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이스X CRS-21
SpaceX CRS-21![]() | |
이름 | SpX-21 |
---|---|
미션형 | ISS 상업적 재공급 서비스 |
연산자 | 스페이스X |
COSPAR | 2020-093a |
새캣 | 47233 |
웹사이트 | https://www.spacex.com/ |
임무 기간 | 38일 9시간 9분 |
우주선 속성 | |
우주선 | 카고 드래곤 C208년 |
우주선형 | 카고 드래곤 |
제조사 | 스페이스X |
발사 질량 | 6000kg(13,000lb) |
페이로드 질량 | 2,972 kg(6,552 lb) |
치수 | 높이: 8.1m(27ft) 지름: 4m(13ft) |
미션의 시작 | |
출시일자 | 2020년 12월 6일, 16:17:08 UTC[1][2] |
로켓 | Falcon 9 블록 5 (B1058.4) |
발사장 | 케네디 우주 센터, LC-39A을 |
계약자 | 스페이스X |
미션 종료 | |
복구자 | GO 네비게이터(Shannon)[4] |
착륙일 | 2021년 1월 14일 01:26 UTC |
착륙장 | 걸프 코스트 |
궤도 매개변수 | |
참조 시스템 | 지구 궤도 |
정권 | 지구 저궤도 |
기울기 | 51.66° |
ISS로 도킹 | |
도킹 포트 | 하모니 절정 |
도킹 날짜 | 2020년 12월 7일 18시 40분 UTC |
도킹 해제 날짜 | 2021년 1월 12일, UTC 14:05 |
시간이 도킹됨 | 35일, 19시간, 25분 |
화물 | |
미사 | 2,972 kg(6,552 lb) |
가압된 | 1,882 kg (4,822 lb) |
무압축 | 1,090kg(2,400lb) |
![]() SpaceX CRS-21 미션 패치 |
SpX-21로도 알려진 스페이스X CRS-21은 2020년 12월 6일 발사된 국제우주정거장에 대한 상업적 재공급 서비스 임무였다.[1][2]이 임무는 NASA에 의해 계약되었고 Cargo Dragon 2를 이용하여 스페이스X에 의해 비행되었다.이것은 2016년 1월 NASA의 CRS 2단계 계약에 따른 스페이스X의 첫 번째 비행이었다.이것은 새로운 드래곤 2 변종의 최초의 카고드래곤과 크루 드래곤 우주선(SpaceX Crew-1)과 동시에 도킹한 최초의 카고드래곤 비행이기도 하다.이 임무는 부스터 B1058.4를 사용했으며, 이전에 비 NASA 임무에 사용된 부스터를 재사용한 최초의 NASA 임무가 되었다.스페이스X가 이전 비행이 두 번 이상 있었던 부스터에 NASA 탑재체를 발사한 것도 이번이 처음이다.[7][8]
카고 드래곤
스페이스X는 카고 드래곤을 최대 5회까지 재사용할 계획이다.그것은 좌석, 조종석 제어장치, 우주 비행사들을 우주에서 지탱하는 데 필요한 생명 유지 시스템, 슈퍼드라코 엔진 없이 발사되었다.[9][10]드래곤 2는 리퍼레이션 시간을 단축하는 등 여러 가지 방법으로 드래곤 1을 개선하여 비행 간 기간을 단축한다.[11]
CRS-21이 30일 동안 표준 임무를 수행했지만, 가장 최근의 FFPIP 문서에서는 CRS-23을 시작으로 스페이스X 화물 임무를 60일 이상까지 연장하기 시작할 것이라고 밝히고 있다.[12]스페이스X의 사라 워커 드래곤 미션관리국장은 "신형 카고드래곤은 1세대 드래곤 우주선보다 두 배 이상 긴 75일까지 우주정거장에 머무를 수 있다"[13]고 말했다.
이번 임무로 드래곤 캡슐 2개가 동시에 ISS에 정박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었다.
