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탠리 터렌틴
Stanley Turrentine스탠리 터렌틴 | |
---|---|
1976년 투렌틴 | |
배경 정보 | |
태어난 |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 피츠버그 | ) 1934년 4월 5일
죽은 | 2000년 9월 12일 미국 뉴욕시, 뉴욕시. | (66)
장르 | |
직업 | 뮤지션 |
계기 | 테너 색소폰 |
년 활동 | 1959–2000 |
레이블 | |
관련 행위 |
스탠리 윌리엄 터렌틴(Stanley William Turrentine, 1934년 4월 5일 ~ 2000년 9월 12일)[1]은 미국의 재즈 테너 색소폰 연주자였다. 그는 Earl Vistic에서 R&B를 연주하고 1960년부터 Blue Note 레이블에서 소울 재즈 레코딩으로 활동하기 시작했으며, 1970년대 CTI에서 활동하던 중 재즈 퓨전(Fusion)에 손을 댔다.[2] 그는 비평가 스티브 휴이에 의해 "명백하게 두껍고 물결치는 음색과 블루스 속 흙빛의 그라운드 지상으로 유명하다"[3]고 묘사되었다. 1960년대에 투렌틴은 오르가니스트 셜리 스콧과 결혼했는데, 그와 함께 자주 녹음했고, 트럼펫 주자 토미 터렌틴의 동생이었다.

전기
터렌틴은 미국 피츠버그의 힐 구에서 음악가 집안으로 태어났다.[1] 아버지 토머스 터렌틴(Sr)은 알 쿠퍼의 사보이 술탄스와 함께 색소폰 연주자였고,[4] 어머니는 스트레이드 피아노를 연주했으며, 형 토미 터렌틴은 프로 트럼펫 연주자가 되었다.[5]
블루스와 리듬 앤 블루스 밴드로 다작 경력을 시작했으며, 처음에는 일리노이 자켓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1950년대에 그는 로웰 풀슨과 얼 보리스톨의 그룹들과 함께 연주를 계속했다.[4] 보리스티어 그룹에서는 1953년 존 콜트레인을 교체하고 피아니스트 겸 작곡가 타드 다메론이 이끄는 그룹으로 활동하기도 했다.[2]
Turrentine은 1950년대 중반 군대에서 그의 유일한 공식적인 음악 훈련을 받았다. 1959년 그는 군대를 떠나 곧장 드러머 맥스 로치의 밴드로 들어갔다.[4]
그는 1960년에 오르간 연주자 셜리 스콧과 결혼했고 두 사람은 자주 함께 연주하고 녹음했다.[4] 1960년대에 그는 오르간 연주자 지미 스미스와 함께 일하기 시작했고, 스미스와 함께 그리고 리더로서 많은 소울 재즈 레코드를 만들었다.[4]
스콧과 터렌틴은 1971년에 이혼했다. 터렌틴은 재즈 퓨전 쪽으로 방향을 틀었고 크리드 테일러의 CTI 레이블에 서명했다.[2] 1970년에 녹음된 CTI의 첫 앨범인 슈가(Sugar)는 그의 가장 큰 성공 중 하나이자 레이블의 중요한 음반임을 증명했다.[4] 프레디 허바드, 밀트 잭슨, 조지 벤슨, 밥 제임스, 리처드 티, 이드리스 무함마드, 론 카터, 그랜트 그린, 에릭 게일 등과 함께 일했다. 그는 1980년대와 1990년대에 소울 재즈로 돌아왔다.
터렌틴은 1990년대 초부터 죽을 때까지 메릴랜드주 포트워싱턴에서 살았다.
