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역사

History of South Korea

대한민국의 역사는 공식적으로 1945년 9월 2일 일본의 항복으로 시작된다.남한북한같은 민족이고 같은 반도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완전히 다른 나라라는 것을 지적합니다.

배경

한국은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1945년에 행정적으로 분할되었다.한국은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의 지배하에 있었기 때문에 공식적으로 일본의 영토라는 이유로 연합군에 대항하는 적대국이었다.일본의 무조건적인 항복으로 한국은 두 개의 점령지(독일의 4개 구역과 유사)로 나뉘었고, 미국은 한반도의 남반부를, 소련38선 이북 지역을 관리하게 되었다.이 분단은 (독일과 마찬가지로) 일시적이었고 미국, 영국, 소련, 중국이 한반도를 위해 단일 정부를 구성할 수 있게 된 후 통일된 한국을 국민들에게 돌려주기 위한 것이었다.

두 당은 두 가지 의견 때문에 공동 신탁 통치 시행에 합의하지 못했다.이것은 1948년에 공산주의 동맹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서방 동맹인 제1공화국의 두 가지 상반된 이념을 가진 두 개의 독립된 정부를 수립하는 것으로 이어졌는데, 각각은 한국의 합법적인 정부라고 주장했다.1950년 6월 25일, 한국전쟁이 발발했다.많은 파괴 후, 전쟁은 1953년 7월 27일 끝났고, 1948년 현재의 상태로 복원되었다. 북한과 제1공화국 모두 분단된 한국의 상대방을 정복하는데 성공하지 못했기 때문이다.한반도는 비무장지대에 의해 분할되었고 두 개의 분리된 정부는 북한과 남한의 기존 정치 주체로 안정되었다.

한국의 후속 역사는 민주독재 통치를 번갈아 하는 것으로 특징지어진다.이승만 제1공화국부터 현대 제6공화국까지 문민정부는 전통적으로 번호가 매겨진다.제1공화국은 시작 당시 거의 틀림없이 민주적이었지만 1960년 붕괴될 때까지 점차 독재적이 되었다.제2공화국은 강력한 민주주의 국가였지만, 1년도 안 되어 전복되었고 독재 군사 정권에 의해 대체되었다.제3공화국, 제4공화국, 제5공화국은 명목상 민주주의 국가였지만 군사 [1]통치의 지속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제6공화국이 들어서면서 그 나라는 점차 자유민주주의로 안정되었다.

건국 이후, 한국은 교육, 경제, 문화에서 상당한 발전을 보여왔다.1960년대 이후, 한국은 아시아에서 가장 가난한 나라 중 하나에서 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나라 중 하나로 발전했다.특히 제3차 교육수준에서 교육은 극적으로 확대되었다.싱가포르, 대만,[2][3] 홍콩함께 떠오르는 아시아 국가들의 "4대 호랑이"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미군정(1945년-1948년)

히로히토 천황은 1945년 8월 15일 연합국대한 일본 제국의 항복 선언을 했다.일본 항복 총령 1호(1945년 8월 17일 미군 합참이 준비하고 승인)는 38선 이남의 일본군에 대해 별도의 항복 절차를 규정했다.1945년 9월 2일 일본이 연합군에 항복한 , 38선에서의 분단은 각각 소련과 미국의 남북 점령의 시작을 알렸다.이 분단은 일시적인 것으로 미국, 영국, 소련, 그리고 한국의 독립을 준비하는 중화민국의 신탁통치로 대체되었다.신탁통치는 1945년 [4][5][6]2월 얄타 회의에서 논의되었다.미군은 1945년 9월 8일 인천에 상륙하여 [7]군사정부를 수립하였다. R 중장 그들의 사령관인 호지는 정부를 [8]책임졌다.대중의 불만이 높아지자, 1945년 10월 호지는 한국 자문 위원회를 설립하였다.중국에서 활동하던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통역사 3명과 함께 호지에게 사절단을 보냈으나 호지는 [9]만나기를 거부했다.마찬가지로, 호지는 새로 결성된 인민 공화국과 인민 위원회를 인정하지 않았고,[10] 12월 12일 이를 불법화했다.1년 후, 김규식이승만위원장으로 하는 임시 입법부와 임시 정부가 수립되었다.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해 발생한 정치적 경제적 혼란은 이 기간 동안 나라를 괴롭혔다.일본 수탈의 여파는 [11]북부와 마찬가지로 남부에 남아 있었다.게다가, 미군은 언어, 문화, 정치 [12]상황에 대한 지식 없이 도착하면서, 나라를 통치하는 도전에 대한 준비가 거의 되어 있지 않았다.따라서 그들의 정책 중 많은 것들이 의도하지 않은 불안정성을 초래했다.북한에서 온 난민들과 해외에서 온 귀환자들의 물결은 [13]혼란을 가중시켰다.

1945년 12월 모스크바에서 한국[14]미래를 논의하기 위한 회의가 소집되었다.5년간의 신탁 통치가 논의되었고, 미-소 공동 위원회[ko]가 설치되었다.위원회는 서울에서 간헐적으로 회의를 열었지만 국가 정부 수립 문제를 놓고 교착 상태에 빠졌다.1947년 9월, 아무런 해결책이 보이지 않자, 미국은 한국 문제[4][5]유엔 총회에 제출했다.

유엔 총회 결의안은 한국에서 유엔 주관 총선을 실시하도록 요구했으나 북한이 이를 거부하자 1948년 5월 남한에서만 제헌의회 총선이 치러졌다.헌법이 채택되어 대통령제를 제정하고 대통령 임기를 4년으로 정했다.헌법 조항에 따르면, 7월에 간접 대통령 선거가 실시되었다.1948년 [15][16][17]8월 15일 이승만이 새 의회의 수장으로 취임하여 대한민국(대한민국)

제1공화국(1948~1960년)

대한민국의 초대 대통령 이승만

1948년 8월 15일, 이승만을 초대 대통령으로 하여 대한민국이 정식으로 수립되었다.이승만 정부의 수립과 함께 드 주권도 새 정부로 넘어갔다.1948년 9월 9일 김일성 [15][16][17]치하에서 공산주의 정부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선포되었다.그러나 1948년 12월 12일 유엔은 제3차 총회에서 결의 195호를 통해 대한민국[18]유일한 합법 정부로 인정하였다.

