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데리히 멘젤
Roderich Menzel풀네임 | 로데리히 페르디난드 오토마르 멘젤 |
---|---|
나라(스포츠) | ![]() ![]() |
태어난 | 레이첸베르크, 오스트리아-헝가리 | 13 1907년 4월
죽은 | 1987년 10월 17일 서독 뮌헨 | (80세)
높이 | 1.91m(6ft 3인치) |
프로로 전향했다. | 1928년 (1928년 투어) |
은퇴한 | 1939년 (1951년 재기) |
플레이스 | 오른손(1손 백핸드) |
싱글스 | |
최고 순위 | 7번(1934, A. Wallis Myers)[1] |
그랜드 슬램 단식 경기 결과 | |
오스트레일리아 오픈 | QF(1935년) |
프렌치 오픈 | F(1938) |
윔블던 | QF(1933, 1935년) |
US 오픈 | 4R (1934, 1935) |
복식 | |
그랜드 슬램이 2배 더 많은 결과를 낳다 | |
윔블던 | SF(1937) |
그랜드 슬램 혼합 복식 결과 | |
US 오픈 | F(1935년) |
로데리히 페르디난드 오토마르 멘젤(독일어 발음: [ˈrɒdərɪk ˈmɛnʦl]; 1907년 4월 13일 ~ 1987년 10월 17일)은 아마추어 테니스 선수였으며, 활동한 후에는 작가였다.
출생
로데리히 멘젤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선진 공업도시 보헤미아의 레이첸베르크(체코:리베레크)에서 태어났다. 그는 뢰므드스트라제 7(요즘 타트란스카 거리)의 3층짜리 집에서 부모와 두 형제와 함께 살았다. 산촌 빌헬름쇼헤의 유리공소장 집안에서 태어난 아버지 에른스트는 통신원에서 케이블 제조업체 펠텐 & 기욤의 노스보헤미아 사무소의 파트너로 승진했다.
경영 고등학교에서 공부하는 동안 그는 RSK 레이첸버그의 골키퍼로서 축구를 하기 시작했다. 그는 16세(1923년)에 수석 팀에 합류했다. 그의 골키퍼 경력을 돌이켜보면 멘젤은 종종 엔데의 RSK 레이첸베르크의 골키퍼인 그의 위대한 우상에 대해 재미있는 이야기를 들려주었다. 언제나처럼 홈팀 골키퍼의 이름은 홈 프로그램에서 항상 양쪽 팀 로스터의 맨 끝에 나타나지만, 이 경우 사람들은 그 시점에서 프로그램이 실제로 끝난다고 종종 생각했다.
그러나 축구와 같은 수준의 테니스를 하고 있었기 때문에 중요한 결정이 내려져야 했다. 테니스를 선택했고 곧 체코슬로바키아 주니어 챔피언(1925년)이 되었다. 대가족 비극에 대처해야 하기 직전, 아버지가 복잡한 이중 폐렴으로 심장마비로 돌아가셨을 때였다.
테니스 커리어
1928년 멘젤은 윔블던 본선에 처음 출전했고 스웨덴과의 데이비스컵 대회에도 출전했다. 그는 오랫동안 성공적인 데이비스컵 선수 생활(61승/23패)에서 곧바로 첫 두 단식 우승을 차지했는데, 체코(체코슬로바키아) 데이비스컵 팀 역사상 여전히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 그의 기억에 남는 데이비스컵 공연들 중에는 당시 그의 위대한 라이벌이었던 고트프리드 폰 크람과의 다섯 번의 세트 배틀이 포함되어 있다.
멘젤은 다른 대회에서도 우승 트로피를 수집했다. 1931년, 그는 당시 가장 권위 있는 대회 중 하나인 독일 오픈 테니스 선수권 대회에서 불과 1년 후 구스타프 자네케와 몬테카를로 마스터스를 제치고 조지 로저스를 제치고 우승했다. 불과 몇 주 후에 그는 프랑스 챔피언십 준결승에 진출했을 때 자신의 첫 그랜드 슬램 결과를 달성했고, 그 곳에서 조르지오 데 스테파니에게 패했다. 준결승에서 폰 크람을, 베를린에서 열린 로트위크 클럽 토너먼트 결승에서 자크 브루그논을 제치고 우승하면서 그의 뛰어난 폼은 계속되었다.
