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모두스
Commodus코모두스 | |||||
---|---|---|---|---|---|
![]() 버스트 180 | |||||
로마 황제 | |||||
통치. | 176년 11월 27일 – 192년 12월 31일 (180년 3월 17일 이후) | ||||
전임자 |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 ||||
후계자 | 퍼티넥스 | ||||
공동 황제 |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176년-180년) | ||||
태어난 | 161년 8월 31일 이탈리아 로마 근처의 라누비움 | ||||
죽은 | 192년 12월 31일 (31세) 이탈리아 로마 | ||||
매장 | 로마 | ||||
배우자. | 브루티아 크리스피나 | ||||
| |||||
다이너스티 | 네르바안토닌 | ||||
아버지. |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 ||||
어머니. | 파우스티나 |
로마 제국 왕조 | ||||||||||||||
---|---|---|---|---|---|---|---|---|---|---|---|---|---|---|
![]() | ||||||||||||||
네르바-안토니누스 왕조 (96~192년) | ||||||||||||||
연표 | ||||||||||||||
| ||||||||||||||
가족 | ||||||||||||||
승계 | ||||||||||||||
| ||||||||||||||
코모도스(/kkɒmddəs/,[4] 161년 8월 31일 ~ 192년 12월 31일)는 176년부터 192년까지 통치한 로마 황제이다.그는 176년부터 180년 아버지가 사망할 때까지 아버지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와 함께 일했고, 그 후 암살될 때까지 홀로 통치했다.그의 통치는 일반적으로 팍스 로마나로 알려진 로마 제국의 역사에서 황금기의 종말을 알리는 것으로 여겨진다.
코모두스는 172년 마르코마니 전쟁, 176년 동부 지방 순방에 아버지와 동행했다.그 해 말, 그는 15세의 나이로 그 시점까지 최연소 황제와 집정관이 되었다.그의 단독 통치 기간 동안, 로마 제국은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통치 기간에 비해 군사적 충돌을 줄였다.음모와 음모들이 난무하면서, 코모두스는 점점 더 독재적인 스타일의 지도자로 돌아가 콜로세움에서 검투사로서 수행하면서, 신학적 인격 숭배를 만들어냈다.그의 통치 기간 내내, 코모두스는 사오테루스, 페레니스, 클레안데르라는 그의 궁중 시종과 친위대 관리들에게 사무 관리를 맡겼다.
192년 목욕탕에 있던 레슬링 선수에 의한 코모두스의 암살은 네르바-안토니누스 왕조의 종말을 알렸다.그는 격동의 5대 황제의 해에 초대 황제였던 페르티낙스가 뒤를 이었다.
초기 생활과 권력 획득 (161~180)
초기 생활
코모두스는 서기 161년 8월 31일 [5]로마 근처의 라누비움에서 태어났다.그는 통치하는 황제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와 아우렐리우스의 첫 사촌 안토니누스 피우스 황제의 막내딸인 작은 파우스티나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로 불과 몇 달 전에 죽었다.코모도스에게는 165년에 사망한 쌍둥이 형 티투스 아우렐리우스 풀버스 안토니누스가 있었다.166년 10월 12일, 코모두스는 동생 마르쿠스 아니우스 베루스와 [6][7]함께 시저로 임명되었다.후자는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유일한 [7]생존자였던 코모두스를 남겨둔 수술에서 회복하지 못하고 169년에 사망했다.
그는 아버지의 주치의인 갤런에 의해 보살핌을 받았는데, 갤런은 [8][9]코모두스의 흔한 병들 중 많은 것을 치료했다.코모더스는 지적 [10]교육에 초점을 맞춘 많은 교사들로부터 광범위한 과외를 받았습니다.그의 스승 중에는 오네시크라테스, 안티스티우스 카펠라, 티투스 아이우스 산투스, 피톨라오스 등이 [10][11]있다.
코만두스는 172년 마르코만 전쟁 당시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본부였던 카르눈툼에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172년 10월 15일, 그는 군대가 지켜보는 가운데 게르마니쿠스라는 칭호를 받은 것으로 추정된다.제목은 코모두스가 마르코만니족에 대한 그의 아버지의 승리에 참석했음을 암시한다.175년 1월 20일, 코모두스는 공직생활의 출발점인 폰티프 대학에 입학했다.