CRS-21 임무를 시작으로, 새로운 드래곤 카고 캡슐은 대서양이나 멕시코만의 플로리다 해안에서 낙하산 아래 낙하산을 타고 낙하산을 타고 낙하산으로 뛰어내린다.[14]이 NASA 선호도는 CRS-2 상에 추가되었다.[10][15]
미션

타임라인
T+00:00: 리프토프
T+01:18: 최대 공기역학 압력
T+02:30: 1단계 메인 엔진 컷오프(MECO)
T+02:34:단계분리
T+02:41: 2단계 엔진 시동
T+06:37:1단계 입력 화상 시작
T+08:38: 2단계 엔진 차단(SECO)
T+08:38: 드론 선박 1단계 착륙
T+11:49:용 분리
T+12:35: 용노즈콘 오픈 시퀀스 시작
페이로드
NASA는 스페이스X에서 CRS-21 임무를 위해 계약했으며 따라서 카고 드래곤의 1차 탑재량, 발사 날짜 및 궤도 매개변수를 결정한다.CRS-21 미션은 ISS에 2,972 kg(6,552 lb)의 화물을 운반한다.[16][17][18]
- 과학 조사: 953kg(2,101lb)
- 차량 하드웨어: 317kg(699lb)
- 승무원 용품: 364kg(802lb)
- 우주 유영 장비: 120kg(260lb)
- 컴퓨터 자원: 46 kg(101 lb)
- 러시아어 하드웨어: 24kg(53lb)
- 외부 탑재량(나노랙스 비숍 에어록): 1,090kg(2,400lb)

나노랙스 비숍 에어록 모듈(Bishop Airlock Module)은 과거 비숍 에어록 모듈(Bishop Airlock Module)로 알려진 것으로, ISS의 평온도 모듈에 부착된 페이로드 에어록으로, 나노랙스가 상업적으로 개발·운영하고 있다.[19][20]에어록 주교는 일본의 키보 에어록이 그 역할을 단독으로 수행했을 때 기존에 사용 가능했던 위성 배치량의 5배를 제공한다.나노랙스는 탈레스 알레니아 스페이스가 가압 쉘을 제조하고 보잉이 토싱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주요 계약업체다.[21]ISS의 두 번째 상용 모듈로 2016년 4월 ISS에 부착된 BEAM(Bigelow Expandable Activity Module)에 이어 최소 2028년까지 ISS에 머무를 것으로 예상된다.에어록 주교는 2015년 공사를 시작했으며, 2020년 12월 19일 캐나다2호에 의해 평온에 종속되었다.[22]
실험
바이오아스테로이드(BioAsteroid)는 소행성, 달, 화성 암석 채굴에 필요한 기반시설과 도구를 시험하기 위해 고안된 실험이다.그것은 결국 인간이 그 위에 착륙할 때 탐사를 위해 그 몸에서 현무암을 캐낼 것이다.
헤모큐는 달과 화성의 백혈구 검사를 위한 시스템의 시험이다.이 시스템은 지구의 중력 하에서 개발되었으며, 여전히 제로-g에서 시험해야 한다.
뇌 오르가노이드 실험은 첫 번째 뇌 오르가노이드 실험의 연속이다.그것의 목표는 1차 실험의 유효성을 확인하고 그 1차 실험 동안 기록된 연구를 계속하는 것이다.이 프로그램은 초창기 개발된 인간의 뇌와 미세중력에서의 움직임을 연구하며 신경퇴행장애의 더 나은 모델을 다루고 만들어 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카디널 하트(Cardinal Heart)는 이전 실험의 연속이다.이 실험은 인간 심장 조직의 심근 세포와 제로-g 환경에 대한 그것의 반응을 연구할 것이다.NASA의 우주비행사 케이트 루빈스는 몇 년 전 우주 정거장에서 있었던 실험에 참석했는데, 그녀는 우주정거장에서의 몇 가지 일 때문에 숨이 막힐 정도라고 말했다.
