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면 엔진 설계

Rear-engine design

자동차 설계에서, 후방 엔진 설계 레이아웃은 엔진을 차량의 후방에 배치한다. 엔진 자체의 무게중심이 후면 차축 뒤에 있다. 이는 전체 차량의 무게중심과 혼동해서는 안 된다. 그러한 비율의 불균형은 앞바퀴를 지면에 고정시키는 것을 불가능하게 만들 것이기 때문이다.

후방 엔진 위치/후륜 구동

후륜 구동 차량에는 거의 항상 후륜 구동 차량 배치가 있지만, 4륜 구동 차량도 있다. 이 레이아웃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포장: 전송 터널이 필요 없기 때문에 바닥이 평평할 수 있다.[1]
  • 리어 트랙션: 엔진이 구동 휠 위에 위치하면 아래 압력이 증가하여 오버스티어가 발생하기 쉬우나 느슨한 표면의 접지력에 도움이 된다.[2]
  • 제조의 단순성: 엔진이 피동 휠 근처에 있으며, 변속기를 디퍼렌셜과 병합하여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이 레이아웃은 한때 작고 저렴한 자동차와 경량 상업용 자동차에서 인기가 있었다. 오늘날 대부분의 자동차 제조업체들은 포르쉐 911[3]같은 값비싼 차종에서도 이 레이아웃을 포기했다. 일부 레이싱카 어플리케이션,[4] 저상버스, 일부 타입D 스쿨버스, 스마트포트와 같은 마이크로카에도 사용된다. 일부 전기 자동차는 4개의 바퀴를 모두 운전하기 위해 리어 모터와 프론트 모터를 모두 갖추고 있다.[5]

주목할 만한 리어엔진 자동차

스마트 포투의 3기통 엔진은 공식적으로 후면 차축 뒤에 위치한다.

60년대 초반 2000년대 초반 폭스바겐 비틀

참고 항목

참조

  1. ^ "1965 Chevrolet Corvair". Retrieved 16 March 2019.
  2. ^ "What Is Rear Engine Layout And Know How Is It Beneficial?". Retrieved 16 March 2019.
  3. ^ Threewitt, Cherise. "10 Affordable Rear Engine Cars". Retrieved 16 March 2019.
  4. ^ Wong, J. Y. (2008). Theory of Ground Vehicles. Hoboken NJ: Wiley. p. 560. ISBN 0-471-35461-9.
  5. ^ Adams, Eric. "The Secrets of Electric Cars and Their Motors: It's Not All About the Battery, Folks". Retrieved 16 March 2019.
  6. ^ Golseth, Andrew. "Why Is The Chevrolet Corvair Such An Overlooked Classic?". Retrieved 16 March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