1년 후인 1933년 프랑스 선수권대회와 윔블던에서 8강전을 치르던 멘젤도 그의 안정된 모습을 확인했다. 그는 1934년에 같은 결과를 얻었고, 프랑스 챔피언십에서 폰 크람에게 근소한 차이로 패했고, 윔블던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경기 중 하나에서 프레드 페리에게 졌다. 그가 모두 우승한 체코슬로바키아 국제선수권대회(본 크람)와 이집트 인터내셔널(팻 휴즈)에서는 상황이 좋아졌다. 게다가, 그는 카이로에서 열린 대회에서 4년 연속 우승을 했다. 1934년 그와 라디슬라프 헤흐트는 결승전에서 자크 브루그논과 장 레수르를 꺾고 몬테카를로 버틀러 트로피를 수상했다.[2] A. 데일리 텔레그래프의 월리스 마이어스는 멘젤을 1934년 세계 7위로 선정했다.[1]
멘젤이 8강에서 다시 그랜드슬램 대회 참가를 마친 1935년에도 4강에서도 미국선수권대회 참가를 마쳤다. 그러나 같은 장소에서 그는 혼합 복식 준우승을 차지하기 위해 케이 스탬퍼스와 팀을 이뤄 결승전에서 사라 팰프리 / 엔리케 마이어에게 패했다. 같은 해 로스앤젤레스에서 열린 퍼시픽 사우스웨스트 토너먼트에서 결승에 오른 것이 큰 성과였다. 그 곳에서 그는 돈 버즈에게 패했다. 그러나 그것은 오랫동안 멘젤의 최근 성공이었다. 1936년, 그는 심각한 심장 질환을 초래한 두 번의 고장으로 고통 받았다. 1년 이상 그는 어쩔 수 없이 재평가를 받아야 했다. 그는 거의 1년 동안 Bad Gréfenberg(현재의 Lazně Jesenik)에서 치료를 받았다.
멘젤의 건강 이상 첫 증상은 당시 세계랭킹 2위 버니 오스틴과 8강전에서 나타났다. 세트 스코어 2-1로 앞서가던 그는 편을 바꾸던 중 실수를 해 상대 잔에서 한 모금씩 마셨다. 그가 불쾌하게 놀란 것은 물 대신 진이었다. 시력 문제와 환각 증세가 곧바로 이어졌고 멘젤은 경기에서 졌다. 그는 몇 주 후 데이비스컵 결승전까지 큰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는데, 그 때 폰 크람과 전 시리즈의 결정적인 경기를 치렀다. 이 유명한 독일인은 4세트에서 이미 2개의 매치 포인트를 기록했지만, 멘젤은 가까스로 위협을 피했고 세트에서 7-5로 승리하여 2-2로 비겼다. 멘젤이 5세트 1차전에서 승리하고 폰 크램이 계속 고배를 마신 뒤, 편을 바꾸던 중 홈 벤치에서 이상한 제안을 받았다. 체코테니스협회장은 "그것이 당신을 강하게 할 것이다"라고 말하며 멘젤에게 샴페인 한 잔을 건넸다! 멘젤은 여전히 5세트 2차전에서 거의 승리할 뻔했지만, 일단 옆에서 흐릿하게 보이기 시작하면 끝이라는 것을 알았다. 그는 마지막 세트를 1 대 6으로 졌다.
멘젤은 1937년에 돌아왔지만, 윔블던에서의 초반 패배(1라운드)는 그의 복귀가 그리 쉽지 않을 것임을 시사한다. 훨씬 더 좋은 상황은 복식 때였는데, 그는 (라디슬라프 헤흐트와 함께) 4강에 진출하기 위해 그럭저럭 해냈다. 1년 후 멘젤이 프랑스 오픈 남자 단식 준우승을 차지하면서 모든 것이 용서되었다. 그의 역대 최대 성공은 폰 크램이나 페리 같은 훌륭한 선수들이 빠진 덕분에 조금 줄어들었다.

1938년 9월, 뮌헨 협정에 근거하여 체코슬로바키아가 나치 독일에 영토(수데텐란드)의 일부를 빼앗길 수밖에 없다는 결정이 내려졌다. 이제 새로운 독일 국가의 수도인 레이첸베르크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을 보낸 멘젤도 독일 시민이 되었다. 불과 몇 달 후인 1939년 5월, 그는 이미 데이비스컵에서 새로운 조국 독일을 위해 뛰었다. 제2차 세계대전 발발 후 멘젤은 그루더셔 런펑크의 외국 방송에서 기자로 활동하기 시작했다. 팀의 다른 동료들과 달리(헤너 헨켈은 스탈린그라드 전투에서 전사했고, 폰 크람은 동부전선에서 부상당했다) 멘젤은 전선으로 갈 필요가 없었으며, 베를린의 상대적 안전에서 전쟁 수년을 보냈다(그는 바이에른 쿼터, 귄첼스트라데 4에 살았다). 전쟁이 끝난 후 멘젤은 전전의 테니스 업적을 쌓으려 했으나 지역적인 의미만을 지닌 토너먼트에서의 몇 번의 승리를 제외하면 그의 경력은 끝이 났다.
당시 로데리히 멘젤은 유난히 키가 큰 체격(6피트 3인치)을 갖고 있었는데, 이 체격은 서브와 발리슛 스타일의 플레이로 그를 직접 결정지었다. 그는 또한 사나운 성격으로 악명이 높았다. 그는 근처의 종소리가 멈추거나 한 아이가 관중석에서 울음을 멈출 때까지 연주를 거부했다. 멘젤은 또한 심판과 관중들과 열정적으로 토론하는 것을 좋아했다. 로마에서 열린 이탈리아 테니스 선수권 대회 경기장의 관중들은 그를 너무 짜증나게 해서 그는 코트를 떠나 다시는 돌아오지 않았다. 비록 멘젤이 그랜드 슬램 대회에서 우승하는 데는 실패했지만 데이비스컵과 가장 권위 있는 국제대회에서 그의 업적은 그를 당시의 세계 테니스 엘리트 중 한 명이다.
