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부킹

Scrapbooking
빈티지 스크랩북

스크랩부킹(scrapbooking)은 개인 및 가족사를 책이나 상자, 카드 형태로 보존, 제시, 정리하는 방식이다. 대표적인 기념품으로는 사진, 인쇄매체, 미술작품 등이 있다. 스크랩북 앨범은 종종 장식되고 종종 광범위한 저널 항목이나 서면 설명을 포함하고 있다. 스크랩부킹은 19세기에 영국에서 시작되었다.

역사

15세기 영국에서 유행한 평범한 책은 레시피, 인용문, 편지, 시 등을 포함한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으로 등장했다. 각각의 평범한 책은 창작자의 특별한 관심사에 독특했다. 우정 앨범은 16세기에 인기를 끌었다. 이 앨범들은 친구나 후원자들이 앨범 주인의 요청에 따라 그들의 이름, 제목, 짧은 글이나 삽화를 입력하는 현대의 연감처럼 많이 사용되었다. 이 앨범들은 종종 유럽 투어의 기념품으로 만들어졌고, 무장을 포함한 지역 기념품이나 지역 장인들이 의뢰한 예술품들이 들어있을 것이다.[1] 1570년부터 베네치아 의상이나 카니발 장면 등 인기 장면을 담은 컬러 플레이트를 접목하는 것이 유행하게 되었다. 이것들은 오리지널 작품에 비해 저렴한 옵션을 제공했고, 따라서 이 판들은 특정 행사를 기념하거나 기록하기 위해 판매된 것이 아니라, 특히 앨범의 장식으로 판매되었다.[1] 1775년 제임스 그레인저는 책 끝에 몇 장의 빈 페이지가 있는 영국의 역사를 출판했다. 그 페이지들은 그 책의 주인이 자신의 기념품으로 그 책을 개인화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2] 판화, 석판화, 기타 삽화를 책에 붙이거나 심지어 책을 분해하여 새로운 물질을 삽입하고 재봉쇄하는 관행은 과대광화 또는 분쇄화라고 알려지게 되었다.[2] 또한, 우정 앨범, 고백 앨범, 그리고 학교 졸업앨범들은 18세기와 19세기의 소녀들에게 그들의 문학적 능력을 공유할 수 있는 배출구를 제공했고, 소녀들은 이전에 그들에게 쉽게 구할 수 없었던 그들만의 개인화된 역사적 기록을[3][4] 기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스미스 대학 학생의 스크랩북의 한 페이지 1906년경. 이 페이지는 그림, 에페메라, 그리고 물리적인 물체를 사용하여 학생의 삶에서 하루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세기가 바뀔 무렵의 대학생 여성들은 학생으로서 그들의 일상 생활을 표현하기 위해 스크랩북을 광범위하게 사용했다. 이런 인생 행사의 이미지를 제공하는 사진 앨범이 없다면, 학생들은 후각과 기념품을 사용하여 자신의 삶을 설명하기 위해 스크랩북을 통해 독특한 표현을 만들어냈다. 손님 명단이나 방문 카드 그룹은 젊은 여성의 파티 방문을 대표할 수 있다. 연극 광고지와 티켓 스텁은 브로드웨이 쇼를 보러 뉴욕으로 갔던 것을 상기시켜주는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식물, 은그릇, 작은 장신구 같은 고체 물체도 시각적 표현이 더 필요할 때 사용되었다.