175년 4월, 시리아 총독 아비디우스 카시우스는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가 죽었다는 소문이 나자 스스로를 황제라고 선언했다.시리아, 유대, 이집트에 의해 황제로 받아들여진 카시우스는 마르쿠스가 아직 살아있다는 것이 명백해진 후에도 반란을 계속했다.카시우스에 대한 원정을 준비하는 동안, 코모두스는 175년 7월 7일 다누비아 전선에서 그의 토가 비릴리스로 간주하여, 정식으로 성인이 되었다.그러나 카시우스는 그를 상대로 한 캠페인이 시작되기 전에 백부장에게 살해당했다.코모도스는 이후 아버지를 따라 동부 지방으로 긴 여행을 떠났고, 그 기간 동안 안티오키아를 방문했다.그 후 황제와 그의 아들은 아테네로 여행을 갔고 그곳에서 엘레우시안 신비를 알게 되었다.그들은 176년 가을에 로마로 돌아왔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는 베스파시아누스 이래 합법적인 친아들을 둔 최초의 황제였지만, 그 자신은 다섯 명의 좋은 황제라고 알려져 있고, 다섯 명의 좋은 황제들 중 다섯 번째였고, 그들은 각각 그의 후계자를 입양했다.176년 11월 27일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는 코모도스를 공동 황제로 [12]선포했다.코모두스는 그의 아버지의 [13]통치 기간 동안 "자줏빛으로 태어난" 최초의 황제였다.
176년 12월 23일, 두 불경기는 공동 [14]승리를 축하했다.177년 1월 1일, 코모두스는 처음으로 집정관이 되었고, 그로 인해 15세의 나이로 당시 최연소 집정관이 되었다(집정관직의 최소 연령은 [15]약 30세였다).그는 178년 다누비아 전선에 그의 아버지와 함께 가기 전에 브루티아 크리스피나와 결혼했다.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는 180년 3월 17일 그곳에서 사망했고, 19세의 코모두스가 유일한 [16]황제가 되었다.
솔로 재위(180~192년)

코모두스는 즉위하자마자 로마 화폐를 평가절하했다.그는 데나리우스의 무게를 로마 파운드 당 96에서 로마 파운드 당 105로 줄였다.그는 또한 은 순도를 79%에서 76%로 줄였고 은 무게는 2.57g에서 2.34g으로 줄였다.186년에 그는 순도와 은의 무게를 각각 74%와 2.22그램으로 줄여 로마 [17]파운드당 108그램으로 줄였다.그의 통치 기간 동안 그가 데나리우스를 줄인 것은 네로 통치 기간 동안 제국의 첫 번째 평가절하 이후 가장 큰 규모였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통치는 거의 계속되는 전쟁으로 특징지어졌던 반면, 코모두스의 통치는 군사적 의미에서는 비교적 평화로웠지만, 또한 정쟁과 황제 자신의 점점 더 독단적이고 변덕스러운 행동으로 특징지어졌다.디오 카시우스의 관점에 따르면, 그의 즉위식은 "금 왕국에서 [18]철과 녹의 왕국으로" 내려가는 것을 의미했다.
그의 악명에도 불구하고, 그리고 그의 통치의 중요성을 고려할 때, 코모두스의 집권 기간은 잘 기록되지 않았다.살아남은 주요 문학적 원천은 헤로디안, 디오 카시우스(현대의 그리고 때로는 직접 관찰자, 코모두스의 통치 기간 동안 상원의원이었지만, 이 기간에 대한 그의 보고서는 단편과 약어로만 남아 있다), 그리고 역사학 오거스타(역사가 아닌 문학 작품으로서의 특징에 대해 신뢰할 수 없다)이다.그 전기 속에 삽입되어 있는 이션, 코모두스의 경우, 그것은 작가가 상당히 좋은 당대의 소스에서 발견한 것을 자수하고 있는 것일지도 모른다.
코모두스는 다누비아 부족과 평화 조약을 협상하기 전까지 다뉴브 군대와 함께 있는 시간이 짧았다.그리고 그는 로마로 돌아와 180년 10월 22일 전쟁의 종결을 축하했다.이전의 황제들인 트라야누스, 하드리아누스, 안토니누스 피우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와 달리, 그는 통치 기간 내내 실질적인 국가 운영을 니코메디아로부터 자유인이었던 사오테루스를 시작으로, 그의 통치 기간 내내 총애를 받는 사람들에게 맡기는 경향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황에 대한 불만은 일련의 음모와 쿠데타로 이어졌고, 이는 결국 코모두스가 점점 더 독재적인 방식으로 일을 담당하도록 자극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상원 명령은 그를 증오하고 두려워하게 되었지만, 증거는 그가 군대와 일반인들에게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인기를 유지했다는 것을 암시하는데, 이는 그가 화려한 검투사 전투를 벌이고 참여했기 때문이다.
그가 기부금과 대중 접대를 위해 지불한 방법 중 하나는 원로원 질서에 세금을 부과하는 것이었고, 많은 비문에는 국가의 두 명목상의 권력인 상원과 인민(Senatus Populusque Romanus)의 전통적인 질서가 도발적으로 뒤바뀌었다(Populus Senatusque...).
