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고고학

Digital archaeology

디지털 고고학정보기술디지털 미디어고고학[1][2]적용하는 것이다.여기에는 디지털 사진, 3D 재구성, 가상 현실 및 지리 정보 시스템의 사용이 포함됩니다.[3]컴퓨터 기반 분석 방법을 다루는 컴퓨터 고고학은 가상 [4]고고학처럼 디지털 고고학의 하위 분야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고고학적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디지털 기술을 사용하면 고고학적 유적지와 그들이 보유한 문화유산의 침입이나 파괴 없이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어 고고학적 데이터의 보존에 도움이 된다.이것은 얼마나 많은 초기 고고학 유적들이 [5]심층적으로 발견되었는지를 나타냅니다.이 기술의 적용은 도자기, 인간 화석, 미라 [1]유골과 같은 역사적 기념물과 유물을 재건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방법들

항공 사진

항공사진은 고고학 연구 분야에서 고고학적 장소를 발견, 배치 및 문서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도구입니다.이 기술의 응용은 제1차 세계대전 [6]동안 군사 감시 수단으로 사용되었던 것에서 발전하여 고고학 연구의 [7]비파괴적 수단을 제공한다.

항공 사진 기술을 통한 고고학적 유적지 문서화는 고고학적 [6]연구를 위해 유적지의 수많은 흑백 사진을 수집하기 위해 디지털 카메라, GIS 및 수정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이 사진들은 고고학자들이 유적지의 세부사항을 강화하고 복합적인 특징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이러한 결과는 종종 지리학적 프레임워크를 만들기 위해 분석되며, 고고학자들은 현장 풍경 특징을 [6]포함하는 지도를 작성할 수 있다.

항공사진으로 인식된 사이트는 그림자 사이트, 자르기 표시 및 토양 [6]표시로 분류된다.

지리 정보 시스템

지리정보시스템(GIS)은 디지털 고고학 내에서 고고학 사이트의 공간 데이터를 문서화, 조사 및 분석하기 위해 사용됩니다.고고학 연구에 GIS를 사용하는 것은 주로 항공 사진, 공간 인식, 디지털[1] 지도 및 위성 [8]이미징을 통해 현장 분석과 고고학 및 환경 데이터 수집을 포함한다.고고학 자료 분석에 GIS를 적용하면 고고학자들이 수집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고 공간 분석을 통해 고고학 유적지의 풍경을 재현하고 고고학 연구 결과를 공공 [1]기록 보관소에 제공할 수 있다.이 디지털 방법의 사용은 고고학자들이 고대 고고학 [8]유적지의 지리적, 공간적 관계를 분석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켰다.

3D 모델링

3D 모델링은 데이터를 해석, 분석 및 시각화하기 위해 고고학 연구 내에서 사용되는 디지털 기법입니다.이 기술은 위성 이미징 및 항공 사진 촬영 방법, 특히 디지털 이미징 기술을 활용하여 유적지의 [9]지리, 건축 및 고고학적 발견의 3D 모델을 구축합니다.

컴퓨터 기술을 적용하면 고고학자들이 대량의 이미지 시퀀싱을 수집하고 처리할 수 있어 이러한 3D 모델 [9]구성 내에서 사실적인 텍스처 매핑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토탈 스테이션 테오올라이트

Total Station Theodolite(TST)는 고고학적 장소를 분석하기 위해 [1]전자 거리 측정 기술을 사용하는 측량 장비입니다.TST 기술은 고고학적 장소의 거리를 기록하고 지도를 만들 [10]수 있게 해준다.이 작업은 TST 계측기와 [10]선택한 부위 사이의 거리 측정을 통해 수행됩니다.고고학 연구의 한 방법으로 무반사 TST 기술을 사용하면 적외선 빔을 사용하여 고고학적 유적지의 측정치를 기록하므로 고고학자들은 [1]표고의 불일치에도 불구하고 유적지의 공간적 풍경을 연구할 수 있다.

TST 기술은 [10]작업자의 수동 기준점 획득을 활용하기 때문에 직접 측량 기술로 간주됩니다.TST 기술은 고고학적 조사가 완료된 후 데이터를 다운로드 및 분석할 수 있도록 하여 현장 분석을 수행할 때 고고학자의 인식을 제한한다.그러나 TST 기술이 고고학적 데이터를 기록하는 휴대용 컴퓨터에 연결되면 고고학자는 [1]수집된 데이터를 볼 수 있다.

