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성자 방출
Proton emission핵물리학 |
---|
![]() |
핵·핵자(p, n)·핵물질·핵력·핵구조·핵반응 |
양성자 방출(양성자 방사능이라고도 함)은 양성자가 핵에서 방출되는 드문 형태의 방사성 붕괴이다.양성자 방출은 베타 붕괴 후 핵의 높은 들뜬 상태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과정은 베타 지연된 양성자 방출로 알려져 있으며, 양성자가 풍부한 핵의 지면 상태(또는 낮은 층 이성질체)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과정은 알파 붕괴와 매우 유사하다.양성자가 핵을 벗어나려면 양성자 분리 에너지는 음수여야 한다. 따라서 양성자는 결합되지 않고 유한 시간 내에 핵 밖으로 터널을 뚫는다.양성자 방출은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동위원소에서는 볼 수 없다. 양성자 방출체는 보통 선형 입자 가속기를 사용하여 핵 반응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1969년 초 코발트-53의 이성질체에서 신속한 (즉, 베타 지연이 아닌) 양성자 방출이 관찰되었지만,[1] 서독 GSI의 실험에서 루테튬-151과 툴륨-147의 양성자 방사능 지면 상태가 관측된 1981년까지 다른 양성자 방출 상태는 발견되지 않았다.이 획기적인 발전 이후 이 분야의 연구는 번창했고, 현재까지 25개 이상의 동위원소가 양성자 방출을 보이는 것으로 밝혀졌다.양성자 방출에 대한 연구는 핵 변형, 질량, 구조에 대한 이해를 돕고 있으며, 이는 양자 터널링의 순수한 예이다.
2002년 GSI와 GANIL(Grand Accélerateur National d'ions Lourds at Caen)[2] 실험에서 핵 철-45에서 두 개의 양성자의 동시 방출이 관찰되었다.2005년에 (같은 시설에서) 아연-54도 이중 양성자 [3]붕괴를 겪을 수 있다는 것이 실험적으로 확인되었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 ^ S. Hofmann (1996). "Chapter 3: Proton radioactivity". In Dorin N. Poseru (ed.). Nuclear Decay Modes. Bristol: Institute of Physics Publishing. pp. 143–203. ISBN 0-7503-0338-7.
- ^ Armand, Dominique (June 6, 2002). "A new mode of radioactive decay". CNRS. CNR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February 2005. Retrieved 2022-01-07.
- ^ Blank, Bertram; Ploszajczak, Marek (December 17, 2013). "Two-proton radioactivity" (PDF). Reports on Progress in Physics. 71 (4): 046301. arXiv:0709.3797. doi:10.1088/0034-4885/71/4/046301. S2CID 119276805. Retrieved 2022-0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