182년 음모
그의 통치 초기에, 18세의 코모도스는 아버지의 많은 고위 고문들, 특히 티베리우스 클라우디우스 폼페이우스(코모도스의 큰 누이 루실라의 두 번째 남편), 그의 장인 가이우스 브루티우스 프라이센스, 티투스 펀다니우스 비트라시우스 폴리오, 그리고 빅토리누스의 아우피디우스를 물려받았다.그는 또한 생존한 네 명의 자매가 있었는데, 그들 모두 잠재적인 라이벌인 남편과 함께 있었다.루실라는 10년 이상 선배였고 그녀의 첫 남편인 루시우스 베루스의 미망인으로 아우구스타 계급장을 가지고 있었다.
182년 루실라가 오빠에 대한 음모를 꾸몄을 때 통치의 첫 번째 위기가 찾아왔다.그녀의 동기는 크리스피나 황후를 질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그녀의 남편인 폼페이우스는 관련이 없지만, 그녀의 연인으로 알려진 두 남자, 마르쿠스 움미디우스 콰드라투스 아니아누스와 아피우스 클라우디우스 퀸티아누스는 그가 극장에 들어갔을 때 그를 살해하려 했다.그들은 일을 망쳐서 황제의 경호원에게 붙잡혔다.
Quadratus와 Quintianus는 처형되었다.루실라는 카프리로 유배되었고 나중에 살해되었다.폼페이우스는 공직에서 은퇴했다.두 명의 고위 관리 중 한 명인 푸블리우스 타루티니우스 파테누스는 실제로 음모에 연루되었지만, 그의 연루는 나중에야 밝혀졌고, 그 여파로 그와 그의 동료인 섹투스 티기디우스 페레니스는 미운 체임벌레인 소테루스를 살해하도록 주선할 수 있었다.
코모도스는 사오테루스를 잃었고, 페레니스는 이제 파테루스를 두 번째 음모에 연루시킴으로써 승진할 기회를 잡았다.파테루스는 법학자 살비우스 율리아누스의 아들이자 파테누스의 딸과 약혼한 것으로 보인다.살비우스와 파테르누스는 다른 저명한 인사들과 원로원 의원들과 함께 처형되었다.미래의 황제이자 살비우스 율리아누스의 친척인 디디우스 율리아누스는 게르마니아 인페로르의 주지사직에서 해임되었다.
클랜더
강력한 사오테루스가 살해된 후, 페레니스는 쉽게 정권을 장악했고, 코모도스는 황제의 정부 중 하나인 데모스트라티아와 결혼한 프리기아 자유인 클랜더에서 새로운 체임벌린이자 총애를 받는 사람을 찾았다.클랜더는 사실 사오테루스를 죽인 사람이었다.그의 삶에 대한 그러한 시도 후에, 코모두스는 대부분의 시간을 로마 밖에서 보냈는데, 주로 라누비움의 가족 소유지에서 보냈다.그는 체력이 강했기 때문에 스포츠에 관심이 많았습니다: 그는 경마, 전차경주, 야수, 사람들과의 싸움에 참가했습니다.대부분은 사적이지만 때때로 공공장소에서 하기도 했습니다.
다키아와 영국
코모도스는 183년 동료인 아우피디우스 빅토리누스와 함께 집정관으로 취임해 비오라는 칭호를 얻었다.다키아에서 전쟁이 발발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두 명의 차기 왕위 후보인 클로디우스 알비누스와 페스케니우스 니제르 두 명은 둘 다 이번 캠페인으로 두각을 나타낸 것으로 보입니다.또한, 184년 영국에서, 울피우스 마르셀루스는 로마 국경을 안토니누스 장벽으로 다시 진격했지만, 군단원들은 그의 가혹한 규율에 반기를 들고 또 다른 특사 프리스쿠스를 황제로 [19]칭송했다.
프리스커스는 그들의 환호를 받아들이기를 거부했고 페레니스는 영국의 모든 군단 특사들을 계산원으로 보냈다.184년 10월 15일 카피톨린 게임에서 한 냉소주의 철학자가 코모도스 앞에서 페레니스를 공개적으로 비난했다.그의 이야기는 믿어지지 않았고 그는 즉시 사형에 처해졌다.디오 카시우스에 따르면, 페레니스는 무자비하고 야망이 있었지만, 개인적으로 부패하지 않았고 일반적으로 국가를 [19]잘 관리했다고 한다.
그러나 이듬해 영국에서 파견된 병사들도 페레니스가 자신의 아들을 황제로 만들 음모를 꾸몄다고 황제에게 비난했고(그들은 경쟁자를 없애려는 클레안데르에 의해 그렇게 하도록 허락받았다), 코모도스는 그들에게 그와 함께 처형할 수 있도록 허락했다.아내와 아들들페레니스의 몰락은 새로운 사형집행을 가져왔다.Aufidius Victorinus는 자살했다.울피우스 마르셀루스는 페르티낙스에 의해 영국 총독으로 교체되었고, 로마로 끌려가 반역죄로 재판을 받게 되었고, 마르셀루스는 가까스로 죽음을 모면했다.
