 난파 상태는 직사각형 탑과 입구 경사로에서만 볼 수 있었다고 언급했습니다.그는 그 탑이 양쪽으로 140 shibr (30.8 m, 101 ft)이라고 말했습니다.바투타는 붕괴된 등대가 있는 곳 근처에 새로운 등대를 세우려는 술탄 안나시르 무함마드의 계획을 자세히 설명했지만, [16]1341년 술탄이 사망한 후 이것들은 실현되지 않았습니다.

파괴

등대는 796년과 951년에 지진으로 부분적으로 금이 가고 파손되었으며, 956년의 지진으로 구조물이 붕괴되었고, 1303년과 1323년에 다시 붕괴되었습니다.지진은 등대의 위치로부터 각각 350km와 520km 떨어진 아프리카-아라비안 지역과 홍해 지역의 잘 알려진 두 지역 경계에서 전파됩니다.문서에 따르면 956 지진은 [19]건설의 상위 20미터 이상의 구조적 붕괴를 일으킨 최초의 지진입니다.

956년 지진 이후 기록된 수리에는 이전에 이 기념비의 꼭대기에 있었던 동상이 붕괴된 후 이슬람 양식의 돔이 설치된 것이 포함됩니다.1303년에 발생한 가장 파괴적인 지진은 그리스의 크레타 섬 (알렉산드리아에서 [20]280–350 km)에서 발생한 VIII+의 강도로 추정되었습니다.그 뭉툭한 잔해는 1480년 당시 이집트의 술탄이었던 카이트베이가 일부 떨어진 돌을 사용하여 등대 부지의 더 큰 플랫폼에 중세 요새를 지으면서 사라졌습니다.

10세기 작가 마수디는 칼리프 압드 알 말리크 이븐 마르완 (r.705–715) 시대에 비잔티움 제국환관을 파견하여 이슬람교를 채택하고 칼리프의 신임을 얻어 등대 바닥에 숨겨진 보물을 찾을 수 있는 허가를 얻었다고 전설적인 이야기를 전하고 있습니다.수색은 교묘하게 진행되어 기초가 훼손되고, 파로스족은 무너졌습니다.그 요원은 [21]그를 기다리는 배를 타고 겨우 탈출했습니다.

고고학적 연구와 재발견

지중해에서 발견된 등대 유적

가스통 존데는 1916년에 알렉산드리아의 옛 항구의 물에 잠긴 유적에 대한 최초의 상세한 기술을 만들었습니다.같은 해 레이먼드 웨일이 그 를 이었고,[22][23] 1940년에는 레오폴드 할리데이 새빌 경이 그 뒤를 이었습니다.

1968년 이 등대는 재발견 됐습니다.유네스코아너 프로스트가 이끄는 해양 고고학자 팀을 그 유적지로 보내기 위한 탐사를 후원했습니다.그녀는 등대의 일부를 대표하는 유적의 존재를 확인했습니다.전문적인 고고학자가 부족하고, 군사 지대가 되는 지역 때문에, 탐사는 [24]보류되었습니다.

Jean-Yves Emperure가 이끄는 프랑스 고고학자 팀은 1994년 말 알렉산드리아의 Eastern Harbour 바닥에서 등대의 실물을 재발견했습니다.그는 35mm 카메라를 사용하여 무너진 기둥과 조각상들의 흩어져 있는 잔해들의 첫 수중 사진들을 촬영한 촬영감독 아스마 엘 바크리와 함께 일했습니다.Empereur의 가장 중요한 발견물은 종종 여러 조각으로 부서진 화강암 49-60톤의 덩어리, 30개의 스핑크스, 5개의 오벨리스크, 람세스 2세 (기원전 1279–[25]1213) 시대의 조각이 있는 기둥으로 구성되었습니다.

3,300개가 넘는 작품들의 목록은 1995년 말에 Empereur와 그의 팀에 의해 사진과 지도의 조합을 사용하여 완성되었습니다.현재 알렉산드리아 [25]박물관에는 엠페루르의 화강암 블록 36점과 다른 발견물들이 복원되어 전시되고 있습니다.위성영상을 통해 추가 유해가 드러났습니다.1990년대 초, 수중 고고학자 Frank Goddio는 Empereur의 팀이 [26]일했던 항구의 반대쪽에서 탐사를 시작했습니다.

위성 및 음파 탐지기를 통해 지진과 기타 자연 [28]재해의 결과로 지중해에 떨어진 부두, 가옥, 사원의[27] 잔해가 추가로 드러났습니다.다이빙을 하러 가서 유적을 보는 것은 가능합니다.유네스코 수중문화유산보호협약 사무국은 현재 이집트 정부와 협력하여 알렉산드리아만(등대 유적 포함)을 수중문화유산 [29]세계목록에 추가하는 계획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의의

서기 4세기경 리비아 올비아알렉산드리아의 파로스("οραοϲφ")를 묘사한 모자이크

전설에 따르면 파로스 섬의 사람들은 난파선이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Ptolemy I Soter는 밤에 [30]배들을 항구로 안내하는 것을 돕기 위해 등대를 지었습니다.

