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셀 로드 (온타리오 주)

Russell Road (Ontario)

러셀 로드는 캐나다 동부 온타리오에 있는 동맥 도로다.리버뷰 근교의 오타와에서 시작하여 동쪽으로 램지빌, 칼스배드 스프링스, 베어브룩의 농촌 공동체를 거쳐 오타와에 있는 클라렌스-록랜드의 자치구를 거쳐 체니부르제의 공동체를 연결하며 클라렌스 록랜드의 동쪽 국경의 경계도로에서 끝난다.오타와에서는 공식적으로는 오타와 로드 #26, 클래런스-록랜드에서는 프레스콧 카운티 연합 카운티와 러셀 카운티 로드 #2로 되어 있다.[1]

역사

이 도로는 원래 1830년대에[2] 몬트리올까지 이어진 토착탐방로 일부에서 건설되었다.[3]19세기에는 "오타와 러셀 마카다미드 로드"[4]로도 알려져 있으며, "오타와 러셀 마카다미드 로드 컴퍼니"가 소유하고 있었다.[5]그것은 나중에 "오타와 몬트리올 & 러셀 로드 컴퍼니"가 소유하게 될 것이다.[6]칼턴 카운티 1879 아틀라스는 제인빌 마을(현재의 바니에)[7]에서 남쪽으로 도 강 동쪽 둑을 따라 허드만 다리 쪽으로 간 다음, 동쪽으로는 지금의 터미널 애비뉴를 따라 남쪽으로 돌아서 현재의 정렬에 어느 정도 연결한 도로를 보여준다.[8]

1952년경 이 지역이 오타와로 합병된 이후 제인빌(이때 이스트뷰라고 불림)에서 허드먼 다리(Hurdman's Bridge)로 가는 러셀 로드가 리버사이드 드라이브(현재의 리버로드 북부)로 개칭되었다.[9]1960년, 허드먼 다리에서 "NCC 소분업의 지긋지긋한 한계"에 이르는 러셀 로드 부분이 "터미널 애비뉴"[10]로 개칭되었다.1960년대까지 오타와 시는 러셀 로드를 "공용 고속도로"로 간주했고, 교통을 완화하기 위해 도로를 줄이는 계획을 세웠다.[2]1961년 산업단지가 세인트로 확장되자마자 산업단지의 북쪽 도로를 폐쇄할 것을 약속하는 부법이 통과되었다. 로랑 대로.[11]1965년 벨파스트 로드에서 처음 잘린 [12]뒤 1979년 이 도로를 지름길로 이용한 주민들의 항의에도 불구하고 산업에서 일시적으로 잘렸다.[11]이 구간은 마침내 1980년에 폐쇄되었다.[13]러셀 로드와 스미스 로드, 세인트 로랑 대로의 교차점은 1976년에 재정비되었다.[14]더 동쪽, 1970년대 중반 램지빌을 거쳐 417번 고속도로가 완공된 후, 러셀 로드는 고속도로에 의해 두 갈래로 갈라졌다.분기점이란 러셀 로드가 고속도로 남쪽에 있는 베이스라인 로드(현재의 램지빌 로드)에서 끝나도록 우회되어 고속도로 북쪽에서 다시 시작하게 된다는 것을 의미했고, 새로운 고속도로 아래에서 다리가 교통을 빼앗는다.[15]러셀 로드는 1990년대 중반 호손 로드가 러셀과 워크리 로드의 교차점까지 북쪽으로 확장되면서 최종 재편성에 직면했다.월클리의 남쪽 러셀 로드의 부분은 따라서 호손과 새로운 교차로로 우회되었다.[16]

이러한 교차로 변경으로 도로가 4부분으로 갈라졌다.요컨대, 러셀 로드는 현재 리버뷰 근교 변두리의 인더스트리얼 애비뉴에서 시작하여 남동쪽으로 운행하다가 스미스로드에서 끝난다.이 도로는 세인트 로랑 대로에서 엘름발 쇼핑 센터 근처에서 다시 시작되어 호손 로드가 될 때까지 남쪽으로 이어진다.러셀을 계속 돌려면 좌회전해야 한다.러셀 로드의 이 부분은 램지빌 지역 사회로 이어져, 램지빌 로드는 거기서 끝난다.러셀 로드를 계속 가려면 램지빌 로에서 좌회전해서 417번 고속도로를 건너서 우회전해야 한다.이때 러셀 로드는 오타와 시를 떠나기 전 베어브룩 칼스배드 스프링스 지역사회를 통해 동쪽으로 이어진다.그리고 나서 그것은 클라렌스-록랜드 시의 체니와 부르제의 공동체를 통과한다.