서브사-브레인은 마이크로메테이트와 우주 쓰레기의 영향과 그것들이 야기할 수 있는 손상, 그리고 브레이징이라고 불리는 조직을 수리하는 과정, 그리고 그것이 여전히 무중력 환경에서 작동하는지 등을 연구한다.
3차원 미생물 모니터링(3DMM)은 국제우주정거장(ISS) 전체의 다양한 위치에 존재하는 박테리아와 대사물의 3차원 지도를 제작해 우주비행 환경이 식별된 다양한 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판단하는 프로젝트다.
마이크로그래비티(MCRM)의 모노클로날 크리스탈 리서치는 미국 제약사 브리스톨 마이어스 스퀴브의 단백질 결정화 실험이다.NASA 우주비행사들은 지구상의 환자들을 위한 약물 제형과 전달의 개선을 목표로 우주에서 단핵 항체의 결정화를 연구할 것이다.단핵 항체는 항원이라고 불리는 특정 표적과 상호작용하도록 고안된 실험실에서 만들어진 단백질이다.단일성 항체는 암을 포함한 수많은 질병의 치료에 사용된다.[23]
설치류 연구-23(RR-23)은 우주 비행이 눈에 미치는 영향, 특히 시력 유지에 필요한 동맥, 정맥, 림프관의 구조와 기능에 대해 연구할 것이다.
학생 우주 비행 실험 프로그램:학생 우주 비행 실험 프로그램 (SSEP)은 미션 14A의 일부로 나타난 27개의 실험들을 가지고 있다.[24]
CRS-21 가압 캡슐은 우주 환경이 미생물과 광물 사이의 상호작용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를 포함하여 다양한 다른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20]
반환 하드웨어
NASA는 CRS-2 계약에 따라 캡슐이나 리프팅 본체를 반환하는 것을 시작으로 국제우주정거장에서 돌아오는 주요 하드웨어(진단 평가, 개조, 수리 또는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은 하드웨어)를 보고한다.스페이스X CRS-21 임무는 2021년 1월 14일 지구 대기권에 재진입해 플로리다 서부 해안 근처에서 2,002kg(4,414lb)의 왕복 화물을 싣고 급강하하는 것으로 끝났다.이 화물은 다음을 포함한다.[16]
트레드밀 데이터 항전 장치: 러닝머신을 지원하는 항전 장치 고장, 양호한 예비로 온오빗 교체 후 지상으로 복귀하는 중요한 항목.
이산화탄소 제거 조립체(CDRA) 공기 선택기 밸브: 온오프빗에서 이산화탄소 제거 기능을 지원하기 위해 수리 및 개조를 위해 반환되는 중요 성능 저하 밸브.
질소 산소 충전 시스템(NORS) 탱크: 산소나 질소를 날릴 수 있는 감압 탱크로, 2021년 향후 온오비트 수요에 활용될 예정이다.
설치류 연구 서식지 및 운반체: 설치류 연구-23(RR-23) 임무의 살아있는 설치류 및 향후 연구 임무와 분석을 지원하는 서식지와 운반체를 사용했다.
ISS(MELFI) 전자 장치용 영하 80도 실험실 냉동고: 향후 냉간 보관 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상 수리가 필요한 냉간 보관 품목 고장
열 아민 벌크 워터 세이브 밸브: 수리를 위해 접지로 돌아가는 열 아민 시스템의 효율적인 사용을 지원하는 고장 밸브는 오리온 캡슐에 유사한 밸브 설계의 견고함을 알리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도킹 해제 및 반환
자동화된 화물 캡슐은 재진입에 앞서 2021년 1월 12일 14시 5분 국제우주정거장(ISS)에서 도킹 해제됐다.도킹 해제와 스플래시다운은 스페이스X의 드래곤 2 우주선의 첫 번째 화물 임무를 완수했다.스페이스X 복구팀은 2021년 1월 14일 플로리다 주 탬파 서쪽에 위치한 멕시코만 UTC 01:26에서 낙하산 지원 스플래시다운을 위해 대기 중이었다.NASA에 따르면 용은 2,002kg(4,414lb)의 화물을 싣고 지구로 돌아왔다.[3]
참고 항목
참조
- ^ a b Clark, Stephen (27 November 2020). "Launch Schedule: SpaceX CRS-21". Spaceflight Now. Retrieved 5 December 2020.