파로스그리스어로 "등대"라는 단어의 어원이 되었고, 프랑스어(파로), 이탈리아어스페인어(파로)와 같은 많은 로망스어들이 에스페란토어(파로), 카탈루냐어, 루마니아어(파로), 포르투갈어(파로), 스웨덴어, 덴마크어(파로), 심지어 불가리아어(파로)와 같은 슬라브어들도 어원이 되었습니다.프랑스어, 포르투갈어, 터키어, 세르비아어, 러시아어에서 파생된 단어는 "헤드라이트"를 의미합니다.

제안된 재구성

1978년 이래로 등대를 현대적인 재건으로 대체하려는 많은 제안들이 있었습니다.이집트 정부와 알렉산드리아 주지사는 2015년 알렉산드리아 [31]항구 동쪽의 재생의 일환으로 등대 자리에 초고층 건물을 지을 것을 제안했습니다.

파로스 인 컬처

14세기 후반 아랍어 문헌인 경이에 묘사된 등대
알렉산드리아의 파로스족을 본떠서 만든 것으로 생각되는 고대 장례 기념물인 아부시르의 파로스족은 거의 동시대적입니다.

이 등대는 알렉산드리아 시와 알렉산드리아 현의 시민적 상징으로 남아 있으며, 이 도시는 다소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등대의 양식화된 표현은 총독의 깃발과 인장, 알렉산드리아 대학교의 인장을 포함한 도시의 많은 공공 서비스에 나타납니다.

건축분야

  • 알렉산드리아에서 남서쪽으로 48킬로미터 떨어진 아부시르 마을에 있는 잘 보존된 고대 무덤은 알렉산드리아 파로스의 축소 모형으로 여겨집니다.아부시르의 파로스, 아부시르의 장례식 기념비, 부르그 알 아랍(아랍의 탑) 등 다양한 이름으로 구어체로 알려져 있으며, 높이가 약 20미터(66피트)에 달하는 3층 탑과 사각형의 기단, 팔각형의 중간 부분, 원통형의 상부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는 건물 위에 모형을 만든 것으로 보입니다.그것은 프톨레마이오스 2세 (기원전 285–246)의 치세까지 거슬러 올라가고, 그러므로 알렉산드리아 파로스와 거의 같은 시기에 지어졌을 것으로 보입니다.
  • 많은 초기 이집트 이슬람 사원의 미나렛 디자인은 파로스의 것과 비슷한 3단계 디자인을 따랐고, 이는 이 건물의 광범위한 건축적 [32]영향을 증명합니다.
  • 버지니아주 알렉산드리아에 위치한 조지 워싱턴 마소닉 국립 기념관은 고대 등대를 [33]본떠 만들어졌습니다.
  • 1999년 유니버설 올랜도 리조트에 개장한 유니버셜 아일랜드 오브 어드벤처 테마파크의 아이콘, 중심, 식별자 역할을 하는 파로스 등대(Faros Lighthouse)라는 가상 버전의 건축물의 가상 버전은 1999년에 유니버설 올랜도 리조트에 문을 열었습니다.실제 작동하는 등대는 공원의 입구에 있으며, 실제적이고, 고대적이고, 상상적인 세계적인 건축 요소들이 있는 문학적인 해변 탐험가들의 시장을 연상시킵니다.

문학에서

  •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그의 남북전쟁 (제3부, 111–112)에서 파로스족과 그 전략적 중요성에 대해 설명합니다.등대의 통제권을 얻은 것은 그가 프톨레마이오스 10세를 제압하는 것을 도왔습니다.3세의 군대 (기원전 48년):

    이제 해협이 좁기 때문에 파로스 호를 보유한 사람들의 동의 없이는 배로 항구에 접근할 수 없습니다.이런 점을 감안하여 카이사르는 적군이 전투에 몰두하는 동안 병력을 상륙시키는 것을 경계하고 파로스를 점령하여 그곳에 수비대를 배치했습니다.결과적으로 그의 옥수수 보급품과 [34]지원군을 위한 안전한 접근이 보장되었습니다.