여행
멘젤의 열정에는 또 다른 추가인 여행이 있었다. 그는 말하는 것처럼 어떤 토너먼트에서 탈락했을 때 주위 아름다움을 탐구할 시간이 더 많았기 때문에 종종 기분이 좋았다. 그리고 뭔가 심상치 않은 것을 보면 다음 경기 때 종종 그런 생각을 해야 했다.
아프리카는 카이로에서 열린 국제선수권대회에서 그의 5연승 때문만이 아니라 확실히 그가 가장 좋아하는 지역들 중의 하나였다. 그가 편안함을 느낀 것은 특히 이집트에서였다. 카이로, 피라미드, 알렉산드리아, 룩소르, 나일, 아수안 – 이 모든 장소들은 매번 그에게 큰 인상을 남겼다. 그는 또한 종종 뱀의 왕 셰이크 무사 같은 많은 흥미로운 사람들과의 만남을 떠올렸다.
멘젤도 호주를 여러 번 방문했는데, 때로는 착잡한 심정으로 방문하기도 했다. 관중들은 선수들이 어두워지는데도 코트를 떠나는 것을 원치 않았고 "플레이 온-우리가 돈을 지불했다"고 외쳤던 복식 경기 중 일어난 갈등과 분명히 관련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갈등으로 멘젤이 호주 전역과 그 후 태평양 지역 전체(사모아, 타히티, 하와이)를 돌아다니는 것을 막지는 못했다.
1935년 여름 멘젤은 인도에 왔다. 뭄바이 콜카타, 코끼리를 타고 정글 속으로 탐험하면서 마이소르의 마하라자와 만났다. 특히 후자 지역은 그를 상당히 매혹시켰다 – "Mysore는 두 개의 하늘을 가지고 있다 – 하나는 내 위로, 다른 하나는 내 아래로!" 멘젤의 다음 행보는 실론과 일본으로 이어졌다. 돌아오는 길에 홍콩과 싱가포르를 방문했다.
테니스와 함께 멘젤은 소위 식민지 시대의 막바지에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것과는 전혀 다른 세계를 여행할 수 있었다. 멘젤은 자서전 '리베주보멘'에서 "내가 여행한 이후 많은 것들이 바뀌었다"고 쓰고 있다.
문인 경력
이미 로데리히 멘젤이 운동경력의 절정에 달했을 때, 그는 많은 신문과 잡지에 저널리스트로 기고했다. 그의 기사는 스포츠에 관한 것일 뿐만 아니라, 전 세계 여행에서 얻은 수많은 경험에 대해서도 썼다.
제2차 세계 대전 전에 멘젤은 주로 프라거 타그블라트에 기여했는데, 그곳에서 그의 동료들은 에곤 에르윈 키쉬나 맥스 브로드와 같은 이름이었다. 멘젤은 매일 스포츠 칼럼에만 글을 쓴 것이 아니라 시를 썼는데, 멘젤은 프라거 타그블라트의 토요일 페유이유턴 칼럼에서 헤르만 헤세, 카렐 차펙과 2년 동안 번갈아 쓴 것은 분명히 주목할 가치가 있다. 이 주요 프라하 독일 신문인 멘젤은 또한 BZ에게 미탁과 보시스체 차이퉁이라고 썼다. 1931년 그는 자신의 첫 스포츠 소설 《더 웨지 웨그》를 발표하였는데, 이 소설은 취리히 데일리 스포츠에서도 출판되어 1년 후 비야 세스타라는 제목으로 체코어 번역본으로 나왔다. 곧 테니스 환경, 주로 테니스… 위 세헤!, 테니스-파레이드 또는 겔리브테 테니스파트너린 등 다른 타이틀들이 뒤따랐다. 그러나 그는 운동선수 생활을 끝마칠 때까지 글쓰기 열정에 완전히 집중할 수 있었다.
그의 새 집인 바이에른 랜드셔트에서 멘젤은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스포츠(테니스와 축구)에 대한 책을 썼을 뿐만 아니라 다른 장르에 대해서도 궁금해지기 시작했다. 의학 서적 트라이엄 데르 메디진(Trial der Medizin)이 큰 성공을 거두었는데, 이 책은 전문계에서도 찬사를 받았다(일본 의과대학의 의무문학에 포함되었다). 그러던 중 뮌헨으로 건너가 신문인 에코 데어 워쉬에서 필유턴 부서장으로 일하기 시작했다. 멘젤은 그곳에서 미래의 아내인 일러스트레이터 요한나 셍글러를 만났고, 그는 그에게 아이들을 위한 책을 쓰기 시작하라는 아이디어를 주었다.