북한은 1946년 사유재산, 친일·친일 소유 시설과 공장을 몰수하는 토지개혁을 단행해 [15]국유화했다.남한의 토지 개혁에 대한 요구는 거세졌고, 결국 1949년 6월에 제정되었다.많은 땅을 가진 한국인들은 대부분의 땅을 팔아야 했다.전체 농가의 약 40%가 [19]소토지가 되었다.그러나 해방 전 땅주인과 인연을 맺은 사람들에게 선취권이 주어졌기 때문에 많은 친일 단체들이 재산을 [15]얻거나 보유하였다.

분단된 지금, 남북한의 관계는 시간이 지날수록 더 적대적으로 변했다.1948년 소련군이 철수하자 북한은 남한에 미군 축출을 압박했지만 이승만은 정부를 미국과 강하게 연계시키고 북한과 일본에 [20]맞섰다.일본과의 관계 정상화를 위한 협의는 이루어졌지만,[21] 그들은 거의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한편, 정부는 때때로 국가 [22]예산 총액에 가까운 막대한 미국의 원조를 받았다.민족주의 정부는 또한 미군정의 많은 관행을 지속시켰다.1948년, 이승만 정부는 제주, 순천, 여수에서 일어난 군부 봉기를 진압했다.반란과 진압 기간 동안 14,000명에서 60,000명의 사람들이 모든 전투에서 [23][16][24]목숨을 잃었다.특히, 이 대통령 정권은 반대에 대해 관대하지 않았다.이를 부각시킨 유명한 사건은 1948년 박정희 대통령이 공산주의 음모로 체포되어 유죄 판결을 받은 사건이다.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제1공화국 출범식

대한민국 제1공화국의 주요 정책은 반공과 북방통일이었다.남한의 군대는 충분한 장비도 준비도 되어 있지 않았지만, 이승만 정부는 미국의 도움을 받아 군사력으로 한국을 통일할 작정이었다.그러나 1950년 5월 30일 치러진 제2차 총선에서 과반 의석은 이 입장을 지지하지 않는 무소속에게 돌아갔고,[16][25][26] 이는 지지율 부족과 국가의 취약한 상태를 확인시켜 주었다.

6월 공산군이 북한으로부터 공격을 받았을 때, 후퇴하는 남한군은 수만 명의 공산주의자나 동조자를 감옥에서나 재교육 운동에서 처형했는데, 이는 보도연맹 [27]학살로 알려져 있다.

1950년 6월 25일, 북한군이 남한을 침공했다.미국이 이끄는 16개 연합군은 [28][29][30]유엔사령부 산하 최초의 한국 방어 집단행동에 나섰다.요동치는 전열은 많은 민간인 사상자를 냈고 엄청난 파괴를 초래했다.1950년 말 북한을 대표하여 중화인민공화국이 진입하면서, 교전은 원래 경계선에 가까운 교착 상태에 이르렀다.1951년 7월에 시작된 휴전 협상은 1953년 7월[31] 27일 현재 비무장지대(DMZ)인 판문점에서 마침내 타결되었다.휴전 이후,[28][32] 한국 정부는 1953년 8월 15일에 서울로 돌아왔다.

휴전 후, 한국은 이승만의 독재적 리더십 아래 정치적 혼란을 겪었고, 1960년 학생 반란으로 끝이 났다.그의 통치 기간 내내, 이승만은 정부에 대한 그의 통제력을 강화하기 위해 추가적인 조치를 취하려고 노력했다.이것은 계속되는 전쟁으로 인해 정부가 여전히 부산에 근거지를 두고 있던 1952년에 시작되었다.그해 5월, 이승만은 대통령 직을 직접 선출하는 개헌안을 통과시켰다.이를 위해 그는 계엄령을 선포하고 반대파 의원, 시위대, 반정부 단체들을 체포했다.이후 이승만은 큰 [33][34][35]표차로 당선되었다.

1954년 선거에서 이승만은 국회의 주도권을 되찾았고, 이에 따라 8년 임기의 제한을 면제하는 개정안을 통과시켰고 [36]1956년 다시 재선되었다.얼마 지나지 않아, 이승만 정부는 야당 당원들을 체포하고 그를 북한 [35][37]스파이라고 비난한 후 그를 처형했다.

정계를 장악하면서 점점 탄압이 심해졌고,[34] 1958년에는 국가보안법을 개정하여 지방단위를 포함한 모든 단계의 행정에 대한 정부의 통제를 강화하려고 했다.이 조치들은 국민들 사이에서 많은 분노를 일으켰지만, 대중의 항의에도 불구하고, 이승만 정부는 1960년 3월 대선을 조작하여 [38]압승했다.

이날 마산시에서는 부정선거에 반대하는 학생과 시민들의 시위가 벌어졌다.처음에는 이 시위들이 지역 경찰들에 의해 진압되었지만, 마산 항구에서 한 학생의 시신이 떠 있는 것이 발견되자, 온 나라가 격분하여 [39][40]전국적으로 시위가 확산되었다.4월 19일, 다양한 대학과 학교의 학생들이 4월 혁명이라고 불리는 서울 거리에서 시위를 벌이며 시위를 벌였다.정부는 계엄령을 선포하고 군대를 소집하고 발포하여 [39][41][42]군중을 진압했다.이후 전국적으로 시위가 일어나 정부를 뒤흔들었고, 4월 25일 대학교수들이 거리로 뛰쳐나온 이후, 이승만은 4월 26일 공식 사표를 제출하고 망명길에 올랐다.

제2공화국 (1960년-1963년)

학생혁명 이후 허정 [43]외무장관 시절 임시정부에 의해 잠시 정권을 잡았다.1960년 7월 29일 새로운 국회의원 선거가 실시되었다.제1공화국 시절 야당이었던 민주당은 쉽게 정권을 잡았고 제2공화국이 수립되었다.개정된 헌법은 제2공화국에 대통령이 명목상의 역할만 하는 의회 내각제 형식을 취하도록 명령했다.이는 한국이 대통령제 [44]대신 내각제로 전환한 최초이자 유일한 사례였다.1960년 [39][45][46][47]8월 의회는 윤보선을 총통에, 장면을 국무총리 겸 정부 수반으로 선출했다.

제2공화국은 이승만 정권 하에서 억압된 정치 활동이 확산되는 것을 목격했다.이 활동의 대부분은 제1공화국을 전복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던 좌파 단체와 학생 단체에서 나왔다.1960년 후반 교원노조, 언론인노조,[39][48] 한국노총 등 조합원 수와 활동이 급증했다.제2공화국 [49]8개월 동안 약 2,000건의 시위가 열렸다.