이러한 과목 기반 스크랩북의 한 페이지에는 수업 시간표, 시험 책자, 교수로부터의 편지 또는 학교 행사에서 인쇄된 기타 자료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이 시대의 스크랩북은 제작자의 삶에 대한 보다 완전한 이미지를 만들어낼 수 있다.[5]

19세기 동안 스크랩 부킹은 저널링이나 다른 쓰기 기반 형태의 벌목보다 자신의 경험을 보존하는 더 중요한 방법으로 여겨졌다. 값싼 신문, 방문 카드, 놀이 기구, 팜플렛과 같은 인쇄물은 19세기 동안 널리 유통되었고 종종 사람들의 스크랩북의 주요 구성요소가 되었다.[5] 산업화 사회의 성장과 병행하여 이러한 종류의 후각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그것들을 분류하고 보존하는 방법에 대한 요구가 생겨났다. 조리법이나 쿠폰, 기타 목록만 분류하는 스크랩북도 이 시기에 흔했던 이유다. 19세기 후반까지 스크랩북은 미적으로 보기 좋을 뿐만 아니라 기능적으로도 훌륭했다.[6] 마케팅 전략과 기술 진보를 포함한 몇 가지 요인들은 스크랩 부킹이 수년에 걸쳐 미적인 면을 향해 더 나아가는 이미지에 기여했다.

현대 사진의 등장은 1826년 조셉 니에프체(Joseph Nicéphore Niépce)가 만든 최초의 영구적인 사진에서 시작되었다.[7] 이것은 보통 사람들이 사진을 스크랩북에 포함시키기 시작할 수 있게 했다. 그러나 사진만을 전시하기 위해 특별히 제작된 책이나 앨범은 1860년이 되어서야 미국에서 대중화되었다. 그 전에는 사진을 복제하고 공유해야 할 항목으로 생각하지 않았다. 사진 앨범에 대한 수요는 방문 카드와 같은 방식으로 배포된 작은 사진인 카르테 비사이트의 인기가 높아짐에 따라 상당 부분 고무되었다.[6]

1906년경 사진첩의 한 페이지. 이 앨범의 페이지와 색상은 특히 사진 전시용으로 만들어졌다. 이 앨범의 주인은 그녀의 대학 캠퍼스와 총장직을 대표하기 위해 그녀의 사진을 정리했다.

오래된 스크랩북에는 포토마운트 코너와 사진 속 인물이나 사진 촬영 장소 및 시기에 대한 메모가 있는 사진이 있는 경향이 있었다. 그들은 종종 신문 스크랩, 편지 등과 같은 약간의 기념품을 포함했다. 초기에 알려진 미국의 스크랩 부커이자 스크랩 부킹 물자의 발명가는 마크 트웨인이었다. 트웨인은 기념품과 오려낸 사진들을 수집하면서 여행에 스크랩북을 들고 다녔다.[8][9][10]

약 1795년부터 1834년까지의 우정 스크랩북 예

다음의 사진들은 1795년과 1834년 사이에 영국 여성인 앤 바그너가 보관한 "우정의 기억" 스크랩북의 일부 페이지를 보여준다. 그녀는 시인 Percy Bysshe Shelley와 같은 사교계에 속해 있었다. 앤 바그너의 스크랩북에는 친구나 친척들의 기고뿐 아니라 그녀가 만든 페이지들도 포함되어 있다. 스크랩북에는 손으로 쓴 시와 친구들과 친척들이 남긴 노트, 머리 자물쇠 같은 에피메라, 장식용 종이 조각, 리본, 디테일한 수채화 스케치 등이 담겨 있다.

모던 스크랩부킹

이 동영상은 새롭고 현대적인 스크랩북을 위한 페이지를 만드는 방법을 보여주는 예다.

미국 유타주 엘크리지 마리엘렌 와들리 크리스텐슨('매리 엘렌'이라는 이름)은 스크랩 부킹을 옛날 취미에 불과했던 것에서 스크랩 부킹 용품의 제조와 판매에 특별히 전념하는 사업을 포함한 실제 산업으로 바꾼 공로를 인정받고 있다. 그녀는 완성된 페이지를 3링 바인더로 모은 시트 프로텍터에 넣으면서 가족들의 사진 추억을 위한 창의적인 페이지를 디자인하기 시작했다. 1980년까지 그녀는 50권이 넘는 책을 모아 솔트레이크시티에서 열린 세계기록회의에 초대되어 전시되었다. 1981년 마리엘렌과 그녀의 남편 앤서니 제이(A.J.)는 '기억을 살려라'라는 소책자를 저술하고 출판했으며, 스페인 포크에 스크랩북 매장을 열었는데, 결국 같은 이름으로 끝나 오늘날에도 영업을 계속하고 있다.[11][12]