클랜더의 천정과 몰락(185년-190년)
클랜더는 자신의 손에 권력을 집중시키고 모든 공직에 대한 책임을 지게 됨으로써 자신을 풍요롭게 했다: 그는 상원, 군 지휘부, 주지사직을 매각하고 심지어 최고 입찰자에게 부속 영사직까지 부여했다.많은 수의 탈영병들이 갈리아와 독일에서 문제를 일으키면서 제국 주변의 불안이 증가하였다.페스케니우스 니제르군은 군사 작전에서 갈리아에 있는 탈영병을 소탕했고, 브리타니에서의 반란은 영국에서 데려온 2개 군단에 의해 진압되었다.
187년, 탈영병의 지도자 중 한 명인 마테누스는 3월 대여신의 축제에서 코모두스를 암살하려고 갈리아에서 왔지만, 그는 배신당하고 처형되었다.같은 해, 페르티낙스는 클레안데르 2명의 적인 안티스티우스 부루스와 아리우스 안토니누스의 음모를 폭로했다.그 결과, 코모두스는 자신의 사유지에서 사는 것을 선호하며 공공장소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188년 초, 클레안더는 현재의 친위대 사령관인 아틀리우스 아이부티아누스를 제거하고, 두 명의 친위대 관리들과 함께 새로운 계급인 푸기오네에서 친위대의 최고 지휘권을 장악했다.권력의 정점에 달한 클랜더는 자신의 개인 사업으로서 관공서를 계속 팔았다.클라이맥스는 190년에 찾아왔는데, 그 해에는 25명의 준영사가 임명되었는데, 이는 로마 집정관의 1,000년 역사상 기록으로, 모두 클레안데르에 의해 임명된 것이다.
190년 봄, 로마는 식량 부족에 시달렸고, 이에 대해 곡물 공급을 실제로 담당했던 관리인 프라에펙투스 안노나에 파피리우스 디오니시우스는 클레안데르에게 책임을 전가했다.6월 말, 한 폭도들이 서커스 막시무스에서 클렌더에 반대하는 시위를 벌였습니다: 그는 소동을 진압하기 위해 친위대를 보냈지만, 페르티낙스는 그들에게 대항하기 위해 비길레스 우르바니를 보냈습니다.클랜더는 보호를 위해 쿤틸리 가문의 로랑툼에 있는 코만두스로 도망쳤지만, 폭도들은 그의 목을 외치며 그를 따라갔다.
그의 정부 마르시아의 권유로, 코모두스는 클랜더를 참수하고 그의 아들을 죽였다.이 때 또 다른 희생자는 줄리어스 줄리아누스 현장과 코모두스의 사촌 안니아 펀다니아 파우스티나, 매제 마메르티누스였다.파피리우스 디오니시우스도 처형되었다.
황제는 이제 그의 이름을 루시우스 아엘리우스 아우렐리우스 코모두스로 바꿨다.29세에, 그는 마르시아, 그의 새로운 시종 에클렉투스, 그리고 새로운 친위대 사령관 퀸투스 애밀리우스 라에투스로 구성된 카발들을 통해 계속 통치했지만, 더 많은 권력의 고삐를 넘겨받았다.
과대망상증(190~192년)
원로원에 반대하여, 그의 선언과 우상화에서, 코모두스는 항상 신과 같은 힘, 관대함, 그리고 신체적인 용기의 원천으로서의 그의 독특한 지위를 강조해왔다.제국 주변에는 헤라클레스를 가장한 수많은 조각상들이 세워졌고, 반신상, 거인, 보호자, 그리고 인간과 짐승에 맞서 싸운 전사라는 이미지를 강화했다.게다가, 헤라클레스로서, 그는 로마 판테온의 최고신인 주피터의 아들이라고 주장할 수 있었다.이러한 경향은 이제 과대망상증적 수준으로 증가했다.그는 권력의 원천인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후손을 축하하기는커녕 새로운 질서의 창시자로서 자신의 개성을 강조하며 자신의 이미지로 제국을 재탄생시키려 했다.
191년 동안, 로마는 며칠 동안 맹위를 떨친 화재로 큰 피해를 입었고, 그 동안 팍스 신전, 베스타 신전, 그리고 황궁의 일부분이 소실되었다.
아마도 이것을 192년 초에 자신을 새로운 로물루스로 선언한 기회로 보고, 로마를 의례적으로 다시 세우고, 콜로니아 안니아 코모디아나로 이름을 바꿨다.일 년 중 모든 달은 그의 이름(현재 12개)과 정확히 일치하도록 이름이 변경되었습니다.루시우스, 아엘리우스, 아우렐리우스, 코모더스, 아우구스투스, 에르큘루스, 로마누스, 엑수페라토리우스, 아마조니우스, 인빅투스, 펠릭스, 비오.군단은 코모디아나로 이름이 바뀌었고, 아프리카로부터 곡물을 수입한 함대는 알렉산드리아 코모디아나 토가타, 원로원은 코모디아노스로 [20]명명되었고, 그의 궁전과 로마 국민들 모두 코모디아누스라는 이름을 얻었다. 그리고 이러한 개혁이 선포된 날이었다.
