롤랑 한나
Roland Hanna롤랑 한나 | |
---|---|
![]() 2001년 에드 와일리와의 롤랜드 한나 | |
배경 정보 | |
출생명 | 롤랑 펨브로크 한나 |
태어난 | 미국 디트로이트, 미시건 주 | 1932년 2월 10일
죽은 | 2002년 11월 13일 뉴저지 주 하켄삭 | (70세)
장르 | 재즈, 아방가르드, 재즈 퓨전 |
직업 | 음악가, 작곡가, 밴드 리더 |
계기 | 피아노, 전기 피아노, 첼로 |
롤랑 펨브로크 한나(Roland Pembroke Hanna, 1932년 2월 10일 ~ 2002년 11월 13일)는 미국의 재즈 피아니스트, 작곡가, 교사였다.[1]
전기
한나는 11살 때부터 클래식 피아노를 공부했지만, 그의 친구인 피아니스트 토미 플래너건으로부터 그것을 소개받으면서 재즈에 강한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2]이러한 관심은 그가 군복무 기간(1950–1952) 이후 증가했다.1953년 이스트만 음대에서 잠시 공부한 뒤 2년 뒤 뉴욕으로 이사하면서 줄리아드 학교에 등록했다.[2]1950년대 베니 굿맨, 찰스 밍구스 등 몇몇 거물들과 함께 일했고, 1960년 졸업했다.[2]1963년과 1966년 사이에, 한나는 자신만의 3인조를 이끌었고, 1966년부터 1974년까지 그는 The Thad Jones/Mel Lewis 오케스트라의 정회원이었다.[2]한나는 1972년 이 오케스트라와 함께 소련을 순회하기도 했다.[3]1970년대에는 뉴욕 재즈 4중주단의 멤버였다.
롤랜드 한나는 사라 본의 1982년 앨범 《미친과 믹스트 업》의 피아노 연주와 곡 〈시즌스〉를 작곡했지만 1980년대 대부분 반 은퇴 생활을 하였고, 10년 후반에 다시 음악으로 돌아왔다.1980년대 후반과 1990년대 초반에 한나는 링컨 센터 재즈 오케스트라와 스미스소니언 재즈 마스터웍스 오케스트라의 단원으로 활동했다.[2]이 무렵, 그는 또한 실내악과 관현악 작곡을 시작했으며, 그가 작곡한 발레도 공연되었다.[3]
1970년 한나는 교육비를 마련하기 위해 라이베리아에서 연주한 콘서트를 인정받아 윌리엄 터브먼 라이베리아 대통령으로부터 명예 기사 작위를 받았다.[2][4]그 후, 한나는 종종 "롤랜드 한나 경"으로 알려지게 되었다.한나는 뉴욕 플러싱에 있는 퀸즈 칼리지(CUNY)의 아론 코플랜드 음악학교에서 재즈학부 교수로 재직했으며, 다른 여러 음악학교에서 강의를 했다.[2]그는 뉴저지 주 티넥의 거주자였다.[5]
그는 2002년 11월 13일 뉴저지 해켄삭에서 심장 바이러스 감염으로 사망했다.[2]
음반 목록
리더/공동 리더로서
기록년도 | 제목 | 라벨 | 인사/참고 |
---|---|---|---|
1959 | 데스리 라이즈 어게인 | ATCO | 조지 듀비어, 로이 번즈, 케니 버렐과[6] 함께한 트리오/쿼텟 |
1959 | 사랑하기 쉬운 | ATCO | 벤 터커, 로이 번즈와 함께한[6] 트리오 |
1971 | 제미니의 아이 | MPS | 데이브 홀랜드와 다니엘 휴메어와의[7] 트리오 |
1973 | 뉴 헤리티지 키보드 4중주단 | 블루노트 | 미키 터커, 리처드 데이비스, 에디 글래든과 함께한 새로운 헤리티지 키보드 4중주곡으로 |
1973 | 엘프 경: | 선택 | 솔로 피아노[8] |
1974 | Let It Happen | RCA | As The Jazz Piano Quarty with Dick Hyman, Hank Jones, Marian McPartland |
1973 - 1974 | 걷는다 | 재즈 아워 | George Mraz와 Mel Lewis가 함께한 트리오, 트리오와 스테판 그라펠리가 함께한 콰르텟. |
1974 | 페루자 | 자유 | 솔로 피아노; 협연하여[9] |
1974 | 비공식 솔로 | 하이 플라이 | 솔로 피아노 |
1974 | 1 X 1 | 도호 (일본) | 듀오 with George Mraz |
1976 | 포기 앤 베스 | 트리오 (일본) | 듀오 with George Mraz |
1976 | 24 제1권 예문 | 구원 (일본) | 솔로 피아노/듀오 with George Mraz |
