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연산나트륨

Sodium zincate
아연산나트륨
이름들
IUPAC이름
테트라하이드록소진산나트륨()II)
식별자
3D 모델(JSMO)
ECHA 인포카드 100.032.117 Edit this at Wikidata
EC 번호
  • 235-3ft42-1
펍켐 CID
  • InChI=1S/2Na.4H2O.Zn/h;;4*1H2;/q2*+1;;;+2/p-4
  • [OH-] [OH-][OH-] [OH-][Na+] [Na+].[Zn+2]
특성.
Na2[Zn(OH)4]
어금니 질량 179.418 g/mol
별도의 언급이 없는 경우를 제외하고, 표준 상태(25 °C [77 °F], 100 kPa에서)의 재료에 대한 데이터가 제공됩니다.
☒N 확인합니다(무엇이?)

아연산나트륨은 조건에 따라 음이온성 아연 산화물 또는 수산화물을 말합니다.이 물질들의 응용에서 정확한 공식은 반드시 중요한 것은 아니며 아연산염 수용액은 혼합물로 구성될 가능성이 높습니다.[1]

히드록시아진케이츠

아연산나트륨 용액은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에 아연, 수산화아연 또는 산화아연을 용해시켜 제조할 수 있습니다.[2]이러한 복잡한 프로세스의 단순화된 방정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ZnO + HO + 2 NaOH → NaZn(OH)
Zn + 2 HO + 2 NaOH → NaZn(OH) + H

이러한 용액으로부터, 음이온 Zn(OH),42− Zn2(OH) 62−및 Zn(OH)을 함유하는 염을 결정화할 수 있습니다.64−NaZn2(OH)4은 사면체 아연산염 이온과 팔면체 나트륨 양이온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3]
염 SrZn2(OH)6은 팔면체 배위구에 아연을 포함합니다.

옥소진케이츠

NaZnO22,[4] NaZnO223,[5] NaZnO1049 등의 관련 산화물도 알려져 있습니다.[6]

참고문헌

  1. ^ 글렌 O. 맬로리, 후안 B.Hajdu, (1990), 무전해도금:기초 및 응용, 미국 전기도금기 및 표면 마감기 학회, William Andrew Inc., ISBN0-936569-07-7
  2. ^ Greenwood, Norman N.; Earnshaw, Alan (1997). Chemistry of the Elements (2nd ed.). Butterworth-Heinemann. ISBN 978-0-08-037941-8.
  3. ^ Synthesund Kristallstroctur von NaZn2(OH),4 R. Stahl, R. Niewa, H. Jacobs, Zeitschrift für anorganische und algemine Chemie, volume 625, pp. 48 - 50, doi:10.1002/(SICI)1521-3749(199901)625:1<48:AID-ZAAC48> 3.0.CO;2-L
  4. ^ D. Trinschek, M. Jansen (1996): "NaZnO22, einneues Natriumzinkat."Zeitschrift für Naturforschung B권 51호 5페이지 711-714. Doi:10.1515/znb-1996-0515
  5. ^ 아이뉴 모디피케이션 폰 NaZnO223, D.트린첵, M. 얀센:, Z. Naturforschung 51b, (1996), 917-21
  6. ^ Einneues Oxozink at mit 삼각형-평면형 쿠오르디너템 징크, D.Trinschek, M. Jansen: NaZnO1049, Zeitschrift für anorganische und algemine Chemie volume 622 (1996), pp. 245-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