60년대 초반부터 그는 가장 어린 독자들을 위한 동화, 시, 전설 등, 종종 고국에서 온 책들을 출판했다. Mérchenreise ins Sudetenland, Neue Rüberzahl-Geschicten 또는 Schleesische Mérchen. 그의 어린이를 위한 대부분의 책들은 피트와 다스 베르조베르테 파흐라드, 조티 데르 베르 또는 더 플리겐데 테피치 등 그의 새 아내에 의해 삽화되었다. 멘젤은 1963년 연방실향민난민전쟁희생자부(Federal American and War Residents for Refuried People, Federal Refurieds)가 주관한 베스트 아동 도서 경연대회에서 자신의 저서 '디 부벤 암 해머시(Die Buben am Hammahmsee)'로 1위를 수상했다. 멘젤은 또한 라디오, 텔레비전, 극장에서 그의 창조적인 재능을 증명했다. 1950년에 그는 최고의 드라마를 위한 아달버트 스티프터 협회의 경쟁자인 요제프 뮐버거와 함께 우승했다. 샤우시엘 스튜디오 이세를론이 지휘한 멘젤의 연극 뤼베르잘은 43개의 독일 도시에서 공연되었다.
멘젤의 기억은 1970년대부터 작품에 고스란히 살아났다. 그의 자서전 《리베 주 뷔멘》에서 첫 번째, 그리고 《다이에 탄호프스 3부작》(1974–1981)에서 작품의 하이라이트였다. 이 책들에서 멘젤은 한 가족을 배경으로 20세기 중유럽의 급격한 변화를 묘사하고 있다. 그는 또한 그곳의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 대한 감탄을 충분히 고백했다. 1980년대 초 3부작의 완결 이후 멘젤은 다시 스포츠 토픽으로 작품을 마무리하고 독일의 주요 축구선수들의 프로필을 다음과 같이 썼다. Die Grozen des Sports: 토니 슈마허 또는 다이 그로젠 데 스포츠: 카를-헤인츠 퓌스터
참고 문헌 목록
시
소설
역사책
여행서적
아동 도서
|
스포츠북
전기
의학 서적
과학 서적
|
결혼
로드리히 멘젤은 다음과 같이 결혼했다.
- 열정적인 테니스 선수이자 활강 스키 선수인 안나 마리아 '버키' 라블(1908~1953)은 멘젤이 세계일주를 할 때 자주 동행했다. 그들은 인스브루크에서 1931년 2월 11일에 결혼했다.[3] 그녀는 나중에 요제프 폰 콜로레도 만스펠드 남작과 결혼했다. 그녀의 딸 크리스티나 콜로레도 만스펠트는 체코 오포치노 성의 주인이다. 그들은 1937년에 이혼했다.
- 에리카 프란치스카 요제파 우르딩거(1914년)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체코슬로바키아에서 독일인들을 추방한 비극적인 개인적 경험을 했다. 그들은 1938년 1월 18일 사아즈 안데르 에거에서 결혼했다. 그들에게는 두 아들이 있다. 마이클과 크리스찬.
- 게르다? 그들에게는 두 딸이 있다: 레네이트와 캐롤라.
- 삽화가 겸 그래픽 아티스트인 요한나 셍글러(1924년)가 전 세계(예: 미국, 스리랑카, 네덜란드, 스위스)에 작품을 전시했다. 1972년에 그녀는 아이들을 위한 미술 학교를 설립했고, 후에 어른들을 위한 미술 학교를 설립했다. 그들은 1952년 12월 12일에 결혼했고 1970년에 이혼했다. 그들에게는 한 아들이 있다: 피터.