사진의 다양한 용도를 보여주는 디지털 스크랩북 레이아웃

취미생활은 추억을 보존하는 것 외에도 스크랩부킹이 제공할 수 있는 강력한 소셜네트워크로 인기가 높다.[13] "스크래퍼" 또는 "스크래퍼"로 알려진 취미 활동가들이 모여서 서로의 집, 지역 스크랩북 가게,[14] 스크랩북 컨벤션, 휴양지, 그리고 심지어 유람선에서도 스크랩북을 한다.[15] 인쇄된 사진을 자르거나 다듬는 것을 가리키는 'crop'이라는 용어는 이러한 사건들을 묘사하기 위해 만들어졌다.[16]

'기억을 살려두다'(원래는 옆 작은 건물에 있었고, 초기에는 별관이라고 이름 붙여진 곳)의 주도로 다른 많은 가게들이 생겨나 스크랩부킹 커뮤니티에 맞춘다. 이 상점들은 모든 스크랩 부커들의 요구에 필요한 많은 도구들을 제공한다. '추억을 살아있게 하는 것' 외에도, Creative Memory, Making Memory, Stampin' Up!, 그리고 Close to My Heart와 같은 회사들이 있다.

스크랩부킹 산업은 2001년과 2004년 사이에 2배 증가한 25억[17] 달러로 2003년까지 1,600개 이상의 회사들이 스크랩부킹 제품을 만들었다. 1987년에 설립된 스크랩부킹 용품의 국내 판매점인 크리에이티브 메모리는 2004년에 소매 판매에서 4억 2,500만 달러를 기록했다.[18] 크리에이티브 메모리스의 모회사는 2013년 11장을 제출했고 트윈시티 지역에서 가장 큰 빚을 지고 파산했다.[19]

구글 트렌드에 따르면 스크랩북과 스크랩북 관련 검색어는 20052006년 정점을 찍은 이후 70%가 줄었다.[20] 하지만, 그 감소가 산업 전체의 건강과 미래에 무엇을 의미하는지 기억력을 유지하는 일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커뮤니티에서는 많은 논쟁이 있다. 분명한 것은 경제현안과 소셜미디어의 영향, 디지털 공유의 용이성 등 여러 세력으로 인해 전통적인 스크랩북이 다시 한번 과도기에 접어들었다는 점, 전통 스크랩북이 나이든 여성들을 위한 것이라는 고정관념에 대한 거부감 등이 분명해 보인다. 그러나 자세히 들여다보면 여기서 정의한 전통적인 스크랩부킹의 정의에 엄격히 속하지 않더라도 기억을 계속 유지하는 모든 방법을 쉽게 볼 수 있다.

몇몇 예로는 EK Successful이 만든 스매시 책의 등장을 들 수 있는데, 어떤 면에서는 메멘토를 저널링하고 접착시킬 수 있는 빈 인쇄 배경지로 구성된 다양한 크기의 철사로 묶인 책이라는 점에서 원본 스크랩북에 더 가까운 표현이다.[21]

베키 히긴스가 만들고 도입한 프로젝트 라이프(Project Life)로 가장 잘 알려지고 대표되는 포켓 스크랩부킹의 도입과 성장도 변주곡이다. 히긴스는 자신의 자녀와 가족의 삶을 계속 기록하고 싶은 개인적인 욕구에 대응하여 시스템을 만들었지만, 프로젝트를 완성할 수 있는 융통성을 부여하면서도 여전히 매력적이고 화합적인 방식으로 시스템을 만들었다.[22]

스크랩부킹의 최신 트렌드 중 하나는 배치 디자인을 훨씬 더 작은 크기로 축소하는 것이다.[citation needed] 이동 중에 작은 가방을 들고 다닐 수 있을 만큼 작은 크기, 그리고 창의성과 기억력을 유지할 수 있는 영역. 전통적인 여행자수첩은 밴드가 달린 간단한 가죽 커버로 닫혀 있다. 이 커버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는 6개의 삽입물을 담을 수 있다. 그 노트북은 인기가 높아져서, 어떤 관심사에 대해서도 저널링과 기억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되었다.

