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드불로드 레이지

Red Bull Road Rage
레드불로드 레이지
레이스 상세
날짜.5월부터 11월까지의 다양한 날짜
지역다양한 장소:미국, 스위스, 이탈리아, 프랑스, 독일, 벨기에, 라트비아, 이스라엘, 폴란드 및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로컬 이름레드불로드 레이지
닉네임로드 레이지
규율도로
경쟁.아마추어와 프로페셔널에게 개방
유형극한의 내리막길 경주
주최자레드불
역사
초판2005년 (2005년)
에디션12
첫 번째 수상자 마일즈 록웰()USA
최다승수 야노스 쾰러 (IRL ) 2
최신 데이비드 맥쿡()USA

레드불로드 레이지는 극한 내리막 노상 자전거 경기입니다.이 대회는 2005년 프로 초청으로만 처음 열렸지만 2008년부터 레드불은 아마추어 및 프로 레이서들에게 개방하고 있다.Red Bull Road Rage는 이탈리아, 프랑스, 독일, 벨기에, 라트비아, 이스라엘, 폴란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 각각 1회, 스위스, 미국에서 2회 개최되었습니다.

이 행사는 4크로스 산악자전거와 비슷하다.첫 번째 개인 타임 트라이얼 ITT 예선 및 시딩[n 1] 주행이 진행되며, 상위[n 2] 32명의 선수가 한 번에 4명씩 녹아웃 레이스를 펼치며 가장 빠른 2명이 다음 라운드로 진출합니다.

역사

Red Bull Road Rage의 뿌리는 2001년에 아이디어를 생각해 낸 자이언트 바이크스의 존 메스코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그는 2004년 레드불(북미) 커뮤니케이션 매니저 폴 멜리나에게 연락하여 아이디어를 제안했고 2005년 1월 레드불은 이벤트 [1]개최를 승인했다.

2005

미국 캘리포니아 말리부, 참치 캐니언

오리지널 레드불로드의 분노는 2005년 11월 5일과 6일 미국 캘리포니아 말리부의 Tunch Canyon에서 열렸다.이 이벤트는 4.5km 코스에서 진행되었으며 49개의 커브와 390m 고도 하락을 포함했으며, 평균 경사도는 9.75%이며 최대 18%이다.

검증 결과

장소 라이더 나라 시간을 평균 속도(km/h)
1. 마일즈 록웰 미국 4:24.7 61.201
2. 데이비드 맥쿡 미국 4:25.9 60.925
3. 브라이언 롭스 미국 4:28.6 60.313
4. 존 와이크 미국 4:33.1 59.319

최종 결과

장소 라이더 나라 시간을 평균 속도(km/h)
1. 마일즈 록웰 미국 4:24.68 61.206
2. 에릭 카터 미국 * **
3. 존 와이크 미국 * **
4. 토드 태너 미국 * **

*노선을 횡단하는 첫 번째 탑승자에 대해서만 시간 내에 주행하십시오.**이러한 선수는 1등만 주행할 수 있으므로 평균 속도를 계산할 수 없습니다.

2006

미국 캘리포니아 말리부, 참치 캐니언

2006년 이 행사는 11월 11일로 예정된 캘리포니아 말리부의 참치 캐니언에서 다시 개최될 예정이다.도로와 산악자전거 출신의 세계 최고 프로 레이서 25명이 공식 출발 리스트에 [2]올랐다.10월 31일에는 말리부시 소방서장으로부터 화재 [3]안전상의 이유로 행사를 취소하기로 결정했다.

2007

2007년에는 레드불로드 레이지가 개최되지 않았다.

2008

스위스 구르니겔패스

2008년에는 유럽에서 처음으로 레드불로드 레이지가 다시 열렸다.아마추어 선수와 프로 선수들에게 이 행사가 열린 것도 이번이 처음이었다.이 행사는 스위스의 구르니겔 패스를 따라 340m 높이의 3.8km 코스에서 열렸다.평균 구배는 최대 18%로 8.95%였다.

검증 결과

장소 라이더 나라 시간을 평균 속도(km/h)
1. 요하네스 피쉬바흐 독일.
2. 기욤 구알란디 프랑스.
3. 스테판 호프마이어 스위스
4. 파비안 크리스텐 스위스

최종 결과

장소 라이더 나라 시간을 평균 속도(km/h)
1. 기욤 구알란디 프랑스. * **
2. 요하네스 피쉬바흐 독일. * **
3. 스테판 호프마이어 스위스 * **
4. 파비안 크리스텐 스위스 * **

*실행 타이밍이 맞지 않습니다.**실행 시간이 맞지 않아 평균 속도를 계산할 수 없습니다.