좌파의 압력에 따라 장 정부는 반민주적 활동이나 부패에 연루된 군경 간부들을 숙청했다.1960년 [50][51]10월 31일 이 취지의 특별법이 통과되어 4만 명이 조사를 받았고, 이 중 2200명 이상의 공무원과 4,000명 이상의 경찰이 [50]숙청되었다.게다가, 정부는 이 계획은 [52]보류되었지만, 군대의 규모를 10만 명 줄이는 것을 고려했다.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정부는 증가하는 불안정에 직면했다.정부는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을 수립했지만,[53] 전복되기 전에는 실행에 옮길 수 없었다.제2공화국은 1960년 가을에서 1961년 [54]봄 사이에 환 가치가 달러 대비 반토막이 났다.

정부는 국민의 지지를 받아 설립되었지만, 끝없는 사회 불안과 정치적 혼란,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5·16 쿠데타를 초래한 효과적인 개혁을 시행하지 못했다.

군정(1961년-1963년)

16 쿠데타 당시 박정희 소령(가운데)

1961년 5월 16일 박정희 소장이 주도한 5·16 쿠데타는 제2공화국을 사실상 종식시켰다.박 전 대표는 군부의 탈정치화를 추진해 온 군 수뇌부 중 한 명이었다.제2공화국에 의해 취해진 정화조치에 불만을 품고 현 혼란스러운 국가가 공산주의로 붕괴될 것이라고 확신한 그들은 스스로 문제를 [55][56][57]해결하기로 결정했다.

국회는 해산되었고 군 장교들은 문관들을 대체했다.1961년 5월 군사정권은 반공산주의, 미국과의 관계 강화, "신선하고 깨끗한 도덕성"이라 불리는 정부 부패의 종식, 자립적인 경제, 통일을 위한 노력, 그리고 2년 [55][56][57][58]안에 민주적인 민간 정부로의 복귀를 선언했다.

군 당국은 야당을 견제하기 위해 1961년 6월 박 대통령의 친인척인 김종필을 초대 [56][58][59]국장으로 하는 중앙정보부를 창설했다.1962년 12월 78%의 [60]득표율로 대통령제 복귀를 위한 국민투표가 실시됐다.박 대통령과 다른 군 수뇌부는 다음 선거에 출마하지 않겠다고 약속했다.그러나 박 후보는 주로 KCIA 간부들로 구성된 민주공화당(DRP)의 대선 후보가 되어 1963년 대선에 근소한 차이로 [55][57][58][60]당선되었다.

제3공화국 (1963년-1972년)

1961년부터 1979년까지 한국을 통치한 박정희 대통령

박근혜 정부는 수출 중심의 산업화 정책인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을 발표함으로써 제3공화국을 출범시켰다.가장 중요한 것은 자립적인 경제의 성장과 현대화였다; "발전 우선, 후에 통일"은 시대의 구호가 되었고, 기초 화학과 중 화학 [61][62]산업의 산업 구조, 특히 산업 구조의 큰 개선과 함께 경제는 빠르게 성장하였다.이러한 발전을 위해서는 자본이 필요했고, 그래서 박 정권은 일본과 미국의 해외 원조의 유입을 수출 기업에 대출하는 데 이용했고, 저금리 은행 대출과 세제 혜택을 얻는 데 특혜를 받았다.정부와 협력하면서, 이 사업체들은 [56][61][63]나중에 재벌이 될 것이다.

일본과의 관계는 1965년 [64][65]6월 비준된 한일 조약에 의해 정상화되었다.이 조약은 일본 정부의 공식 사과 없이 식민지 시대에 입은 피해에 대한 보상과 대출의 형태로 일본 자금을 끌어들여 [56][61]전국적으로 많은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정부는 또한 미국과의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며 계속해서 많은 양의 원조를 받았다.1966년에 미군 지위협정이 체결되어 [66][67]주둔 미군의 법적 상황이 명확해졌다.곧이어, 한국은 베트남 전쟁에 참전했고, 결국 1964년부터 1973년까지 총 30만 명의 군인을 미군과 남베트남군[56][62][68]함께 파병했다.

이 기간 동안의 경제적, 기술적 성장은 삶의 수준을 향상시켰고, 교육의 기회를 확대시켰다.고등교육을 받은 근로자들은 빠르게 성장하는 산업과 상업 부문에 흡수되었고 도시 인구는 [69]급증했다.경부고속도로가 완공되어 서울을 한국의 동남부, 인천과 부산 항구도시와 연결하였다.하지만 엄청난 경제 성장에도 불구하고, 도시 노동자들과 농부들의 생활 수준은 여전히 낮았다.노동자들은 수출 중심의 경제 계획을 위해 가격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저임금으로 일하고 있었고, 농민들은 정부가 가격을 [61][70]통제하면서 거의 빈곤에 가까웠다.그러나 농촌경제가 점차 설 자리를 잃고 농민들의 반발을 사자 정부는 1971년 새마을운동(새마을운동)을 발족시켜 농업생산성과 소득을 높이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이 운동의 목표는 농촌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농촌과 도시 사회를 현대화하고,[69][71] 그들 사이의 소득 격차를 줄이는 것이었다.

1973년 10월 1일 국군의 날 열병식 중 박정희의 카드 초상화

박 전 대표는 1967년 대선에서 51.4%의 [60]득표율로 재출마했다.당시 대통령 임기는 연임으로 제한됐지만 1969년 국회에서 개헌이 강행돼 [61][72][73]연임할 수 있게 됐다.개헌에 반대하는 대규모 시위와 시위가 일어났고, 야당 지도자인 김대중에게 큰 지지를 얻었지만, 박은 1971년 [74]대선에서 다시 재선되었다. 김대중

총선 직후 야당이 과반 의석을 차지하면서 개헌안을 [citation needed]통과시킬 수 있는 힘이 생긴 것이다.박씨는 위협을 느낀 1971년 [61]12월 6일 국가비상사태를 선포했다.이런 국내 불안 속에서 닉슨 독트린은 국제무대에서 세계 강대국들 간의 긴장을 완화시켰고, 이는 [61]반공주의 국가 정책으로 정권을 정당화했던 박 대통령에게 딜레마를 야기했다.정부는 1972년 7월 4일 북한과의 통일을 위한 공동성명을 발표하고 서울과 평양에서 적십자 회담을 열었다.그러나 통일에 관한 정부 정책에는 변화가 없었고 1972년 10월 17일, 박 대통령은 계엄령을 선포하여 국회를 해산하고 [71][75]헌법을 정지시켰다.

