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 이후의 고고학
Post-medieval archaeology중세 이후의 고고학은 유럽에서 지난 500년 동안의 유물 연구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이다.이 분야는 역사 고고학이라고도 불리는데, 북미에서 유래한 용어이며 유럽 식민주의의 영향을 받은 국가들에서 흔히 볼 수 있다.그것은 산업 고고학과 현대 고고학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많은 학자들은 중세 이후의 고고학과 현대 고고학 사이의 연관성을 발견했는데, 특히 학자들은 고고학 연구를 어떻게 보고 현재의 맥락에서 적용할 수 있는가 하는 점에서 그러하다.중세 이후의 고고학과 현대 고고학을 연구함으로써 고고학의 미래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도 중요하다. 특히 시간이 지날수록 학자들은 이 연구를 더 최근의 시기에 적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중세 이후 고고학이 18세기 중반까지 연구를 확장하지는 않았지만, 이 분야에서의 후속 비판의 결과로 이 마감일은 폐기되었고, 그 기간 동안 유럽의 선도적인 전문 학회인 중세 이후 고고학 협회는 현재 그 소관이 "고고고학"으로 명백하게 간주하고 있다.오늘날과 그 이후의 세계"라고 말했다.
중세 이후 고고학의 출현은 20세기 후반 독일, 프랑스, 지중해, 스칸디나비아와 같은 주로 유럽 문화를 탐험하면서 시작되었다.이것은 고고학이 주로 헝가리, 체코슬로바키아,[1] 폴란드와 같은 유럽의 부유한 나라들에 초점을 맞춘 2차 세계대전 이후에 이루어졌다.그 후 중세 이후의 고고학 연구는 교육의 접근성 확대와 함께 확대되어 왔다.고고학의 출현은 고고학 연구 분야도 확장시켰고 고고학 분야에서도 더 많은 연구를 가능하게 했다.
영국의 중세 이후 시작의 전통적인 날짜는 1485년 보즈워스 전투 이후 튜더 왕조가 왕위에 오른 것입니다.실제로 중세 시대는 튜더왕조로 연장되는 경우가 많고 두 시대 사이의 경계가 정확하지 않다.고고학적 기록을 깔끔하게 정리하려는 모든 시도와 마찬가지로, 전환기에 정확한 날짜를 부여하려는 노력은 현재와 새로운 발견에 의해 의심받을 수밖에 없다.유럽에서 중세 이후의 고고학에 대해 더 배우고 싶은 충동이 생기면서, 더 넓은 세계에서는 중세 이후의 고고학을 탐구하려는 충동이 더해지고 있다.고고학자들과 역사학자들은 중세 이후의 삶의 방식을 더 잘 알 수 있도록 중세 이후의 고고학 연구를 확대하기를 바라고 있다.
고고학적 기록과 함께 비교적 강력한 역사적 기록을 고려할 때, 중세 이후의 고고학은 종종 알려진 사회적, 정치적 변화의 영향을 연구하기 위해 강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그 시대의 직설성은 사회사학과 학생뿐만 아니라 계보학 같은 분야에서도 어필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중세 이후의 유적지로는 서리의 Nonsuch Palace, 런던의 Rose Theatre, Chatham의 Fort Amherst 등이 있습니다.