미니 앨범은 기억력을 유지하는 또 다른 좋은 방법이자 스크랩북의 새로운 트렌드다. 앨범 안에 넣을 사진 수에 따라 다른 크기로 만들 수 있다. 이 미니 앨범들은 만들 수 있고 처음부터 직접 만들 수 있다.

미디어

자재

디지털 스크랩북 키트의 예

가장 중요한 스크랩부킹 공급품은 앨범 자체로 영구적으로 묶거나 페이지 삽입을 허용할 수 있다. 미니 앨범과 아코디언 스타일의 접이식 앨범과 같은 다른 형식들이 있다. 이들 중 일부는 성냥, CD 케이스 또는 기타 작은 홀더와 같은 다양한 용기에 부착되어 있다. 스크랩 아티스트들이 "페이지"에서 벗어나 다른 표면과 목표들로 이동하기 시작했을 때, 그들은 이러한 창작물을 "변경된 품목"이라고 부르거나 이제는 단순히 "오프 더 페이지"라고 불렀다. 이 운동은 루이스 네벨슨이 발견한 물건과 재활용 부품을 가지고 "어셈블리"를 하던 1960년대부터 예술의 역사로 거슬러 올라간다.

현대의 스크랩부킹은 주로 12인치(30cm) 정사각형 또는 글자 크기(US Letter (8.5 X 11인치) 또는 A4 (210 X 297mm) 페이지에 이루어진다. 최근에는 소규모 앨범이 인기를 끌고 있다. 가장 일반적인 새로운 형식은 6, 7 또는 8인치(15, 17.5 또는 20cm) 정사각형이다. 많은 스크래퍼들에게 분명한 페이지 보호기로 그들의 페이지를 보호하는 것은 중요하다.

다양한 스크랩 예약 재료 및 공구

기본 재료로는 배경지(인쇄지 및 카드스톡지 포함), 사진 코너 마운트(또는 접착점, 사진 장착 테이프 또는 무산 접착제 등 기타 사진 장착 수단), 가위, 종이 트리머 또는 절단 공구, 아트 펜, 저널링용 아카이브 펜, 장착 접착제(온도택 등) 등이 있다. 보다 정교한 설계에는 다이컷 템플릿, 고무 스탬프, 공예 펀치, 스텐실, 잉킹 공구, 아이틀렛 세터, 열 엠보싱 공구 및 개인 다이컷 기계와 같은 보다 전문화된 도구가 필요하다. 스크랩 부킹을 즐기는 사람들은 "fancy" 텍스처 가위와 함께 언급된 도구를 사용하여 자신만의 배경지식을 만들 것이다.

스크랩북 페이지를 장식하기 위해 "선물"이라고 불리는 다양한 액세서리가 사용된다. 장식물로는 스티커, 루브온, 우표, 아이릿, 브라드, 다양한 모양의 칩보드 요소, 알파벳 문자, 레이스, 와이어, 직물, 구슬, 세핀, 리본 등이 있다. 최근 몇 년 동안 드래그 나이프를 가진 플로터를 닮은 다수의 전자 다이 커팅 기계가 시장에 출시되었다(예를 들어, 다이 커트 기계의 사용도 점차 인기를 끌고 있다). 크립토(Critt))는 무료 또는 타사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스크래퍼들이 어떤 형태나 글꼴에서든 다이컷을 만들기 위해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스크랩북 제조업체들은 또한 스크랩북을 "결정"하기 위해 잡지 스크랩을 사용할 것이다.