러셀 로드는 417번 고속도로가 건설되기 전 서쪽의 오타와와 동쪽의 부르겟에서 온타리오주 러셀까지 가는 노선으로 여행자들에 의해 사용되었기 때문에 이름이 붙여졌다.러셀 로드는 대부분의 길이로 시골 지역을 통과한다.온타리오주 러셀은 캐나다 상부의 정부 관료이자 노예 무역가인 피터 러셀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17]

경로 설명

산업에서 스미스로 이어지는 러셀 로드의 구간은 1.3km의 2차선 수집가로 리버뷰 인근 동쪽 가장자리를 관통하고 있다.이 부분의 주소는 북쪽의 1636년 러셀과 남쪽의 1929년에 시작한다.일반적으로 거리의 서쪽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주택이 있는 반면 동쪽은 스미스에 더 가까운 동쪽에는 주택이 있지만 상업적이다.[18]이 섹션의 편의시설로는 펄리와 라이도 베테랑의 건강센터(1720–1780), 러셀 하이츠 오타와 커뮤니티 하우징(1761–1803), 러셀 스미쓰 하이츠 아파트(1825), 러셀 매너 오타와 커뮤니티 하우징(1909) 및 스미쓰 메디컬 센터(1929)가 있다.

워크리와 호손 사이의 러셀 로드

러셀 로드의 두 번째 구간은 첫 번째 구간 종점에서 남동쪽으로 약 370m 떨어진 곳에서 시작된다.이 틈새에 1990년 러셀 주소가 적힌 건물이 하나 남아 있는데, 스미스와 세인트로랑 모퉁이에 스트립 몰이 있다.러셀의 두 번째 구간은 세인트 로랑 대로와의 교차로에서 남동쪽으로 더 멀어질 때까지 시작되지 않고 세인트 로랑은 그 교차로에서 새로운 구간을 시작한다.호손의 남쪽으로 길이 이어지는 호손 로드와 비슷한 교차로에서 끝나 러셀의 새로운 구간이 시작된다.이 구간은 길이가 약 1.8km이며, 서쪽의 호손 메도우와 동쪽의 셰필드 글렌의 인접 지역을 구분한다.이 구역의 주소는 2080년에 시작해서 2400에 끝난다. 2080 러셀은 러셀 가든으로 알려진 또 다른 공공 주택 프로젝트다.[19]이 부문의 다른 편의시설로는 호손 유나이티드 교회(2244)와 네 번째 공공주택 프로젝트인 연방법원(2282)이 있다.[20]세인트 로랑과 워크리 사이에서 러셀은 대부분 왕복 2차선 도로다.1970년경에 지어진 거리 서쪽에는 주택 사업 외에도 일반 주택도 있다.[18]Walkley와 Hawthorne 사이의 짧은 구간은 4차선 분할된 동맥 도로다.

러셀의 세 번째 구간은 호손에서 시작하여 램지빌 로드에서 끝나며, 3.7km를 달린다.그것은 대부분 도시 교외 가장자리에서 시작하여 남동쪽으로 시골로 향한다.이 세그먼트의 주소는 2434에서 시작하여 4397에서 종료된다.편의시설로는 윌리엄 E가 있다.헤이 센터, 청소년 수용소[21](2464), 세인트 조지 호손 묘지(3970), 램지빌 묘지.러셀은 이 구간에서 2차선 동맥 도로다.대부분 시골이지만, 헌트 클럽 북쪽에는 몇 개의 산업 시설이 있다.