역사
중세 이후의 고고학의 출현은 1970년대에 유럽에서 처음 인식되었다.이전에는 이 고고학적 용어와 관련된 특정한 연구가 없었다.제2차 세계대전 이전에는 유럽의 역사와 유물을 조사하기 위해 고고학의 사용이 제시되지 않았다.중세 이후의 고고학이라는 용어의 출현은 완전히 인정받지 못한 유럽의 일부 지역을 드러내고 이러한 [2]유럽 국가들의 이야기를 더욱 확대시키는 데 결정적이었다.그것은 또한 유럽에 대한 더 많은 지식을 넓히는 데 중요했고, 이는 관광 기회에 도움이 될 것이다.오늘날, 중세 이후의 고고학의 탐구는 계속 탐구되고 있다.고고학자들이 고고학의 다양한 관행에 참여하고 고고학 연구에 접근하는 [3]방식이 확장되고 있다.앞으로 중세 이후의 고고학 연구는 고고학자들이 발굴하고 다른 고고학 연구들과 연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지속적인 관행이다.중세 이후의 고고학 연구가 시작되는 동안, 주제를 어떻게 정의해야 하는지에 대한 문제가 있었고, 심지어 유럽에서는 [4]고립되어 있던 용어가 되었다.이것은 중세 이후의 고고학 연구가 다양한 역사를 포괄하는 포괄적 용어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그러나 중세 이후의 고고학 연구에서 주제를 인식하고 중세 이후의 고고학이 어떻게 일반적인 [4]용어로 표시될 수 있는지 의문을 제기하는 것이 중요하다.중세 이후의 고고학 연구 내내, 그것은 주로 물리적인 웅장한 [5]유물들에 의해 기능하기 때문에 쓰여진 출처 없이도 실천될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역사 연구와 마찬가지로, 중세 이후의 고고학도 쓰여진 출처를 사용함으로써 이득을 볼 수 있다.게다가, 중세 이후의 고고학 연구는 단지 유물만을 연구하는 것을 넘어선다.종교와 고고학자들이 삶의 방식을 더 잘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다른 측면들을 연구하는 것은 유익하다.'중세 이후의 종교 고고학'이라는 제목의 책에서, 그것은 중세 이후의 종교를 이해하려고 노력하는데, 이것은 성별의 역할과 다른 문화적 [6]측면과 같은 중세 이후의 삶의 다른 요소들에 대한 연구에 도움이 될 수 있다.이 고고학 연구에 관한 연구 논문의 대부분은 중세 후기 고고학 협회의 공로를 인정받을 수 있다.중세 이후의 고고학의 또 다른 측면은 고고학적 [7]접근에서 새로운 관점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것을 발견한다.이것은 현대 고고학 문제를 둘러싼 논의가 과거에 대한 더 나은 인식에 영향을 미치고, 따라서 고고학 연구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중세 후기 고고학 학회
중세 이후의 고고학 협회는 중세 이후의 역사 고고학 연구에 관해 현재 진행 중인 선도적인 사회이다.1960년대 [8]설립된 '포스트 중세 도자기 연구회'에서 생겨난 사회다.이 설립으로 점차 영향력이 커졌지만, 초기에는 연구 논문이나 기사 인쇄에 관한 재정적인 어려움을 겪었다.1970년대는 연구 [8]생산에 큰 영향을 미친 인플레이션의 시기를 보았다.이 사회의 초기 초점은 영국 고고학이었지만, 중세 이후를 통해 유럽에서 더 많은 고고학을 탐험하고자 하는 욕구가 있다.오늘날, 이 사회의 확대는 중세 이후의 고고학 연구를 유럽 이외의 지역으로까지 확대되었다.이 학회는 '중세 이후의 고고학'이라는 제목의 저널을 제작하고 있는데, 이 저널은 전 세계의 모든 종류의 중세 이후의 고고학을 기록하고 있다.오늘날에는 평판과 사회가 고고학 연구에 참여하기 위해 노력하는 방식에 대한 추가적인 논의가 있었다.이것은 [9]오늘날까지 이어지는 고고학을 포함한 사회에 대한 최근의 논의와 연결된다.중세 이후의 고고학 협회의 반응은 고고학 연구에 대한 그들의 열정을 증진시키기 위해 노력하는 모든 고고학 연구를 포함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현대 고고학에 대한 공헌