그래서 그는 스스로를 제국, 로마인의 삶, 종교의 근원으로 내세웠다.그는 콜로세움 근처에 있는 네로의 거상 머리를 자신의 초상화로 교체하고 몽둥이를 주었으며, 헤라클레스 로마누스처럼 보이게 하기 위해 발밑에 청동 사자를 배치했으며, "12명의 [21]병사를 정복한 유일한 왼손잡이 전사"라는 비문을 추가했다.
암살(192)
192년 11월, 코모두스는 매일 아침 수백 마리의 동물을 화살과 창으로 쏘고, 매일 오후 검투사로 싸워서 모든 싸움에서 이겼다.12월, 그는 193년을 1월 1일에 집정관과 검투사로 취임시키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마르시아가 코모두스가 처형하려고 했던 사람들의 명단을 발견했을 때, 그녀는 그녀와 라에투스 그리고 에클렉투스가 그 명단에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그들 셋은 황제를 암살할 음모를 꾸몄다.12월 31일, 마르시아는 코모두스의 음식에 독을 넣었지만, 그는 독을 토했다.그래서 공모자들은 그의 레슬링 파트너인 나르시스를 그의 목욕탕에서 [22]목 졸라 살해하기 위해 보냈다.
그가 사망하자, 원로원은 그를 공공의 적(사실상의 damnatio memorye)으로 선포하고 로마의 도시와 그 제도들의 원래 이름을 복원했다.코모두스의 조각상들이 철거되었다.그의 시신은 하드리아누스의 무덤에 묻혔다.
코모두스의 죽음은 네르바-안토니우스 왕조의 종말을 알렸다.코모두스는 페르티낙스에 의해 계승되었는데, 그의 통치는 단명했다. 그는 5대 황제의 해에 찬탈당한 최초의 주장자가 되었다.
195년, 황제 셉티미우스 세베루스는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가문의 총애를 얻으려고 노력했고, 코모두스의 기억을 되살려 원로원에서 [23]그를 신격화시켰다.
성격과 신체 능력
성격과 동기

직접 목격자인 카시우스 디오는 그를 "천성적으로 사악하지는 않지만, 반대로, 지금까지 살아온 그 어떤 사람보다도 교활하다"고 묘사했다.그러나 그의 대단한 소박함과 비겁함은 그를 동료의 노예로 만들었다.그리고 그들을 통해 그는 처음에는 무지로 인해 더 나은 삶을 놓쳤고, 그 후 욕정적이고 잔인한 습관으로 이끌려 곧 제2의 [24]천성이 되었다.
그의 기록된 행동은 아버지의 정책, 아버지의 조언자, 특히 아버지의 엄격한 생활방식에 대한 거부감과 가족과의 소외감을 보여주는 경향이 있다.그는 스토아식 금욕주의 분위기 속에서 자랐을 것으로 보이며, 이는 그가 단독 통치로 취임하면서 완전히 거부한 것으로 보인다.
코모두스의 목숨을 노리는 시도를 반복한 후, 로마 시민들은 그를 화나게 했다는 이유로 종종 살해당했다.그러한 주목할 만한 사건 중 하나는 Quintili 가문의 말살 시도였다.콘디아누스와 막시무스는 그들이 어떤 음모에도 연루되지 않았지만, 그들의 부와 재능은 그들을 현 [25]상황에 불행하게 만들 것이라는 구실로 처형되었다.역사학자 아엘리우스 람프리디우스가 기록한 또 다른 사건은 테르메 타우린의 로마 목욕탕에서 일어났는데, 황제는 그의 목욕물이 [26][27]미지근하다는 것을 발견한 후 한 수행원을 오븐에 던져 넣었다.
명칭 변경
그의 원래 이름은 루시우스 아엘리우스 아우렐리우스 [28]코모두스였다.180년 아버지가 돌아가시자, 코모두스는 이것을 [1]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안토니누스 코모두스로 바꿨고, 191년 그의 본명으로 다시 바꿨다.
그해 말 그는 루키우스 아엘리우스 아우렐리우스 코모두스 아우구스투스 에르큘루스 로마누스 엑수퍼레이터리우스 아마존리우스 인빅투스 펠릭스 피우스(이들 타이틀의 순서는 출처에 따라 다르다)를 그의 풀 스타일로 채택했다."엑스퍼라토리우스"는 목성에게 주어진 칭호였고, "아마조니우스"는 다시 그를 헤라클레스와 동일시했다.