2009

2009년에는 처음으로 유럽 전역에서 여러 종목이 개최되어 총 4개의 레이스가 열렸다.이탈리아, 프랑스, 독일을 포함한 세 개의 새로운 경기장이 추가되었고 시즌 피날레는 스위스에서 다시 레이싱으로 돌아왔다.

코르티나 암페초, 이탈리아

2009 레드불 로드 레이지 시즌 개막전은 2009년 6월 21일과 22일 이탈리아에서 처음 열렸다.이 행사는 돌로미테코르티나 암페초까지 내려오는 고도 360m의 5km 코스에서 열렸다.평균 구배는 7.4%였고 최대 12%[4]였다.

검증 결과

장소 라이더 나라 시간을 평균 속도(km/h)
1. 기욤 구알란디 프랑스. 4:51.02 61.851
2. 프레드 마지에르 프랑스. 4:51.08 61.839
3. 마우로 베틴 이탈리아 4:51.09 61.837
4. 니타이 다 사코 이탈리아 4:56.20 60.770

최종 결과

장소 라이더 나라 시간을 평균 속도(km/h)
1. 마우로 베틴 이탈리아 * **
2. 프레드 마지에르 프랑스. * **
3. 루카 파이스 마르덴 이탈리아 * **
4. 기욤 구알란디 프랑스. * **

*실행 타이밍이 맞지 않습니다.**실행 시간이 맞지 않아 평균 속도를 계산할 수 없습니다.

생라리소랑, 프랑스

시즌 두 번째 레드불로드 레이지는 2009년 9월 13일 프랑스에서 처음 열렸다.행사는 피레네 산맥의 생라리 술란에서 내려오는 해발 350m의 4.6km 코스에서 열렸다.평균 구배는 7.6%였고 최대 12%였다.

검증 결과

장소 라이더 나라 시간을 평균 속도(km/h)
1. 프레데리크 몽카신 프랑스. 4:13.271 65.385
2. 기욤 구알란디 프랑스. 4:16.717 64.507
3. 프레드 마지에르 프랑스. 4:18.035 64.177
4. 야노스 쾰러 아일랜드 4:19.171 63.896

최종 결과

장소 라이더 나라 시간을 평균 속도(km/h)
1. 프레데리크 몽카신 프랑스. 4:25.210 62.441
2. 기욤 구알란디 프랑스. 4:25.441 62.387
3. 데이비드 라코스테 프랑스. 4:25.551 62.361
4. 프레드 마지에르 프랑스. 4:28.055 61.778
5. 세드리치 그라시아 프랑스. 4:40.683 58.999

모리츠베르크(독일)

시즌 세 번째 레드불로드 레이지는 2009년 10월 10일 독일에서 처음 열렸다.이 대회는 뉘른베르크 인근 모리츠베르크 강 하류인 해발 188m의 2.1km 코스에서 열렸다.평균 구배는 최대 18%로 8.[5]95%였다.

심사 결과 – 여성

장소 라이더 나라 시간을 평균 속도(km/h)
1. 비르기트 바우만 오스트리아 2:26.138 49.761
2. 소냐 그란조 독일. 2:27.555 49.283
3. 레오니 디커호프 독일. 2:31.908 47.871
4. 안자 예렌코 독일. 2:34.661 47.018

최종 결과 – 여성

장소 라이더 나라 시간을 평균 속도(km/h)
1. 비르기트 바우만 오스트리아 * **
2. 소냐 그란조 독일. * **
3. 크리스티나 밈러 독일. * **
4. 레오니 디커호프 독일. * **

*실행 타이밍이 맞지 않습니다.**실행 시간이 맞지 않아 평균 속도를 계산할 수 없습니다.

심사 결과 – 남성

장소 라이더 나라 시간을 평균 속도(km/h)
1. 토머스 섀퍼 독일. 2:04.230 58.536
2. 이반 살라딘 스위스 2:06.827 57.317
3. 올라프 폴락 독일. 2:08.314 56.673
4. 다니엘 아우어스발트 독일. 2:08.922 56.406

최종 결과 – 남성

장소 라이더 나라 시간을 평균 속도(km/h)
1. 토머스 섀퍼 독일. * **
2. 세바스찬 쾨르버 독일. * **
3. 토머스 러저 독일. * **
4. 스테판 호프마이어 스위스 * **

*실행 타이밍이 맞지 않습니다.**실행 시간이 맞지 않아 평균 속도를 계산할 수 없습니다.