데이터 수집

고고학 연구에서의 정보통신 기술과 디지털 기술의 사용은 [1]고고학 데이터를 문서화하는 데 발전을 가져왔다.고고학 연구를 수행하는 과정 전반에 걸쳐 현대 기술을 접목함으로써 상업, 학술 및 유산 관리 분야가 점점 [1]더 통일되게 되었습니다.고고학적 데이터의 기록은 데이터 [9]처리 과정 전반에 걸쳐 획득, 분석 및 표현 방법을 통해 구별된다.

고고학 연구를 할 때 디지털 기술을 통해 수집된 데이터는 디지털 저장소의 아카이브에 저장된다.그런 다음 데이터베이스의 무결성을 검사하여 데이터에 액세스하고 추가 연구를 [11]위해 분석할 수 있도록 합니다.정보통신 기술과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고고학 연구로부터 [1]더 많은 양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저장할 수 있게 되었다.

현장 조사에서의 응용 프로그램

사르노 목욕탕의 로마 벽화 가상 재구성

로마의 사르노 목욕탕에 있는 프리기다리움의 가상 분석과 3D 재구성을 통한 디지털 기술의 적용으로 고고학자들은 퇴화된 [12]벽화를 재구성하고 보존할 수 있게 되었다.복원 작업에는 페인트 층의 염분 퇴적물과 찰과상을 디지털 방식으로 제거하는 작업이 포함되었습니다.고고학자들의 가상 분석과 디지털 이미징의 사용은 벽장식의 보존과 재건을 통해 원래의 [12]건축 방법에 대한 고고학적 자료를 더 밝힐 수 있게 했다.

델파이4델파이

델파이를 위한 헤리티지 이니셔티브의 학습 실천을 위한 디지털 기업(Digital Enterprise for Learning Practice for Delphi)[13]은 고고학자들이 그리스 델파이의 유적지를 문서화하고 재구성하기 위해 실시하는 연구 프로젝트입니다.이 프로젝트는 델파이에 위치한 고고학적 기념물과 유물들을 3D 영상과 [13]재건을 통해 포착하고 재구성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연구된 고고학적 유적지는 아폴로 신전, 아테나 프로파냐의 성역, 시피아의 재무부, 극장과 체육관, 그리고 이 [13]유적지에 위치한 청동 마차와 대리석 스핑크스였다.이 프로젝트는 스펙트럼 문서화, 3D 스테레오 사진 시스템 및 2D 영상 시퀀스를 3D 구조로 처리하여 고고학적 현장을 [13]문서화, 분석 및 재구성하는 디지털 방법을 활용했다.

Assisted Image Reconstruction(보조 영상 재구성을 위한 다중 객체 분할)

보조 이미지 재구성을 위한 다중 객체 분할(Multi-Object Segmentation for Assisted Image Reconstruction, MOSAKE+)은 고고학자들이 세인트루이스 교회에서 발견된 조각들을 재구성하기 위해 수행한 프로젝트이다.이탈리아 [14]살레르노에 있는 트로피메나.고고학자들은 1538년 프란체스코 살비아티가 그린 방문 프레스코 벽화의 크래큘러 검출과 관련된 연구를 수행했고, 패치 및 현재 그림의 다른 치수[14]이용했다.이 연구에서는 이미지 복원 내에 더 큰 구멍이 분포되어 [14]있기 때문에 이 디지털 이미징 기술을 사용하는 것이 최적화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크레켈레 검출 및 인페인팅 [14]과정을 거치기 전후의 프레스코 조각과 그 재구성에 대한 추가 연구가 수행되었다.

MOSAKE+는 고고학 유적지에서 발견된 조각들의 카탈로그, 색인화, 검색 및 재구성을 통해 고고학자들의 작업을 발전시켜 색상과 형상 특징을 정확하게 [14]추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이 연구를 수행하는 동안 디지털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그 결과는 고고학 예술작품의 외관을 복원하고 [14]고고학자에 의한 조각난 예술품의 재구성을 돕기 위한 가상 재구성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Maxentius 3D 프로젝트

이탈리아 사피엔자 대학이 진행하는 맥센티우스 3D 프로젝트는 로마의 맥센티우스 서커스를 3D로 재구성한 연구 프로젝트다.아피온웨이 지역 공원에 위치한 막센티우스의 서커스는 서기 [15]4세기 초에 로마 황제 막센티우스가 의뢰한 건축물이다.그러나 지역 보호구역 내에서의 위치상 지역 [15]생태계를 보존하기 위해 연구원의 정찰을 방해하는 식생은 제거할 수 없다.현장은 주로 이 식물로 덮여 있지만, 지도 제작, 축삭 측량 도면, 고고학적 계획 및 역사적 [15]삽화를 통해 수집된 고고학적 데이터에 대한 연구는 고고학자들이 그 [15]재건을 문서화, 분석 및 가설화하는 데 사용되는 기념비의 3D 모델을 구축할 수 있게 해 주었다.