유프라테스강의 두라 에우로포스에서 새겨진 제단은 코모두스의 칭호와 달의 이름이 제국의 가장 먼 지역에 전파되었음을 보여준다. 게다가, 보조 군사 부대조차 코모디아나라는 칭호를 받았고, 그가 두 개의 추가 칭호: 파카토르 오르비스 (세계의 페이서)와 도미너스 노스테루 (도)를 차지했다는 것을 보여준다.r Lord).후자는 결국 로마 황제들에 의해 약 1세기 후부터 관습적인 호칭으로 사용되곤 했지만, 코모두스가 가장 먼저 그것을 [29]추측한 것으로 보인다.
코모도스와 헤라클레스
코모두스는 아버지의 철학적 성향을 무시한 채 자신의 신체적 기량을 매우 자랑스러워했다.동시대의 역사학자 헤로디안은 코모두스를 매우 잘생긴 [30]남자라고 묘사했다.위에서 언급했듯이, 그는 사자 가죽과 몽둥이를 가진 헤라클레스 복장을 한 그를 보여주는 많은 조각상을 만들 것을 주문했다.그는 자신을 헤라클레스의 환생이라고 생각했고, 종종 다양한 야생 동물들과 싸우기 위해 경기장에 나타나 전설의 영웅의 위업을 모방했다.그는 왼손잡이였고 [31]그 사실을 매우 자랑스러워했다.카시우스 디오와 아우구스투스 역사의 작가들은 코모두스가 타조의 머리를 전속력으로 쏘고 경기장에서 희생자를 공격할 때 표범을 죽일 수 있는 숙련된 궁수였다고 말한다.
검투사 코모두스
코모도스는 검투사 전투에 대한 열정을 가지고 있었는데, 그는 검투사 [32]복장을 하고 직접 경기장에 나가기까지 했다.로마인들은 코모두스의 검투사 전투를 수치스럽고 수치스럽게 [33]여겼다.헤로디안에 따르면, 코모두스의 관중들은 로마의 다른 반대자들 사이에서 야만인들에 대항하는 운동을 할 수 있을 때 경기장에서 무기를 드는 것은 황제의 자격이 없다고 생각했다.검투사로 [34]참가하는 것은 그의 사무실 아래에 있다는 것이 일치된 의견이었다.그가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아들이 아니라 그의 어머니 파우스티나가 해안 휴양지 카이에타에서 [35]연인으로 데려간 검투사의 아들이라는 소문이 퍼졌다.
경기장에서, 코모두스의 적들은 항상 황제에게 굴복했고, 그 결과 그는 결코 패배하지 않았다.코모두스는 결코 그의 검투사 적들을 죽이지 않고 그들의 항복을 받아들였다.황제의 손에 의해 생긴 상처는 강인함의 [36]표시로 여겨졌기 때문에 그의 승리는 종종 그의 적들로부터 환영을 받았다.로마의 시민들은 사고나 질병으로 발을 잃은 채 경기장으로 끌려갔고, 그곳에서 그들은 함께 묶여 그들이 [37]거인인 척하면서 곤봉으로 죽임을 당했습니다.사적으로,[38][39] 그의 적들과 싸우고, 죽이고, 불구로 만들기 위해 치명적인 무기를 사용하는 것도 그의 관습이었다.경기장에 모습을 드러낼 때마다 그는 로마에 백만 세스테르를 부과하여 로마 경제를 압박했다.
코모두스는 또한 경기장에서 이국적인 동물들과 싸우는 것으로도 잘 알려져 있으며, 종종 로마 대중들에게 공포와 혐오감을 안겨주었다.Cassius Dio에 따르면, 코모두스는 [40]한때 하루에 100마리의 사자를 죽였다고 한다.나중에, 그는 특별히 디자인된[41] 다트로 달리는 타조의 목을 베었고 그 후에 그의 검과 죽은 새의 피를 흘리는 머리를 상원의원의 좌석 구역으로 가져갔고 마치 그들이 다음 [42]차례인 것처럼 몸짓을 했다.디오는 표적이 된 상원의원들이 실제로 이것이 두렵기보다 더 우스꽝스러웠으며 웃음을 [43]감추기 위해 월계수 잎을 씹었다고 지적합니다.다른 경우, 코모두스는 [44]경기장 바닥에서 코끼리 세 [45]마리와 기린 한 마리를 혼자서 죽였습니다.
버지니아주 노퍽의 에르미타주 박물관과 정원 에드윈 하울랜드 블래쉬필드(1848–1936)의 검투사들의 머리 위에서 경기장을 떠나는 황제(상세).
대중문화에서
- 캐나다 배우 크리스토퍼 플러머가 앤서니 만이 감독한 고전 서사시 영화 로마의 몰락에서 코만두스의 악하고 강한 자기애적 묘사를 연기했다.이 영화는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죽음부터 가상의 영웅 리비우스와 싸우다가 죽을 때까지 황제의 모든 통치 기간을 묘사하고 있다.