전체[6] 결과 표

스위스, 랭그

2009년 레드불로드 레이지 시즌 피날레는 2009년 10월 28일 스위스 랭그에서 레이싱으로 복귀했다.이 행사는 랭그에서 스위스 엔틀부흐로 내려오는 210m 높이의 2.1km 코스에서 열렸다.평균 구배는 10%였고 최대 16%였다.

검증 결과

장소 라이더 나라 시간을 평균 속도(km/h)
1. 야노스 쾰러 아일랜드 1:39.31 76.125
2. 마이클 셔러 스위스 1:39.91 75.668
3. 데이비드 라코스테 프랑스. 1:40.82 74.985
4. 세바스찬 쾨르버 독일. 1:41.10 74.777

최종 결과

장소 라이더 나라 시간을 평균 속도(km/h)
1. 세바스찬 쾨르버 독일. * **
2. 야노스 쾰러 아일랜드 * **
3. 마이클 셔러 스위스 * **
4. 데이비드 라코스테 프랑스. * **

*실행 타이밍이 맞지 않습니다.**실행 시간이 맞지 않아 평균 속도를 계산할 수 없습니다.

2010

벨기에 아이와이유 주, 라 레두트

2010 레드불 로드 레이지 시즌 개막전은 2010년 5월 22일 벨기에에서 처음 열렸다.이 이벤트는 고도 95m의 950m 코스에서 La Redoute를 내려 아이와이유까지 내려왔다.평균 구배는 10%였고 최대 22%였다.

검증 결과

장소 라이더 나라 시간을 평균 속도(km/h)
1. 야노스 쾰러 아일랜드 0:50.26 72.117
2. 데이비드 라코스테 프랑스. 0:50.53 71.744
3. 기욤 갈란디 프랑스. 0:52.41 69.170
4. 프랑수아 사비에 플라세 프랑스. 0:52.63 68.874

최종 결과

장소 라이더 나라 시간을 평균 속도(km/h)
1. 야노스 쾰러 아일랜드 0:50.52 71.745
2. 크리스티안 라데만 독일. 0:51.07 70.984
3. 데이비드 라코스테 프랑스. 0:51.09 70.947
4. 프랑수아 사비에 플라세 프랑스. 0:51.75 70.044

라트비아 시굴다

2010년 5월 30일 라트비아에서 2010년 제2회 레드불로드 레이지 이벤트가 처음 열렸다.이 이벤트는 라트비아 시굴다의 국가 봅슬레이 트랙 진입로를 따라 내려오는 고도 80m의 700m 코스에서 열렸다.평균 구배는 최대 15%로 11.4%였다.

심사 결과 – 여성

장소 라이더 나라 시간을 평균 속도(km/h)
1. 이비타 크루미샤 라트비아 0:56.70 44.444
2. 마르타 가라 라트비아 0:59.50 42.353
3. 아이자 페트로프스카 라트비아 1:03.10 39.937
4. 데이스 갈라 라트비아 1:06.20 38.066

최종 결과 – 여성

장소 라이더 나라 시간을 평균 속도(km/h)
1. 이비타 크루미샤 라트비아 0:52.85 47.682
2. 마르타 가라 라트비아 0:56.85 44.327
3. 아이자 페트로프스카 라트비아 0:58.35 43.188
4. 데이스 갈라 라트비아 1:00.15 41.895

심사 결과 – 남성

장소 라이더 나라 시간을 평균 속도(km/h)
1. 유리스 루체녹스 라트비아 0.46.85 53.789
2. 군다르 오시스 라트비아 0.47.05 53.560
3. 마르티슈 스프로시스 라트비아 0.47.10 53.503
=4. 라이니스 에이븐스 라트비아 0.47.35 53.221
=4. 아르니스 즈다노프스키스 라트비아 0.47.35 53.221

최종 결과 – 남성

장소 라이더 나라 시간을 평균 속도(km/h)
1. 야니스 불레비치 라트비아 0:45.05 55.938
2. 크리스탑스 오시스 라트비아 0:45.25 55.691
3. 라이니스 에이븐스 라트비아 0:45.35 55.568
4. 마르티슈 스프로시스 라트비아 0:46.25 54.486

하마트 가더, 이스라엘

2010 레드불로드 레이지 시즌 피날레는 2010년 6월 4일 이스라엘에서 또 다른 새로운 장소에서 열렸다.이 행사는 메보 하마에서 이스라엘 하마트 가더까지 내려오는 해발 295m의 3.3km 코스에서 열렸다.평균 구배는 최대 18%로 8.94%였다.

