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자본
Public capital다음에 대한 시리즈 일부 |
경제학 |
---|
공공자본은 생산성의 수단으로 사용되는 정부 소유 자산의 집합체다.[1]그러한 자산은 고속도로, 공항, 도로, 환승 시스템, 철도 등과 같은 대형 부품, 공교육, 공공 병원, 경찰 및 화재 보호, 교도소, 법원 등의 지방, 시립 부품, 상하수도 시스템, 공공 전기 및 가스 유틸리티, 텔레코 등의 중요 부품 등 광범위한 범위에 걸쳐 있다.의사 [2]소통종종 공공 자본은 정부 지출, 자금 측면, 그리고 사회 기반 시설 측면에서 물리적 주식으로 정의된다.
미국의 현재 상태
1988년 미국의 모든 공공 및 민간 비주거 자본 주식이 포함된 인프라 시스템은 7조 달러로 평가되어 운영 및 관리해야 할 막대한 포트폴리오가 되었다.[3]그리고 의회예산국에 따르면, 2004년에 미국은 교통망, 학교, 고속도로, 수도 시스템, 에너지, 통신 서비스 분야의 민간 부문을 포함한 연방, 주 및 지역 단위의 인프라 자본에 4,000억 달러를 투자했다.사회간접자본에 대한 공공지출은 1956년부터 2004년까지 연평균 1.7%씩 증가했지만 1980년대 초반부터 GDP의 비중으로 일정하게 유지돼 왔다.[4]공공 자본의 가치와 투자에도 불구하고, 증가하는 항공 및 해상 운송의 지연, 노후화된 전기 그리드, 미개발 재생 에너지 부문, 불충분한 학교 시설 등이 공공 자본 투자에서 추가 자금 지원을 정당화했다.
미국 토목 공학 협회는 1998년 보고서 카드 설립 이후 국가 기반 시설에 대해 평균 D등급을 주는 낮은 점수를 계속 주고 있다.2009년 각 인프라 범주는 C+에서 D- 등급까지 다양했으며, 약 2조 2천억 달러의 필요한 공공 자본 투자가 있었다.항공 부문은 연방 프로그램의 재허가 지연과 시대에 뒤떨어진 항공 교통 통제 시스템에 여전히 빠져 있다.농촌교량 4개 중 1개, 도시교량 3개 중 1개꼴로 구조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주 정부는 댐의 안전 검사를 수행할 인력이 부족하고 자금도 부족하다.텍사스에만 7명의 기술자와 7,400개가 넘는 댐을 감독할 연간 예산 43만 5천 달러밖에 없다.전기 수요는 에너지 공급 전송과 발전을 앞지른다.미 육군 공병대가 유지하고 있는 물 자물쇠의 거의 절반은 기능적으로 구식이다.식수는 노후화된 시설을 관리하고 연방 규정을 준수하기 위해 연간 110억 달러의 부족에 직면해 있다.누출되는 파이프는 하루에 약 70억 갤런의 깨끗한3 식수를 잃는다.빠듯한 예산 아래 국·주·지방 공원은 방치돼 있다.적절한 자금 지원이 없으면 철도는 미래의 화물 톤수 하중을 충족할 수 없다.학교들은 좋은 운영 환경에 시설을 갖추기 위해 1,270억 달러라는 엄청난 돈을 필요로 한다.수십억 갤런의 처리되지 않은 오수가 매년 미국 지표수로 계속 배출되고 있다.[5]
경제 성장
가장 고전적인 거시경제 질문 중 하나는 공공 자본 투자가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이다.많은 분석가들이 그 규모에 대해 논쟁하는 동안, 증거는 인프라 투자와 경제 성과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긍정적인 관계를 보여주었다.[1]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의 경제학자 데이비드 애샤워는 공공자본 주식의 1% 증가는 총요소생산성을 0.[6]4% 증가시킬 것이라고 주장했다.아스차워는 1950년대와 1960년대의 황금시대가 부분적으로 제2차 세계대전 이후 핵심 인프라(고속도로, 대중교통, 공항, 수도 시스템, 전기/가스 설비)에 대한 상당한 투자 덕분이라고 주장한다.반대로 1970년대와 1980년대 미국의 생산성 증가율 하락은 기술혁신의 감소가 아니라 지속적인 공공자본 투자가 감소한 데 따른 것이었다.[1]마찬가지로, 유럽연합 국가들은 같은 해 동안 공공 자본 투자를 감소시켰고 생산성 증가율도 감소했다.[6]개발도상국에서도 비슷한 상황이 나타난다.1960~2000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비OECD 국가들의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공적자본을 설명변수로 분석한 결과(공공투자율을 사용하지 않음), 아르슬라날프, 보로르스트, 굽타, 스제(2010년) 공공자본주의 증가가 성장 증가와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그러나, 이 관계는 국가의 초기 공공 자본 수준과 소득 수준에 따라 달라진다.따라서, OECD 국가들은 단기적으로 더 강한 긍정적인 관계를 보이는 반면, 비 OECD 국가들은 장기적으로 더 강한 긍정적인 관계를 경험한다.따라서 개발도상국들은 기대치가 높은 공공 자본 투자에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비협조적인 외국 차입의 혜택을 볼 수 있다.[7]
이러한 공공 자본과 생산성의 관계를 고려할 때, 공공 자본은 표준 신고전주의 생산 기능에서 세 번째 투입물이 된다.
