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파
Red onion붉은 양파(일부 유럽 국가에서는 보라색 양파라고도 한다)는 양파(알륨 세파)의 품종이며, 청록색의 피부와 붉은 색으로 물든 흰 살결을 가지고 있다. 그것들은 요리술에서 가장 흔하게 사용되지만, 붉은 파의 껍질 또한 염료로 사용되어 왔다.[1]
이 양파들은 크기가 중간에서 큰 편이고, 날카로운 맛과 눈을 뗄 수 없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2][3] 그것들은 종종 날것으로 소비되거나, 구워지거나, 다른 음식들과 함께 가볍게 요리될 수 있다.[3] 적파는 연중 내내 구할 수 있으며 플라보노이드와[4] 섬유질(흰양파와 황파에 비해)이 풍부하다.[2] 자른 붉은 양파는 일정 기간 시원한 물에 담가 물기를 빼낼 수 있어 '물어먹기'와 톡 쏘는 맛이 떨어진다.[5]
트로페아의 붉은 양파
이탈리아 트로페아에서 온 붉은 양파(이탈리아어: "Cipolla Rossa di Tropea")는 트로페아 시 근처 카포 바티카노라는 이탈리아 남부의 칼라브리아의 작은 지역에서 자라는 특별한 품종이다.[6] 이 양파는 향이 강하고 달콤하며 내부는 다른 적파보다 즙이 많고 묽어서 잼을 만들 수 있다. 2008년 3월, 유럽연합은 이탈리아에서 이 지역에서 생산된 붉은 양파에 대해 원산지 보호 표기를 등록했다.[citation needed]
투르다의 붉은 양파
투르다(Cluj County,[7] 센트럴 루마니아)의 붉은 양파(로마어: "Ceapa de Turda")[8]는 가벼운 맛과 특별한 향을 가진 현지 품종의 홍파다. 경작 면적은 아리엇 아래 계곡과 무레ş 중간 계곡을 아우른다.[citation needed]
투르다 양파 전구는 전통적으로 마케팅 목적으로 긴 끈(1~2m)으로 얽혀 있으며 루마니아 중부 전역의 전통시장에서 찾아볼 수 있다. "투르다 홍파"는 샐러드나 혼합 샐러드의 일부로서, 특히 콩과 향이 나는 햄 수프의 필수 고명으로 제공된다.[citation needed]
웨더스필드 홍파
미국에서 가장 두드러진 붉은 양파 품종 중 하나가 코네티컷주 웨더즈필드에서 재배되었으며, 1800년대 후반까지 뉴잉글랜드의 주요 양파 공급원이었다.[9][10]
기타품종
알려진 품종으로는 '붉은 제플린'도 있다.[2]
참조
- ^ 구글 북스 367페이지의 어니스트 스몰 100대 식품 공장
- ^ Jump up to: a b c 빌 존스 더 디어홀름 야채 요리책, 24페이지 구글북스
- ^ Jump up to: a b "Glossary". bbcgoodfood.com. Retrieved 28 June 2017.
- ^ Gennaro, Laura; Leonardi, Cherubino; Esposito, Fabrizio; Salucci, Monica; Maiani, Giuseppe; Quaglia, Giovanni; Fogliano, Vincenzo (2002). "Flavonoid and Carbohydrate Contents in Tropea Red Onions: Effects of Homelike Peeling and Storage".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50 (7): 1904–1910. doi:10.1021/jf011102r. PMID 11902931.
- ^ "Take the Bite Out of Raw Onions".
- ^ "Flavour of the Med - 6 August 2004". CatererSearch. 6 August 2004. Retrieved 19 September 2013.
- ^ OANCEA, SIMONA; DRĂGHICI, OLGA (May 2013). "pH and Thermal Stability of Anthocyanin-based Optimised Extracts of Romanian Red Onion Cultivars". Czech Journal of Food Sciences. 31 (3): 283–291. doi:10.17221/302/2012-CJFS.
- ^ "Onion Turda on the Harvest Day in Cluj" (in Romanian). turdanews.net. Retrieved 30 June 2017.
- ^ "대무역이 사라졌다. 1889년 6월 2일 뉴욕 타임즈, 코네티컷의 양파 독점이 어떻게 상실되었는가"
- ^ 1993년 8월 양키 매거진 "웨더스필드, CT, 양파"
외부 링크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홍파와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