중세 이후의 고고학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중세 이후의 고고학 학회를 포함한 많은 학자들이 중세 이후의 고고학과 현대 고고학 사이의 연관성을 발견했다.중세 이후의 고고학이 발견됨에 따라 고고학자들이 그들의[9] 현재 삶과 고고학 연구에 참여하는 방식을 보도록 장려하기 때문에 현대 고고학과의 연관성이 있다.게다가, 현대 고고학의 발전은 고고학자들과 연구자들이 현재의 [10]그들 자신의 생활 방식을 조사할 수 있게 해주었다.현대 고고학이라는 용어는 고고학이 어느 시기에 조사되었는지 명확성을 나타내지 않는 용어이다.중세 이후의 고고학 저널에 따르면, 고고학에서 현대라는 용어가 해석되는 방식에 대한 갈등이 있는 등 '현대'의 역할이 부족하다는 것을 조사한다.무엇이 현대적이라고 이름 붙일 것인가에 대한 이 토론의 초기 연구를 통해, 학자들과 고고학자들은 대중 연구와 주류 고고학 [11]보좌관에 대한 사회적 지원에 의존합니다.현대 고고학은 고고학을 [12]연구하는 미래에 뿌리를 두고 있기 때문에 중세 이후의 고고학과 연결된다.고고학자들의 다양한 연구를 통해, 그녀의 연구와 관련하여 인공 빛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 힐러리 오렌지를 포함한 많은 고고학자들이 중세 이후의 방법과 현대 [13]고고학의 관계를 발견한다.궁극적으로, 이 고고학에 대한 두 연구 모두 미래에 사용하기 위해 검토되고 있으며, 이것은 많은 고고학자들과 중세 후기 고고학 협회의 연구들을 흥미롭게 한다.또한, 고고학에는 중세 이후와 현대 사이의 연관성을 이끌어낼 수 있는 특정한 연구 분야가 있다.그 중 하나는 전투와 분쟁에 대한 연구입니다.이러한 연구 영역은 고고학의 두 영역을 함께 혼합할 뿐만 아니라 학계와 [14]고고학자들이 수행한 추가 연구를 제공합니다.현대 고고학은 과거의 [7]생활환경에서의 물질역학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기 때문에 도시 고고학의 연구를 통해 중요하다.따라서 이러한 정보는 우리 자신의 생활 방식과 관련될 수 있으며 고고학의 지속적인 연구를 더욱 강화할 수 있다.
중세 이후의 다른 문화 고고학
중세 이후의 고고학 연구는 중세 이후의 유럽 문화를 조사하기 위해 처음 사용되었다.중세 이후의 고고학이 유럽에서 고고학에 대해 배우는 데 있어 강한 존재감을 가지고 있는 반면, 세계의 다른 지역에서도 고고학에 대해 더 깊이 파고들려는 충동이 있다.
독일.
중세 이후 독일의 고고학은 연구와 연구가 진행 중인 주제이기 때문에 나치 독일의 제2차 세계대전 연구와 연관될 수 있다.중세 이후의 고고학 연구는 [15]제2차 세계대전 이전과 그 기간 동안 나치 지역의 인구와 인간 활동과 관련된 나치 독일의 고고학을 조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또한 중세 이후의 고고학 연구는 중세 이후의 유물들에 새로운 발견을 가져왔다.기독교 장례를 치르는 것과 같은 측면은 이 [16]시기에 중요한 유물들로 여겨졌지만, 비록 그 자체의 문제가 있었지만, 그것은 독일에서 장례를 위한 연구를 만들어냈다.
이탈리아
이탈리아의 중세 이후의 고고학은 고고학적 증거를 조사하기 [17]위해 1960년대와 1970년대에 처음 연구되었다.결국 중세 이후의 고고학뿐만 아니라 특히 이탈리아의 도시 지역에 있는 시골 고고학도 연구하려는 추구가 증가하였다.중세 이후의 고고학을 통해 고고학자들은 이 연구 기간 동안 분류될 수 있는 많은 유물들을 발견했다.또한, 중세 이후의 고고학에 대한 환경적 관심이 이 시기 [17]토지 관리 연구 방식에 영향을 미쳤다.
프랑스.