여기서:
- Y는t 민간 부문의 상품과 서비스의 실제 총생산량을 나타낸다.
- A는t 생산성 요인 또는 힉스-중립 기술 변화를 나타낸다.
- N은t 노동 서비스의 총 고용을 나타낸다.
- K는t 비거주자본의 총주식을 나타낸다.
- G는t 공공 자본 주식의 흐름을 나타낸다(공공 자본의 서비스는 공공 자본에 비례한다고 가정함).[8]
이런 형태에서 공자본은 제3의 변수로 생산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또한, 공공 자본은 노동과 민간 자본의 다른 두 투입구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다요소 생산성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9]이러한 독특한 특성에도 불구하고, 거의 모든 분야의 생산 과정에 사용되는 공공 자본 투자는 그 자체로는 지속적인 경제 성장을 창출하기에 충분하지 않다.[6]따라서 목적보다는 공자본이 수단이다.즉, 기업이 자원으로 사용하는 중간재라고 볼 것이 아니라, 공공자본을 소비자와 납세자에게 최종 재화와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품으로 보아야 한다.[2]공공 자본 수준이 너무 높아서 금융 비용 및 높은 세율 문제로 이어져 그러한 투자의 긍정적 편익을 부정해서는 안 된다는 점에 유의한다.[7]더욱이, 인프라 서비스는 순수하고 비경쟁적인 공공재, 네트워크 외부성, 자연 독점성, 그리고 혼잡과 과용과 같은 공통 자원 문제의 시장을 구분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6]
공공 투자와 경제성장 연계를 추정하려는 경험적 모델은 Cobb-Douglas 생산 기능, 공공 자본 주식을 포함하는 행동적 접근 비용/이익 기능, 벡터 오토 회귀(VAR) 모델, 정부 투자 성장 후퇴 등 매우 다양하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모델들은 공공 자본과 경제 성장 고리를 잡으려고 하는 과정에서 역인성, 이질성, 내분성 및 비선형성과 대립한다.[6]그러나 뉴 케인즈식 모델은 수요측면을 통해 분석하는 전통적인 케인즈식 모델보다는 공급측을 통해 정부 지출의 효과를 분석한다.그러므로 일시적으로 인프라 투자가 급증하면 생산량이 증가하게 되고, 반대로 1970년대처럼 줄어드는 인프라가 장기적인 생산성 이동을 방해하게 된다.[10]나아가 (GDP와의 국민성장과는 대조적으로) 지역성장에 대한 새로운 연구는 공공자본과 생산성의 강한 긍정적 관계를 보여준다.고정 비용과 운송 비용 모두 지역 내 인프라가 확장되고 그에 따른 산업 클러스터가 증가함에 따라 절감된다.결과적으로, 경제활동은 무역의 패턴을 따라 성장한다.[6]따라서 지역 클러스터와 대도시 경제의 중요성이 작용하게 된다.
