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 손털리
Phil Thornalley필 손털리 | |
---|---|
![]() | |
배경 정보 | |
출생명 | 필립 손털리 |
태어난 | ) 1960년 1월 5일 ) |
기원 | 잉글랜드 서퍽 밀덴홀 월링턴 |
장르 | |
직업 |
|
계기 |
|
년 활동 | 1978-현재 |
관련 행위 |
|
필립 손랄리(Philip Thornalley, 1960년 1월 5일생)는 1978년부터 음악계에서 활동한 영국의 작곡가 겸 프로듀서다. 그는 아마도 공동 작사 (스콧 커틀러, 앤 프레벤과 함께)의 곡 "Crocked"로 가장 잘 알려져 있을 것이고, 영국에서는 픽시 로트의 "Mama Do"와 "Boys and Girls"를 히트시켰다. 그는 또한 The Cure의 1982년 앨범 포르노를 제작했고 이후 18개월 동안 그들의 베이스 연주자로 활동하면서 1983년 싱글 "The Love Cats"에서 독특한 더블 베이스 라인을 제작하고 공연했다. 1988년 손랄리는 자신의 유일한 솔로 앨범 《Scush》를 발매하고 잠시 밴드 《Jonny Hates Jazz》에 합류했다. 그 후 그는 주로 브라이언 아담스를 포함한 많은 연극에서 고용된 작곡가로 일했다. 2017년 그는 아담스의 밴드에 18개월 동안 베이스 연주자로 합류한 후, 모니커 아스트랄 드라이브(Moniker Astral Drive)에서 자신의 70년대 솔로 앨범 2장을 발매했다.
전기
손랄리는 영국 서퍽주 밀덴홀 인근의 월링턴에서 태어났다.
그는 1978년 세인트의 RAK 스튜디오에서 녹음 엔지니어로 일하기 시작했다. 프로듀서 미키 모스트, 스티브 릴리화이트, 알렉스 새드킨을 위한 존스 우드.[1]
손랄리는 4집 앨범 포르노에서 The Cure의 프로듀서가 되었다.[2] 1982년 사이먼 갤럽이 밴드와 결별한 후, 그는 The Cure의 18개월 동안 베이스 연주자로 활동했다. 그는 1983년 싱글 "The Love Cats"와 그들의 첫 라이브 앨범 "Concert"를 제작했다. 하지만 그는 작곡가와 프로듀서로 다시 일하기 위해 그만두었다.[3]
1984년 톰슨 트윈스의 인투 더 갭(Into the Gap)으로 그래미상 최우수 엔지니어링 앨범상, 비클래식 부문 후보에 올랐으며 유일한 솔로 앨범(Swamp)을 발표했다.[1] 1988년에
손랄리는 주로 다른 아티스트들을 위해 작곡가와 음반 프로듀서로 일했다. 1991년, 그는 공동 집필한 "Tren"(스콧 커틀러, 앤 프레벤과 함께)을 하였으며, 이 곡은 후에 에드나스와프의 1995년 데뷔 앨범에 등장했다.[1] 이어 나탈리 임브루글리아를 위해 몇 곡의 곡을 제작해 달라는 요청을 받았고, '토네이티드'는 손랄리가 임브루글리아의 1997년 7백만 장 판매 데뷔 앨범 Left of the Middle에 작곡한 다른 4곡과 함께 재녹음되어 세계적인 히트 싱글이 되었다.[1] 2012년 싱글은 One Directive가 라이브 콘서트 DVD Up All Night에서 다루었다. 라이브 투어.
손랄리가 작곡가로 활동한 다른 아티스트로는 브라이언 아담스, BBMak,[4] Eliza Doolittle, 멜라니 C, 스테파니 커컴, 픽시 로트가 있다.[1][5]
Artists Thornalley has produced, recorded or mixed include Duran Duran, Junior Giscombe, Thompson Twins, XTC, Sting, Edwyn Collins, Kiki Dee, Kim Wilde, Prefab Sprout, Hot Chocolate, Racey, Chris Spedding, Kasim Sulton, Robbie Nevil, The Frank and Walters, Ash, Julian Cope, Dionne Bromfield, Blur, Katrina and the Waves, Kate Earl, The Waterboys, PsYchedelic Furs, Wax, Cyndi Lauper, Lulu 및 Clint Eastwood & General Saint.