중세 이후 프랑스의 고고학은 프랑스의 광대한 역사와 관련하여 광범위하다.고고학의 일반적인 추구와 마찬가지로, 프랑스의 중세 이후의 고고학 연구는 1960년대 말에 시작되었다.프랑스 중세 이후의 고고학은 1944년 노르망디 전역과 같은 캠페인과 함께 제2차 세계 대전까지 연장될 수 있습니다.이 캠페인은 고고학자들이 전장과 그 유물들을 연구할 뿐만 아니라 그 [18]시기의 도시화도 연구합니다.게다가 프랑스에서 중세 이후의 고고학의 사용은 식민주의에 입각하여 확대될 수 있다.프랑스 너머로 뻗어나가는 프랑스 고고학 유적지가 있는데, 예를 들어 캐나다의 생루이 요새와 성터는 고고학자들이 프랑스의 확장과 "새로운 프랑스"[19]라고 불리는 것을 조사할 수 있게 해준다.중세 이후의 프랑스 고고학 연구를 통해 프랑스의 캐나다 진출을 통해 캐나다 고고학과 연결될 수 있다.프랑스가 영토를 주장한 이후 루이스버그[20] 요새와 캐나다의 다른 도시 사유지와 같은 고고학 유적지에서 많은 고고학 연구가 수행되었다.이 정보를 통해 중세 이후의 고고학에 대한 지식을 넓히고 주로 유럽에만 집중되는 것에서 벗어나 더 넓은 세계에서 더욱 확장되는 것으로 보인다.
포르투갈
포르투갈에서 중세 이후 고고학을 공부하기 시작한 것은 1980년대였지만 고고학 [21]연구의 학문 분야로 인정받기까지는 오랜 시간이 걸렸다.포르투갈의 중세 이후의 고고학은 주로 16세기에서thth 18세기 사이의 시기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포르투갈 [22]이외의 지역에서 많이 수입된 것으로 보이는 독특한 유물로도 유명하다.중세 이후의 포르투갈 고고학에 관한 큰 요인은 카네이션 혁명을 통해 포르투갈 사람들은 그들의 문화와 도시 고고학에 더 흥미를 가지게 되었다.그 뒤를 이어, 건축 [22]공사뿐만 아니라 고고학 연구를 허용하는 특정한 법들이 있었는데, 이것은 많은 고고학자들이 중세나 중세 이후의 역사를 배경으로 하지 않는 것처럼 보여 연구에는 부족함을 보여주었다.포르투갈의 중세 이후의 고고학에서 주목할 만한 요소로는 리스본의 많은 유적지가 있다.여기에는 1775년 리스본 지진으로 인한 건물 잔해가 포함된다.중세 이후 포르투갈의 고고학도 포르투갈 그 자체를 넘어선다.포르투갈 도자기의 발견은 영국 사우샘프턴에서 조사되었다.메리다 타입의 이 공예품은 사우샘프턴의 [23]한 조립품에서 전시되었다.정확한 연대는 없지만, 영국에 대한 이러한 수입은 13세기에th 시작되어 중세 이후까지 [23]확장되었다고 여겨진다.
외부 링크
레퍼런스
- ^ Courtney, Paul (2009), Gaimster, David; Majewski, Teresita (eds.), "The Current State and Future Prospects of Theory in European Post-Medieval Archaeology", International Handbook of Historical Archaeology, New York, NY: Springer, pp. 169–189, doi:10.1007/978-0-387-72071-5_10#sec11, ISBN 978-0-387-72071-5, retrieved 2022-03-24
- ^ Newman & McNeil, Richard & Robina. "The Post-Medieval Period". North West Regional Research Framework.
- ^ Brooks, Alasdair (2016). "The greatest of these is charity'; 50 years of Post-Medieval Archaeology". Post-Medieval Archaeology. 50: 5 – via Taylor & Francis Online.
- ^ a b Gaimster, David (2009). "An embarrassment of riches? Post-medieval archaeology in Northern and Central Europe". International Handbook of Historical Archaeology: 12 – via Springer Link.
