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오니어 5
Pioneer 5![]() 토르 에이블 발사대에 장착된 파이오니어 5입니다. | |
미션 타입 | 행성간 우주 연구 |
---|---|
교환입니다. | NASA |
하버드 지정 | 1960 알파 1 |
COSPAR ID | 1960-001a |
새캣 | 27 |
미션 기간 | 최종 연락 개시일 107일, 최종 연락 개시일 50일 데이터 수신일 |
우주선 속성 | |
제조원 | TRW |
발사 질량 | 43 kg (95파운드) |
임무 개시 | |
발매일 | 1960년 3월 11일 13:00:07 UTC ( | )
로켓 | 토르 DM 18-Able IV |
발사장소 | 케이프 커내버럴, LC-17A. |
임무 종료 | |
마지막 연락처 | 최종 연락 1960년 6월 26일([1] 최종 데이터 수신 1960년[2] 4월 30일 |
궤도 파라미터 | |
레퍼런스 시스템 | 태양중심 |
편심 | 0.1689 |
근일점 고도 | 0.7061 천문단위 (105,630,000km, 65,194,000mi) |
원일리온 고도 | 0.9931 천문단위(180,570,000km,92,194,000mi) |
기울기 | 3.35° |
기간 | 311.6일 |
파이오니어 5호(Pioneer P-2, Able 4라고도 알려져 있고 "Paddle-Wheel Satellite"[3]라는 별칭으로 불리기도 함)는 NASA 파이오니어 프로그램의 스핀 안정형 우주 탐사선으로 지구와 금성 궤도 사이의 행성간 공간을 조사하는데 사용되었다.1960년 3월 11일 13:00[4] UTC에 케이프 커내버럴 공군 기지 발사 단지 17A에서 발사되었으며, 궤도상의 건조 질량은 43kg(95파운드)이었다.그것은 4개의 태양 전지판에 걸쳐 1.4m(4ft 7in)의 직경 0.66m(2인치)의 구였고, 태양 궤도는 0.806 × 0.995AU(12100,000x149,000km)였다.
데이터는 1960년 4월 30일까지 수신되었다.다른 업적들 중에서, 탐사선은 행성간 자기장의 [5]존재를 확인했다.파이오니어 5는 파이오니어/에이블 시리즈에서 가장 성공적인 탐사선이었다.
원래 계획은 1959년 11월에 파이오니어 5호가 금성을 통과하기 위해 발사될 예정이었지만 기술적인 문제로 인해 1960년 초까지 금성 창문이 닫힐 때까지 발사를 하지 못했다.금성에 탐사선을 보내는 것이 불가능했기 때문에, 그것은 단지 행성간 공간을 조사했을 뿐이고 행성으로의 실제 임무는 [6]3년을 더 기다려야 할 것이다.
설계 및 기기
이 우주선은 1.4m(4피트 7인치)가 넘는 4개의 태양 전지판을 갖춘 0.66m(2피트 2인치) 직경의 구체로, 다음과 같은 4개의 과학 기구를 갖추고 있었다.
- 태양 입자를 검출해 지상에 갇힌 방사선을 관측하는 3중 일치 전방향 비례 망원경.E > 75 MeV의 광자와 E > 13 MeV의 [7]전자를 검출할 수 있습니다.
- 지구의 먼 곳, 지자기 경계 근처 및 행성 [8][9]간 공간에서 자기장을 측정하는 회전 탐색 코일 자력계입니다.그것은 1마이크로가우스에서 12밀리가우스까지의 필드를 측정할 수 있었다.그것은 우주선의 회전축에 수직인 자기장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우주선에 장착된 단일 탐색 코일로 구성되었다.아날로그 [10]및 디지털 형식으로 측정값을 출력할 수 있습니다.
- Neher형 적분 이온화 챔버와 Anton 302 Geiger-Müler 튜브(우주선 검출기로 기능)를 사용하여 우주 방사선을 측정합니다.그것은 우주선의 [11]회전축에 수직으로 장착되었다.
- 2개의 다이어프램과 마이크의 조합으로 구성된 마이크로메타라이트 모멘텀 스펙트로미터(또는 마이크로메타라이트 검출기).그것은 운석 먼지 입자의 양과 이러한 [12]입자의 운동량을 측정하는데 사용되었다.
미션
발사 중 부스터 성능은 Thor-Able 차량에 대한 이전의 수많은 어려움을 고려할 때 전반적으로 우수했다.계획되지 않은 피치 및 롤링 모션을 초래하는 2단계 비행 제어 시스템에 몇 가지 사소한 이상 징후가 있었지만, 그것들은 임무를 위험에 빠뜨리기에 충분하지 않았다.
우주선은 자기장에 대한 자력계에 의해 수집된 데이터를 반환했고, 중간 방해받지 않은 행성간 장은 [13]약 5µ ± 0.5µ이었다.이 우주선은 또한 행성간 지역에서 태양 플레어 입자와 우주 방사선을 측정했다.마이크로메타라이트 카운터가 데이터 시스템이 포화되어 제대로 [12]작동하지 않았습니다.