1976 | 롤랑 한나 트리오 | 구원 (일본) | 론 카터, 벤 라일리와의 트리오 |
1977 | 댄서들을 위한 시간 | 프로그레시브 | Trio with George Mraz and Richard Pratt - 또한 At Home with Friends로 발매되었다. |
1977 | 엘프 플러스 1경 | 선택 | 솔로 피아노/듀오[8] with George Mraz |
1977 | 장갑 | 트리오 (일본) | 조지 미라즈, 히노[10] 모토히코와 함께한 트리오 |
1977 | 24 제2권 예문 | 구원 (일본) | 솔로 피아노/듀오 with George Mraz |
1978 | 알렉 와일더의 음악을 연주한 롤랜드 한나 | 이너시티 | 솔로 피아노 |
1978 | 이런 게 사랑인 거 같아요. | 프로그레시브 | 조지 므라즈와 벤 라일리와[11] 함께한 트리오 |
1978 | 롤랜드스케이프 | 프로그레시브 | 조지 므라즈와 벤 라일리와 함께한 트리오 |
1978 | 버드 트랙스 | 프로그레시브 | 솔로 피아노[12] |
1978 | 롤랜드 한나와 조지 므라즈 몽크 플레이 | 뮤지컬 헤리티지 소사이어티 | 듀오 with George Mraz[13] |
1978 | 마기가 주는 선물 | 서부로54번길 | 솔로 피아노[14] |
1979 | 스윙 미 노 왈츠 | 스토리빌 | 솔로 피아노[12] |
1979 | 삼위일체 | L+R | 한스 콜러와 아틸라 졸러가 함께한 트리오 |
1979 | 피아노 솔로키 | L+R | 솔로 피아노[10] |
1979 | 인상 | 블랙&블루 | 홀리 소령과 앨런 도슨과[9] 함께한 트리오 - NORMA의 Love Come Back to Me로도 발매됨 |
1979 | Och Jungfrun Gick tt Killan... | 소네트 | 솔로 피아노 |
1979 | 일출, 일몰 | 로브(일본) | 듀오 with George Mraz |
1982 | 로마네스크 | 트리오 (일본) | 듀오 with George Mraz[10] |
1982 | 거슈윈 카마이클 캣츠 | CTI | 듀오/트리오/쿼터셋/쿼터셋/섹시트/덱테트[15] |
1987? | 맨해튼 크리스마스 | 펀 하우스 | 솔로 피아노 |
1987 | 라운드 미드나잇 | 타운 크리에이 레코딩 | 솔로 피아노[6] |
1987 | 이번엔 진짜야 - 슬루케프터 티볼리 정원에서 산다 | 스토리빌 | Jesper Thilo, Mads Winding, Aage Tanggaard와 함께[9] 4중주곡. |
1987 | 페르시아 마이 디어 | DIW | 리처드 데이비스, 프레디 워즈와 함께한[9] 트리오 |
1988 | 바 | 펀 하우스 | 클린트 휴스턴과 루이스 내쉬가 함께한 트리오 |
1990 | 듀크 엘링턴 피아노 솔로 | 뮤직마스터스 | 솔로 피아노[9] |
1990 | 회고록 | 세기(일본) | 나카야마에이지와 듀오 |
1993 | 거쉰을 연주하는 롤랜드 한나 4중주단 경 | LRC/레이저라이트[6] | 빌 이즐리, 존 버러, 로니 버라지와의 4중주곡 |
1993 | Maybeck 리사이틀 홀 시리즈, 제32권 | 콩코드 | 솔로 피아노; 협연하여[9] |
1994? | 재즈 소나타스 | 엔젤 | 딕 하이먼과 함께한 듀오와 실내 트리오가 있는 콰르텟 |
1996 | 모두를 위한 3 | 사이메코프 기업 | 버키 피자렐리와 존 버가 함께한 트리오 |
1996 | 쉿 에이 바이 | 새로운 기능(일본) | 나카야마에이지, 고마쓰 세이지와의 트리오 |
1997 | 삼흑왕 | 재즈 프렌즈 프로덕션 | 리처드 데이비스, 앤드류 시릴과 함께한 트리오 |
1998? | 패밀리 & 프렌즈 | 프레스티지 엘리트 | Michael Hanna (Vo.)와 함께. |
1998? | 아이 러브 비밥 | 라한나 뮤직 | 아오모리 요시오(b)와 크리스 로젤리(ds)와의 트리오 |
1998 | 로열 에센스:엘링턴의 밤 | 재즈몬트 | Davey Yarborough와 듀오, 협연 |
1995 | 조상의 빛 | 레드 어스 재즈 | 듀오 with George Mraz |
2001 | 꿈 | 금성 | 폴 웨스트와 에디 로크(드럼스)[16][17]가 함께한 트리오 |