사회적 이익
경제적 성과를 넘어, 공공 자본 투자는 건강, 안전, 레크리에이션, 미학, 여가 시간 및 활동과 같은 삶의 질 지표에서 수익률을 올린다.예를 들어, 고속도로는 재량적 시간과 레크리에이션 아웃렛을 증가시키기 위해 더 나은 접근과 이동성을 제공한다; 대중교통은 개인 차량 수를 줄임으로써 대기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개선된 도시 쓰레기 시설은 독성 지하수 오염을 줄이고 공원 같은 더 나은 녹색 공간 미관을 줄인다; 확장된 물 시설 보조 장치악취와 하수구 범람을 줄이는 것과 같은 보건 위생과 환경에서의.[1]게다가, 인프라는 활기찬 도심, 활기찬 워터프론트, 효율적인 토지 이용, 상업과 레크리에이션의 콤팩트한 공간과 함께 지역사회의 분위기와 삶의 질을 더한다.[11]
반대로, 불충분한 공공 자본은 삶의 질과 사회 복지를 해친다.과잉용량 매립지는 지하수 오염으로 이어져 건강에 해로운 영향을 미친다.대중교통 서비스의 부족한 공급과 품질은 기회와 자원에 대한 접근에 따라 교통에 의존하는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친다.공항과 도로의 혼잡도가 증가하면 재량적 시간과 레크리에이션 활동의 손실이 발생한다.[1]효율적인 미국의 화물 및 여객철도 서비스가 부족하다고 해서 환경 및 에너지 지속가능성의 "완벽한 폭풍"을 처리하는 데 도움이 되지도 않을 뿐만 아니라 높아진 속도와 시간에 상품과 서비스를 운송해야 하는 세계적인 경쟁적 요구를 충족시키지도 못할 것이다.[12]또한, 청정에너지 기술의 지속적인 기반 상실은 탄소 발자국과 경제 면에서 미국이 향후 세계 무대에서 번영을 잃는 데 기여할 것이다.[11]
공공 자본 이니셔티브
미국
아마도 미국의 공공근로제도에 대한 가장 큰 기여는 프랭클린 D 대통령으로부터 나왔을 것이다. 루즈벨트의 뉴딜정책은 특히 1935년에 작업진행국(WPA)을 창설했다.심각한 경제 위기가 닥쳤을 때, WPA는 335만 명의 실업자 세대주들을 최정점에 고용하여 국가 재건에 힘썼다.이 프로그램은 수백만 개의 도로, 다리, 공원, 학교, 병원, 제방을 건설하는 동시에 교육 프로그램, 육아, 직업 훈련, 의료 서비스도 제공하는데 도움을 주었다.당시 유례없는 이 프로그램에 대한 전반적인 공공지출 수준은 48억 달러(2008년 760억 달러)로 공공사업 사업을 통한 경기부양에 기여했다.[13]
그 이후로, 미국은 1956-1990년 주간 고속도로 시스템을 포함한 다른 대규모 인프라 프로그램에 가스세를 통한 전용 금융 시스템과 연방정부와 주 사이의 일치된 기여도를 90퍼센트에서 [14]10퍼센트로 기여했다.또한 1972년 환경보호청(EPA) 클린워터법은 "국가의 수질에 중대한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1]면서 하수처리시설을 건설하고 개량하는 데 400억 달러의 공공 자본을 투자하도록 했다.미국 공과대학(National Academy of Engineering Academy)이 20세기 최대의 공학적 업적으로 간주한 북미 전기망은 미국 전역의 고압 송전선로에서 30만 마일(48만 km) 이상의 전기를 운반한다. 현재 노후화된 시설과 장비에 직면해 있지만 이러한 공공 자본 투자는 보편화 되어 있다.수백만의 가정과 사업체에 도달했다.[15][16]
최근 미국 회수 및 재투자법(ARRA)도 대규모 공적자금 투자의 또 다른 사례다.3,110억 달러의 지출 중, 약 1,200억 달러가 인프라와 과학 에너지에 대한 중요한 투자를 위해 책정되어 있다.ARRA의 목표로는 스마트 그리드 기술, 주택 및 연방 건물의 개조, 자동화된 항공 교통 관제, 화물 및 여객 철도 서비스 고도화, 상하수도 및 폐기물 시설 고도화 등이 있다.[17]
다른 나라들
세계적으로 변혁적인 공공자본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다.중국이 야심차게 추진하고 있는 고속철도 프로그램은 2020년까지 1만8000km를 연장할 것으로 추산된다.2008년 말까지, 이 나라는 24,000대가 넘는 기관차, 세계에서 가장 많은 노선, 운행 중인 가장 빠른 고속 열차, 세계에서 가장 긴 고속 선로를 가지고 있었다.[18]발트해와 북해를 둘러싸고 있는 영국, 덴마크 등 북유럽의 여러 나라들은 해상 밖 풍력발전단지의 급속한 확장이 계속되고 있다.[19]터미널의 지속적인 확장과 국가 종합 교통 시스템과의 연결로, 홍콩 국제 공항은 세계에서 가장 큰 엔지니어링 및 건축 프로젝트 중 하나이다.[20]지난 10년 동안 칠레는 증가하는 자국의 에너지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5개의 복합 사이클 가스 터빈 발전소를 설치했다.[21]
참고 항목
참조
- ^ a b c d e f 아샤워, D. A. (1990).인프라가 왜 중요한가?Conference Series [Proceedings].보스턴 연방준비은행21-68 페이지
- ^ a b 타탐, J. A. (1993)공공자본 형성이 민간부문 생산성에 미치는 가상효과Policy Studies Journal, Vol. 21.