- 최우수 작품상 수상자인 글래디에이터(2000년)에서는 가상의 코모두스가 영화의 주요 대항마 역할을 한다.그는 제73회 아카데미 [46]시상식에서 남우조연상 후보에 오른 호아킨 피닉스가 연기한다.
- 2013년 비디오 게임 Ryse: Son of Rome의 캐릭터는 코모두스로 이름 붙여졌고 이 게임의 주요 적대자 중 한 명이다.네로 황제의 아들인 그는 역사적인 코모두스와 [47]몇 가지 특징을 공유한다.
- 코모두스는 2005년 비디오 게임 콜로세움: 자유의 길의 작은 적수이다.플레이어는 게임에서 헤라클레스 신처럼 옷을 입는 코모두스와 싸울 수 있다.게임은 레슬러 나르시스가 아니라 실제로 그를 죽인 사람이 플레이어로 그의 죽음을 둘러싼 사건들을 자유자재로 다룬다.
- 코모더스는 악마의 패러디인 칼리굴라 엘라가발로스 네로와 함께 악마의 역사(2009년 TV시리즈) 노래 '악마의 황제'에 등장한다.
- 2017년 다큐멘터리 드라마 미니시리즈 로마제국: 피의 통치는 그의 [48][49]이야기를 다시 들려준다.이 버전에서 나르시스는 황제의 경기장 적들이 모서리가 없는 검으로만 무장했다는 것을 알고 결투에서 코모두스를 죽인다.처음에 나르시스는 코모두스의 목을 조르지만, 결국 코모두스의 심장을 둔기로 찔러 죽인다.아론 자쿠벤코는 이 시리즈에서 코모두스를 연기한다.
- 코모더스는 인기 있는 청소년 소설 시리즈인 아폴로 재판에서 대항마 중 하나로 등장한다.그는 죽은 후 작은 신이 되어 다른 두 명의 로마 황제 칼리굴라, 네로와 함께 현대에까지 살아남았다.그는 그의 애인이었지만 그를 죽이고 그의 폭정을 끝내기 위해 나르시스로 위장했던 아폴로 신에 의해 살해되었다.현대에 와서 그는 제우스에 의해 인간으로서 올림푸스에서 쫓겨난 아폴로에게 복수하려고 한다.Commudus는 결국 시리즈의 네 번째 책에서 죽임을 당한다.
네르바-안토니누스 가계도
| |
주의: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아래 주석은 개인의 혈통이 위의 가계도와 같다는 것을 나타낸다.
| |
참고 자료:
|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 ^ a b 해먼드, 페이지 32-33
- ^ RE 아우렐리우스
- ^ Cooley, Alison E. (2012). The Cambridge Manual of Latin Epigraphy.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494. ISBN 978-0-521-84026-2.
- ^ '커머스'랜덤 하우스 웹스터의 요약되지 않은 사전.
- ^ Historia Augusta – 코모두스의 생애 1
- ^ Historia August
- ^ a b 데이비드 L. 바기 화폐와 로마 제국의 역사 제권.1 : 이력 페이지 248
- ^ 의학의 왕자 수잔 P. 매튼: 로마 제국의 갤런 p. xx
- ^ 카시우스 디오 로마사 71.33.1
- ^ a b 앤서니 R 벌리 마커스 아우렐리우스: A Biography p.197
- ^ 히스토리아 아우구스타 1.6
- ^ 히스토리아 아우구스타 2.4
- ^ Marcel van Ackeren (2012). A Companion to Marcus Aurelius. John Wiley & Sons. p. 234. ISBN 978-1-4051-9285-9.
- ^ 히스토리아 아우구스타 12
- ^ Historia Augusta, Marcus Aurelius, 22.12
- ^ 디오 카시우스 72.33
- ^ "Tulane University "Roman Currency of the Principate"".
- ^ Dio Cassius 72.36.4, Loeb 판이 E를 번역했습니다.캐리
- ^ a b Dio Cassius 73.10.2, Loeb 판이 E를 번역했습니다.캐리
- ^ "Roman Emperors – DIR commodus". www.roman-emperors.org.
- ^ 디오 카시우스 73.22.3
- ^ 디오 카시우스, 73.22
- ^ 코모더스와의 친족관계를 받아들이기 위해...직설적으로 실용적인 결정은 전 황제를 신격화하기 위해 내려졌고, 따라서 세베루스의 권력 장악을 정당화했다. Annelise Freisenbruch, 시저스의 아내: 로마 제국의 섹스, 권력, 정치(런던과 뉴욕: 프리 프레스, 2010)를 참조하십시오.