이 프로젝트에는 오피둠의 두 탑, 카르세레스, 스탠드, 재판소, 풀비나, 스피나, 포르타 리비티넨시스, 포르타 트라이엄팔리스, 지형에[15] 대한 고고학적 분석이 포함되어 과학적으로 올바른 [15]3D 모델을 만들었습니다.이 분석을 통해 고고학자들은 그 자리에 위치한 계단식 지붕, 쌍둥이 계단, 내장된 암포라를 기록할 수 있었고, 원래의 [15]건축물에 대한 깊은 이해를 형성할 수 있었다.이 연구 프로젝트 전반에 걸쳐 고고학적 데이터와 디지털 기술을 사용한 결과, 3D 이미징이 고고학적 [15]유적지의 정확한 재구성을 가정할 수 있는 가능성을 밝혀냈습니다.

키프로스 솔리의 3D 재건

키프로스 솔리의 3D 재구성을 통해 고고학자들은 소셜 미디어 [16]사이트의 공개 데이터 분석을 통해 접근이 불가능하거나 문서화가 제한된 문화 유산 및 고고학적 건축물의 3D 시각적 모델을 만들 수 있게 되었습니다.아테네의 정치가 솔론이 처음 설계한 솔리는 기원전 6세기에 건설된 고대 도시로 [16]키프로스 북부 지역에 위치해 있다.이 연구는 [16]기원전 2세기 이전의 그리스 극장에 세워진 로마의 건축물인 원형경기장의 재건에 초점을 맞췄다.

2D 영상 [16]시퀀스에서 사이트의 3D 풍경 특징을 추정하기 위한 디지털 영상, 왜곡 보정 및 지리 참조 기술을 적용하고 기존 도면과 Google [16]어스 지도를 통한 문서 검증을 통해 고고학자들은 원형 극장을 재구성할 수 있었습니다.그런 다음 고고학자들은 이미지 추출, 품질 분석, 이미지 정렬, 3D 클라우드 포인트 생성, 모델링, 사실적 텍스처 매핑 및 지리 [16]참조 프로세스를 통해 지리 참조 3D 모델과 디지털 표면 모델을 생성할 수 있었습니다.연구진은 KMPlayer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영상 시퀀싱 프레임을 JPEG'S로 추출한 후 렌즈 보정 모델을 적용하고 선택한 영상의 [16]중첩을 통해 부위 전체의 관심 지점을 일치시켰다.이 프로젝트 전체에 걸쳐 항공 영상과 디지털 이미징 기술을 적용하여 고고학자들은 키프로스 솔리의 접근 불가능한 장소에 위치한 원형 극장의 3D 모델을 시간과 [16]비용 효율적인 방법으로 캡처, 저장, 처리, 공유, 시각화 및 주석을 달 수 있었습니다.

포럼에서의 밤

포럼의 밤은 PlayStation® VR과 호환되는 교육 환경 설명으로, 로마의 아우구스투스포럼을 3D로 재구성한 것을 모델로 합니다.이 프로젝트에서는 3D 모델링과 가상현실 기술을 활용하여 컴퓨터 비전과 사진 측량 알고리즘을 결합하여 2D [17]이미지에서 고고학적 사이트를 재구성했습니다.VR게임의 제작은 사전제작, 제작, 레벨 창조 [17]오서링 등의 단계를 거쳤다.

사전 제작 단계에는 게임 [17]맥락과 관련된 고고학적 데이터의 문서화와 분석이 포함되었습니다.이 과정에는 이미지 기반 및 범위 기반 센서를 사용하여 문화 유물을 기하학적으로 획득하는 작업이 포함되었으며, 이를 통해 연구자는 [17]물체의 디지털 복제본을 얻을 수 있었다.이 분야 연구진이 수집한 데이터는 Agisoft Photoscan 소프트웨어로 처리돼 카메라 위치와 깊이 정보를 추정해 포인트 [17]구름으로 형성됐다.

