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R D
RER D![]() | 본 기사는 해당 기사에서 프랑스어로 번역된 텍스트로 확장될 수 있다.(2015년 4월) 중요한 번역 지침은 [표시]를 클릭한다.
|
RER D | |||
---|---|---|---|
![]() ![]() | |||
개요 | |||
상태 | 운영 | ||
터미 | 크레일(D3) 멜룬(D2), 말레르베(D4) | ||
스테이션 | 59 | ||
서비스 | |||
유형 | 고속 철도/선로 레일 | ||
시스템 | 레소 익스프레스 레지온 | ||
연산자 | SNCF | ||
롤링 스톡 | Z 5600, Z 20500, Z 57000 | ||
라이더십 | 연간 145,000,000회의 여행 | ||
역사 | |||
열린 | 1987년 9월 27일 (1996년 마지막 연장) | ||
기술 | |||
선 길이 | 190km(120mi) | ||
트랙 게이지 | 1,435 mm (4ft 8+1⁄2 인치) | ||
|
RER D는 프랑스 파리를 운항하는 5개의 RER 노선 중 하나이다.북쪽의 오르리-라빌과 크레일을 남쪽의 멜룬, 코르베일-에손네스, 말레셰르베까지 연결하며 파리의 심장부를 통과한다.
1987년부터 1996년까지 단계적으로 개통된 이 노선은 거리별로는 가장 긴 RER 노선으로, 프랑스에서는 가장 붐비는 SNCF 노선으로, 매일 최대 61만5천명의 승객이 탑승하고 466대의 열차를 운행하고 있다.[1]거의 모든 노선이 region드프랑스 지역, 즉 france드프랑스 모빌리테스(STIF) 관할권 내에 위치하지만, 남북으로 끝나는 지선의 일부는 이 지역 밖에 있다.사건 발생률이 높고, 사회 문제가 발생하며, 제때의 성과가 좋지 않기 때문에, 이 라인은 구어적으로 "RER 푸벨"(쓰레기 라인)이라고 알려져 있기도 한다.[2]
D선은 또한 샤틀레-레 할레스를 경유하여 가레 뒤 노르드와 가레 드 리옹을 연결한다.Gare du Nord의 북쪽 구간은 1980년대 후반에 개통되었다; Gare de Lyon 남쪽의 SNCF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해 1995년에 전용 터널이 개통되었고, 그 일부가 RER로 이관되었다.
연대기
- 1987년 9월 27일: D호선의 취임식.운영 중인 빌리에 르-벨 – Gare du Nord – 샤를레-레 할리스, 19km(12mi), 샤를레-레 할리스까지 B선 터널 사용
- 1988: 구세인빌 북쪽으로 확장.
- 1990년 9월: Orry-la-Ville 북쪽으로 확장.
- 1995년 9월: "Interconnexion Sud-Est"의 취임식.이 노선은 샤틀레에서 멜룬과 라 페르테 알라이스까지 연장되며, 그 다음 해, 파리 남부의 말레르베(Malsherbes, 1996년)에 이른다.
- 1998년 1월 25일: Stade de France – Saint-Denis, 새로운 역이 열렸다.Gare du Nord와 St-Denis 사이에 위치한다.
- 2007년 1월 29일: Z 20500 재고 최초로 리노베이션
- 2008년 3월 19일 : SNCF 회장 기욤 페피의 D 메인테넌트 프로그램 시작.
- 2008년 12월 14일: 시간당 8대의 상호연결 열차로 "인터커넥션 Nord-Sud" 서비스 감소.
- 2009년 말: "D Maintenant" 프로그램의 종료.
- 2011년 12월 7일: 샤틀레-가레 뒤 노르드 터널의 두 배가 되는 연구를 시작한다.
- 2013년 12월 15일:새로운 역인 크레틸폼파두르가 문을 열고 빌레뉴브프레리를 대체했다.
