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도 독도
ROKS Dokdo![]() 2010년 독도 선수단 독도 | |
역사 | |
---|---|
![]() | |
이름. | 독도 독도 |
동명인 | 독도 |
교환입니다. | 대한민국 해군 |
주문된 | 2002년 10월 28일 |
빌더 | 부산 한진중공업 |
비용. | 6억 5천만 달러 |
개시. | 2005년 7월 12일 |
완료된 | 2007 |
위탁. | 2007년 7월 3일 |
상황 | 활동적인 |
일반적인 특징 | |
종류 및 종류 | 독도급 독도 강습상륙함 |
변위 |
|
길이 | 199 m (652 피트 11 인치) |
비임 | 31 m (101 피트 8 인치) |
외풍 | 7 m (23 피트 0 인치) |
추진력 | SEMT Pielstick x 4 PC 2.5 STC 디젤 엔진x 16 ~41,600 shp |
스피드 |
|
보트 및 착륙 운반하는 배 | LSF-II 또는 LCAC x 2 |
용량. | 최대 200대 |
군대 | 해병 720대, 탱크 6대, 수륙양용 차량 7대 |
승무원 | 330[2] |
센서 및 처리 시스템 | SMART-L 항공 검색 레이더, MW08 지상 검색 레이더, AN/SPS-95K 내비게이션 레이더, TACAN, VAMPIR-MB 옵트로닉 사이트 |
전자전 디코이 | ESM/ECM:SLQ-200(v)5K SONATA, Charf 런처 |
무장 | 골키퍼 CIWS x 2, RIM-116 롤링 기체 미사일x 1 |
항공기 탑재 | 최대 15대(UH-60 블랙호크 15대 또는 SH-60F 오션호크 10대) |
독도함(LPH-6111)은 2005년 7월 12일 부산 독도 한진중공업 조선소에서 진수된 대한민국 해군의 독도급 강습상륙함의 선두함이다.독도는 2018년 마라도호가 출범하기 전까지 한국 해군의 제5함대 기함이었다.이전에 이 타이틀은 9,000톤급 해상보충(UNREP) 지원선 ROKS 천지가 보유하고 있었다.
명명
독도라는 이름은 현재 한국에 의해 관리되고 있는 동해도에 있는 섬들의 모임인 리앙쿠르 암초의 독도an 이름에서 유래했다. 일본해독도의 소유권은 일본과 한국 사이에 논란이 되고 있다. 독도[3] 일본 외무성은 [4]독도의 명칭에 대해 유감의 뜻을 표명했다. 독도
독도는 2007년 7월 3일 대한민국 해군에게 위임되었다.
역사
2010년 3월, 독도는 천안함 침몰 이후 독도랜드 구조 작업을 지원했다.7월에는 연합훈련인 [5]무적정령작전에 참가했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 ^ "Aircraft Carriers or Not? Flattops in the Pacific". thediplomat.com. Retrieved 2020-04-12.
- ^ "Dokdo Class Landing Platform Helicopter (LPH)". naval-technology.com. Retrieved 8 March 2015.
- ^ "Seoul and Tokyo hold island talks". BBC. 20 April 2006. Retrieved 28 March 2015.
- ^ "韓国政府、日本に抗議 強襲揚陸艦「独島」命名問題". KBS. 14 July 2005. Retrieved 25 August 2020.
- ^ "US to Use S. Korean Base to Project Power Against China?". Salem-News.com. 8 November 2011. Retrieved 28 March 2015.
외부 링크

위키미디어 공용에는 독도와 관련된 미디어가 있습니다. 독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