이 프로젝트의 생산 단계에서는 데이터의 고고학적 해석, 3D 모델링 재구성, 성능 분석 및 [17]자산의 최적화에 우선순위를 부여했습니다.이 과정에는 VR 게임의 [17]미적 렌더링 내에서 사실성을 보장하기 위해 3차원 측량 및 지형 측량 적용 작업이 포함되었습니다.조사를 통해 얻은 3D 모델을 통해 그래픽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 메트릭 데이터를 정확하게 [17]추출할 수 있었습니다.이를 통해 문서화된 조각의 가상 위치 및 복원을 [17]가정할 수 있었다.

프로젝트의 레벨 작성작성 단계에서는 VR 게임의 그래픽 레이아웃과 환경 시뮬레이션, 그리고 [17]사실감을 주는 세부 사항 추가가 포함되었습니다.이 과정에는 장면 드레싱, 실시간 렌더링사운드스케이프[17]적용되었습니다.

3D 모델링과 버추얼 리얼리티 기술을 적용해 '포럼의 밤'을 만드는 이 프로젝트는 참가자들이 로마 제국의 복잡한 행정을 체험하고 [17]아우구스투스의 포럼에 대한 지식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시각화의 사용은 고고학자들이 시각 [17]모델을 통해 고고학적 맥락과 연구 고고학적 장소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게 했다.그러나 이 게임의 개발 과정 전반에 걸쳐 이 디지털 기술을 사용함에 따라 제작 기간이 길어지고 비용이 증가하며 고고학과 컴퓨터 [17]그래픽 분야의 전문가가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평가하기

혜택들

고고학 분야에서 디지털 기술을 사용하면 데이터, 유적지 및 유물의 분석, 문서화 및 재구성이 비침입적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고고학자들은 이러한 고고학적 [18]발견에 포함된 데이터와 문화유산을 보존할 수 있다.

고고학 분야에서 이용할 수 있는 정보통신기술이 기술의 진보를 통해 발전함에 따라 고고학자들은 이러한 기술에 더 많이 접근할 수 있게 되어 더 많은 양의 고고학 데이터를 정확하게 문서화하고 [18]분석할 수 있게 되었다.현재 이용 가능한 기술을 통해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배포, 처리 및 공공 아카이브에 제공할 수 있으며, 현장 감시 기술을 사용하여 고고학자들이 [1]더 많은 양의 현장 데이터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디지털 고고학 내에서 3D 모델링 기술을 사용하면 연구자들이 고고학 현장을 정확하게 모델링할 수 있으며, 고고학적 관점을 형성하기 위한 추가 정보를 제공하고 고고학 현장의 문화 유산과 일반 인구 [16]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비판

고고학에서 디지털 기술을 사용함으로써 고고학자들이 [1]더 많은 양의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게 되었다.이러한 데이터 수집에는 디지털 아카이브의 유지보수가 필요하며, 종종 고고학적 연구에서의 관련성에 대한 명확한 이해 없이 정확하게 [1]해석하기 위한 추가적인 기술적 진보에 의존한다.