2000년 9월 12일 뉴욕에서 뇌졸중으로 사망, 66세의 나이로 피츠버그 알레게니 묘지에 안장되었다.[1]
음반 목록
리더로서
- 블루노트 레코드
- 1960: Look Out! (1969년 Sunset Records on Stanley Turrentine의 영혼으로 출간)
- 1960: 블루 아워(The Three Sounds 포함)
- 1961: Comin' Your Way
- 1961: "민턴즈"에서 1권 [라이브]
- 1961: "민턴즈"에서 2권 [라이브]
- 1961년 : (셜리 스콧과 함께) 대단히 사랑하는 사람
- 1961: ZT의 블루스 (1985년 발매)
- 1962: 그곳이 (레즈 맥캔과 함께)
- 1962: 쥬빌리 외침!!! (1986년 발표)
- 1963: Never Let Me Go (셜리 스콧과 함께)
- 1963: A Chip Off the Old Block (Shirley Scott와 함께)
- 1964: 허슬린' (셜리 스콧과 함께)
- 1964: In Memory Of (1980년 개봉)
- 1964: 미스터 내츄럴 (1980년 개봉)
- 1965: 조이라이드
- 1966: 거친 'n' 텀블
- 1966: 이지 워커 (1968년 개봉)
- 1966: 더 스포일러 (1967년 개봉)
- 1967: 블루시 가방 (2007년 발매)
- 1967: 탕자의 귀환 (2008년 개봉)
- 1968년: 사랑의 표정
- 1968: 커먼 터치 (셜리 스콧과 함께)
- 1968: Always Something There
- 1969: Another Story
- 1975: Stanley Turrentine (Blue Note Re-Invent Series) [2LP]
- 1978: 주빌리 하임즈 (Blue Note Jazz Classic Series) [2LP]
- 1979: 뉴 타임 셔플 (1967년 녹음)
- 1980: Ain't No Way (1968-1969년 기록)
- 1984: 직진 (Jimmy Smith와 함께)
- 1986: 원더랜드 (Stanley Turrentine Plays the Music of Stevie Wonder)
- 1989: 라 플레이스
- CTI 레코드
- 1970: 설탕
- 1971: 투렌틴과 함께 길베르토 (아스트루드 길베르토와 함께)
- 1971: 솔트 송
- 1971: 슈가맨 (1975년 개봉)
- 1972: 체리 (밀트 잭슨과 함께)
- 1973: 프레디 허바드/스탠리 투렌틴 콘서트 1권 (1974년 발매)
- 1973: 프레디 허바드/스탠리 투렌틴 콘서트 2권 (1974년 발매)
- 1973: 미스터 T를 건드리지 마라.
- 판타지 레코드
- 1974년: 꿈의 조각들
- 1975: In the Pocket
- 1975: 비를 본 적이 있는가
- 1976: Everybody Come Out
- 1976년: 슬픈 얼굴을 한 남자
- 1977: 나이트윙즈
- 1978: 웨스트 사이드 하이웨이
- 1978: 넌 어때!
- 1980: 계단 사용
- 엘렉트라 레코드
- 1979: 벳차
- 1980: 인플레이션
- 1981: Tender Togetherness
- 1982: 홈 어게인
- 기타 레이블
- 1960: Stan "The Man" Turrentine (Time Records; 그의 첫 음반, 1963년에 발매되었다가 1965년에 Tiger Tail on Mainstreament로 다시 발매)
- 1966: 렛 잇 고 (임펄스!) (셜리 스콧과 함께)
- 1970: Fliped – Fliped Out (Canyon Records, 1975년 "DJM Records"에서 "Another Fine Messes on DJM Records"로 발매, 1985년 드라이브 아카이브에서 재발매)
- 1977: Love's Found Me (Versative Records) (Gloria Lyne과 함께)
- 1992: More Than a Mood (MusicMasters) (시더 월튼, 론 카터, 빌리 히긴스 포함)
- 1993: If I Could (MusicMasters) (롤랜드 한나 경, 론 카터, 그래디 테이트와 함께)
- 1995: T 타임 (뮤직마스터즈) (케니 드류 주니어, 데이브 스트리커와 함께)
- 1995: Three of a Kind Mr. T (Minor Music) (Peter Madsen, Dwayne Dolphin, Bruce Cox와 함께)
- 1999: 설탕이 있니? (콘코드)
사이드맨으로
셜리 스콧과 함께
- 1961: 힙 소울 (프레스티지)
- 1961: 힙 트위스트 (프레스티지)
- 1963: 영혼은 기꺼이 (프레스티지)
- 1963년: 영혼의 외침 (프레스티지)
- 1964: 푸른 불꽃 (프레스티지)
- 1964년: 모든 사람이 연인을 사랑한다 (임펄스!)