죽음
1983년 봄, 멘젤은 자동차 사고로 부상을 당했는데, 그는 완전히 회복하지 못했다. 그는 1987년 10월 17일 독일 뮌헨-파싱의 병원에서 80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그랜드 슬램 결승전
싱글 (2위 1개)
결과 | 연도 | 챔피언십 | 표면 | 상대 | 점수 |
---|---|---|---|---|---|
손실 | 1938 | 프랑스 선수권 대회 | 점토 | ![]() | 3–6, 2–6, 4–6 |
혼합 복식(1위)
결과 | 연도 | 챔피언십 | 표면 | 파트너 | 반대자 | 점수 |
---|---|---|---|---|---|---|
손실 | 1935 | 미국 전국 선수권 대회 | 잔디 | ![]() | ![]() ![]() | 3–6, 6–3, 4–6 |
성능 타임라인
W | F | SF | QF | #R | RR | Q# | DNQ | A | NH |
토너먼트 | 아마추어 경력 | |||||||||||||||||||||||||||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
그랜드 슬램 대회 | ||||||||||||||||||||||||||||
오스트레일리아인 | A | A | A | A | A | A | A | QF | A | A | A | A | ||||||||||||||||
프랑스어 | A | 2R | A | 4R | SF | QF | QF | QF | A | A | F | A | ||||||||||||||||
윔블던 | 1R | 1R | 2R | A | 4R | QF | 3R | QF | A | 1R | 4R | 2R | ||||||||||||||||
미국 | A | A | A | A | A | A | 4R | 4R | A | A | A | A |
커리어 파이널
결과 | 아니요. | 날짜 | 챔피언십 | 표면 | 상대 | 점수 |
손실 | 1. | 1929년 5월 | 베를린, 로트 와이스 클럽 | 점토 | ![]() | 11–9, 3–6, 1–6, 1–6 |
손실 | 2. | 1929년 9월 | 부다페스트 헝가리 선수권 대회 | ![]() | 7–5, 4–6, 6–3의 리트. | |
손실 | 3. | 1930년 7월 | 노르트베이크 네덜란드 선수권 대회 | ![]() | 6–8, 8–6, 3–6, 4–6 | |
이기다 | 1. | 1930년 9월 | 부다페스트 헝가리 선수권 대회 | ![]() | 4–6, 6–3, 6–4, 6–1 | |
손실 | 4. | 1931년 5월 | 오스트리아 빈 선수권 대회 | ![]() | 6–4, 1–6, 1–6, 4–6 | |
이기다 | 2. | 1931년 8월 | 함부르크 독일 국제 선수권 대회 | 점토 | ![]() | 6–2, 6–2, 6–1 |
이기다 | 3. | 1932년 2월 | 몬테카를로 마스터스 | 점토 | ![]() | 6–4, 7–5, 6–2 |
이기다 | 4. | 1932년 5월 | 베를린, 로트 와이스 클럽 | 점토 | ![]() | 6–4, 6–3, 6–3 |
손실 | 5. | 1932년 8월 | 함부르크 독일 국제 선수권 대회 | ![]() | 6–3, 2–6, 2–6, 3–6 | |
손실 | 6. | 1933 | 베를린, 로트 와이스 클럽 | ![]() | 6–2, 1–6, 13–15 | |
이기다 | 5. | 1933년 5월 | 체코슬로바키아 국제 선수권 대회 | ![]() | 6–3, 6–2, 6–1 | |
손실 | 7. | 1933년 8월 | 함부르크 독일 국제 선수권 대회 | 점토 | ![]() | 5–7, 6–2, 6–4, 3–6, 4–6 |
이기다 | 6. | 1933년 9월 | 자그레브 유고슬라비아 선수권 대회 | ![]() | 6–4, 6–1, 6–1 | |
이기다 | 7. | 1933년 9월 | 헝가리 선수권 대회 | ![]() | 6–2, 6–0, 6–1 | |
이기다 | 8. | 1934년 3월 | 이집트 국제 토너먼트 | ![]() | 6–3, 6–4 | |
이기다 | 9. | 1934년 5월 | 체코슬로바키아 국제 선수권 대회 | ![]() | 3–6, 6–1, 6–3, 6–2 | |
이기다 | 10. | 1935 | 카이로 선수권 대회 | ![]() | 7–5, 5–7, 6–2 | |
이기다 | 11. | 1935년 3월 | 이집트 국제 토너먼트 | ![]() | 6–4, 6–0, 6–0 | |
이기다 | 12. | 1935 | 체코슬로바키아 국제 선수권 대회 | ![]() | 6–2, 6–1, 6–1 | |
손실 | 8. | 1935년 9월 | 퍼시픽 사우스웨스트 토너먼트, 로스앤젤레스 | ![]() | 6–1, 9–11, 3–6 w. | |
손실 | 9. | 1935년 11월 | 오사카 일본 국제 선수권 대회 | ![]() | 5–7, 2–6, 1–6 | |
