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키 음의 법칙
Ruki sound law루키 규칙 또는 iurk 규칙으로도 알려진 루키 음향 법칙은 인도-유럽어족, 즉 발토-슬라브어족, 아르메니아어,[1] 인도-이란어에서 일어난 역사적 음향 변화이다.이 음의 법칙에 따르면, 원래의 *s는 *r, *k, *g, *g and, *g and 및 세미보벨 *w(*u))와 *y(*i),) 뒤에 *sh(영어 "sh"와 유사한 소리)로 바뀌었다.
- *s > *sh / {*r, *w, *K, *y} _
특히, 초기 단계에는 반음반, *r 또는 슬개음 *k, *g 또는 *gʰ 뒤에 관상 시빌란트 *s가 후퇴하는 것이 포함된다.두 번째 단계에서, 시빌란트 시스템의 레벨링은 역굴절을 초래했다(cf).산스크리트어 [ []]와 슬라브어 원어), 슬라브어 및 일부 중세 인도어에서는 벨라어 *x로 후퇴한다.이 규칙은 홀거 페데르센에 의해 처음 제정되었고, 때때로 페데르센의 법칙으로 알려져 있지만, 이 용어는 발토슬라브어족의 강세에 관한 또 다른 건전한 법칙에도 적용된다.
"ruki"라는 이름은 소리의 변화를 일으킨 소리(r, u, K, i)에서 유래했다.많은 슬라브어로 '루키'라는 단어는 손이나 팔을 의미하거나 단일 형태('손의 법칙'처럼)를 의미하기 때문에 이 법칙은 기억의 법칙으로 명시된다.
언어 그룹에 대한 응용 프로그램
그 규칙은 원래 산스크리트어를 위해 만들어졌다.이것은 나중에 모든 사템 언어에서 어느 정도 유효하며 인도-이란 언어에서도 예외적으로 유효하다는 것이 제안되었다.(단, 일부 누리스타니 언어에는 적어도 한 가지 예외가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발트어 및 알바니아어에서는 다른 건전한 법률에 의해 제한되거나 다소 영향을 받습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IE 언어의 이러한 분파에서 보편적이어야 하며, 자음 앞에 슬라브어 반사가 없는 것은 오히려 다른 자매어의 반사와 합쳐지기 때문이다.
슬라브어 예외
슬라브어에서는 그 과정이 모음 앞에 규칙적이지만, 자음 앞에서는 일어나지 않는다.최종 결과는 무성개 마찰음 *x로 *sh보다 더 많이 수축됩니다.이 연수개 마찰사는 앞모음 또는 구개음 근사 *y 앞에 *sh로 다시 바뀌었다.
인도이란어 예외
인도-이란어에서는 *r과 *l이 합쳐졌고, 새로운 소리가 난 후에도 변화가 작용했습니다.Avestan karsh-, 산스크리트어 ratiष ' ' k ' karratiati 'to prough' <PIE *kelsels->[2][3]이것은[who?] 많은 학자들에 의해 후에 이란어가 슬라브조어에 영향을 미쳤다는 주장으로 인용되어 왔다.그 이론에는 명백한 결점이 있다.첫째, 두 소리는 인도-이란어의 변화를 유발했을 수 있도록 매우 가까웠을 것이다(r/l).둘째, 슬라브어로 작동하는 이러한 변화의 실제 예는 없으며, 이 변화(루키)만 있을 뿐 슬라브어로 차용된 다른 변화(예: *s > h)도 의심스럽다.
인도 이란어에서는 음절 후두음 *Hh가 *i가 되고, 이것이 루키([4][3]RUKI)의 발단이 되기도 했다.
이후 RUKI의 확장은 *s, *z가 *sh, *z로 전환된 것도 순음 정지 후 *p, *b로 전환되었으며, 인도-이란조어 *ic < PIE *>[2][5]의 2차 *s도 포함하였다.
누리스타니
또한 루키 규칙은 Nuristani에서 다음과 같은 [6][7]요인에 따라 다소 다른 동작을 표시합니다.
- 인도유럽조어 수열 *ss의 반사는 Nuristani *c([tss]로 발음)이며, 플레인 *,s의 반사와 동일하기 때문에 이 문맥에서는 RUKI의 작동에 대한 증거는 없다. 예를 들어 인도유럽조어 *h₂koscripta)를 반영하는 '곰'의 단어.roc.
- 인도유럽조어 수열 *ks와 *kʷs는 Nuristani *cc가 된다.따라서 인도유럽조어 *ksu-roo "razor"는 산스크리트어로는 kurura, 카티어로는 churi, 와이갈리어로는 chur로 나타난다.
- 누리스타니에서는 *i, *u 이후 루키법이 작동하지 않은 사례가 다수 존재한다.Heged는 이 모든 것이 PIE 어원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하고 있습니다.여기서 *us와 *is 시퀀스는 *uHs와 *iHS입니다.이것은 후두가 Ruki의 동작을 방해하고 있는 것을 의미합니다.예를 들어, PIE *muHs "mouse" > 산스크리트어 mu--, Avestan mu,, 그러나 Kati mussa, Prasun m,su는 어원이 불분명한 반면, Waigali 단어는 2차 현상에 의한 조음 변화를 나타낸다.
- 인도유럽조어 *rs와 *ls는 Nuristani *rs로 합쳐지기 때문에 *r 뒤에 실제로 Nuristani에서 Ruki와 같은 행동을 볼 수 있습니다.