현대 스크랩부킹의 핵심 구성 요소 중 하나는 공급품의 보관 품질이다. 사진과 저널링을 원래 상태로 보존하기 위해 고안된, 대부분의 심각한 스크랩북 작성자들이 권장하는 자료들은 상업적으로 구할 수 있는 많은 전형적인 사진 앨범의 자료들보다 더 높은 품질을 가지고 있다. 스크래퍼는 무산, 무연산 종이, 스탬프 잉크, 엠보싱 파우더를 고집한다. 또한 색소 기반 잉크를 사용하는데, 색소 기반 잉크는 페이드 저항성이 있고, 색소가 빠르고, 방수가 잘 된다. 많은 스크래퍼들은 스크랩북에 사용된 기념물에 있는 산으로부터 사진을 보호하는 완충지를 사용한다. 오래된 "자석" 앨범은 산성이 없어 그 안에 포함된 사진과 기념품에 손상을 입힌다. 장갑 또한 손에 묻은 기름으로부터 사진을 보호하는 데 사용된다.[23]

국제 표준인 ISO 18902는 앨범, 프레임 및 저장 재료에 대한 요구사항을 통해 스크랩 부킹에 안전한 재료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을 제공한다. ISO 18902에는 무산 재료에 대한 광 안전 및 특정 pH 범위에 대한 요건이 포함된다. ISO 18902는 폴리염화비닐(PVC)과 셀룰로오스 질산염 등 유해물질 사용을 금지하고 있다.

디지털 스크랩부킹

스캐너, 데스크톱 출판, 페이지 레이아웃 프로그램, 고급 인쇄 옵션의 등장으로 디지털 형태로 전문적으로 보이는 레이아웃을 비교적 쉽게 만들 수 있게 되었다. 인터넷은 스크랩북 판매자들이 그들의 작품을 스스로 출판할 수 있게 해준다. 디지털 이미지 형태로 완전히 존재하는 스크랩북을 "디지털 스크랩북" 또는 "컴퓨터 스크랩북"[24]이라고 한다.

수많은 디지털 "재료"의 사용을 보여주는 디지털 스크랩북 레이아웃

어떤 사람들은 책 페이지에 붙이는 실제 유물의 물리적 특성을 선호하지만, 디지털 스크랩부킹 취미는 최근 몇 년간 인기를 끌고 있다.[25] 자료의 다양성 확대, 환경 영향 감소, 비용 절감, 인터넷상에서 더 쉽게 완성된 페이지를 공유할 수 있는 기능, 영구적인 조정 없이 다방면으로 페이지 요소를 조작하는 실험을 하는 이미지 편집 소프트웨어의 사용 등이 장점이다.[26] 전통적인 스크랩북 레이아웃은 가장자리가 찢어진 배경지를 사용할 수 있다. 물리적인 페이지는 한 번만 찢어도 결코 복원될 수 없는 반면, 디지털 페이지는 쉽게 찢어지고 벗겨질 수 있어 스크랩북은 소모품을 낭비하지 않고 다른 모습을 시도할 수 있다. 일부 웹 기반 디지털 스크랩북에는 사용자가 풍부한 시각적 경험을 할 수 있도록 다양한 벽지와 배경이 포함되어 있다. 각 용지, 사진 또는 장식은 문서의 자체 레이어에 존재하며, 재량에 따라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27]

더욱이 디지털 스크랩부킹은 디지털 저장장치와 디스플레이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많은 디지털 스크래퍼들이 스크랩북 앨범에 저장하기 위해 완성된 레이아웃을 인쇄한다. 다른 사람들은 유품으로 저장하기 위해 하드 바운드 책으로 전문적으로 인쇄된 책을 가지고 있다. 전문 인쇄 및 바인딩 서비스는 전문 레이아웃과 개별 레이아웃 기능을 갖춘 스크랩북을 제작할 수 있는 무료 소프트웨어를 제공한다. 통합 디자인 및 주문 워크플로우 덕분에 실제 하드커버 바인딩된 도서를 보다 비용 효율적으로 제작할 수 있다.