손실 | 10. | 1938년 6월 | 프렌치 오픈 | 점토 | ![]() | 3–6, 2–6, 4–6 |
이기다 | 13. | 1938 | 이집트 국제 토너먼트 | ![]() | 6–4, 6–2 | |
손실 | 11. | 1939 | 프랑스 커버드 코트 선수권 대회 | ![]() | 6–4, 2–6, 2–6, 1–6 | |
손실 | 12. | 1939 | 함부르크 독일 국제 선수권 대회 | 점토 | ![]() | 6–4, 4–6, 0–6, 1–6 |
데이비스컵
체코슬로바키아의 경우
유럽 존 | ||||||||
둥글다 | 날짜 | 반대자 | 결승전 점수 | 장소 | 표면 | 매치 | 상대 | 고무점수 |
---|---|---|---|---|---|---|---|---|
2R | 1928년 5월 17~19일 | ![]() | 4–1 | 스톡홀름 | 점토질 | 싱글 2 | 수네 말름스트룀 | 6–3, 6–3, 3–6, 7–5(W) |
싱글 4 | 잉그바르 개럴 | 6–2, 6–0, 5–7, 8–6(W) | ||||||
SF | 1928년 6월 22-24일 | ![]() | 3–2 | 프라하 | 해당 없음 | 복식 (잔 코흘루와 함께) | 헨드릭 티머 / 크리스티안 판 레네프 | 3–6, 6–3, 2–6, 4–6(L) |
1R | 1929년 4월 26-28일 | ![]() | 3–2 | 빈 | 해당 없음 | 싱글 2 | 헤르만 폰 아르텐스 | 6–3, 6–4, 6–2 (W) |
싱글 4 | 프란츠윌럼마테카 | 8-10, 3-6, 1-6 (L) | ||||||
2R | 1929년 5월 10-12일 | ![]() | 3–0 | 프라하 | 해당 없음 | 싱글 1 | 앙드레 라 크룩스 | 6–3, 6–1, 6–1 (W) |
싱글 5 | 안드레 유방크 | NP(N) | ||||||
QF | 1929년 6월 5-7일 | ![]() | 4–1 | 코펜하겐 | 해당 없음 | 싱글 1 | 폴 헨릭센 | 9–7, 6–2, 6–3(W) |
싱글 4 | 아이너 울리히 | 7–5, 7–5, 6–2 (W) | ||||||
SF | 1929년 6월 19-21일 | ![]() | 1–4 | 프라하 | 해당 없음 | 싱글 2 | 하인츠 랜드만 | 6–3, 6–3, 3–6, 0–6, 6–4(W) |
싱글 4 | 한스 몰덴하우어 | 4–6, 6–8, 4–6 (L) | ||||||
2R | 1930년 5월 16-18일 | ![]() | 3–2 | 프라하 | 해당 없음 | 싱글 1 | 에릭 웜 | 6–2, 6–2, 4–6, 6–2 (W) |
복식 (프리드리히 로헤러와 함께) | 아이너 울리치 / 에릭 웜 | 3–6, 6–1, 4–6, 6–4, 7–9(L) | ||||||
싱글 4 | 아이너 울리히 | 6–2, 6–2, 6–1 (W) | ||||||
QF | 1930년 5월 30일 6월 1일 | ![]() | 3–2 | 슈베닝겐 | 점토질 | 싱글 2 | 아서 디머 쿨 | 6–3, 6–3, 6–2 (W) |
복식 (잔 코흘루와 함께) | 아서 디머 쿨/헨드릭 티머 | 7–9, 6–2, 6–1, 3–6, 6–4(W) | ||||||
싱글 4 | 헨드리크 티머 | 6–8, 0–6, 6–4, 5–7 (L) | ||||||
SF | 1930년 6월 14-16일 | ![]() | 2–3 | 프라하 | 해당 없음 | 싱글 1 | 하라다 다케이치 | 9–11, 6–3, 7–5, 6–1(W) |
복식 (잔 코흘루와 함께) | 타미노 아베 / 하라다 다케이치 | 6–1, 5–7, 6–8, 7–9(L) | ||||||
싱글 5 | 오타 요시로 | 6–2, 4–6, 6–3, 6–3(W) | ||||||
1R | 1931년 5월 1-3일 | ![]() | 3–2 | 프라하 | 해당 없음 | 싱글 1 | 엔리케 마이어 | 6–3, 6–2, 6–3(W) |
복식 (프리드리히 로헤러와 함께) | 마누엘 알론소-아레자가 / 엔리케 마이어 | 1–6, 7–9, 1–6 (L) | ||||||
싱글 5 | 마누엘 알론소아리가 | 6–8, 6–2, 6–1, 6–3(W) | ||||||
2R | 1931년 5월 15-17일 | ![]() | 4–1 | 아테네 | 해당 없음 | 싱글 1 | 아우구스투스 세를렌디스 | 6–2, 6–2, 6–1 (W) |
복식 (Ferenc Marsalek 포함) | 막스 발리 / 게오르기오스 니콜라이데스 | 6–2, 6–2, 6–4(W) | ||||||
싱글 5 | 오레스티스 가랑기오티스 | 6–1, 6–3, 6–1 (W) | ||||||
QF | 1931년 6월 4-6일 | ![]() | 3–0 | 프라하 | 해당 없음 | 싱글 2 | 움베르토 데 모르푸르고 | 6–3, 6–3, 4–6, 6–2(W) |
복식 (Ferenc Marsalek 포함) | 움베르토 데 모르푸르고 / 알베르토 델 보노 | 6–3, 6–4, 6–1 (W) | ||||||