제4공화국(1972년-1979년)

제4공화국은 1972년 11월 21일 유신헌법이 채택되면서 시작되었다.이 새로운 헌법은 박 대통령이 의회를 효과적으로 장악하고 영구 대통령직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대통령은 선출기구에 의한 간접선거로 선출되며 재임기간은 연임제한 없이 6년으로 연장됐다.입법부와 사법부는 정부의 통제를 받았고, 교육 지침도 직접적인 감시 하에 있었다.군사정권의 이념을 뒷받침하는 교과서가 정부의 [71]검정을 거치면서 교육부의 책임이 축소됐다.

사회·정치적 불안에도 불구하고 수출 중심의 산업화 정책으로 경제는 권위주의 통치하에서 계속 번창했다.처음 두 개의 5개년 경제 개발 계획은 성공적이었고, 3번째와 4번째 5개년 계획은 중공업과 화학공업의 확대에 초점을 맞추어 철강 생산과 정유 능력을 향상시켰다.그러나 대기업 재벌들은 지속적으로 특혜를 받으며 국내 시장을 장악하게 되었다.개발의 대부분이 외국 자본에서 나왔기 때문에 수익의 대부분은 대출금과 [63][71]이자를 갚는 데 돌아갔다.

학생들과 민주화 운동가들은 유신 체제 폐지를 위한 시위와 시위를 계속했고, 계속되는 민중의 불안이 닥치자, 박 정부는 1974년과 1975년에 비상령을 발표했고, 이것은 수백 명의 반체제 인사들을 투옥하게 만들었다.정치인들, 지식인들, 종교 지도자들, 노동자들, 농부들이 모두 민주주의를 위한 운동에 동참하면서 시위는 점점 더 커지고 강해졌다.1978년, 박 전 대표는 간접선거로 재선되었고, 더 많은 시위와 항의가 있었다.정부는 야당 지도자인 김영삼 의원을 의원직에서 제명하고 폭력적 수단으로 시위자들을 탄압함으로써 보복했다.1979년 전국적으로 대규모 반정부 시위가 일어났고, 이 정치적 혼란 속에서 박정희는 중앙정보국장 김재규에 의해 암살당함으로써 18년간의 군사정권의 종말을 [71][75][76]고했다.

제5공화국(1979년-1987년)

Mangwol-dong cemetery (2008)
망월동묘역 광주항쟁 희생자 묘역

박정희 암살 이후 최규하 국무총리는 대통령직을 맡았지만 6일 뒤인 1979년 12월 [71]12일 전두환 소장 쿠데타로 대통령직을 빼앗겼다.이듬해 5월 대학생과 노동조합이 주축이 된 시민사회가 전국 곳곳에서 권위주의적 통치에 반대하는 강력한 시위를 주도했다.전두환은 1980년 5월 17일 계엄령을 선포했고, 시위는 확대되었다.정적김대중과 김종필체포되었고 김영삼은 가택 연금에 [77]갇혔다. 김대중

1980년 5월 18일 광주에서 전남대학교 학생과 계엄사령부가 파견한 군대 사이에 대립이 일어났다.이 사건은 5월 27일까지 9일간 지속된 시위로 변했고 광주 대학살로 이어졌다.민간인 사망자 수는 수십 명에서 2000년까지로 추산되며, 이후 민간 정부의 철저한 조사 결과 거의 200명의 사망자와 850명의 [78][79][80]부상자를 발견했다.1980년 6월 전 의원은 국회 해산을 명령했다.이후 국방비상대책위원회를 만들어 위원으로 발족했다.7월 17일 그는 KCIA 국장직을 사임하고 위원회 위원직만 맡았다.1980년 9월, 최규하 대통령은 새로운 군사 지도자 전두환에게 자리를 양보하기 위해 대통령직에서 물러나야 했다.

그해 9월 간접선거로 대통령에 당선되고 이듬해 3월 취임해 제5공화국을 공식 출범시켰다.대통령제를 유지하되 임기 7년으로 제한하고, 국회의 권한을 강화하고, 사법부 임명 책임을 대법원장에게 위임하는 등 눈에 띄는 변화를 통해 새로운 헌법이 제정되었다.그러나 대통령 간선제는 여전했고 많은 군인이 고위 관직에 임명되면서 유신 시대의 [80][81]잔재를 간직하고 있었다.

1983년 11월 전두환 대통령로널드 레이건 미국 대통령

정부는 경제 성장과 민주 정의의 새로운 시대를 약속했다.엄격한 통화법과 낮은 금리는 가격 안정에 기여했고 전자, 반도체, 자동차 산업에서 눈에 띄는 성장을 하면서 경제가 호황을 누리는 데 도움을 주었다.한국은 외국인 투자에 개방되었고 한국의 수출이 증가하면서 GDP는 증가했다.그러나 이러한 급속한 경제성장은 빈부격차, 도시와 농촌의 격차를 확대시켰고 지역간 갈등도 심화시켰다.이러한 불화는 정부에 대한 반대에 대해 취해진 강경 조치에 더해 공화국 [77][81]출범 이후 지속되어 온 농촌과 학생운동의 원동력이 되었다.

외교정책에서는 천 총통의 일본 국빈방문과 나카소네 야스히로(中根康弘) 일본 총리의 방한으로 일본과의 유대가 강화됐다.로널드 레이건 미국 대통령도 방문했고 소련, 중국과의 관계도 [82]개선됐다.1983년 버마에서 발생한 테러 공격으로 추모식에 참석했던 17명의 고위 관리들이 사망했고 북한이 공격의 배후로 지목되면서 북한과의 관계가 경색되었다.그러나 북한은 1980년 국민투표를 통해 통일헌법과 정부를 만나 준비하자는 남측의 제안을 받은 일국양제 통일안을 제출했다.이산가족 상봉이라는 인도적 문제가 먼저 다뤄졌고, 1985년 9월 남북 양측 가족들이 역사적인 [77][81]행사를 통해 서울과 평양교차 방문했다.