- ^ Mehler, Natascha (2012). "Written sources in post-medieval archaeology and the art of asking the right questions". Studies in Post-Medieval Archaeology. 4: 10 – via ACADEMIA.
- ^ King & Sayer, Chris & Duncan (2011). The archaeology of post-medieval religion. Boydell Press. pp. xvi. ISBN 9781843836933.
- ^ a b Casella, Eleanor Conlin (2017). "Contemporary Archaeology and the City: Creativity, Ruination, and Political Action". Post-Medieval Archaeology. 51: 3 – via Taylor & Francis.
- ^ a b Mytum, Harold (2016). "A short history of the Society for Post-Medieval Archaeology". Post-Medieval Archaeology. 50: 14 – via Taylor & Francis.
- ^ a b Dixon, James R. (2013). "Is the present day post-medieval?". Post-Medieval Archaeology. 45: 10 – via Taylor & Francis.
- ^ Buchli & Lucas, Victor & Gavin (2002). "The absent present: archaeologies of the contemporary past". Archaeologies of the Contemporary Past: 18 – via Taylor & Francis Group.
- ^ Belford, Paul (2014). "Contemporary and recent archaeology in practice". Industrial Archaeology Review. 36: 12 – via Taylor & Francis.
- ^ McAtackney & Sefryn, Laura & Penrose (2016). "The contemporary in post-medieval archaeology". Post-Medieval Archaeology. 50: 11 – via Taylor & Francis.
- ^ Orange, Hilary (2018). "Artificial light, night-work and daycentrism in post-medieval and contemporary archaeology". Post-Medieval Archaeology. 52: 6 – via Taylor & Francis.
- ^ Ferguson & Douglas, Natasha N & Scott (2016). "Where the battle rages: war and conflict in Post-Medieval Archaeology". Post-Medieval Archaeology. 50: 14 – via Taylor & Francis.
- ^ Arnold, Bettin (2006). "Arierdämmerung': race and archaeology in Nazi Germany". World Archaeology. 38: 24 – via Taylor & Francis.
- ^ Kenzler, Hauke (2019). "Post-medieval burial customs in Germany–an archaeological perspective on materiality and spatiality". Mortality. 24: 22 – via Taylor & Francis.
- ^ a b Milanese, Marco (2007). "Post-Medieval archaeology in Italy: general issues and ten years of research (1995-2005)". Post-Medieval Archaeology in Italy: 10 – via Online Digital Bookstore Torrossa.
- ^ Passmore & Tunwell & Harrison, David G.& David Capps & Stephan (2013). "Landscapes of Logistics: The Archaeology and Geography of WWII German Military Supply Depots in Central Normandy, North-west France". Journal of Conflict Archaeology. 8: 28 – via Taylor & Francis.
- ^ Cloutier & L'Anglais, Pierre & Paul-Gaston (2009). "The Saint-Louis forts and chateaux site: archaeology in the heart of New France". Post-Medieval Archaeology. 43: 19 – via Taylor & Francis.
- ^ Sutermeister, Helen (1968). "An 18th-century urban estate in New France". Post-Medieval Archaeology. 2: 44 – via Taylor & Francis.
- ^ Casimiro & Sequeira, Tânia Manuel & João LuÍs (2019). "Global post-medieval/historical archaeology: what's happening around the world 2019?". Post-Medieval Archaeology. 51: 10 – via Taylor & Francis Online.
- ^ a b Gomes & Casimiro, Rosa Varela & Tânia Manuel (2013). "Post-medieval archaeology in Portugal". Post-Medieval Archaeology. 47: 18 – via Taylor & Francis Online.
- ^ a b Gutiérrez, Alejandra (2007). "Portuguese coarsewares in early modern England: reflections on an exceptional pottery assemblage from Southampton". Post-Medieval Archaeology. 41: 15 – via Taylor & Francis 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