싱글 4 | 조르지오 데 스테파니 | NP(N) | ||||||
SF | 1931년 6월 16-18일 | ![]() | 5–0 | 프라하 | 해당 없음 | 싱글 1 | 아이너 울리히 | 6–3, 6–2, 7–5(W) |
복식 (Ferenc Marsalek 포함) | 아이너 울리치 / 에릭 웜 | 9–7, 1–6, 6–3, 6–0(W) | ||||||
싱글 4 | 에릭 웜 | 3–6, 6–2, 6–4, 6–1 (W) | ||||||
F | 1931년 7월 9-11일 | ![]() | 1–4 | 프라하 | 점토질 | 싱글 1 | 버니 오스틴 | 6–3, 2–6, 8–6, 3–6, 3–6 (L) |
복식 (Ferenc Marshlek와 함께) | 패트릭 휴즈 / 프레드 페리 | 4–6, 6–4, 4–6, 2–6 (L) | ||||||
싱글 5 | 프레드 페리 | 5–7, 3–6, 5–7 (L) | ||||||
1R | 1932년 5월 6-8일 | ![]() | 2–3 | 프라하 | 해당 없음 | 싱글 2 | 프란츠윌럼마테카 | 3–6, 3–6, 6–3, 6–2, 4–6 (L) |
복식 (Ferenc Marsalek 포함) | 허버트 킨즐 / 헤르만 폰 아르텐스 | 6–2, 6–1, 6–1 (W) | ||||||
싱글 4 | 헤르만 폰 아르텐스 | 6–2, 6–1, 5–7, 6–4(W) | ||||||
2R | 1933년 5월 12일-14일 | ![]() | 5–0 | 프라하 | 해당 없음 | 싱글 1 | 블라디미르 란다우 | 6–2, 6–2, 6–4(W) |
복식 (Ferenc Marshlek와 함께) | 르네 갈레페 / 블라디미르 란다우 | 6–1, 6–4, 8–6 (W) | ||||||
싱글 5 | 르네 갈레페 | 6–3, 6–2, 6–1 (W) | ||||||
QF | 1933년 6월 8-10일 | ![]() | 5–0 | 프라하 | 해당 없음 | 싱글 2 | 라자로스 스탈리오스 | 6–2, 6–4, 9–7 (W) |
복식 (Ferenc Marshlek와 함께) | 게오르기오스 니콜라이데스 / 스테파노스 시디스 | 6–1, 6–1, 6–1 (W) | ||||||
싱글 5 | 요르요스 니콜라이데스 | 6–1, 6–2, 4–6, 6–0(W) | ||||||
SF | 1933년 6월 17~20일 | ![]() | 0–5 | 이스트본 주, 데본셔 파크 | 풀 | 싱글 1 | 프레드 페리 | 1–6, 4–6, 3–6 (L) |
복식 (Ferenc Marshlek와 함께) | 패트릭 휴즈 / 프레드 페리 | 3–6, 4–6, 4–6 (L) | ||||||
싱글 5 | 버니 오스틴 | 6–3, 7–9, 0–6, 1–6 (L) | ||||||
QF | 1934년 6월 7일-9일 | ![]() | 4–1 | 프라하 | 해당 없음 | 싱글 2 | 에스켈 앤드루스 | 6–1, 6–3, 6–3(W) |
복식 (라디슬라브 헤흐트 포함) | 캠 말프로이 / 앨런 스테드먼 | 5–7, 4–6, 5–7 (L) | ||||||
싱글 5 | 캠 말프로이 | 6–2, 6–0, 6–1(W) | ||||||
SF | 1934년 6월 15-17일 | ![]() | 3–2 | 밀라노 | 점토질 | 싱글 2 | 아우구스토라도 | 6–1, 6–2, 10–8(W) |
복식 (Ferenc Marshlek와 함께) | 페루치오 퀸타발레 / 아우구스토 라도 | 6–8, 6–3, 6–0, 6–4(W) | ||||||
싱글 4 | 조르지오 데 스테파니 | 6–0, 5–7, 2–6, 7–5, 3–6 (L) | ||||||
F | 1934년 7월 13-15일 | ![]() | 2–3 | 프라하 | 점토질 | 싱글 1 | 비비안 맥그래스 | 10–8, 6–2, 8–6 (W) |
복식 (라디슬라브 헤흐트 포함) | 잭 크로퍼드 / 애드리안 퀴스트 | 4–6, 3–6, 4–6 (L) | ||||||
싱글 4 | 잭 크로퍼드 | 6–4, 6–4, 2–6, 8–6 (W) | ||||||
1R | 1935년 5월 10-12일 | ![]() | 4–1 | 프라하 | 점토질 | 싱글 1 | 프란조 푼체크 | 6–3, 6–1, 6–1 (W) |
복식 (라디슬라브 헤흐트 포함) | 프란조 쿠쿨제비치 / 프란조 푼체크 | 4–6, 4–6, 6–2, 8–6, 6–2 (W) | ||||||
싱글 4 | 요시프 팔라다 | 6–0, 6–1, 6–1 (W) | ||||||
QF | 1935년 6월 7일-9일 | ![]() | 4–1 | 프라하 | 해당 없음 | 싱글 2 | 니시무라 히데오 | 6–2, 6–3, 8–6 (W) |
복식 (Ferenc Marshlek와 함께) | 니시무라 히데오 / 야마가시 지로 | 2–6, 6–2, 6–2, 6–1 (W) | ||||||
SF | 1935년 6월 7일-9일 | ![]() | 5–0 | 프라하 | 해당 없음 | 싱글 2 | 노먼 파콰르손 | 6–2, 5–7, 6–3, 6–2 (W) |