2010년에는 픽시 로트를 위해 영국 넘버원 '마마도'와 '소년소녀'를 썼고,[6] 2012년에는 톱10 히트작 '키스 더 스타즈'를 썼다.
손럴리는 2016년과 2017년 브라이언 아담스와 함께 '겟 업'과 '얼티밋' 투어에 베이스 선수로 출전했다. 그는 미국, 캐나다, 영국, 유럽, 이스라엘,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53번의 공연을 했다. 그는 이 곡 'That's Rock and Roll'을 Get Up 앨범에, 'The Last Night on Earth'와 'Talk to Me'를 2019 Shine a Light 앨범에 기고했다.
손달리는 2018년 5월 싱글 '76년의 여름'을 발매하고, 2019년 1월 '사랑은 진짜 EP(토드 런드그렌 노래 'A Dream Goes On Forever)'[7]의 커버를 포함, 새로운 솔로 프로젝트 '아스트랄 드라이브'를 발표했다. 자칭 앨범은 2018년 7월 로진스 레이블로 발매되었다.[8] 2019년 여름, 아스트랄 드라이브는 '그린'이라는 제목의 리믹스와 아웃 테이크의 동반 앨범을 발매했다.[9] 2021년 여름은 10곡의 원곡과 나즈의 'Open My Eyes' 커버를 포함한 또 다른 앨범 'Astral Drive'가 발매되었다.[10]
국립 초상화 갤러리에는 사진작가 줄리언 앤더슨이 그린 그의 초상화가 포함되어 있으며, 그곳에서 그는 '송라이터'로 이름을 올렸다.[11]
영향
손럴리의 영향력은 토드 룬드그렌, 비틀즈, 핑크 플로이드다. 소울 앤 R&B 가수 레지 시어스는 손랄리를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가수로 선정했으며 손랄리의 1988년 발매된 '스퍼시'를 가수와 음악가가 되고자 하는 주요 원동력으로 인정하였다.[12][13]
선정작업
작가/제작자로서
- 싱글스
- 나탈리 임브뤼글리아 - "토해" (#2 영국)
- 나탈리 임브뤼글리아 - "Wishing I Was Here"(미국 #15)
- BBMak - "Back Here"(#11 USA / 5번 영국) (작성자만 해당)
- 브라이언 아담스 - "오늘과 같은 날에" (#12 영국)
- 로난 키팅 - "당신이 나를 느끼게 하는 방법" (#5 영국)
- 픽시 로트 - "Boys and Girls" (#1 영국)
- 픽시 로트 - "마마 도" (#1 영국)
- 픽시 로트 - "Cry Me Out" (#5 영국)
- 픽시 로트 - "Kiss the Stars"(영국 #9)
- 햅번 - "I Stop" (#8 영국)
- 섀넌 홀 - "드라이브"(#1 오스트레일리아)
- Daisy Wood-Davies -"Dream Baby Dream" - 웨스트 엔드 뮤지컬 드림보트와 펫티코트의 작품
- 엘키 브룩스 - "용서하고 잊어버려"
- 아스트랄 드라이브 - "76년 여름"
- 앨범
- 나탈리 임브뤼글리아 - 레프트 오브 더 미들 (#5 영국)
- 브라이언 아담스 - "Shine A Light" (공동 집필자 "The Last Night On Earth" & "Talk To Me")
- 브라이언 아담스 - 오늘과 같은 날에 (공동 저자인 "오늘과 같은 날에" & "오늘 밤 기분이 어떠니")
- 브라이언 애덤스 - 룸서비스 (공동작가 "로미오 Not Juliet")
- 브라이언 아담스 - 베어 본즈(공동작가 "당신이 나를 느끼게 하는 방법")
- 브라이언 애덤스 - 겟 업(공동작가 "That's Rock and Roll")
- 브라이언 아담스 - "Shine A Light"(공동 작가 "Talk to Me" & 공동 작가 겸 프로듀서 "The Last Night on Earth")
- 멜라니 C - 이성(작가 "Do I", "Positive Awhere", "Let's Love")
- Melanie C - Northern Star(작가 "가가" 및 "Be the One")
- Astral Drive - Astral Drive(모든 곡에 작곡자)
- Astral Drive - 'Green'(모든 곡에 수록된 작가)
- Astral Drive - 'Orange'(10곡의 작사)
프로듀서로서만
- 싱글스
- 치료제 - "걸리는 정원"
- 프리팹 스프라우트 - "사랑이 무너질 때" (#25 영국)
- 치료제 - "러브캣" (#5 영국)
- 홀리 밸런스 - "장난스런 소녀" (#9 영국)
- 로비 네빌 - "C'est La Vie"(#2 미국)
- 왁스 - "눈 사이 오른쪽" (#1 스페인)
- 앨범
- 치료법 - 포르노 (#2 영국)
믹서기
- 애쉬 - "화성에서 온 소녀"
- 싸이키델릭 퍼스 - "Pretty in Pink"(오리지널 버전)
- 스팅 - "작은 행복을 펼쳐라"
- 듀란 듀란 - "내가 알아야 할 것이 있는가?" (#4 미국/#1 영국)
- 톰슨 트윈스 - "Hold Me Now"
- 톰슨 트윈스 - "닥터! 닥터!"