초기 디지털 스크랩북은 외부 사이트에 업로드된 디지털 사진에서 만들어졌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것은 사진을 정리하고 디지털 스크랩북을 만드는 데 도움을 줄 개인용 컴퓨터에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하는 모델로 이동했다. 웹 2.0 기능이 성장함에 따라 PC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하고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피하기 위해 디지털 스크랩 부킹이 다시 온라인으로 전환되고 있다. 저렴한 온라인 스토리지(예: Amazon의 S3 서비스)의 가용성과 사전 업로드된 온라인 앨범(예: Yahoo의 Flickr)을 활용하려는 욕구는 사용자가 직접 온라인으로 디지털 스크랩북을 작성하는 것을 더욱 편리하게 해준다. 인쇄 온 디맨드 이행은 그러한 디지털 스크랩북이 기존의 스크랩북을 효과적으로 대체할 수 있도록 한다.

디지털 스크랩부킹은 디지털 스크랩북 레이아웃이 웹 기반 소프트웨어를 사용해 온라인을 통째로 이용할 수 있을 정도로 발전했다. 사용자는 사진을 업로드하고 웹 페이지와 디지털 스크랩북 그래픽을 사용하여 디지털 스크랩북 레이아웃을 만든다. 그런 다음 레이아웃은 웹에서 공유하기 위한 저해상도 JPEG 파일이나 인쇄를 위한 고해상도 JPEG 파일로 다운로드할 수 있다.

농작물.

스크랩부킹 작물(또는 "Crops")은 2명 이상의 스크랩부서가 모여 책, 카드 또는 다른 프로젝트에서 소셜 서클에서 일하는 행사다. 사회적으로 성행하던 옛 퀼팅 벌과 비슷하지만, 오늘날 '크롭'으로 대체되었다. 참석자들은 특정 물자를 직접 가져와 프로젝트 작업을 하고 때로는 스크랩 부킹의 추가 필요를 구매하기 위해 이러한 행사에 벤더가 참여하기도 한다. 이러한 이벤트 아이디어는 공유되고, 서로 기술을 가르치고, 사용된 제품(예: 실루엣 & 크래커트와 같은 절단 기계)에 대해 배우고, 참석자들은 스크랩북, 카드 또는 달성해야 하는 프로젝트를 작업하기 위해 몇 시간에서 며칠의 중단 없는 시간을 갖는다. 이벤트는 비공식적으로 자신의 집, 교회 홀 또는 호텔에서 며칠 동안 호텔에서 묵고 수십에서 수백 명의 참석자와 함께 호텔의 큰 볼룸 또는 회의실에서 근무하는 대규모 참석 작물에 대한 미팅룸이 있는 장소에서 계획된다. 이벤트에 대해 배우는 방법 중 일부는 주로 입소문, 소셜 미디어, 커뮤니티 게시물을 통해 배운다.

산업통계

스크랩북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것은 족보에 대한 열정이 새롭게 나타난 때문이라고 보는 이도 있고, 사진이나 그래픽 디자인에 관심이 있는 이들의 배출구라는 의견도 있다.

스크랩 부킹에 관심이 있는 증거를 위해 다음 사실을 고려하십시오.[citation needed]

  • 미국에서만 4백만 명 이상의 여성들이 자신을 스크랩북으로 여긴다.[citation needed]
  • 미국의 모든 여성의 4% 이상이 전통적인 스크랩 부킹을 한 적이 있다. 수백만 명의 다른 사람들은 사진책의 다양한 면을 하지만 스크랩북은 아니다.[citation needed]
  • 스크랩부킹은 공예 및 취미 산업에서 가장 큰 범주 중 하나이며, 현재 국내에서 세 번째로 인기 있는 공예로[by whom?] 간주되고 있다. 1996년부터 2004년까지 스크랩부킹 제품의 판매는 미국 전역에서 증가했다. 2005년, 많은 백년 간 두 배로 성장한 후 처음으로 연간 매출이 감소하였다. 2006년부터 2010년까지 전통적인 스크랩북 판매는 감소했고, 디지털 형태의 스크랩북은 성장했다. 2010년 전통적인 스크랩부킹 매출은 2005년 약 25억달러를 정점에서 연간 약 16억달러로 감소했다.[28]

같은 기간 동안 독립 스크랩부킹 매장의 수는 최고 4,200개에서 약 1,200개로 감소했다. 스크랩부킹 제조업체 수도 같은 기간 800개에서 250개[citation needed] 이하로 감소했다.