역사
구상
Initially, the "métro régional", the ancestor to the RER, was conceived of three lines, one going from east to west (the future RER A), a new line built from existing lines (the future RER C), the extension of the Ligne de Sceaux and with its interconnection with an SNCF line, along with a supplementary interconnected north–south (the future RER D). '레 할리스'를 개조하는 운영은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커트와 커버 방식으로 샤틀레 할레스를 건설할 수 있는 기회를 주었다.[3]
처음에, 새로운 RER D는 파리-가레 드 리옹과 샤틀레-레스 할리스 사이의 RER A와 공유되도록 의도되었다.그러나, RER A를 운영하는 회사인 RATP는 RER A를 이용하는 승객의 수가 증가하면서 RER A에서 추가 열차를 운행해야 한다고 반대했다. 대신, 각 노선은 각각의 플랫폼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Gare de Lyon의 RER A는 지하 역의 하위 층에 있는 트랙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고 결정했다.앞으로 RER D를 상층부에 올려놓게 될 겁니다가레 드 리옹의 RER D 트랙은 4개의 트랙을 가지고 있으며, RER A 트랙 위에 있으며, 일본의 발명품인 "플랫폼 투 플랫폼"의 수직 이전을 허용한다.[3]
취임식
1987년 9월 27일, 기존의 교외 열차를 빌리에 르 벨에서 가레 뒤 노르드까지 샤틀레 할레스 방향으로 확장함으로써 RER D가 공식적으로 만들어졌다.초기에는 19km(12mi) 길이의 양류 Z 8800 스톡 열차를 장착했고, 신형 Z 20500 스톡 열차는 여전히 건설 중이었다.샤틀레 할레스 역에서, RER D는 세 개의 중앙 선로에 종지부를 찍었는데, 샤틀레 할레스 역의 개념으로 이미 건설되었다.[4]
1988년, 구사인빌에서 종착하는 기존의 교외 열차는 현재 RER D와 통합되어 있다.[5] 같은 해에 최초의 바이모드 Z 20500 열차가 운행되고 있다.이들은 1995년 남북 상호연결이 출범하기 전까지 4량으로 구성돼 있었는데, 이때 5량 열차는 10량 열차로 연결된다.[citation needed]
1990년 9월, RER D는 다시 Orry-la-Ville까지 북쪽으로 확장되었다.동시에 RER D에서 1인 작전이 시작되었다.[6]
중앙 터널 개구부
1995년 9월 11일, 샤틀레-레즈 할레스와 가레 드 리옹 사이에 2.5 km(1.6 mi) 길이의 전용 터널을 건설하여 RER D의 남북 상호 접속이 시작되었다.[7]
1996년, RER D는 라 페르테 알라이스에서 말레르베까지 남쪽으로 연장되었다.[4]1998년 FIFA 월드컵을 위해 1998년 1월 15일 Stade de France – Saint-Denis 역이 Stade de France를 위해 문을 열었다.
사회와 서비스의 관점에서 볼 때, 많은 사건들이 "RER 푸벨" ("RER 쓰레기")이라는 용어를 가져왔는데, 이 용어는 종종 사용자들과 심지어 직원들에 의해서도 사용된다.[8]1994년부터 1995년 사이에 심야 열차의 운행 횟수가 9.9%에서 14.1%로 늘어나면서, 공격이[9] 빈번하고 비정상이 트랜실리엔 네트워크에서 가장 높다.[10]
향상된 기능
2006년 11월 22일, STECH는 RER D의 신뢰성에 대한 단기, 중기 및 장기 목표를 설정하기 위해 RER D에 대한 마스터 계획을 승인했다.[11]
2007년 1월 29일, 첫 개보수된 Z 20500 열차를 선보였는데, 이 열차는 137대의 열차 중 첫 번째 열차를 선보였다.리노베이션된 열차는 새로운 청도선, 유니폼 2+3 좌석, 새로운 조명 및 새로운 층 커버를 갖추고 있다.리노베이션 프로그램은 1억 유로가 넘는 비용이 든다.[12]
지연

RER D는 종종 파리에서 RER 네트워크에서 가장 비정형적인 철도 노선으로 보여진다.[13]이러한 비정상은 부분적으로 샤틀레-레 할레스와 가레 뒤 노르드 사이에 RER B와 RER D 노선이 공유되는 터널에 기인하는데, 두 노선에서 몇 초의 작은 지연이라도 치명적인 지연을 초래하고 열차를 취소시킬 수 있다.이것은 RER D의 일반 통근자들이 매일 취소되거나 늦은 열차들에 이용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사건
2003년 9월 20일, 빌레뉴브-트리게 역 근처에서 특이한 사건이 발생했다.남행 열차는 18시 50분 역 인근 중앙선로에서 사고로 멈춰 섰다.선로 2M이 규제당국에 의해 무력화됨에 따라 탑승객들은 좌측으로 열차에서 내리도록 초청받았다.하지만 긴장한 승객들의 경보 신호 오용으로 오른쪽 일부 문이 열렸다.운전자의 명령을 무시하고 수많은 승객들이 오른쪽에서 내려 시속 110km(70mph) 정도의 속도로 달리는 북행 열차와 마주쳤다.