정부는 문화 발전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국립중앙박물관, 예술의 전당, 그리고 국립현대미술관모두 이 시기에 지어졌다.1986년 아시안 게임은 성공적으로 개최되었고 1988년 서울 하계 올림픽 유치도 성공적이었다.[77]

경제성장과 외교관계 성공에도 불구하고 쿠데타로 집권한 정부는 본질적으로 군사정권이었고 민주개혁 약속이 실현되지 [81]않은 상황에서 국민의 지지와 신뢰는 낮았다.1985년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여당보다 야당이 더 많은 표를 얻어 국민이 변화를 [83]원했음을 여실히 보여줬다.많은 사람들이 항의하는 학생들에게 동조하기 시작했다.광주 학살은 결코 잊혀지지 않았고 1987년 1월 시위 중이던 서울대생이 경찰의 심문을 받고 사망했을 때 대중의 분노는 컸다.1987년 4월, 전 대통령은 대통령 직선제 개헌이 아닌 현행 헌법을 지키기 위한 조치를 취하겠다고 선언하였다.1987년 6월, 100만 명 이상의 학생과 시민들이 [81][84][85]6월 투쟁의 전국적인 반정부 시위에 참여하면서, 이 발표는 야당을 통합하고 강화시켰다.

1987년 6월 29일, 정부의 대통령 후보 노태우는 그 요구에 굴복하여 대통령 직선제와 민권 회복을 요구하는 6·29 선언을 발표했다.1987년 10월 개정된 헌법이 국민투표에 의해 승인되고 12월 새 대통령 직선제가 실시되면서 제5공화국은 [84][86]막을 내렸다.

제6공화국 (1987년 ~ 현재)

제6공화국은 1987년에 수립되었고 현재 한국의 [87]정치로 남아 있다.

노태우, 1988년 ~ 1993년

노태우 전 대통령은 16년 만에 치러진 대통령 직선제에서 13대 대통령이 됐다.비록 노 대통령은 군 출신이고 전 대통령의 쿠데타 주동자 중 한 명이었지만, 야권 지도자김대중과 김영삼이 단일후보에 합의하지 못한 것이 그를 [88][89]김대중 선출하게 만들었다.최초의 여성 대통령 후보인 홍숙자 후보는 심지어 김영삼을 지지하기 위해 노 [90]전 대통령에 대항하기 위해 후보 경선에서 물러났다.

노 대통령은 1988년 2월에 공식 취임했다.정부는 민주주의 조항에 맞게 법과 법령을 개정함으로써 과거의 권위주의적 통치의 흔적을 없애기 시작했다.언론의 자유가 확대되고, 대학의 자율성이 인정되며, 해외여행에 대한 제한이 [91]풀렸다.그러나 1980년대에 비해 경제성장이 둔화되면서 수출은 정체되고 상품가격은 계속 상승하고 있다.

1988년 하계 올림픽 폐막식 불꽃놀이

노무현 대통령 취임 직후, 서울 올림픽이 열리면서 한국의 국제적 인지도를 높이고 외교 정책에도 큰 영향을 끼쳤다.노무현 정부는 공식적인 통일 계획인 노르드폴리틱을 발표하고 소련, 중국, 동유럽 [88]국가들과 외교 관계를 수립했다.

1990년 북한이 남북교류 제안을 받아들여 고위급 회담과 문화체육교류가 성사되는 역사적인 행사가 열렸다.1991년, 비핵화에 관한 공동성명이 합의되었고, 남북한은 동시에 [88][92]유엔의 회원이 되었다.

김영삼, 1993년 ~ 1998년

김영삼은 노대통령 재임 후 1992년 선거에서 대통령에 당선되었다.그는 1962년 이후 30년 만에 한국 최초의 민간인 대통령이었고 "새로운 한국"[93]을 건설하겠다고 약속했다.정부는 이전 정권의 잘못을 바로잡기 위해 나섰다.1995년 지방 선거, 1996년 국회의원 선거가 치러졌다.여론의 요구에 부응하여 전 전 대통령과 노 전 대통령은 뇌물수수, 불법자금, 전 대통령의 경우 광주 학살과 관련된 혐의로 기소되었다.그들은 1996년 [93][94]12월에 재판을 받고 실형을 선고받았다.

북한과의 관계는 개선되었고 정상회담은 계획되었지만 김일성 사망으로 무기한 연기되었다.그 후 남북한 간의 긴장관계는 작은 군사적 충돌과 사과가 반복되면서 다양했다.정부는 또한 1996년 OECD에 가입하는 등 상당한 재정 및 경제 개혁을 수행했지만 그의 아들과 관련된 정치 및 금융 스캔들로 어려움을 겪었다.한국은 또한 1993년 열차 충돌과 선박 침몰, 1994년 성수대교 붕괴, 1995년 삼풍백화점 붕괴 등 많은 생명을 앗아간 다양한 재앙에 직면했다.이 사건들은 민간 정부에 [93]타격이 되었다.

1997년, 한국은 심각한 재정 위기를 겪었고, 정부는 국제통화기금에 구제 자금을 요청했습니다.이것은 국가가 견딜 수 있는 것의 한계였고 같은 [93]해에 야당 지도자인 김대중이 대통령에 당선되도록 이끌었다. 김대중야당 후보가 대통령에 당선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1998-2003년 김대중

2000년 한국과 동아시아의 민주주의와 인권을 증진시키고 북한과의 화해를 위해 노벨 평화상을 받은 김대중 대통령은 때때로 "넬스 김대중프"라고 불렸다.

1998년 2월에 김대중이 공식 출범했다.한국은 정치적 과정을 민주화하겠다는 의지를 유지해왔으며 이는 평화적인 수단으로 정권을 정당 간에 이양한 최초의 사례였다.김정은 정부는 경제위기 극복이라는 어려운 과제에 직면했지만 적극적인 외국인 투자 추구와 산업계 협력, 시민들의 금 모으기 운동이 함께 이뤄지면서 비교적 짧은 [96][97][98]시간 안에 위기를 벗어날 수 있었다.

대기업 재벌의 산업재건을 추진했고, 1998년 국민연금제도를 설립했으며, 교육개혁을 단행했고, IT 분야에 대한 정부 지원을 늘렸으며, 주목할 만한 문화재가 유네스코 [98]문화유산으로 등록되었다.일본과 공동 주최한 2002년 FIFA 월드컵은 수백만 명의 지지자들이 공공장소에서 [99]응원하기 위해 모인 주요 문화 행사였다.

외교에서 [100]김대중은 북한과 화해하기 위한 일련의 노력인 "햇볕 정책"을 추구했다.이것은 한국전쟁의 이산가족 상봉과 북한 지도자 김정일과의 정상회담으로 절정에 달했다.이러한 노력으로 [101]김대중은 2000년에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다.

