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들림, 덜걱거림 및 롤링
Shake, Rattle and Roll"흔들려, 딸랑딸랑, 말아" | ||||
---|---|---|---|---|
![]() | ||||
싱글 바이 빅 조 터너 | ||||
B측 | "You Know I Love You" | |||
방출된 | 1954년 4월 | )|||
녹음된 | 1954년 2월 15일 뉴욕시 | |||
장르. | 리듬 앤 블루스[1] | |||
길이 | 2:57 | |||
라벨 | 애틀랜틱 | |||
작곡가 | 찰스 F. 칼훈 제시 스톤 | |||
빅 조 터너 싱글 연대기 | ||||
|
"Shake, Rattle and Roll"은 제시 스톤(일반적으로 찰스 F로 인정)이 1954년에 작곡한 12 바 블루스 형식의 곡이다. 칼훈, 그의 작사 이름). 빅 조 터너의 원곡 녹음은 롤링스톤지가 선정한 '역대 최고의 500곡' 127위에 올라 있다.
배경
1954년 초 애틀랜틱 레코드의 아흐메트 에르테건은[2] 제시 스톤에게 제2차 세계 대전 전에 캔자스 시티에서 경력을 시작한 블루스 슈터인 빅 조 터너를 위해 업 템포 블루스를 쓸 것을 제안했다. 스톤은 '쉐이크, 래틀, 롤'을 떠올리기 전 다양한 문구를 가지고 놀았다.([3]스톤은 ASCAP 노래에는 본명을, BMI 등록 노래에는 '쉐이크, 래틀, 롤'과 같은 가명 '찰스 칼훈'을 사용했다.)
그러나 이 구절은 이전 노래에서 사용되었었다. 1910년, 보드빌 연주자 "베이비" 프랭클린 씰스는 뉴올리언스에서 주사위 도박에 관한 래그타임 곡인 "You Got to Shake, Rattle and Roll"을 발표했고,[4] 1919년에 앨 버나드가 이 노래의 버전을 녹음했다.[5][6]
조 터너 오리지널
터너는 1954년 2월 15일 뉴욕에서 "Shake, Rattle and Roll"을 녹음했다. 제시 스톤과 음반사 중역인 제리 웩슬러와 아흐메트 에르테건이 고함치는 후렴구를 제공했으며 기타리스트 미키 베이커와 드러머 코니 케이도 있었다.[citation needed] 터너의 음반은 1954년 4월에 발매되어 미국 빌보드 R&B 차트 1위, 빌보드 싱글 차트 22위에 올랐다.[7]
빌 헤일리 버전
"흔들려, 딸랑딸랑, 말아" | ||||
---|---|---|---|---|
![]() | ||||
싱글 바이 빌 헤일리 | ||||
B측 | A.B.C. 부기 | |||
방출된 | 1954년 8월 | )|||
녹음된 | 1954년 6월 7일 뉴욕시 | |||
장르. | 로큰롤 | |||
길이 | 2:26 | |||
라벨 | 데카 | |||
작곡가 | 찰스 F. 칼훈 | |||
빌 헤일리 독신 연대기 | ||||
|
1954년 6월 7일 빌 헤일리 & 히스 혜츠가 이 곡의 커버 버전을 녹음했는데,[8] 같은 주 터너의 버전이 R&B 차트에서 처음으로 1위를 차지했다. 혜성은 피아노의 조니 그란데, 리듬 기타의 빌리 윌리엄슨, 베이스의 마샬 리틀, 색소폰의 조이 앰브로즈 등 악기 반주를 제공했다. 헤일리의 버전은 8월에 발매되어 빌보드 싱글 차트에서 7위에 올라 총 27주를 톱40에서 보냈다.[8]
엘비스 프레슬리 버전
엘비스 프레슬리는 1955년 1월[9] 미국 텍사스주 러벅의 라디오 방송국 KDAV에서 선 레코드(이 녹음은 1990년대까지 공개되지 않았다)와 계약을 맺고 녹음한 데모곡으로 1956년 RCA 빅터용 싱글곡으로 두 차례 녹음했다.
클리블랜드 디스크 자키 빌 랜들, 프레슬리, 스코티 무어, 빌 블랙, D.J. 폰타나가 소개한 이 곡은 1956년 1월 28일 비슷한 '플립, 플롭, 플라이(Flip, Flop, Fly)'와 함께 메들리 곡으로 공연한 것으로, 《도시 브라더스 스테이지 쇼(Haley의 "키첸" 오프닝 시구가 노래되었다)가 노래되었다.[10] 프레슬리는 이 같은 음악가들과 함께 그 곡을 녹음했다.[11]
참고 항목
참조
- ^ Campbell, Michael; Brody, James (2007). Rock and Roll: An Introduction. Cengage Learning. p. 77. ISBN 0-534-64295-0.
- ^ 로버트 그린필드 최후의 술탄: 아흐메트 에르테건의 생애와 시간 (Simon & Schuster, 2011년 11월 8일, ISBN 1416558381) 제7장
- ^ Nick Tossches, Unsung Heroes of Rock 'n' Roll (2차 1991년 12월 21일자)
- ^ 린 애벗, 더그 세로프, 오리지널 블루스: 2017년 미시시피 대학 출판부의 아프리카계 미국인 Vaudeville에 나타난 블루스의 등장, 페이지 127
- ^ 데이비드 원드리치, 스톰프 및 스위브: 아메리칸 뮤직 게츠 핫, 1843-1924, 시카고 리뷰 프레스, 2003, 페이지 138
- ^ "Al Bernard's song - audio file". Cylinders.library.ucsb.edu. Retrieved 2011-08-21.
- ^ 도슨, 짐, 스티브 프로페스, 최초의 록 'n' 롤 레코드(Faber and Faber, 1992, 페이지 128 및 130) ISBN 0-571-12939-0
- ^ a b 도슨, 짐. 록 어라운드 더 클럭 : 록 혁명을 일으킨 기록 (백비트 북스, 2005, 페이지 95–96) ISBN 0-87930-829-X.
- ^ "Elvis Day By Day". Randomhouse. Retrieved 2015-10-24.
- ^ Roger Lee Hall, Shake, Rattle and Roll: Electric Elvis and Bill Randle PineTree Press, 2010, 7-9페이지
- ^ 엘비스 프레슬리 DVD 46장 26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