복식 (Ferenc Marshlek와 함께) | 노먼 파콰르손 / 버논 커비 | 9–11, 6–4, 6–2, 6–1 (W) | ||||||
F | 1935년 7월 12-14일 | ![]() | 1–4 | 프라하 | 점토질 | 싱글 1 | 헤너 헨켈 | 7–5, 6–1, 4–6, 2–6, 6–4 (W) |
복식 (Ferenc Marshlek와 함께) | 카이 룬드 / 고트프리드 폰 크람 | 3–6, 7–9, 4–6 (L) | ||||||
싱글 4 | 고트프리드 폰 크람 | 2–6, 4–6, 6–3, 7–5, 1–6 (L) | ||||||
2R | 1937년 5월 15-17일 | ![]() | 5–0 | 바르샤바 | 해당 없음 | 싱글 1 | 카지미에츠 타로우스키 | 6–3, 6–4, 2–6, 6–3(W) |
싱글 4 | 요제프 헤브다 | 7–5, 6–3, 6–3 (W) | ||||||
QF | 1937년 6월 5-7 | ![]() | 4–1 | 프라하 | 점토질 | 싱글 1 | 크리스티안 부수스 | 6–2, 6–3, 6–4(W) |
복식 (라디슬라브 헤흐트 포함) | 장 보로트라 / 이본 페트라 | 3–6, 6–2, 2–6, 3–6 (L) | ||||||
싱글 4 | 베르나르 데스트레마우 | 6–0, 6–3, 6–4(W) | ||||||
SF | 1937년 6월 12일-14일 | ![]() | 4–1 | 프라하 | 해당 없음 | 싱글 1 | 요시프 팔라다 | 6–2, 6–1, 6–0(W) |
복식 (라디슬라브 헤흐트 포함) | 요시프 팔라다 / 프란조 푼체크 | 2–6, 6–1, 6–0, 7–9, 6–1(W) | ||||||
F | 1937년 7월 10-12일 | ![]() | 1–4 | 베를린 | 해당 없음 | 싱글 2 | 고트프리드 폰 크람 | 6–3, 6–4, 4–6, 3–6, 2–6 (L) |
1R | 1938년 4월 29일 ~ 5월 1일 | ![]() | 2–3 | 자그레브 | 해당 없음 | 싱글 2 | 요시프 팔라다 | 6–2, 6–2, 6–1 (W) |
복식 (프란티셰크 세자르와 함께) | 드라구틴 미티치 / 프란조 펀치크 | 11–9, 3–6, 9–7, 6–2(W) | ||||||
싱글 4 | 프란조 푼체크 | 6–3, 1–6, 1–6, 2–6 (L) |
독일을 위해
유럽 존 | ||||||||
둥글다 | 날짜 | 반대자 | 결승전 점수 | 장소 | 표면 | 매치 | 상대 | 고무점수 |
---|---|---|---|---|---|---|---|---|
1R | 1939년 5월 7일 | ![]() | 5–0 | 비엔나 | 점토질 | 싱글 1 | 보리스 마네프 | 6–8, 6–3, 5–7, 6–2, 6–3(W) |
싱글 5 | 조스트 스피처 | 8–6, 6–4, 6–3(W) | ||||||
2R | 19-21 1939년 5월 | ![]() | 3–2 | 바르샤바 | 해당 없음 | 싱글 1 | 애덤 바워로프스키 | 7–5, 6–3, 2–6, 2–6, 6–4(W) |
싱글 4 | 이그나시 트워치스키 | 6–2, 1–6, 7–5, 2–6, 7–9(L) | ||||||
QF | 1939년 5월 27-29일 | ![]() | 4–1 | 베를린 | 점토질 | 싱글 1 | 모건 헐트먼 | 6–0, 6–2, 6–1 (W) |
싱글 4 | 칼레 슈뢰더 | 2–6, 6–3, 6–3, 6–3 (W) | ||||||
SF | 1939년 6월 3~5일 | ![]() | 5–0 | 베를린 | 점토질 | 싱글 1 | 찰스 헤어 | 6–0, 6–1 RET(W) |
싱글 4 | 로널드 셰이스 | 6–1, 6–1, 6–0(W) | ||||||
F | 1939년 7월 28~30일 | ![]() | 2–3 | 자그레브 | 해당 없음 | 복식 (헤너 헨켈 포함) | 프란조 쿠쿨제비치 / 프란조 푼체크 | 9–7, 4–6, 6–4, 3–6, 6–1(W) |
참조
- ^ a b "Myers Seeds Fred Perry No. 1; But Three Yanks Place," The Lewiston Daily Sun, 1934년 9월 13일.
- ^ "Keesing's Record of World Events". 1934. p. 1151. Retrieved 15 July 2013.
- ^ Béla Kehrling, ed. (6 June 1931). "Külföldi hírek" [International news] (PDF). Tennisz és Golf (in Hungarian). Budapest, Hungary: Egyesült Kő-, Könyvnyomda. Könyv- és Lapkiadó Rt. III (11–12): 220. Retrieved 18 November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