고고학 연구에 사용되는 디지털 기술이 개발됨에 따라, 이러한 기술 진보의 정교함은 고고학자들이 고고학 [1]연구를 수행, 문서화 및 재구성할 때 더 큰 오차를 일으킨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1.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Evans, Thomas Laurence; Daly, Patrick T. (2006). Digital Archaeology: Bridging Method and Theory. London: Routledge. ISBN 9780415310482 – via Google Books.
  2. ^ Morgan, Colleen; Eve, Stuart (2012-12-01). "DIY and digital archaeology: what are you doing to participate?". World Archaeology. 44 (4): 521–537. doi:10.1080/00438243.2012.741810. ISSN 0043-8243. S2CID 143125582.
  3. ^ Richter, Ashley (18 July 2014). "So What is Digital Archaeology?". Popular Archeology. Retrieved 2017-07-08.
  4. ^ Zubrow, Ezra B. W. (2006). "Digital Archaeology: A historical context". In Evans, Thomas Laurence; Daly, Patrick T. (eds.). Digital Archaeology: Bridging Method and Theory. London: Routledge. pp. 10–32. ISBN 9780415310482 – via Google Books.
  5. ^ Lasaponara, Rosa; Masini, Nicola (2016), "Living in the Golden Age of Digital Archaeology", Computational Science and Its Applications – ICCSA 2016,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pp. 597–610, doi:10.1007/978-3-319-42108-7_47, ISBN 978-3-319-42107-0
  6. ^ a b c d Lock, G. R. (Gary R.) (2003). Using computers in archaeology towards virtual pasts. Routledge. ISBN 0-415-16620-9. OCLC 1152996169.
  7. ^ Stichelbaut, Birger (2006-03-01). "The application of First World War aerial photography to archaeology: the Belgian images". Antiquity. 80 (307): 161–172. doi:10.1017/s0003598x00093339. ISSN 0003-598X.
  8. ^ a b Harrower, Michael J.; Dumitru, Ioana A. (March 2017). "Digital maps illuminate ancient trade routes". Nature. 543 (7644): 188–189. doi:10.1038/543188a. ISSN 0028-0836. PMID 28277507. S2CID 4450827.
  9. ^ a b c Reindel, Markus; Wagner, Günther A., eds. (2009). "New Technologies for Archaeology". Natural Science in Archaeology. doi:10.1007/978-3-540-87438-6. ISBN 978-3-540-87437-9. ISSN 1613-9712.
  10. ^ a b c d Colson, A. (2017-08-18). "Digital Documentation of Ships in Cultural Heritage: A European Review". ISPRS - International Archives of the Photogrammetry, Remote Sensing and Spatial Information Sciences. XLII-2/W5: 129–134. Bibcode:2017ISPAr62W5..129C. doi:10.5194/isprs-archives-xlii-2-w5-129-2017. ISSN 2194-9034.
  11. ^ Huvila, Isto. (2018). Archaeology and archaeological information in the digital society. Routledge. ISBN 978-1-315-22527-2. OCLC 1037811969.
  12. ^ a b Salvadori, Monica; Boschetti, Cristina; Baronio, Paolo; Sbrolli, Clelia (November 2019). "Integrated methods for reconstructing the decoration and production process of the frigidarium wall-paintings, at the Sarno Baths, Pompeii".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40: 299–308. doi:10.1016/j.culher.2019.04.020. ISSN 1296-2074.
  13. ^ a b c d Liritzis, Ioannis; Pavlidis, George; Vosynakis, Spyros; Koutsoudis, Anestis; Volonakis, Pantelis; Petrochilos, Nikos; Howland, Matthew D.; Liss, Brady; Levy, Thomas E. (December 2016). "Delphi4Delphi: first results of the digital archaeology initiative for ancient Delphi, Greece". Antiquity. 90 (354): e4. doi:10.15184/aqy.2016.187. ISSN 0003-598X.
  14. ^ a b c d e f Riccio, Daniel; Caggiano, Sonia; De Marsico, Maria; Distasi, Riccardo; Nappi, Michele (December 2015). "MOSAIC+: Fragment retrieval and reconstruction enhancement for virtual restoration". Journal of Visual Languages & Computing. 31: 139–149. doi:10.1016/j.jvlc.2015.10.010. ISSN 1045-926X.
  15. ^ a b c d e f g h Marsicano, Lucia; Malatesta, Saverio Giulio; Lella, Francesco; D'Ignazio, Emanuela; Massacci, Eleonora; Onofri, Simone (2017-12-14). "Maxentius 3D Project". Studies in Digital Heritage. 1 (2): 477–490. doi:10.14434/sdh.v1i2.23199. ISSN 2574-1748.
  16. ^ a b c d e f g h i Themistocleous, Kyriacos (August 2017). "Model reconstruction for 3d vizualization of cultural heritage sites using open data from social media: The case study of Soli, Cyprus".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Reports. 14: 774–781. doi:10.1016/j.jasrep.2016.08.045. ISSN 2352-409X.
  17.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Ferdani, Daniele; Fanini, Bruno; Piccioli, Maria Claudia; Carboni, Fabiana; Vigliarolo, Paolo (January 2020). "3D re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historical background for immersive VR applications and games: The case study of the Forum of Augustus in Rome".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43: 129–143. doi:10.1016/j.culher.2019.12.004. ISSN 1296-2074.
  18. ^ a b Wiseman, James. El-Baz, Farouk. (2007). Remote sensing in archaeology. Springer. ISBN 978-0-387-44455-0. OCLC 186563717.{{cite book}}: CS1 maint: 여러 이름: 작성자 목록(링크)

추가 정보

  • Daly, Patrick; Evans, Thomas Laurence; Daly, Patrick T. (2006). Digital Archaeology: Bridging Method and Theory. Oxon: Psychology Press. p. 3. ISBN 04153104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