- ^ 피에트로포르테, R, & 밀러, J. (2002)미국 인프라를 위한 조달 방법: 역사적 관점과 최근의 동향.건축 연구 정보 저널, 30(6), 425-434.
- ^ 오르자그, P. R. (2008)인프라에 투자.워싱턴 DC: 의회 예산실.
- ^ 미국 토목 공학 협회(2009).미국 인프라용 보고서 카드.검색된 위치"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0-03-17. Retrieved 2011-07-14.
{{cite web}}
: CS1 maint: 타이틀로 보관된 사본(링크) - ^ a b c d e f 하안, J, 롬프, W, J.E. (2007) 스투룸.공공 자본과 경제 성장.세계은행, 예비신문.
- ^ a b 아르슬라날프, S, 보르호르스트, F, 굽타, S, Sze, E. (2010)공공 자본과 성장.국제통화기금:재무부, 워킹페이퍼.페이지 1-35.http://www.imf.org/external/pubs/ft/wp/2010/wp10175.pdf
- ^ 아샤워, D. A. (1989년)공공지출은 생산적인가?화폐경제학 저널 23 페이지 177-200.
- ^ 에베르츠, R. (1990)공공 기반 시설과 지역 경제 개발.이코노미 리뷰 (00130281, 26(1), 15.
- ^ 크레인, W.M.과 오클리, L.K. (1995) 인프라의 정치.법경제학 제38권 제1호
- ^ a b 마크, M, 캣츠, B, 라만, S, 워렌 D.브루킹스 메트로 폴리시:메트로폴리탄 국가를 위한 새로운 연방 파트너십을 형성하는 것.
- ^ 푸엔테스, R. (2008)어딘가로 가는 다리: 21세기를 위한 미국 교통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보십시오.브루킹스 연구소 대도시 정책 보고서: 미국의 번영을 위한 청사진 시리즈 보고서.
- ^ 가브리엘, J. (2008)21세기 WPA.사회정책 38(2), 38-43.
- ^ 그리그스, F. E. (2003)토목 공학에서의 관점. 1852-2002: 미국 토목 공학에서 150년.미국 토목 공학 협회제프리 S가 편집했다.러셀111-122 페이지
- ^ 스툴러, J. (2009)에디슨 재창조.컨퍼런스 보드 리뷰, 46(1), 42-49.EBSCOhost에서 검색됨
- ^ 미국 에너지부, 에너지 효율 및 재생 에너지 사무국.(2009).플러그 전원 공급: 에너지, 전기, 소비 및 효율에 대한 소개1-4페이지.
- ^ Blumenthal, R, Bray, J, & Brost, K (2009)미국 의회:2009년의 미국 회복 및 재투자법.2009년 10월 20일, 워싱턴 DC의 하원 세출 위원회로부터 회수되었다.웹 사이트: http://appropriations.house.gov/.
- ^ Felon, C, Ramella, F, Zuger, H. (2009) 중국의 철도 혁명.ABB 검토: 철도 및 교통.제2권 제10호19-24 페이지
- ^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1-07-25. Retrieved 2011-07-14.
{{cite web}}
: CS1 maint: 타이틀로 보관된 사본(링크) - ^ http://www.hongkongairport.com/eng/business/about-the-airport/welcome.html
- ^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3-01-26. Retrieved 2014-04-13.
{{cite web}}
: CS1 maint: 타이틀로 보관된 사본(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