    Caesar, .civ.; or Anon.,.Alex
  • 로마노-유대인 역사가 조세푸스 (37–100 AD)는 이집트의 지리학적 개요를 설명할 때 그것을 그의 책 유대 전쟁 (4.10.5)에서 설명합니다.
  • 송나라 때 남쪽 항구도시 취안저우의 중국 세관 조사관 조루(趙–, 1170년–1228년)가 작성한 《주판지》(朱 z之)에 기록되어 있습니다.
  • 이븐 바투타는 1326년에 등대를 방문했는데, "망연자실에 있는 그의 얼굴들 중 하나"를 발견했지만, 그는 들어갈 수 있었고 등대의 수호자가 앉을 수 있는 장소와 다른 많은 방들을 기록했습니다.그가 1349년에 돌아왔을 때, 그는 그것이 너무 파괴적인 상태에 빠졌다는 것을 발견했고,[36] 출입구로 올라가거나 들어갈 수 없었습니다.

참고 항목

참고문헌

메모들

  1. ^ a b McKenzie, Judith (2011). The Architecture of Alexandria and Egypt: 300 BC – AD 700. Yale University Press. p. 42. ISBN 978-0300170948.
  2. ^ Clayton, Peter A. (2013). "Chapter 7: The Pharos at Alexandria". In Peter A. Clayton; Martin J. Price (eds.). The Seven Wonders of the Ancient World. London: Routledge. p. 11. ISBN 9781135629281.
  3. ^ Clayton, Peter A. (2013). "Chapter 7: The Pharos at Alexandria". In Peter A. Clayton; Martin J. Price (eds.). The Seven Wonders of the Ancient World. London: Routledge. p. 147. ISBN 9781135629281.
  4. ^ "Treasures of the Sunken City". Nova. Season 24. Episode 14. November 18, 1997. PBS. Transcript. Retrieved March 5, 2012.
  5. ^ "Sunken Ruins of Alexandria Will Be World's First Underwater Museum". Earthabl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rch 10, 2016. Retrieved March 27, 2016.
  6. ^ Smith, Sir William (1952). Everyman's Smaller Classical Dictionary. J. M. Dent & Sons Ltd. p. 222.
  7. ^ Haag, Michael (2008). Vintage Alexandria: Photographs of the City, 1860–1960. American University in Cairo Press. p. 113. ISBN 9789774161926.
  8. ^ 은 23톤이 넘습니다."이것은 프톨레마이오스 1세가 왕위에 올랐을 때의 국고의 10분의 1에 해당하는 엄청난 금액이었습니다. (이에 비해 파르테논 신전에는 적어도 469탈란트의 은이 든 것으로 추정됩니다.)"[1]
  9. ^ Cartwright, Mark. "Lighthouse of Alexandria". World History Encyclopedia. Retrieved November 10, 2020.
  10. ^ Tomlinson, Richard Allan (1992). From Mycenae to Constantinople: the evolution of the ancient city. Routledge. pp. 104–105. ISBN 978-0-415-05998-5.
  11. ^ Mckenzie, Judith (2007). Architecture of Alexandria and Egypt 300 B.C. A.D 700. Yale University Press. p. 41. ISBN 978-0-300-11555-0.
  12. ^ 루시안 역사 쓰는 법, LXII

    그는 [소스트라토]가 작품을 만든 후 내부의 석공에 자신의 이름을 적고, 석고로 덮은 후, 그것을 숨긴 후, 통치하는 왕의 이름을 새겼습니다.실제로 그는 아주 짧은 시간 안에 편지들이 석고와 함께 떨어지고 '덱시파네스의 아들 크니도스의 소스트라토스가 신의 구원자들에게, 바다에서 항해하는 그들을 위해'라는 것을 알고 있었습니다.그러므로 그는 당장의 순간도, 자신의 짧은 생애도 고려하지 않았습니다. 그는 탑이 서고 그의 기술이 유지되는 한 우리의 낮과 영원을 바라봤습니다.그러면 역사는 찬사와 현재의 찬사의 즐거움보다는 진실성과 미래의 기대에 대한 안목으로 그러한 정신으로 쓰여져야 합니다.