2002 | 뉴욕 주 파리 밀라노: 존 루이스 찾기 | 금성 | 조지 므라즈와 루이스 내쉬가[18] 함께한 트리오 |
2002 | 사랑하는 모든 것 | IPO | 솔로 피아노[6] |
2002 | I've Got a Right to Sing the Blue | IPO | 캐리 스미스와의[6] 듀오 |
2002 | 지류:토미 플래너건에 대한 반성 | IPO | 솔로 피아노[6] |
2002 | 아르페스 운레브 | 금성 | 론 카터, 그래디 테이트와[18] 함께한 트리오 |
2002 | 라스트 콘서트 | 새로운 기능(일본) | 나카야마 에이지와 듀오, 하사마 미호코와 듀오, 나카야마 에이지와 하사마 미호코와 3인조, 하사마와의 협연 |
컴필레이션스
- 자이언트 키트(IPO)의 색상
뉴욕 재즈 4중주단과 함께
- 일본에서 론 카터, 벤 라일리, 프랭크 웨스(Salvost, 1975)와 함께 하는 콘서트
- 조지 Mraz, 리차드 프랫, 프랭크 웨스, (Enja, 1977)
- George Mraz, Richard Pratt, Frank Wess(소넷, 1978년)와 함께하는 블랙 나이트의 노래
- Sarka for Sarka with George Mraz, Grady Tate, Frank Wess (Enja, 1978)
- 오아시스 with George Mraz, Ben Riley, Frank Wess (Enja, 1981년)
- 조지 미라즈, 벤 라일리, 프랭크 웨스(Bee Hive, 1981년)와 함께 시카고에서 열린 뉴욕 재즈 4중주단
밍구스 왕조와 함께
- Live At Montreux(대서양 1981년)
- 환생 (Soul Note 1982년)
- 밍구스의 사랑의 소리 (Soul Note 1988)
- Live At The Village Vanguard (Storyville 1989년)
- 비문(Charles Mingus composition) (As Mingus) (Columbia 1990)
사이드맨으로
페퍼 애덤스와 함께
진 아몬스와 함께
- 마이웨이(Prestige, 1971)
조지 벤슨과 함께
- Good King Bad (CTI, 1975년)
- 아프로 블루 (트리오, 1974년)
루스 브라운과 함께
- 루스 브라운 65년 (주, 1965년)
케니 버렐과 함께
- 스윙잉(Blue Note, 1956 [rel. 1980])
- Five Spot Cafe에서 보기 (Blue Note, 1959)
- 아스팔트 캐년 스위트 (Verve, 1969)
- 엘링턴 이즈 포에버 2권 (Fantasy, 1975년)
베니 카터와 함께
론 카터와 함께
'락조' 데이비스와 함께
- 러브콜 (RCA 빅터, 1968년)
리처드 데이비스와 함께
- 리처드 데이비스를 위한 뮤즈 (MPS, 1969)
- 페르시아 마이 디어 (DIW, 1987년)
- 1등! (1967년 프리즈)
스테판 그라펠리와 함께
- 리듬 섹션 충족(1973)
존 핸디와 함께
- 베르나르어(Roulette, 1958)
지미 히스와 함께
알 히블러와 함께
- Early One Morning(LMI, 1964)
프레디 허버드와 함께
엘빈 존스와 함께
- 친애하는 존 C. (Impulse!, 1965년)
- 매우 R.A.R.E.(트리오(일본), 1979년)
짐 홀과 함께
- 컨시어터(CTI,1975)
미리암 클라인과 함께
- By Myself (L+R, 1979년)
지미 크네퍼와 함께
- 커닝버드(StepleChase, 1977)
- I Dream Too Much (Soul Note, 1984년)
휴버트 법칙과 함께
- 법률의 원인(대서양, 1968년)
링컨 센터 재즈 오케스트라와 함께
- 링컨 센터 재즈 오케스트라 – 재즈 애트 링컨 센터: 그들은 그네를 타러 왔다(소니, 1992년)
허비 맨과 함께
Les McCann과 함께
- 논평 (대서양, 1970)
찰스 밍거스와 함께
- 밍구스 왕조(Columbia, 1959년)
프랭크 모건과 함께
이드리스 무함마드와 함께
레이 낸스 포함
- 몸과 영혼(솔리드 스테이트, 1969)
콰메 은크루마와 함께
- 아홉째 아들 (콜럼비아, 1969년)
셀던 파웰과 함께
- 지미 클리블랜드 피처링 셀던 파월 섹스트릿 (Roost 1956)
레드 로드니와 함께
돈 세베스키와 함께