- 톰슨 트윈스 - "사랑의 이름으로"
- 톰슨 트윈스 - "거짓말"
- 신디 로퍼 - "무슨 일이야"
- 워터보이스 - "어부 블루스"
- 게리 브라이트 - "컬러 휠"
레코딩 엔지니어 및 믹서로서의 앨범만 해당
- 사이키델릭 퍼스 - 사이키델릭 퍼스
- 사이키델릭 퍼스 - 토크 토크 토크
- 존 마틴 - 잘 지켜진 비밀
- 듀란 듀란 - 세븐과 너덜너덜한 호랑이
- 톰슨 트윈스 - 퀵 스텝 & 사이드 킥
- 톰슨 트윈스 - 세트
- 톰슨 트윈스 - 틈새 속으로
- 로비 네빌 - 세스트 라 비
- 그레이엄 파커 - 진짜 마코
수상 및 지명
수상
- 1998년 ASCAP '올해의 노래'(Natalie Imbruglia)에서 "토네이티드"로 선정되었다.
- ASCAP "Back Here"(BMAK)용 '올해의 노래' 2000
공천
- 그래미상 'Thompson Twins' Into the Gap'에 대한 'Best Engineered Pop Album 1984'
참조
- ^ a b c d e Tingen, Paul (June 2010). "Phil Thornalley: Torn". Sound on Sound. Retrieved 6 July 2010.
- ^ Rees, Dafydd & Crampton, Luke (ed.) Rock mover & shakers, Volume 1991, Part 2 (1991), ISBN 978-0874366617 ("...신규 프로듀서 Phil Thornalley와 함께 녹음하기 위해 RAK 스튜디오에 들어가는 밴드")
- ^ "The Cure – Interview". Rockerilla (original in Italian). September 1983. Retrieved 6 July 2010.(손탈리가 현재 치료제의 멤버라는 것을 알려줌)
- ^ "Production notes". Music Week. 17 July 1999. Retrieved 6 July 2010.
- ^ Savage, Mark (5 June 2009). "Pop Pixie has a whole Lotta love". BBC News. Retrieved 6 July 2010.("지난 3년간 그녀는 레드원(레이디 가가의 저스트 댄스), 필 손랄리(나탈리 임브루글리아의 터프), 토비 갓(비욘세의 이프 아 보이) 등 업계에서 가장 큰 히트메이커들과 협업해 왔다.")
- ^ "QUICKFIRE: Twelve years in waiting: Lott hitmaker reaches top". Music Week. 27 June 2009. Retrieved 6 July 2010.
- ^ "Announcing Astral Drive – Summer of '76". Lojinx.com. 4 May 2018. Retrieved 11 January 2020.
- ^ "Hitmakers: Phil Thornalley on Torn Interviews Music Week". Musicweek.com. Retrieved 11 January 2020.
- ^ "Astral Drive". Lojinx.com. Retrieved 31 December 2021.
- ^ a b "Astral Drive - Astral Drive (Lojinx)". Lojinx.com. 30 July 2021. Retrieved 31 December 2021.
- ^ "Phil Thornalley - National Portrait Gallery". Npg.org.uk. Retrieved 31 December 2021.
- ^ "Reggie Sears". Something for the Soul Radio Interview. Retrieved 19 January 2014.
- ^ "Reggie Sears Biography". Artistdirect.com. Retrieved 6 July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