검증 결과

장소 라이더 나라 시간을 평균 속도(km/h)
1. 벤 케드미 이스라엘 3:41.04 53.75
2. 야노스 쾰러 아일랜드 3:44.03 53.03
3. 엘리 벡슬러 이스라엘 3:45.16 52.76
4. 샤노흐 레드리히 이스라엘 3:48.34 52.03

최종 결과

장소 라이더 나라 시간을 평균 속도(km/h)
1. 오하드 벤 하모 이스라엘 * **
2. 대니얼 엘리아드 이스라엘 * **
3. 엘리 웩슬러 이스라엘 * **
4. 야노스 쾰러 아일랜드 * **

*실행 타이밍이 맞지 않습니다.**실행 시간이 맞지 않아 평균 속도를 계산할 수 없습니다.

2011

미지브로드지시비에키(폴란드)

2011년 Red Bull Road Rage 이벤트는 2011년 10월 1일 폴란드에서 처음 열렸다.이 대회는 4km 코스에서 260m 높이의 오르막에서 Gora toar에서 Middzybrodzie żywiecki까지 내려왔다.평균 구배는 6.5%였고 최대 14%였다.

검증 결과

장소 라이더 나라 시간을 평균 속도(km/h)
1. 아르카디우스 우스트로슈 폴란드 3:52.43 61.954
2. 크리스티안 라데만 독일. 3:52.60 61.909
3. 마르신 모티카 폴란드 3.53.20 61.749
4. 표트르 사프라니에크 폴란드 3.55.30 61.198

최종 결과

장소 라이더 나라 시간을 평균 속도(km/h)
1. 표트르 사프라니에크 폴란드 * **
2. 크리스티안 라데만 독일. * **
3. 마르신 모티카 폴란드 * **
4. 프르제멕 흐라비아 폴란드 * **

*실행 타이밍이 맞지 않습니다.**실행 시간이 맞지 않아 평균 속도를 계산할 수 없습니다.

2012

2012년에는 레드불로드 레이지가 개최되지 않았다.

2013

몽벤투, 프랑스

몽벤투스는 2013년 6월 8일 프랑스에서 레이싱 복귀 무대를 가질 예정이다.이 레이스는 6km 코스를 넘어 지금까지 가장 길고 가장 수직인 445m의 고공낙하를 이루며 몽벤투(몽 쇼브) 정상에서 동쪽 경사면의 샬레 레이나드까지 내려갈 예정이었다.평균 구배는 7.1%,[7] 최대 15%였다.5월 30일 목요일에는 기상악화 [8]예보 때문에 관할 행정 당국의 허가 없이 행사가 취소되었다.

사라예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2013년 예정된 두 번째 레드불 로드 레이지 레이지는 몬트벤투스의 이벤트가 취소된 후 7월 6일에 시즌 개막전이 되었다.총 표고 280m의 3.5km 코스는 사라예보 외곽에 있었다.평균 구배는 8%였고 최대 구배는 12%였다.

검증 결과

예선 그룹은 무작위로 추첨되고 44명의 선수에게 녹아웃 라운드가 즉시 시작되며, 각 그룹의 상위 2명의 선수는 자동으로 1/8 결승전에 진출한다.나머지 10곳은 3위부터 무작위로 추첨해 1명을 제외한 모든 선수가 1/8 결승전에 진출했다.

최종 결과

장소 라이더 나라 시간을 평균 속도(km/h)
1. 야노스 쾰러 아일랜드 * **
2. 마리오 코지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
3. 스테판 테샤노비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
4. 니콜라스 솔로몬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

*실행 타이밍이 맞지 않습니다.**실행 시간이 맞지 않아 평균 속도를 계산할 수 없습니다.

미국 콜로라도주 조지타운 관넬라 패스

2013년 10월 5일 미국 콜로라도주 조지타운의 관넬라 패스는 시즌 두 번째 레드불 로드 레이지를 개최하여 출범 [9]이후 처음으로 미국으로 돌아왔다.총 표고하 170m의 2.5km 코스는 조지아주 조지타운 위 관넬라 고갯길에 위치해 있었다.고도 3020m에서 3000m 이상의 고도에서 출발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평균 구배는 6.7%였고 최대 구배는 12%였다.