루이스 스미스(뮤지션)와 함께
- 프랑신 (Steple Chase 1979)
소니 스티트와 함께
스탠리 투렌틴과 함께
- 할 수 있다면 (뮤직마스터, 1993년) (MusicMasters, 1993년)
필 우즈와 함께
- 라운드 트립 (Verve, 1969년)
참조
- ^ "Roland Hanna Biography & History". AllMusic. Retrieved February 17, 2020.
- ^ a b c d e f g h 킵뉴스, 피터(2002년 11월 15일 ~ ) "롤랜드 한나, 재즈 피아니스트 겸 작곡가, 70세에 사망"뉴욕 타임스
- ^ a b 페더, 레너드 & 기틀러, 아이라(2007) 생동감 넘치는 재즈 백과사전, 페이지 292, 옥스퍼드 대학 출판부
- ^ Stryker, Mark (2019-07-08). Jazz from Detroit.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ISBN 978-0-472-12591-3.
- ^ 윌슨, 존 S. "터널 끝에서 스타덤을 본 재즈 피아니스트" 1975년 6월 1일 뉴욕 타임즈.2019년 6월 28일에 접속.그러던 중 지난 6월 뉴욕의 빌리지 뱅가드에서 매주 월요일 밤 연주하는 태드 존스 맬 루이스 밴드가 자신의 그룹을 결성하기 위해 떠난 티넥의 피아니스트 롤랜드 한나를 갑자기 잃었다.
- ^ a b c d e f g Cook, Richard; Morton, Brian (2008). The Penguin Guide to Jazz Recordings (9th ed.). Penguin. p. 647. ISBN 978-0-141-03401-0.
- ^ Dryden, Ken. "Roland Hanna: Child of Gemini". AllMusic. Retrieved December 19, 2018.
- ^ a b Yanow, Scott. "Roland Hanna: Sir Elf (1977)". AllMusic. Retrieved December 19, 2018.
- ^ a b c d e f Cook, Richard; Morton, Brian (1996). The Penguin Guide to Jazz on CD (3rd ed.). Penguin. pp. 577–578. ISBN 978-0-14-051368-4.
- ^ a b c Cook, Richard; Morton, Brian (1992). The Penguin Guide to Jazz on CD, LP & Cassette (1st ed.). Penguin. p. 477. ISBN 978-0-14-015364-4.
- ^ Yanow, Scott. "Roland Hanna: This Must Be Love". AllMusic. Retrieved December 19, 2018.
- ^ a b Cook, Richard; Morton, Brian (2004). The Penguin Guide to Jazz on CD (7th ed.). Penguin. pp. 717–718. ISBN 978-0-14-101416-6.
- ^ Yanow, Scott. "Roland Hanna: Play for Monk". AllMusic. Retrieved December 19, 2018.
- ^ Dryden, Ken. "Roland Hanna: A Gift from the Magi". AllMusic. Retrieved December 19, 2018.
- ^ Yanow, Scott. "Roland Hanna: Gershwin Carmichael Cats". AllMusic. Retrieved December 19, 2018.
- ^ Dryden, Ken. "Roland Hanna: Dream". AllMusic. Retrieved December 19, 2018.
- ^ "VHCD-2054". Venusrecord.com. Retrieved December 20, 2018.
- ^ a b "VHCD-2031". Venusrecord.com. Retrieved December 20,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