열차 운전자는 비상 브레이크를 작동시킬 시간이 있었고, 열차를 70km/h(45mph) 정도로 늦췄는데, 이 때문에 승객들은 정지된 열차에 대비하거나 도랑으로 뛰어들 수 있었다.다행히 다친 사람은 없었다.[14]한 승객이 휴대전화로 촬영한 이 아슬아슬한 실수는 사건 당일 밤 방송돼 큰 논란을 빚었다.[15][16]
2004년 7월 9일, 반유대주의적인 공격이라는 주장이 공공적이고 정치적인 반응을 불러일으켰고, 도미니크 드 빌팽 내무부와 자크 시라크 프랑스 대통령의 즉각적인 선언이 있었다.[17]그러나 폭행 사건의 배후가 병리학적 거짓말에 시달리는 등 수사 결과 허위로 판명됐다.그 사건은 언론의 정보 취급에 대한 논란을 불러일으켰다.[18][19]
참고 항목
참조
- ^ "RER D : Qualité de services et projets", Dosier de réunion publique SNCF, 5 décembre 2016, 3페이지(컨설팅 르 28 décembre 2016).
- ^ 프랑스어 버전: "Des incident fréquents: Un RER 'poubelle'?"("주요 사건: 'RER trash'?")
- ^ a b 장 로베르, 노트르 메트로, 페이지 386
- ^ a b http://cheminet.free.fr/idf_rer_d_e.php
- ^ Bernardy Collardey, Les Trains de banliue, Tome II, 227페이지
- ^ Les Trains de Banliue.토미 2세1938년, 1999년 작, 227페이지.
- ^ INA - 새로운 RER D 보고서
- ^ Le Journal du Dimanche - 논평 아멜리오르 르 "RER 푸벨", 기사 D'Antoine Debier du 12.02.26 Wayback Machine에 2016년 3월 3일 보관
- ^ 국립해양조사국(Observatoire de la dellinquance) - Phénes de delinquance dans 레즈운송(Communic Perés D'île-de-France)
- ^ STUM - La régularité des mode 페레
- ^ "Conseil du STIF du 22 novembre 2006" (PDF).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4 September 2015. Retrieved 20 June 2015.
- ^ STERM - "Dés aujourd'hui, des train rénovés: Le STERM et Transilien SNCF'engagent pour l'amérioration du RER D"
- ^ https://www.youtube.com/watch?v=6j_NlbfMOn8 프랑스 TV 보도 RER D의 신뢰성에 관한 내용
- ^ Conseil Général des Ponts et Chaussées - inquere sur les circonstance de l'incident survenu le 20 septembre 2003 sur la ligne du RER en gare de Villeneve-Triage, novmbre 2003.
- ^ "On l'a échappé belle, pour parler clair". metro-pole.net, via web.archive.org. 23 September 200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0 January 2014. Retrieved 12 May 2015..
- ^ "Villeneuve-Triage, rapport d'enquête définitif". metro-pole.net, via web.archive.org. 5 November 200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9 July 2013. Retrieved 12 May 2015..
- ^ Le Monde, Stupeur apres l'agression Antisemite d'un'feme dans LERR, 조항 du 13.07.14
- ^ RFI - La France sous le choc
- ^ RFI - Antisémitisme : Le dou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