검증 결과

예선은 4배속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1위는 22점, 2위는 16점, 3위는 12점, 4위는 9점이었다.3라운드 후 승점 동점의 경우, 선수의 랭킹을 차별화하기 위해, 선수와의 레이스 및 종합 예선에서 어느 위치에 놓였는지를 기준으로 한 계수가 작용했다.

장소 라이더 나라 포인트 계수
1. 데이비드 맥쿡 미국 66 376
2. 케빈 솔러 미국 66 376
3. 야노스 쾰러 아일랜드 66 276
4. 스콧 해켓 미국 60 378

최종 결과

장소 라이더 나라 시간을 평균 속도(km/h)
1. 데이비드 맥쿡 미국 * **
2. 야노스 쾰러 아일랜드 * **
3. 드와이트(화이트) 드브루 미국 * **
4. 마이크 미첼 미국 * **

*실행 타이밍이 맞지 않습니다.**실행 시간이 맞지 않아 평균 속도를 계산할 수 없습니다.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2013년 10월 26일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개최될 예정인 남미 국가도 처음으로 개최지로 선정되었지만, 이후 취소되었다.

2014 - 현재

2014년 이후 레드불로드 레이지 이벤트는 진행되지 않았다.

통계 정보

코스

레이스 코스 거리와 총 표고 하락은 이벤트마다 다르다.원래 레드불로드 레이지는 미국 캘리포니아 말리부의 참치캐니언을 내려가는 4.5km 코스에서 열렸고, 높이는 390m였다.가장 짧은 코스는 라트비아 시굴다로, 높이는 불과 700m, 높이는 불과 80m였다.가장 긴 코스는 이탈리아의 코르티나 암페초에서 총 5km, 360m의 고도가 떨어졌다.

  • 최장코스 : 5km (이탈리아 코르티나 암페초)*
  • 최단 코스 : 700m (라트비아 시굴다)
  • 최고고도 출발지 : 3020m (미국 콜로라도주 조지타운 관넬라패스)
  • 최저고도 출발지: 100m(라트비아 시굴다)
  • 최고고도종료점 : 2850m(미국 콜로라도주 조지타운 관넬라패스
  • 최저 표고 마감점 : -85m (이스라엘 하마트 가더)
  • 최고 표고저하 : 390m (미국 캘리포니아 말리부 투나캐니언)*
  • 최저 표고 강하: 80m(라트비아 시굴다)
  • 가장 가파른 최대 구배: 22%(벨기에 아이와이주 라 레두트)
  • 가장 가파른 평균 경사: 11.4%(라트비아 시굴다)
  • 평탄한 평균 구배: 6.5% (Middzybrodzie żYwiecki, 폴란드)

* 추후 취소된 프랑스 몽벤투스의 코스 예정은 6km로 가장 긴 거리, 445m로 가장 큰 고도 하락이 될 것입니다.

최고 속도

공식 최고 속도는 2009년 코르티나 암페초에서 열린 이탈리아 로드 레이지 때 98.5km/[4]h로 마우로 베틴이 기록한 최고 속도였다.2013년 사라예보의 보스니아 도로 분노 당시, 습한 조건에서 가장 [10]빠른 속도는 97.3km/h로 야노스 쾰러에 의해 기록되었다.

기록 주행 중 가장 빠른 평균 속도는 2009년 스위스 랭그 로드 레이지 당시 76.125km/h의 ITT 예선 주행이다.다비드 라코스테는 2010년 벨기에 로드 레이지 때 준결승에서 72.271km/[11]h의 평균 속도를 달성했을 때 일반 레이싱에서 최고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라이더

