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랜타리스근

Plantaris muscle
플랜타리스근
Plantaris muscle - posterior view.png
플랜타리스 근육. 뒤에서 본다.
해부 비디오(1분 23초)
세부 사항
기원대퇴골의 측면 머리 위쪽에 있는 대퇴골의 측면 수프라콘디라 능선
삽입힘줄(중간측, 깊은 곳부터 위부 힘줄까지 힘줄
동맥수근 동맥
신경S1-S2의 앞 라미에서 나온 경골신경
행동들플랜타르는 발을 구부리고 무릎을 구부린다.
길항제경골근
식별자
라틴어근막염
TA98A04.7.02.049
TA22663
FMA22543
근육의 해부학적 용어

장막다리의 피상적인 뒷부분의 피상적인 근육 중 하나이며, 다리의 기초적인 구획의 하나이다.

그것은 얇은 근육배와 길고 가는 힘줄로 구성되어 있다. 아킬레스건만큼 굵지는 않지만, 플랜타리스 힘줄(길이 30~45cm(12~18인치) 사이인 경향이 있음)은 인체에서 가장 긴 힘줄이다. 힘줄을 포함하지 않고, 플랜타리스 근육은 약 5-10 센티미터(2.0–3.9인치) 길며 인구의 8-12%에 존재하지 않는다. 다리 뒷부분에 있는 플랜타 굴곡 중 하나이며, 위궤양, 솔레우스 근육과 함께 있다. 식초는 인간의 조상들이 나무를 오르는 것에서 두발 달린 동물로 바뀌었을 때 중요하지 않은 근육이 되었다고 여겨지고 해부학적으로 현대 인류에서는 주로 위식동물과 함께 활동한다.[1]

구조

족저근은 대퇴골측면 수프라콘디라 능선의 하부에서 위두의 측면두부 원점보다 약간 높은 위치에서 발생한다. 그것은 의학적 방향에서 무릎 관절 후방으로 통과하고 아킬레스건 안으로 삽입하기 위해 원위적으로 힘줄이 된다. 그것은 때때로 칼카네우스의 안쪽 면에 따로 삽입한다.

내경사

족저근은 천골 플렉서스좌골 신경의 한 가지인 경골 신경에 의해 내측으로 되어 있다. 수축 신호는 뇌의 전두엽에서 중앙 전회(주근 운동 피질)와 함께 시작된다. 상부 운동 뉴런은 자극을 받아 내부 캡슐을 통해 코티코스피탈 트랙 아래로 신호를 보낸다. 측면 피질공간관절의 디커싱은 중수 피라미드에서 발생하며, 그 다음 섬유질은 척수의 대측면을 따라 계속된다. 상부 운동 신경 세포는 천골 플렉서스에 있는 척수의 전방 경음기에서 하부 운동 신경 세포와 시냅스한다(척수 신경 L4, L5, S1–4의 전방 라미로부터 형성된다). 하부 운동 신경 섬유는 좌골 신경 아래로 계속 내려가다가 경골 신경과 일반 섬유 신경으로 갈라진다. 경골신경은 무릎관절에서 안간힘을 쓴다. 경골신경이 작용전위를 받으면 장골근육이 수축하여 발에 약한 장골 굴곡과 무릎 굴곡이 약해진다.[2]

변형

근육은 사선인대로부터 생길 수 있다. 위두의 횡두부와의 자릿수간, 그리고 슬개골까지 근육을 섬유로 확장시키는 것은 예사롭지 않다.[3]

함수

플랜타리스는 발목 관절을 약하게 구부리고 무릎 관절을 구부리는 작용을 한다.

또한 발바닥근육은 발의 위치와 관련하여 중추신경계에 자기 기만적인 피드백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자기 기만 수용체 최종 장기의 비정상적으로 높은 밀도는 이 개념을 뒷받침한다.[4]

운동기능이 매우 미미하여 기능적 적자가 거의 없는 다른 곳에서의 재건을 위해 긴 힘줄을 쉽게 수확할 수 있다. 흔히 신입 의대생들에 의해 신경으로 오인된 이 근육은 발로 움켜쥐는 다른 영장류들에게 유용했다.[5]

임상적 유의성

보통 플랜타리스 근육에 기인하는 일반적인 부상은 테니스 다리라고 불리는 질환이다. 종아리의 통증은 근막근육의 파열로 인한 것일 수 있지만, 최근의 초음파 연구에서는 테니스 다리가 더 흔하게 내측위근의 근막 접합부에서 눈물 때문에 생긴다는 것이 밝혀졌다. 한 임상연구에서 테니스다리로 진단받은 환자 141명 중 94명(66.7%)이 위두근 부분파열로 발견됐고, 족부건 파열은 2명(1.4%)[6]에서만 관찰됐다.

테니스, 농구, 축구와 같은 스포츠에서 뛰거나, 뛰거나, 한쪽 다리를 밀어서 부상이 발생할 수 있는데, 특정 방향으로 빠른 발 움직임이 필요하다. 고립된 족저근육종류는 드물며, 파열은 보통 하퇴부의 다른 근육의 부상과 함께 발생한다.[7] 식초근육 파열 증상은 신체 활동 중 부위에서 터지는 소리, 붓는 소리, 하퇴부 뒤통증, 지속적인 통증 등이 나타날 수 있다. 발목 굴곡도 아플 수 있다.[8]

참고 항목

추가 이미지

참조

  1. ^ Sichting, Freddy; Holowka, Nicholas B.; Ebrecht, Florian; Lieberman, Daniel E. (2020-02-26). "Evolutionary anatomy of the plantar aponeurosis in primates, including humans". Journal of Anatomy. Wiley. 237 (1): 85–104. doi:10.1111/joa.13173. ISSN 0021-8782. PMC 7309290.
  2. ^ 살라딘, 케네스 S. 해부학과 생리학 형태와 기능의 통일. 제6판 뉴욕: McGraw-Hill Science Engineering, 2009. 인쇄하다.[page needed]
  3. ^ Freeman, A. J.; Jacobson, N. A.; Fogg, Q. A. (2008). "Anatomical variations of the plantaris muscle and a potential role in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Clinical Anatomy. 21 (2): 178–81. doi:10.1002/ca.20594. PMID 18266282.
  4. ^ Moore, Keith L; & Dalley Arthur R(2008)이다. 임상 지향 해부학 (6차 개정). 리핀콧 윌리엄스와 윌킨스. ISBN 978-1-60547-652-0[page needed]
  5. ^ Andor, W.J.M., Glaudemans, Rudi A.J.O. Dierckx, Jan L.M.A. Gielen, 요하네스 (Hans) Zwerver (2015) 스포츠 부상에서의 핵의학과 방사선 이미지. 스프링거. 페이지 762
  6. ^ Delgado, Gonzalo J.; Chung, Christine B.; Lektrakul, Nitaya; Azocar, Patricio; Botte, Michael J.; Coria, Daniel; Bosch, Enrique; Resnick, Donald (2002). "Tennis Leg: Clinical US Study of 141 Patients and Anatomic Investigation of Four Cadavers with MR Imaging and US1". Radiology. 224 (1): 112–9. doi:10.1148/radiol.2241011067. PMID 12091669.
  7. ^ Spina, A. A. (2007). "The plantaris muscle: Anatomy, injury, imaging, and treatment". The Journal of the Canadian Chiropractic Association. 51 (3): 158–65. PMC 1978447. PMID 17885678.
  8. ^ "Running Injuries to the Plantaris & Soleus Muscles". SportsRec. Retrieved 20 October 2020.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