노무현, 2003-2008

노무현은 2002년 12월 직선제로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노무현그의 승리는 참여 민주주의를 희망했던 젊은 세대와 시민 단체들의 많은 지지를 얻었고, 노 정부는 "참여 정부"를 모토로 출범했다.이전 정부와 달리 정부는 장기적인 안목을 갖고 점진적인 시장 기반 개혁을 [102]실행하기로 결정했다.그러나 이 접근법은 대중을 만족시키지 못했고 2003년 말에는 지지율이 떨어졌다.[103]

노무현 정부는 한국 정계의 지역주의 극복, 정경유착의 희석, 시민사회 강화, 한미 FTA 문제 해결, 북-미 정상회담 지속, 고속열차 KTX 출범에 성공했다.uth 실업률은 높았고, 부동산 가격은 치솟았고, 경제는 [104]뒤떨어졌다.

2004년 3월 국회는 선거법 위반과 부정부패 혐의로 노 대통령에 대한 탄핵안을 가결했다.이 발의는 그의 지지자들을 결집시켰고 여당이 다수당이 되면서 4월에 치러진 국회의원 선거 결과에 영향을 미쳤다.노 전 대통령은 5월 헌법재판소에 의해 복권되었는데, 헌법재판소는 이 판결을 뒤집었다.그러나 여당은 2005년 재보궐선거에서 개혁안 중단, 계속되는 노동 불안, 노대통령의 언론과의 개인적인 불화, 미국 및 일본과의 외교 마찰로 인해 정부의 정치 사회 경제 문제 [103][105][106]및 외교 문제에 대한 역량에 대한 비판을 야기하면서 과반수를 잃었다.

2009년 4월, 노무현과 그의 가족들은 뇌물수수 및 부패 혐의로 조사를 받았지만 노 대통령은 혐의를 부인했다.2009년 5월 23일, 노 전 대통령은 [105][107][108]협곡에 뛰어들어 자살했다.

이명박, 2008–2013

2008년 ~ 2013년 이명박 대한민국 대통령

노대통령의 후계자인 이명박은 2008년 2월에 취임했다. 이명박이명박 정부는 "창조적 실용주의"를 지침으로 내걸고, 쇠퇴하는 경제를 활성화하고, 외교 관계를 회복하고, 사회 복지를 안정시키고,[109][110] 세계화의 도전에 대처하기 위해 나섰다.2008년 4월 총선에서 여당은 과반 [111]의석을 확보했다.또한 그 달 미국과의 정상회담은 한-미 자유무역협정을 다루었고 이전 정부로 인해 야기된 양국간의 긴장을 완화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이 대통령은 미국산 쇠고기의 수입 금지를 해제하는 데 동의했는데, 광우병 피해에 대한 편집증이 [112]한국을 사로잡으면서 그 후 몇 달 동안 대규모 시위와 시위를 일으켰다.

남대문 파괴를 시작으로 정권 초반에는 치안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았다는 비난이 쏟아졌다.고위 공직자 임명, 만연한 정치적 갈등, 언론 탄압, 북한 [113]및 일본과의 외교 관계 경색 등 여러 해 동안 더 많은 논란이 일었다.1997년 이후 최악의 경제 위기가 [114]닥치면서 경제는 세계적인 불황의 영향을 받았다.이명박 정부는 적극적으로 성명 발표, 내각 개편, 행정 및 산업 [115]개혁으로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했다.

규제와 경제 개혁 이후, 경제는 회복되었고, 그 나라의 경제는 성장을 기록했고, 분명히 세계적인 [116][117][118][119]불황으로부터 회복되었다.미·중·일 정상회담과 아세안·한·아세안 기념 정상회의 참석 등 다른 아시아 [120]국가들과의 관계 강화도 추진했다.2010년 G20 정상회의가 서울에서 열렸고, 그곳에서 세계 경제 위기와 관련된 문제들이 [121]논의되었다.

박근혜, 2013-2017

2013년 5월, 이건희, 정몽구 재벌함께 박근혜 대통령

박근혜는 2013년 2월에 취임했다. 박근혜그녀는 한국의 18대 대통령이고 한국의 3대 대통령박정희의 장남이다.그녀는 한국 대통령으로 당선된 최초의 여성이었고 동북아의 [122]현대사에서 국가 원수로 선출된 최초의 여성이었다.그러나 세월을 거치면서 세월호[123]무능과 메르스 [124]사태 수습, 이후 대형 스캔들로 명성이 훼손돼 [125][126]2016년 12월 탄핵으로 이어졌다.최순실 비리 의혹은 2016년 복수의 보도기관(가장 주목할 만한 은 JTBC)의 보도가 있은 후, 주 단위로 전국적인 시위가 이어졌고, 참가자 수는 최대 230만 명을 기록했다.이 시위들은 한국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의 대규모 시위였다.시위는 국회가 박 대통령의 탄핵안을 가결시킨 뒤에도 계속됐다.황교안 국무총리박근혜의 행동에 대한 조사가[128] 완료될 때까지 그리고 어떠한 개입 선거도 없을 때 한국의 대통령 역할을[127] 수행했다. 박근혜2017년 3월 10일 헌법재판소에 의해 탄핵이 확정되어 박 전 대통령의 임기가 종료되고 박 전 대표는 [129]퇴임하게 되었다.

문재인, 2017-1987

2018년 4월 27일 북한 지도자 김정은과 남한의 문재인 대통령이 평화의 집 안에서 악수하고 있다. 문재인

문재인 대통령은 2017년 5월 10일 취임하였다. 문재인대통령으로서 그의 재임 기간 동안 북한과의 정치적 관계 개선, 미국과의 군사 동맹의 일부 격차 증가, 평창 동계 올림픽의 성공적인 개최가 있었다.문재인은 2018년 4월 남북정상회담, 2018년 5월 남북정상회담, 2018년 9월 남북정상회담에서 김정은 북한 국방위원장만났다.COVID-19 발생 당시 문 대통령은 초기에 COVID-19 [130]발생을 통제하면서 국내외적으로 긍정적인 명성을 얻었다.하지만 2021년부터 계속된 발병으로 그의 시청률은 곤두박질쳤다.[131]2021년 현재, 한국은 출생아보다 더 많은 사망자를 기록했고,[132] 이는 사상 처음으로 인구 감소를 가져왔다.

