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근육
Psoas minor muscle소근육 | |
---|---|
![]() 장골 및 전대퇴골 부위의 근육(오른쪽 위쪽에 작은 부분이 보이는 경우 | |
세부 사항 | |
기원 | T12 및 L1 척추뼈의 측면 표면 본체와 추간판 사이의 간섭 |
삽입 | 펙티날 선과 장골의 명성 |
신경 | 신경의 앞면 L1 |
행동들 | 약한 트렁크 굴곡기 |
길항제 | 스피나에 에렉터 |
식별자 | |
라틴어 | 근수성 근수성 근수성 근수성 근수성 단조증 |
TA98 | A04.7.02.005 |
TA2 | 2596 |
FMA | 22350 |
근육의 해부학적 용어 |
psoas 경미한 근육은 길고 가느다란 골격근이다.[1][2]존재하면 psoas 주요 근육 앞에 위치한다.[1][2]
구조
psoas 경미한 근육은 마지막 흉추와 첫 번째 요추에 삽입된 수직적 파시클에서 유래한다.거기서부터 psoas 소령의 내측 경계선으로 내려오고, innomininal line과 iliopectineal emergency에 삽입된다.또한 장골 근막의 깊은 표면에 부착되어 늘어나며 때로는 가장 낮은 섬유질이 장골 인대에 닿기도 한다.[3]그것은 장골근육과 측면이다.[4]그러나 변형이 일어나며, 장골 고지의 삽입이 장골 아치 안으로 방사되는 경우도 있다.[5]
psoas 경미한 근육은 4개의 요추동맥(하원동맥에 대한 내측)과 요추동맥의 요추분지로부터 산소화된 혈액을 공급받는다.[citation needed]
내경사
psoas 경미한 근육은 요추 척수신경의 직접 가지에 의해 내장이 된다.[6]
변형
경미한 근육은 결정하지 못하고 종종 결석하며, 연구된 인간 표본의 약 40%에만 존재한다.[7]평균 길이는 약 24cm이며, 그 중 약 7.1cm는 근육 조직, 약 17cm는 힘줄이다.
함수
psoas minor는 요추기둥의 약한 굴곡이다.
다른동물
psoas 경미한 근육은 말과 같은 다른 포유류에도 존재한다.[8]말의 경우, 직장 검사 중에 요통의 원인을 확인하기 위해 이식될 수 있다.[8]
추가 이미지
메모들
- ^ a b 탱크(2005), 페이지 93
- ^ a b 회색(2008), 페이지 1372
- ^ 벤다비드(2001), 페이지 58
- ^ Zwingenberger, Allison; Benigni, Livia; Lamb, Christopher R. (2015-01-01), Mattoon, John S.; Nyland, Thomas G. (eds.), "Chapter 14 - Musculoskeletal System", Small Animal Diagnostic Ultrasound (Third Edition), St. Louis: W.B. Saunders, pp. 517–540, ISBN 978-1-4160-4867-1, retrieved 2021-01-22
- ^ 플래처(2004), 페이지 234
- ^ Gardner, ERNEST D.; Bunge, RICHARD P. (2005-01-01), Dyck, Peter J.; Thomas, P. K. (eds.), "Chapter 2 - Gross Anatomy of the Peripheral Nervous System", Peripheral Neuropathy (Fourth Edition), Philadelphia: W.B. Saunders, pp. 11–33, ISBN 978-0-7216-9491-7, retrieved 2021-01-22
- ^ Mcg Farias (2012년 1월 1일)시체 내 Psoas Minor Muscol의 형태학적 및 형태학적 분석.리서치게이트.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280236296_Morphological_and_morphometric_analysis_of_Psoas_Minor_Muscle_in_cadavers에서 검색됨
- ^ a b Haussler, Kevin K.; Jeffcott, Leo B. (2014-01-01), Hinchcliff, Kenneth W.; Kaneps, Andris J.; Geor, Raymond J. (eds.), "21 - Back and pelvis", Equine Sports Medicine and Surgery (Second Edition), W.B. Saunders, pp. 419–456, ISBN 978-0-7020-4771-8, retrieved 2021-01-22
참조
![]() | 위키미디어 커먼스는 프소아 부근육과 관련된 미디어를 보유하고 있다. |
- Bendavid, Robert; Abrahamson, Jack; Arregui, Maurice E. (2001). Abdominal Wall Hernias: Principle and Management. Springer. ISBN 0-387-95004-4.
- Platzer, Werner (2004). Color Atlas of Human Anatomy, Vol 1: Locomotor system (5th ed.). Thieme. ISBN 3-13-533305-1. (미국용 ISBN 1-58890-159-9)
- Tank, Patrick W. (2005). Grant's Dissector (13th ed.). Hagerstown, MD: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ISBN 0-7817-5484-4.
- Gray, Henry; Standring, Susan (2008). Gray's Anatomy - The Anatomical Basis of Clinical Practice (40th ed.). Churchill Livingstone - Elsevier. ISBN 978-0-443-0668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