- ^ Dio Cassius 73.1.2, Loeb 판이 E를 번역했습니다.캐리
- ^ Dio Cassius 73.5.3, Loeb 판이 E를 번역했습니다.캐리
- ^ Historia Augusta.C 1, 9
- ^ 하인즈, W. (1986)Terme Taurine" von Civitavechia – ein römisches Hilbad를 죽인다.앤티키 웰트, 17(4), 22~43.
- ^ 해먼드, 32페이지
- ^ Spiedel, M. P (1993). "Commodus the God-Emperor and the Army". Journal of Roman Studies. 83: 109–114. doi:10.2307/300981. JSTOR 300981.
- ^ 그랜트, 마이클로마 황제 (1985년) 페이지 99
- ^ 디오, 카시우스로마사: LXX의 대명사III 페이지 111.
- ^ 기번, 에드워드로마 제국의 쇠퇴와 몰락의 역사.제5권메튜엔, 1898년
- ^ 헤로디안의 로마사 F.L. 뮬러판 1.15.7
- ^ 에콜스, 에드워드 C. "안티오키아 로마제국사의 영웅"영어 번역) UCLA Press, Berkeley CA (1961), 1.15.1-9
- ^ Historia Augusta, Marcus Aurelius, 19세영화 로마 제국의 몰락은 이 이야기를 이용한다: 등장인물 중 한 명은 결국 자신이 코모두스의 진짜 아버지임을 드러내는 나이든 검투사이다.
- ^ 디오 카시우스, 73.10.3
- ^ Dio Cassius 73.20.3, Loeb판 E번역.캐리
- ^ 디오 카시우스 73.10.3
- ^ "Intrigue, Insanity, and the Reign of Commodus". Wondrium Daily. 1 December 2017. Retrieved 9 June 2022.
- ^ Gibon p..106 "사자 백 마리, 다트 백 마리"
- ^ 기번, 에드워드 로마제국의 쇠망과 몰락: 제1권 뉴욕 만인의 도서관(Knopf) 1910.p. 106 "점이 초승달 모양으로 생긴 화살과 함께"
- ^ 레인 폭스, 로빈 더 클래식 월드: 호머에서 하드리아노 기본서까지 서사시 역사. 2006년 페이지 446 "한 손에 검을 휘두르며 피로 물든 목을...그는 상원에서 손짓을 했다.
- ^ 카시우스 디오 페넬로페의 로마사.uchicago.edu
- ^ 스컬러드, H. 테임즈, 허드슨에 사는 코끼리1974년 페이지 252
- ^ 기븐 페이지 107 "*1 코모두스는 낙타표범이나 기린을 죽였다...가장 쓸모없는 사족류"라고 말했다.
- ^ IMDB Commodus at the Wayback Machine (아카이브 2017-09-14)
- ^ Nichols, Derek (8 February 2014). "History Behind The Game – Ryse: Son of Rome". Venture Beat. Retrieved 11 August 2018.
- ^ Agius, Den (19 November 2016). "Box Set Binge: Roman Empire: Reign of Blood, The Path and Deutschland 83". What's on TV. TI Media Limited. Retrieved 20 July 2018.
- ^ O'Keefe, Meghan (25 November 2016). "'Roman Empire: Reign Of Blood': Who Was The Real Lucilla?". Decider. NYP Holdings, Inc. Retrieved 20 July 2018.
원천
- Encyclopædia Britannica. Vol. 6 (9th ed.). 1878. pp. 207–208. .
- Encyclopædia Britannica. Vol. 6 (11th ed.). 1911. p. 777. .
추가 정보
- Geoff W Adams, 황제 코모더스: 검투사, 헤라클레스, 폭군?Boca Raton: BrownWalker Press, [2013]ISBN 1612337228
- G. Alföldy, "Der Friedesschluss des Kaisers mit den Germanen", Historia, 20(1971), 페이지 84-109.
- P. A. 브런트 "페레니스의 몰락:Dio-Xiphilinus 79.9.2," 고전 분기, 23(1973), 172-77페이지
- J. Gagé, "La mystique et l'preuve des jeux"Commode-Hercule et l'anthropologie hercaléenne", ANRW 2.17.2(1981, 663–83)
- Hammond, Mason (1957). "Imperial Elements in the Formula of the Roman Emperors during the First Two and a Half Centuries of the Empire". Memoirs of the American Academy in Rome. 25: 19–64. doi:10.2307/4238646. JSTOR 4238646.
- 올리비에 헥스터, 코모두스: 기로에 선 황제: 고대 역사와 고고학에 관한 네덜란드 논문들, 23세.브릴, 2002년ISSN 0924-3550
- L. L. Howe, 코모두스에서 디오클레티아누스에 이르는 친위대 행정관(서기 180년-305년).시카고, 1942년
- M.P. Speidel, "신-황제와 군대", 로마학 저널, 83(1993), 페이지 109-14.
- 제리 토너, 코모두스가 코뿔소를 죽인 날: 로마 게임의 이해.존스 홉킨스 대학 출판부, 2014.
외부 링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