2020년 4월 총선에서 문 대통령의 민주당은 압승했다.300명의 국회 중 180석을 우방국들과 함께 차지했다.야당인 국민전력당은 103석을 [133]얻었다.

문 대통령은 2022년 5월 9일에 임기를 마쳤다.2022년 5월 10일 윤석열 국민의당 후보가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한 후 그 자리를 이어받았다.

윤석열, 2022-현재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인용문

  1. ^ "Polity IV Regime Trends: South Korea, 1948–2013". www.systemicpeace.org. Retrieved 6 October 2016.
  2. ^ Eun Mee Kim (1998). The Four Asian Tigers: Economic Development and the Global Political Economy. San Diego: Academic Press. ISBN 978-0-12-407440-8.
  3. ^ 2010년 타임즈 오브 몰타, 2010년 2월 1일 아시아 호랑이 4마리가 다시 선두에 설 인가.
  4. ^ a b 이현희(2005년, 페이지 583-585년)
  5. ^ a b 한국학중앙회(2005년, pp150-153년)
  6. ^ 릴리안 골드만 법률 도서관 얄타 회의
  7. ^ 리(1984년, 페이지 374년), 커밍스(1997년, 페이지 189년)
  8. ^ 응, 커밍스, 로크, 시티
  9. ^ Hart-Landsberg, Martin (1998). Korea: Division, Reunification, & U.S. Foreign Policy. Monthly Review Press. pp. 71–77.
  10. ^ Buzo, Adrian (2002). The Making of Modern Korea. London: Routledge. p. 57. ISBN 978-0-415-23749-9.
  11. ^ ᄂ(1996년, 페이지 351년), 李(1984년, 페이지 375년.
  12. ^ 난(1996년, 340페이지)
  13. ^ 리(1984년, 페이지 375).
  14. ^ "Avalon Project – A Decade of American Foreign Policy 1941–1949 – Interim Meeting of Foreign Ministers, Moscow". Retrieved 24 October 2016.
  15. ^ a b c d 한국학중앙회(2005년, pp154-157; pp162-163)
  16. ^ a b c d 이현희(2005년, 페이지 584-586)
  17. ^ a b 1945-1948년 미국 점령하의 한국, 국가 연구:대한민국.
  18. ^ "Resolution 195, UN Third General Assembly" (PDF).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3 October 2013. Retrieved 24 October 2016.
  19. ^ 이승만 시대, 나라 연구:대한민국.
  20. ^ 양씨(1999년, 페이지 194~195년).
  21. ^ 양(1999년, 페이지 194).
  22. ^ 커밍스(1997, 페이지 255, 페이지 306)
  23. ^ "Ghosts of Cheju". Newsweek. 19 June 2000. Retrieved 24 July 2010.
  24. ^ 커밍스(1997년, 페이지 221).
  25. ^ 한국학중앙회(2005년, pp166-171)
  26. ^ 양씨(1999년, 193쪽)
  27. ^ "South Korea owns up to brutal past". The Sydney Morning Herald. 15 November 2008.
  28. ^ a b 한국학중앙회(2005년, pp172-177년)
  29. ^ 두산대백과사전의 6·25전쟁과 유엔행렬
  30. ^ 이현희(2005년, 페이지 586~590)
  31. ^ 한국 정전 협정
  32. ^ 한국 전쟁, 국가 연구:대한민국.
  33. ^ (한국어) 이승만 두산 백과사전
  34. ^ a b 이현희(2005년, 페이지 588~590)
  35. ^ a b 한국학중앙회(2005년, 페이지 178~181)
  36. ^ 역사연구소(2004년, 페이지 320~321)
  37. ^ (한국어) 두산 백과사전의 조봉암
  38. ^ 한국학중앙회(2005년, 페이지 186-189년)
  39. ^ a b c d 한국학중앙회(2005년, 페이지189년)
  40. ^ 두산대백과사전 4.19 혁명의 원인
  41. ^ 이현희(2005년, 페이지 591-592)
  42. ^ (한국어) 4.19 두산 백과사전의 혁명
  43. ^ 연합(2004년, 페이지 270).
  44. ^ 네이버 사전의 제2공화국 내각제
  45. ^ 이현희(2005년, 페이지 592~593년)
  46. ^ (한국어) 제2공화국
  47. ^ 민주적 인터루드, 한국: 한 나라의 연구
  48. ^ 양씨(1999년, 페이지 196), 남씨(1996년, 페이지 410~412년), 연합씨(2004년, 페이지 270년)
  49. ^ 양(1999년, 페이지 196).나름(1996, 페이지 412)은 "2000"을 준다.
  50. ^ a b 난(1996년, 페이지 411).
  51. ^ 두산대백과사전 제2공화국 정책
  52. ^ 음, 로크 씨티
  53. ^ Nam(1996년, 412쪽), 연합(2004년, 270~271쪽)
  54. ^ 난(1996년, 페이지 412)
  55. ^ a b c 이현희(2005년, 페이지 593-595)
  56. ^ a b c d e f 한국학중앙회(2005년, pp192-193)
  57. ^ a b c 두산 백과사전 5.16 쿠데타
  58. ^ a b c 박정희, 한국: 시골 연구
  59. ^ (한국어) 두산대백과사전KCIA
  60. ^ a b c 연합(2004년, 페이지 271).
  61. ^ a b c d e f g 이현희(2005년, 페이지 595~599년)
  62. ^ a b 두산대백과사전 제3공화국 주요 정책
  63. ^ a b 경제 개발, 국가별 연구:대한민국.
  64. ^ 커밍스(1997년, 페이지 320)
  65. ^ 1965년 두산대백과사전 한일조약
  66. ^ 김당택(2002년, 페이지486)
  67. ^ 한미 주둔군지위협정 1966~1967년 7월 22일 주한미군 웨이백머신에서 보관
  68. ^ 나름(1996년, 425페이지)
  69. ^ a b 공원 아래 사회, 국가 연구:대한민국.
  70. ^ 한국학중앙회(2005년, pp194-197)
  71. ^ a b c d e f 이현희(2005년, 페이지 600~604)
  72. ^ 한국학중앙회(2005년, pp198-201)
  73. ^ Namm(1996년, 페이지 423년); 연합, loc. cit.
  74. ^ Nam(1996년, 페이지 424);
  75. ^ a b 한국학중앙회(2005, pp201-203)
  76. ^ 정치학, 국가학 분야에서의 군사:대한민국.
  77. ^ a b c d 이현희(2005년, 페이지 605~609년)
  78. ^ 광주항쟁, 대한민국: 시골 연구
  79. ^ (한국어)18 민주화 운동 (두산 백과사전)원래 광주항쟁으로 불렸던 이 행사는 1995년부터 공식적으로 5.18 민주화 운동 또는 광주 민주화 운동으로 명명되었다.
  80. ^ a b 한국학중앙회(2005년, 페이지 206-208)