알바니아어
Orel(2000:62)[8]에 따르면, 알바니아어는 제한된 RUKI와 같은 발달을 나타내며, 여기서 *s는 PIE *y, *w(음성 대응물 *i, *u 포함) 뒤에만 sh가 된다.
- lesh 'slash, fluse, hair' <*cfa, cf.슬라브어 *list ' 'leaf' < *leys-to->
- 대시 'ram' < *cfsa, cf.게르만어 *deuz << *deews-om
- 피셔 '피셔' < *피셔, cf.라틴어 pnnus 'pine' < *pi(t) snos
- prush 'ember' < *prusa, cf.라틴어 pruna 'ember' < *prusna; 산스크리트어 ploatiati 'to burn' < *prews-
이는 *rs, *ks 및 *s의 다른 모음 뒤에 나타나는 것과 다릅니다.
- djerr 'fallow land' < *dersa, cf.그리스어 '마른 땅'
- hirrer 'why' < *ksira, cf.산스크리트어 '우유
- 코허 '시간' < *카사, cf.슬라브어 *차스' 시간' <*kʷehs-eh>
그러나 알바니아인에 대한 이러한 견해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첫째, 오렐이 이 이론을 근거로 삼고 있는 문제의 단어들은 어원이 불분명하다.대쉬의 어원은 논란의 여지가 있으며, 다른 버전에서는 인도-유럽조어 *d-ehs-om이 아니라[9] *dmh의 "[10]to triming"에서 *demh-l- 또는 *demh"로 표기하고 있다.한편, 피셔는 인도유럽조어에서 전혀 계승되지 않았다고 주장되고 있다. 오히려 피셔와 그리스어와 라틴어의 발음은 사실상 기질 [11]어휘이다.Lesh는 대신 *h₂welh--"wool"로 귀속되어 라틴어 vellus와 [12]동일시된다.
한편, 루키와 유사한 규칙은 알바니아 조어의 다른 연구에 포함되지 않았다.Michiel de Vaan (2015)은 다른 수단에서 유래한 알바니아조어 *ʃ emerging를 가지고 있는데, 이것은 RUKI 법칙과 거의 유사하지 않다: 인도-유럽어 *ks는 *t 전에 * before가 되는 단순한 *s의 운명을 공유한다(Jashté "outside"와 gjashté "6"에서 발생했지만 *ks는 조건을 따르지 않았다).그는 *k보다 먼저 한다.[13]한편 *s의 발달 자체는 큰 [14]논란이 있지만, 루키와 유사한 현상에 따라 결정되었다는 오렐의 견해와는 달리, De Vaan은[13] *s가 비압축 모음 또는 인터모컬 모음에 이어졌을 때 *s가 *가 된다는 코틀란트의 관점을[15] 선호한다.
메모들
- ^ Mayer, Harvey E. (1980), "Baltic Membership in the West Satem Group", Journal of Baltic Studies, 11 (4): 356–366, doi:10.1080/01629778000000351
- ^ a b Skjærvø, Prods Oktor (2009). "Old Iranian". The Iranian Languages. Routledge. p. 49.
- ^ a b Lubotsky, Alexander (2018). "The phonology of Proto-Indo-Iranian". Handbook of Comparative and Historical Indo-European Linguistics. de Gruyter. p. 1881.
- ^ F. B. J. 카이퍼 1976년 "동이란 옛 방언"인도-이란 저널 18, 페이지 242
- ^ Cantera, Alberto (2018). "The phonology of Iranian". Handbook of Comparative and Historical Indo-European Linguistics. de Gruyter. p. 25.
- ^ 헤지스, 이렌누리스타니의 루키 규칙인도유럽어의 소리: 음성학, 음성학 및 형태음역학(코겐의 인도유럽어 연구 제4권) (2012년): 145-168.
- ^ Smith, Caley (2017). "The dialectology of Indic". 30. The dialectology of Indic. Handbook of Comparative and Historical Indo-European Linguistics. de Gruyter. pp. 417–447. doi:10.1515/9783110261288-030. ISBN 9783110261288.
- ^ Orel, Vladimir (2000), A Concise Historical Grammar of Proto-Albanian, Brill
- ^ 2006년 알바노카시카 파스토리아 알렉산다르 로마
- ^ 데미라이, 바르딜(1997년)알바니쉬 어원몰로지엔.암스테르담 - 애틀랜타: Rodopi, 1997.페이지 124-5
- ^ Beeekes R. 2010년그리스어 어원 사전[라이든 인도유럽어원사전 시리즈 10]라이든, 보스턴페이지 1198-1199.
- ^ 데미라이, 바르딜(1997).알바니쉬 어원몰로지엔.암스테르담, 애틀랜타: 로도피.238쪽.
- ^ a b De Vaan, Michiel (2015). "95. The Phonology of Albanian". In Klein, Jared; Joseph, Brian; Fritz, Matthew (eds.). Handbook of Comparative and Historical Indo-European Linguistics. De Gruyter Mouton. pp. 1745–1746.
- ^ Historische Phonologie.Stefan Schumacher와 Joachim Matzinger.디 베르벤 데 알탈바니셴벨레그뵈르터부흐, 보르헤시히테, 어원론. 비스바덴: 하라소위츠, 205-276페이지 258 ~265
- ^ 코틀란트, 프레데릭(1987년).알바니아어에서의 인도유럽어 자음의 반사.오르페우스 8 (게오르기예프 기념권): 35-37.
추가 정보
- 찰스 프레스콧입니다"독일어와 루키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