공통 숙어

저널링

사진, 티켓, 엽서, 그리고 다른 기념품들의 수집 외에도, 저널링은 종종 현대 스크랩북의 주요 요소다. 저널링은 스크랩북 페이지에 있는 사진을 설명하거나 설명하거나 악센트를 붙이는 텍스트다. 현대의 저널링은 많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것은 반사적이고 이야기같을 수도 있고, 보고적인 어조를 취할 수도 있고, 단순히 단어 목록이 될 수도 있다.[29] 저널링에는 노래 가사, 인용문, 시 등도 포함될 수 있다. 저널링의 가치는 그것이 그렇지 않으면 보존되지 않을 수 있는 가족사에 대한 계정을 제공한다는 사실에 있다.

많은 사람들은 저널링을 스크랩북의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여긴다.[30] 저널링은 개인적인 선택이고 그것은 사건, 사진 또는 감정과 관련된 것을 묘사할 수 있다. 손으로 쓴 일기장은 후세에 귀중한 것으로 간주되는 일부 스크랩북 작가들에 의해 가장 잘 여겨지지만, 많은 사람들은 손으로 쓴 글씨를 컴퓨터로 저널링하여 송아지, 테이프, 리본, 종이를 포함한 다양한 표면에 인쇄한다.

스케치

스크랩북은 때때로 페이지의 영감을 위한 스케치를 언급할 것이다.[citation needed] 스케치는 사진, 제목, 저널링 및 장식을 배치할 위치를 보여주는 손으로 그린 레이아웃이다. 그것은 초보 스크랩북들이 레이아웃의 균형을 제대로 맞추지 못하면 시작할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한다. 스크랩북은 그들이 선택한 방식으로 스케치를 해석할 수 있다; 그것은 당신이 스크래퍼 블록을 가지고 있을 때 좋은 출발점이다. 많은 스케치북이 출판되어 왔고 스크랩북 잡지들은 항상 스케치를 그들의 내용의 일부로 제공한다.[original research?]