  81. ^ a b c d e (한국어) 제5공화국
  82. ^ "South Korea – Chun – Foreign Policy". Retrieved 24 October 2016.
  83. ^ "South Korea – The Demise of the Chun Regime". Retrieved 24 October 2016.
  84. ^ a b 이현희(2005년, 페이지 610-611)
  85. ^ 두산대백과사전 6월 민주화운동
  86. ^ "South Korea – POLITICS". Retrieved 24 October 2016.
  87. ^ (한국어) 제6공화국
  88. ^ a b c 이현희(2005년, 페이지 610~613)
  89. ^ 한국학중앙회(2005년, 페이지 210~213)
  90. ^ Holley, David (6 December 1987). "Kim Young Sam Gets Backing of Only Woman in Korea Race". Los Angeles Times. Retrieved 24 November 2016.
  91. ^ 로버트 E.베데스키 (1994년, 페이지 27-28
  92. ^ Adrian Buzo (2007, p205)
  93. ^ a b c d 이현희(2005년, pp615-619)
  94. ^ (한국어)김영삼 두산대백과사전의 행정
  95. ^ "Kim Dae-jung". The Guardian. 18 August 2009.
  96. ^ 한국인들은 1998년 1월 14일 그들의 나라 BBC 뉴스를 돕기 위해 그들의 금을 포기한다.2010년 7월 7일 취득
  97. ^ (한국어)두산대백과사전 김대중 김대중 정부
  98. ^ a b 이현희(2005년, 페이지 620~626)
  99. ^ 2002년 두산대백과사전 월드컵
  100. ^ 크리스토프 블루스 (2007, 페이지 92–103)
  101. ^ 노벨 평화상 2000년 노벨상 기구
  102. ^ Tom Ginsburg, Albert H. Y. Chen (2008, 페이지 104)
  103. ^ a b 에드워드 A.올슨(2005, p92)
  104. ^ (한국어) 노무현 (두산 백과사전) 노무현
  105. ^ a b 사망 기사:노무현, BBC 뉴스, 2009년 5월 23일 노무현.2010년 7월 7일 취득.
  106. ^ 2006년 9월 14일, 뉴욕 타임즈, 미국은 한국의 대통령을 미온적으로 환영했다.
  107. ^ 전 대통령 노무현, 뇌물수수 혐의 부인 동아일보 2010년 5월 1일2010년 7월 7일 취득.
  108. ^ S. Korea는 2009년 5월 25일 노 전 대통령의 자살에 망연자실했다.2010년 7월 7일 취득.
  109. ^ 이명박은 2008년 2월 25일 뉴욕 타임즈에서 한국의 대통령직을 이어받는다. 이명박2010년 7월 7일 취득.
  110. ^ (한국어) 이명박 정부, 두산 백과사전 이명박
  111. ^ (한국어) 4.9 선거 결과, 연합뉴스, 2008년 4월 10일.2010년 7월 7일 취득.
  112. ^ 한국 쇠고기 시위, BBC 뉴스, 2008년 6월 25일.2010년 7월 7일 취득.
  113. ^ 이명박 정부는 2006년 3월 27일 <한겨레>를 언론자유에 반대한다.2010년 7월 7일 취득.
  114. ^ (한국어) 2008년 정치 #1, 연합뉴스, 2008년 12월 15일.2010년 7월 7일 취득.
  115. ^ (한국어) 2008년 정치 #2, 연합뉴스, 2008년 12월 15일.2010년 7월 7일 취득.
  116. ^ 이명박 정부, 경제팀 개편, 동아일보, 2009년 1월 20일.2010년 7월 7일 회수, 정부 규제완화 추진, 중앙일보, 2010-7-15.
  117. ^ 이명박 정부의 지난 2년간 경제 발전, 아리랑, 2010년 2월 23일. 이명박.2010년 7월 7일 취득.
  118. ^ 2010년 2월 25일, 이명박 대통령의 지난 2년간의 성과와 그의 정부인 KBS 월드가 직면한 어려움.2010년 7월 7일 취득.
  119. ^ 아시아가 회복을 주도함에 따라 한국, 2010년 7월 9일 Bloomberg Business Week.2010년 7월 13일 취득
  120. ^ 외교통상부, 이명박 정부 2년간의 외교적 성과, 2010년 2월 26일. 이명박2010년 7월 7일 취득.
  121. ^ 2010 G20 서울 정상회의 2010년 7월 25일 공식 사이트 Wayback Machine에 보관
  122. ^ Guray, Geoffrey Lou (19 December 2012). "South Korea Elects First Female President – Who Is She?". PBS NewsHour. Retrieved 19 December 2012.
  123. ^ "Park impeachment: Bittersweet victory for families of Sewol ferry victims". 12 March 2017.
  124. ^ Sang-Hun, Choe (12 June 2015). "MERS Tarnishes Korean President's Image as Leader". The New York Times.
  125. ^ "President impeached". koreatimes. 9 December 2016. Retrieved 8 February 2017.
  126. ^ "'Scandal is made up of lies,' says Park". koreatimes. 25 January 2017. Retrieved 8 February 2017.
  127. ^ "(LEAD) Acting president warns of N.K. 'strategic' provocations". Yonhap News Agency. Retrieved 8 February 2017.
  128. ^ "Park may end up in jail next month". koreatimes. 7 February 2017. Retrieved 8 February 2017.
  129. ^ Sang-hun, Choe (9 March 2017). "South Korea Removes President Park Geun-hye".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10 March 2017.
  130. ^ Thompson, Derek (6 May 2020). "What's Behind South Korea's COVID-19 Exceptionalism?". The Atlantic. Retrieved 28 April 2022.
  131. ^ "Moon's approval rating drops to lowest point". The Korea Herald. 3 January 2021. Retrieved 28 April 2022.
  132. ^ Gladstone, Rick (4 January 2021). "As Birthrate Falls, South Korea's Population Declines, Posing Threat to Economy". New York Tim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8 December 2021. Retrieved 5 January 2021.
  133. ^ "South Korea's governing party wins election by a landslide".

원천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