가장 많은 참가자는 야노스 쾰러로 5번의 결승전에 출전해 4번의 시상대 결승을 달성했다.야노스 쾰러도 2회 연속 종합 우승을 차지해 2회 연속 1위에 오른 유일한 기수다.기욤 구알란디는 결승에서 3회 연속 출전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야노스 쾰러와 세바스찬 쾨르버는 각각 2번씩으로 최다 연속 시상대 완주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기욤 구알란디와 야노스 쾰러는 세계 랭킹에서 두 번 이상 1위를 차지한 유일한 선수이며, 이 프랑스인은 연속해서 세계 랭킹 1위를 지켜낸 유일한 기수이기도 하다.7명의 선수가 예선 주행과 결승에서 모두 우승했습니다: 마일즈 록웰 – 캘리포니아 말리부 참치 캐년(2005년).Frédéric Moncassin – Saint-Lary-Soulan, 프랑스 (2009);Birgit Baumann and Thomas Schéfer – Moritzberg (독일), Yanos Köhler – La Redoute, Aywayle, 벨기에(2010)Ivita Krumiaa – Sigulda (2010년)와 David McCook - Georgetown, Georgetown, Guanella Pass (2013년)가 있습니다.가장 성공한 기수는 2승, 2승, 4위를 기록한 야노스 쾰러다.최고령 우승자는 44세 210일의 나이로 콜로라도주 조지타운의 관넬라 패스에서 우승한 데이비드 맥쿡이다.최연소 우승자는 25세 132일의 나이로 독일 모리츠베르크에서 우승했다.

최종 출연

한 선수가 다섯 번의 결승전에 출전했다.

  • 야노스 쾰러()IRL (스위스 2009년 2위, 벨기에 아이와이주 라 레두테 2010년 1위, 이스라엘 하마트 가데르 2010년 4위, 사라예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2013년 1위, 콜로라도주 조지타운 관넬라 패스 2013년 2위)

두 명의 선수가 각각 3개의 결승전에 출전한다.

  • Guillaume Gualandi FRA(스위스 2008년 구르니겔패스 1위, 이탈리아 코르티나 단페초 2009년 4위, 프랑스 생라리 술랑 2009년 2위)
  • David Lacoste FRA(2009년 생라리 소랑, 2009년 3위, 스위스 랭그, 2009년 4위, 벨기에 아이와이주 라 레두테, 2010년 3위)

국적별 이벤트 우승 – 남자

이벤트 승리 나라
2 프랑스. 독일. 아일랜드 미국
1 이스라엘 이탈리아 라트비아 폴란드

국적별 이벤트 우승 – 여성

이벤트 승리 나라
1 오스트리아 라트비아

세계 랭킹

각 레이스가 독립 이벤트로 운영되기 때문에 공인 포인트 시스템은 없지만, 예선 전체 시즌과 레이스 결과에 따라 다음 선수는 세계 랭킹 레드불 로드 레이지 선수 1위로 마감한다.

※ 풀 시즌은 1개 이벤트만 있습니다.

메모들

  1. ^ 예선 주행은 이탈리아 코르티나 암페초에서 열린 레드불 로드 레이지 이벤트(2009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사라예보와 콜로라도주 조지타운의 관넬라 패스(2010년)에서 4크로스 형식으로 진행됐다.
  2. ^ 미국 캘리포니아 말리부 참치캐니언(2005년)과 콜로라도주 조지타운 관넬라패스(2013년)에서 16위 이내 선수만 KO 무대에 올랐고 62명 전원이 프랑스 생라리술랑(2009년)에서 KO를, 상위 64명이 라트비아에서 2010년 라트비아에서 KO를 치렀다.

레퍼런스

  1. ^ http://autobus.cyclingnews.com/news.php?id=features/2005/redbull_road_rage
  2. ^ "Salvodelli joins Red Bull Road Rage roster". 22 October 2006.
  3. ^ http://www.redbullroadrage.com/assets/pdf/06_RR_Press_Release_103106.pdf[베어 URL PDF]
  4. ^ a b "Red Bull Media House Webhosting".
  5. ^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1 August 2011. Retrieved 17 June 2011.{{cite web}}: CS1 maint: 제목으로 아카이브된 복사(링크)
  6. ^ "BIKE - das Mountainbike Magazin - Mountainbike News, Teile, Zubehör, MTB-Tests, Bekleidung, Touren & Typen bei BIKE-magazin.de".
  7. ^ http://www.kairn.com/fr/outdoor/88424/red-bull-road-rage-les-ferus-de-velo-sur-les-pentes-du-mont-ventoux.html[데드링크]
  8. ^ "Red Bull Media House Webhosting".
  9. ^ http://www.redbull.com/en/bike/stories/1331583263831/red-bull-road-rage-comes-to-denver
  10. ^ "Red Bull Media House Webhosting".
  11. ^ http://[bare URL PDF]chronorace.blob.core.windows.net/files/5475.pdf 를 참조해 주세요.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