참고 항목

참조

  1. ^ Jump up to: a b Katritzky, M. A. "The Art of Commedia: Commdia Dell'Arte 1560-1620에 관한 연구, 2006년 로도피 출판사
  2. ^ Jump up to: a b 터커, S, Ott, K, Buckler, P, "The Scrapbook in American Life", 2006, 템플 대학교 출판부
  3. ^ "Ohio Historical Society - Tips on Preserving Your Scrapbook".
  4. ^ Greer, J. "미국의 소녀와 읽고 쓰는 능력: 현재를 바라보는 역사적 관점", 2003, ABC-CLIO
  5. ^ Jump up to: a b 가비, H. 옥스퍼드 대학 출판부, 2013년 "가위로 쓰기: 남북전쟁에서 할렘 르네상스에 이르는 미국 스크랩북"
  6. ^ Jump up to: a b 보스마이어, S, "The Scrapbook in American Life" 2006, 템플 대학교 출판부
  7. ^ Marien, Mary Warner (2006). Photography: A Cultural History. Laurence King Publishing. ISBN 0-8109-0559-0.
  8. ^ "Mark Twain's Interactive Scrapbook". The Atlantic. Retrieved 7 August 2015.
  9. ^ "Celebrity Invention: Mark Twain's Scrapbook". PBS. Retrieved 7 August 2015.
  10. ^ "What was Mark Twain's Most Profitable Book?". Patentplaques.com. Retrieved 7 August 2015.
  11. ^ Jarvik, Elaine (1997-04-23). "Memories & mementos". Deseret News. p. C1. [P]eople trace scrapbooking's early beginnings to Marielen Christensen, a Spanish Fork homemaker who began in the mid-1970s to research ways to better preserve family records and memories. ... When Christensen discovered sources for more durable materials and acid-free papers and glues, she began to spread the word, first at the World Conference on Records in 1980 in Salt Lake City and later at BYU Education Week. In 1981, the Christensens (who by then had made more than 50 scrapbooks for their own family) wrote a how-to book and started a mail-order business, Keeping Memories Alive, to sell archival supplies.
  12. ^ Christensen, Danille (2011). ""Look at Us Now!": Scrapbooking, Regimes of Value, and the Risks of (Auto)Ethnography". Journal of American Folklore. 124 (493): 175–210. doi:10.5406/jamerfolk.124.493.0175. S2CID 144531408.
  13. ^ Murphy, Kate (2003-12-28). "Catering to a Love Affair With the Past". The New York Times. p. BU4. Retrieved 2007-11-04.
  14. ^ Strauss, Robert (2001-09-16). "Getting the Hang of Hanging Out".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2007-11-04. From 5 to 10 p.m. on those nights, at least a dozen women gather at the tables in the back room. For $5, the store buys them pizza and soda and they get use of the cutting materials and, of course, buy other stuff. You bring your photos and you get scrapbooking ideas.
  15. ^ Paik, Felicia (2006-05-05). "A Cruise for Glue and Scissors".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2007-11-04.
  16. ^ Bellafante, Ginia (2005-01-27). "Trafficking in Memories (for Fun and Profit)".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2007-11-04. In her kitchen that evening she held what is called in Creative Memories parlance a crop. About 10 of her regular customers convene for the event in her home once a month for six hours to work on their albums.
  17. ^ Walker, Rob (2004-04-04). "The Way We Live Now: 4-4-04: Consumed; Memory Maker Photo Bracelet".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2007-11-04.
  18. ^ Lambert, Emily (2004-11-29). "Thanks For the Memories". Forbes. Retrieved 2007-11-04.
  19. ^ 더영, 더크. "Creative Memory Parent Tops 2013's 최대 파산자 수 1위" "미니애폴리스/성"미니애폴리스/세인트의 폴 비즈니스 저널"폴, 2013년 12월 18일. 2014년 5월 8일에 검색됨.
  20. ^ Google.com
  21. ^ Eksuccessbrands.com
  22. ^ "Project Life". Beckyhiggins.com.
  23. ^ Sensational Page Ideas for Scrapbooks. Cincinnati, OH: Memory Makers. 2004. p. 31. ISBN 1-892127-49-0. Your hands should be clean and oil free when handling photographs and documents. Oil and dirt can rub off your fingers and onto the documents and photos causing damage and deterioration. Using a pair of inexpensive photography cotton gloves will help keep oily fingerprints from causing long-term damage.
  24. ^ Balint, Kathryn (2004-07-12). "Keepsakes by computer". San Diego Union-Tribune. Retrieved 2007-11-04.
  25. ^ Darlin, Damon (2006-06-07). "TREND; Goodbye, Glue. Hello, Digital. The Once-Humble Hobby of Scrapbooking Has Moved On".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2007-11-04.
  26. ^ Levie, Eleanor (2004-09-05). "Scrapbooking, cyberstyle". US News and World Report. Retrieved 2007-11-04.
  27. ^ Pertiet, Randy (2008-01-19). "Digital Scrapbooking, Your First Digital Layout using Photoshop or Elements". DesignerDigitals.com.
  28. ^ Scrapbooking.com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십시오. 2011년 잡지 프로필. 2014년 5월 18일 검색됨
  29. ^ 알테뉴. "How to Start a Scrapbook Journal Quickly and Easily". www.altenew.com. Retrieved 2021-09-16.
  30. ^ "Making Memories Last". The Early Show. CBS News. 2002-09-17. Retrieved 2007-11-04. For Randall, the journaling aspect of scrapbooking is so important because as the years pass, people don't always remember everything.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