기록된 디지털 데이터는 지구에서 우주선의 거리와 수신 안테나의 크기에 따라 1, 8, 64비트/s로 전송되었다.태양 전지의 무게 제한 때문에 원격 측정 송신기의 지속적인 작동을 방해했다.25분 동안 매일 약 4회 운행이 계획되었으며, 특별한 관심 시간이 있는 시간 동안 이따금씩.총 138.9시간의 연산이 완료되어 3메가비트 이상의 데이터가 수신되었습니다.데이터의 대부분은 조드렐 뱅크 천문대와 하와이 추적 스테이션의 러벨 전파 망원경으로 수신했다. 그 이유는 안테나가 그리드 수신을 제공했기 때문이다.데이터는 1960년 4월 30일까지 수신되었으며, 이후 원격 측정 노이즈와 약한 신호 강도로 인해 데이터 수신이 불가능해졌다.이 우주선의 신호는 1960년 6월 26일 3,620만 km(2,250만 마일)의 기록 거리로부터 조드렐 은행에 의해 탐지되었지만,[14] 그때까지 데이터를 수집하기에는 너무 약했다.
통신
익스플로러 6과 마찬가지로, 파이오니어 5,"Telebit"[15]codenamed 채널 효율성에서 이전 세대"Microlock"아날로그 시스템에 사용 탐색기에서 1일부터 있는 실제로(또는 10dB)[16]개선과 신호의 우주선에 인코딩에서 가장 큰 단일 개선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진 디지털 원격 측정 시스템 우주선에 사용되곤 했다..우주선은 401.8MHz에서 업링크 반송파를 수신하여 16/17 간섭성 발진기 [17]회로를 사용하여 378.2MHz 신호로 변환했습니다.원격측정 시스템은 512Hz 서브캐리어를 위상변조하여 진폭을 64, 8 또는 1bit/s로 변조했습니다.이 우주선은 안테나를 조준할 수 없었고, 따라서 최신 우주선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고이득 접시 안테나가 없었다.대신 시스템은 150W 앰프를 보통 5W 송신 회로에 도입할 수 있습니다.태양 패들에 의해 충전된 28개의 F 사이즈의 NiCd 전지로 구동되어 [18]배터리에 손상을 입히기 전에 최대 8분간의 고출력 통신을 가능하게 했다.5W 통신의 매 시간 또는 150W 통신의 5분마다 10시간의 배터리 재충전이 필요했습니다.후대의 행성간 우주선(Mariner 2 및 그 이후)과는 달리, 이 우주선은 아직 이용할 수 없는 딥 스페이스 네트워크를 사용하지 않고 76m의 러벨 망원경(당시 맨체스터 마크 I)과 26m의 전파 망원경, 싱가포르의 작은 헬리컬 어레이로 구성된 SPAN이라고 불리는 다소 임시 우주 네트워크를 사용했다.
「 」를 참조해 주세요.
- 파이오니어 프로그램
- 인공위성 및 우주탐사기 연표
- Mariner 2(Pioneer 5와 같이 행성간 자기장도 측정됨)
레퍼런스
- ^ "Pioneer 5, In Depth". NASA. Retrieved 3 January 2019.
- ^ "NASA - NSSDCA - Spacecraft - Details".
- ^ Moore, Patrick (1962). The Observer's Book of Astronomy. Frederick Warne & Co.
- ^ "Chronology - Quarter 1 1960". Encyclopedia Astronautic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6 August 2007. Retrieved 31 January 2008.
- ^ '파이오니어 우주선'NASAFacts.NF-31/Vol 4, No.3. 미국 정부 인쇄국, 1967.
- ^ "Vintage Micro: The First Interplanetary Probe". 17 April 2015.
- ^ "NSSDC Master Catalog: Proportional Counter Telescope". NASA. Retrieved 31 January 2008.
- ^ Coleman, P.J.; Davis, Leverett; Sonett, C.P. (15 July 1960). "Steady Component of the Interplanetary Magnetic Field: Pioneer V". Physical Review Letters. 5 (2): 43–46. Bibcode:1960PhRvL...5...43C. doi:10.1103/PhysRevLett.5.43.
- ^ Dungey, J.W. (15 January 1961). "Interplanetary Magnetic Field and the Auroral Zones". Physical Review Letters. 6 (2): 47–48. Bibcode:1961PhRvL...6...47D. doi:10.1103/PhysRevLett.6.4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4 September 2017.
- ^ "NSSDC Master Catalog: Search-Coil Magnetometer". NASA. Retrieved 31 January 2008.
- ^ "NSSDC Master Catalog: Ion Chamber and GM Tube". NASA. Retrieved 31 January 2008.
- ^ a b "NSSDC Master Catalog: Micrometeorite Spectrometer". NASA. Retrieved 31 January 2008.
- ^ Greenstadt, E.W. (July 1966). "Final Estimate of the Interplanetary Magnetic Field at 1 A.U. from Measurements made by Pioneer V in March and April 1960". Astrophysical Journal. 145 (1): 270–295. Bibcode:1966ApJ...145..270G. doi:10.1086/148761.
- ^ "NSSDC Master Catalog: Pioneer 5". NASA. Retrieved 31 January 2008.
- ^ "An Interplanetary Communication System abstract" (PDF). STL/TR. Retrieved 6 August 2015.
- ^ "An Interplanetary Communication System pp. 2" (PDF). STL/TR. Retrieved 6 August 2015.
- ^ "Payload Command Receiver/Doppler Transponder" (PDF). STL/TR. Retrieved 6 August 2015.
- ^ "Project Thor-Able 4 Final Mission Report pp. 4-25" (PDF). STL/TR. Retrieved 6 August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