- 1964: 오르간의 여왕 [라이브] (임펄스!)
- 1968: 소울 송 (대서양)
- 1978: Great Live Sessions [2LP] (ABC/Impulse!)는 1964년을 기록했다.
케니 버렐과 함께
도날드 버드와 함께
- 1964: Up with Donald Byrd (Verve)
- 1964: I'm Tryin' Trying to Get Home (블루 노트)
진 해리스와 함께
- 1985: 진 해리스 트리오 플러스 원 (콘코드)
- 1995: 진 해리스 & 필립 모리스 올스타즈: 라이브 (콘코드) (1998년 발매)
애비 링컨과 함께
호레이스 팔란과 함께
- 1960: Speakin' My Pict(블루 노트)
- 1961: 순간의 충동에서 (블루 노트)
- 1959: 그대로의 조용한 (Mercury)
- 1959: 문 페이스 앤 스타리 아이드 (Mercury)
- 1960: 당신이 살고 있는 한[살아] (엔자)
- 1960: 파리 스케치(머큐리)
지미 스미스와 함께
- 1960: 미드나잇 스페셜(파란 노트)
- 1960: 백 투 더 치킨 걸크(블루 노트)
- 1961: 기도의 만남 (블루 노트)
- 1968: 느슨한 상태 유지(Verve)
- 1982: 오프 더 탑(Elektra/뮤지션)
- 1986: Go For Watcha Know(블루 노트)
- 1990: 4most[live] (밀스톤)
- 1990: 2001년 발매된 포모스트 리턴[라이브] (밀스톤)
다른 사람들과 함께
- 조지 명예, 블루스, 나 (고 재즈, 1996)
- 로이 하그로브, With the Tenors of Our Time (Verve, 1993년)
- Freddie Hubbard, Life Flight(블루 노트, 1983년)
- 조던 공작, 조던행 비행(Blue Note, 1960)
- Diana Krall, Only Trust Your Heart (GRP, 1994년)
- 뉴욕의 Les McCann, Les McCann Ltd. [라이브] (Pacific Jazz, 1961)
- Jimmy McGriff, Electric Funk (Blue Note, 1969년)
- 데이비드 "뚱보" 뉴먼, 불이야! Live at the Village Vanguard (대서양, 1988년)
- 뉴욕 펑키즈, 힙합 밥! (Meldac [jp], 1995)과 함께 르우벤 윌슨.
- 듀크 피어슨, 더 라이트 터치 (Blue Note, 1965)
- Ike 퀘벡, Easy Living (Blue Note, 1962) – 이전에 콩고 한탄으로 출시된 일부 소재
- 디지 리스, 컴인 온! (블루 노트, 1960)
- 몽고 산타마리아, 몽고의 길 (대서양, 1970)
- 마를레나 쇼, 엘리멘탈 소울 (Concord, 1997)
- 호레이스 실버, 소울 시스터에게 세레나데(Blue Note, 1968년)
- 아트 테일러, A.T.의 딜라이트 (Blue Note, 1960)
- 토미 투렌틴, 토미 투렌틴(타임 레코드, 1960)
참조
- ^ a b c Nowlin, Rick (September 13, 2000). "Obituary: Hill District-born jazz great Turrentine dies". Pittsburgh Post-Gazette. Retrieved June 6, 2007.
- ^ a b c "Stanley Turrentine". The Daily Telegraph. September 25, 200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2-01-12. Retrieved September 26, 2018.
- ^ Huey, Steve. "Stanley Turrentine Biography & History AllMusic". AllMusic. Retrieved December 26, 2016.
- ^ a b c d e f Colin Larkin, ed. (1997). The Virgin Encyclopedia of Popular Music (Concise ed.). Virgin Books. p. 1196. ISBN 1-85227-745-9.
- ^ "NPR's Jazz Profiles Stanley Turrentine: Saxophone 'Sugar Man'". Npr.org. September 10, 2008. Retrieved June 6, 2007.
외부 링크
- Stanley Turrentine Hard Bop 홈페이지 2011년 3월 23일 접속
- Stanley Turrentine 전기 All About Jazz 2010년 1월 6일에 접속
- 무덤 찾기의 스탠리 터렌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