  13. ^ "Characterization and Source of Sedimentary Rocks of the Alexandria Lighthouse Archaeological Objects, Egypt". ResearchGate. Retrieved November 10, 2020.
  14. ^ "lighthouse of Alexandria History, Location, & Facts". Encyclopedia Britannica. Retrieved June 4, 2021.
  15. ^ Paul Jordan (2014). Seven Wonders of the Ancient World. Routledge. p. 44. ISBN 978-1-317-86885-9.
  16. ^ a b c d Behrens-Abouseif, Doris (January 1, 2006). "The Islamic History of the Lighthouse of Alexandria". Muqarnas Online. 23 (1): 1–14. doi:10.1163/22118993-90000093. ISSN 0732-2992.
  17. ^ 하스 1997, 페이지 144.
  18. ^ 클레이튼 & 프라이스 1988, 페이지 153.
  19. ^ Abdelnaby, Adel E.; Elnashai, Amr S. (October 2013). "Integrity assessment of the Pharos of Alexandria during the 1303 CE earthquake". Engineering Failure Analysis. 33: 119–138. doi:10.1016/j.engfailanal.2013.04.013.
  20. ^ Abdelnaby, Adel E.; Elnashai, Amr S. (October 2013). "Integrity assessment of the Pharos of Alexandria during the 1303 CE earthquake". Engineering Failure Analysis. 33: 119–138. doi:10.1016/j.engfailanal.2013.04.013.
  21. ^ Eickhoff 1966, 페이지 40.
  22. ^ 알렉산드리아 파로스 섬
  23. ^ 나일강 삼각주 해안과 이집트 알렉산드리아 항구: 역사와 문제 그리고 완화의 개요
  24. ^ 프로스트, H. (2000)바이블로스에서 파로스로 : 고고학적 고찰.N. 그리말, M. H. 모스타파, & D. 나카시마(저자), 수중 고고학해안 관리: 알렉산드리아에 초점을 맞춥니다(64-68쪽).파리: 유네스코.
  25. ^ a b Lawler, Andrew. "Raising Alexandria". Smithsonian. Retrieved April 29, 2019.
  26. ^ 프랭크 고디오알렉산드리아 발굴품 2021년 9월 27일 웨이백 머신에서 보관
  27. ^ 프랭크 고디오알렉산드리아 발굴품 2021년 9월 27일 웨이백 머신에서 보관
  28. ^ Boukhari, Sophie (February 1997). "Swimming With Sphinxes". UNESCO. 87.
  29. ^ "Museums and Tourism –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unesco.or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November 10, 2012.
  30. ^ 클레이튼, 프라이스 & 프라이스, 마틴(1988).고대 세계의 7대 불가사의.런던; 뉴욕: 루틀리지.
  31. ^ Amro Ali (July 7, 2015). "A frightening vision: on plans to rebuild the Alexandria Lighthouse". openDemocrac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ne 12, 2018. Retrieved July 14, 2017.
  32. ^ Petersen, Andrew (1996). Dictionary of Islamic Architecture. Routledge. p. 188. ISBN 9781134613663.
  33. ^ "*페리스, 게리 W. 대통령 전용 공간: 미국 대통령들의 유적지 안내.윈스턴 세일럼, 노스캐롤라이나: J.F. 블레어, 1999. p.21"
  34. ^ 카이사르가 자신의 글에서 3인칭으로 자신을 언급하는 것은 흔한 일이었습니다.
  35. ^ 니덤, 조셉 (1986).중국의 과학과 문명: 제5권, 물리와 물리 기술, 제3부: 토목과 항해술타이베이: Caves Books, Ltd.662페이지.
  36. ^ Battutah, Ibn (2002). The Travels of Ibn Battutah. London: Picador. pp. 6–7. ISBN 9780330418799.

서지학

  • Al-Bakri; Dozy, Rheinhart P.A.; Goeje, Michael J. de (1866). Description de l'Afrique et de l'Espagne, (Description of Africa and Spain). Leyde, E.J. Brill.
  • Clarie, Thomas C. (2009). Pharos – A Lighthouse For Alexandria. Back Channel. ISBN 978-1-934-58212-1.
  • Clayton, Peter; Price, Martin (1988). The Seven Wonders of the Ancient World. Dorset. ISBN 0-880-29393-4.
  • Eickhoff, Ekkehard (1966). Seekrieg und Seepolitik zwischen Islam und Abendland: das Mittelmeer unter byzantinischer und arabischer Hegemonie (650-1040) (in German). De Gruyter.
  • Haas, Christopher (1997). Alexandria in Late Antiquity: Topography and Social Conflict. Johns Hopkins. ISBN 0-8018-8541-8.
  • Levi-Provençal, Évariste (1935). Une Description Arabe Inédite du Phare d'Alexandrie,(An Unpublished Description of the Lighthouse of Alexandria), extract from Mémoires de l'Institut Francais. unpublished.
  • Trethewey, Ken (2018). Ancient Lighthouses. UK. ISBN 978-0-9926573-6-9.

추가열람

  • 해리스, 윌리엄 5세, 지오바니 러피니.2004. 이집트와 그리스 사이의 고대 알렉산드리아레이든: 훌륭합니다.
  • Higgins, Michael Denis (2023). The Seven Wonders of the Ancient World: Science, Engineering and Technology.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7648155.
  • 2002년 조던, 폴고대 세계의 7대 불가사의.할로우: 롱맨.
  • 폴리조이데스, 아포스톨로스2014. 알렉산드리아: 선물과 슬픔의 도시: 헬레니즘 문명에서 다민족 도시로.시카고:서섹스 학술출판부, 2014.
  • 톰슨, 앨리스.2002년. 파로스.런던:비라고.
  • Tkaczow, Barbara 그리고 Iwona Zych 1993.고대 알렉산드리아의 지형: 고고학 지도.바르샤바: Zaklad Archologii środziemnomorskiej, Polskiej Akadmi Nauk.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