러셀의 네 번째 구간은 램지빌 지역 공동체의 램지빌 로드에서 세 번째 구간이 끝난 곳에서 북쪽으로 730m 떨어진 곳에서 시작된다.이 구간은 오타와로26번으로 서명되어 있다.이 세그먼트의 주소는 4610에서 시작한다.이 도로는 동쪽으로 5km 떨어진 후 레이트림 로드와 합류한다.이 도로는 1.5km를 더 달린 뒤 칼스배드 스프링스 지역 공동체의 북쪽 가장자리에서 다시 라이프림에서 갈라진다.베어브룩 위에 놓인 다리 근처에는 러셀의 옆면에는 공동체의 역사를 상세히 묘사한 역사적 명판이 걸려 있다.[22]레이트림 Rd에서 경계 도로의 칼스배드 스프링스 중심까지 2.9km 입니다.러셀 로드는 이후 더닝 로드와의 교차로에서 베어브룩 커뮤니티까지 동쪽으로 10.3km를 이동한다.베어브룩은 8720 러셀에 있는 베어브룩 커뮤니티 홀과 트리니티 성공회 베어브룩(875)이 있는 곳이다.베어브룩에서 동쪽으로 5.4km를 이동하며 가나안 로드에 오타와 시가 한계에 도달해 클라렌스-록랜드 시에 2번 국도로 진입한다.오타와시의 러셀에 대한 마지막 주소는 9999번이다.[18]

클라렌스-록랜드에 들어서면 국경에서 동쪽으로 2.2km 떨어진 곳에서 다시 시작하는 주소가 체니 부통령의 공동체로, 러셀은 드루인 로드와 교차한다.그 후 러셀 로드는 마실 로드로 5.9km를 이동하며 버겟의 라발 스트리트로 바뀐다.그 길을 따라 세인트루이스를 지나간다. 프란시스 자비에 카톨릭 고등학교 1235 러셀.러셀 로드는 라발 가(街)로 2.6km를 지나 라벨 로드/슈누프 가(街)와 교차하면서 다시 시작된다.이후 부드로가 되면 알프레드, 플랜타게넷과의 국경까지 동쪽으로 4km를 이동한다.

참조

  1. ^ 온타리오 로드 아틀라스, 2011년판, MapArt 출판사, 페이지 66–67
  2. ^ a b "Link Needed to Close Russell Road". Ottawa Citizen. May 16, 1961. p. 3. Retrieved April 24, 2020.
  3. ^ "In Search Of The Lost Spring Of Carlsbad Springs OTTAWA REWIND".
  4. ^ "A splendid market garden..." Ottawa Daily Citizen. April 24, 1872. p. 2. Retrieved April 24, 2020.
  5. ^ "Ottawa and Russell Macadamized Road Company". Ottawa Daily Citizen. November 28, 1872. p. 3. Retrieved April 24, 2020.
  6. ^ "County Council". Ottawa Daily Citizen. January 24, 1877. p. 1. Retrieved April 24, 2020.
  7. ^ Carleton 카운티의 역사 지도책, 1879년, 페이지 46
  8. ^ Carleton 카운티의 역사 지도책, 1879년, 페이지 46
  9. ^ "Junior Net Cards Available Now". Ottawa Citizen. July 5, 1952. p. 28. Retrieved April 24, 2020.
  10. ^ "Street Names Changed". Ottawa Citizen. March 30, 1960. p. 5. Retrieved April 24, 2020.
  11. ^ a b "Closing Russell Rd. via 1961 bylaw irks new generation". Ottawa Citizen. December 6, 1979. p. 4. Retrieved April 24, 2020.
  12. ^ "Public Notice". Ottawa Journal. December 31, 1964. p. 34. Retrieved April 24, 2020.
  13. ^ "St. Laurent bypass blocked". Ottawa Journal. February 29, 1980. p. 3. Retrieved April 24, 2020.
  14. ^ "Dial Be Heard". Ottawa Journal. October 25, 1975. p. 49. Retrieved April 24, 2020.
  15. ^ "Public Noitce". Ottawa Journal. April 19, 1973. p. 68. Retrieved April 24, 2020.
  16. ^ "Regional Government Meetings at Ottawa-Carleton Centre". Ottawa Citizen. November 12, 1995. p. A9. Retrieved April 24, 2020.
  17. ^ 이름만: 온타리오 카운티 타운쉽 명칭의 유래에 관한 연구, 49, 50페이지
  18. ^ a b c 거오타와
  19. ^ "Apartments For Rent at Russell Gardens".
  20. ^ "Townhouses at Confederation Court".
  21. ^ "Youth Services Bureau of Ottawa, Ottawa - No Physical Address, William E. Hay Centre - Youth Detention Centre".
  22. ^ "Carlsbad Springs Historical Plaque".

경로 지도:

KML은 위키다타에서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