- ^ a b @SpaceX (5 December 2020). "... poor weather in the recovery area for today's attempt" (Tweet) – via Twitter.
- ^ a b Clark, Stephen (14 January 2021). "French wine, live rodents among 2 tons of cargo returned from space station". Spaceflight Now. Retrieved 14 January 2021.
- ^ "Teams Work Overnight to Return Time-Sensitive Cargo From Space". NASA. 14 January 2021. Retrieved 14 January 2021.
- ^ Garcia, Mark (7 December 2020). "New SpaceX Cargo Dragon Docks to Station". NASA.
이 글은 공개 도메인에 있는 이 출처의 텍스트를 통합한다..
- ^ "Cargo Dragon Undocks from Station and Heads for Splashdown". NASA. 12 January 2021. Retrieved 12 January 2021.
이 글은 공개 도메인에 있는 이 출처의 텍스트를 통합한다..
- ^ Ralph, Eric (9 June 2020). "SpaceX wins NASA approval to launch astronauts on reused rockets and spacecraft". teslarati.com. Retrieved 10 June 2020.
- ^ "SpaceX CRS-21 Mission Overview" (Press release). ISS National Lab. 17 November 2020.
이 글은 공개 도메인에 있는 이 출처의 텍스트를 통합한다..
- ^ Ralph, Eric. "Dragon 2 modifications to Carry Cargo for CRS-2 missions". Teslarati. Retrieved 29 September 2020.
- ^ a b Audit of Commercial Resupply Services to the International Space Center (PDF). Office of Inspector General (Report). Vol. IG-18-016. NASA. 26 April 2018. pp. 24, 28–30. Retrieved 29 September 2020.
이 글은 공개 도메인에 있는 이 출처의 텍스트를 통합한다..
- ^ Clark, Stephen (2 August 2019). "SpaceX to begin flights under new cargo resupply contract next year". Spaceflight Now. Retrieved 29 September 2020.
- ^ Gebhardt, Chris (20 June 2019). "Station Planning New Crew Launch Dates". NASASpaceFlight.com. Retrieved 29 September 2020.
- ^ Clark, Stephen (6 December 2020). "SpaceX launches first in new line of upgraded space station cargo ships". Spaceflight Now. Retrieved 6 December 2020.
- ^ Clark, Stephen (12 January 2021). "Cargo Dragon heads for splashdown off Florida's west coast". Spaceflight Now. Retrieved 14 January 2021.
- ^ Clark, Stephen (2 August 2019). "SpaceX to begin flights under new cargo resupply contract next year". Spaceflight Now. Retrieved 29 September 2020.
- ^ a b "SpX-21 Mission Overview" (PDF). NASA. 26 November 2020. Retrieved 4 December 2020.
이 글은 공개 도메인에 있는 이 출처의 텍스트를 통합한다..
- ^ "ISS Research Program". Glenn Research Center. NASA. 1 January 2020. Retrieved 29 September 2020.
이 글은 공개 도메인에 있는 이 출처의 텍스트를 통합한다..
- ^ "SpaceX Commercial Resupply". ISS Program Office. NASA. 1 July 2019. Retrieved 27 September 2020.
이 글은 공개 도메인에 있는 이 출처의 텍스트를 통합한다..
- ^ "Nanoracks Bishop Airlock". Nanoracks. Retrieved 29 September 2020.
- ^ a b Cawley, James (16 October 2020). "Next-Generation Airlock Prepped for SpaceX CRS-21 Launch". Kennedy Launch Services Program. NASA. Retrieved 19 October 2020.
이 글은 공개 도메인에 있는 이 출처의 텍스트를 통합한다..
- ^ Krebs, Gunter (11 February 2020). "Bishop". Gunter's Space Page. Retrieved 29 September 2020.
- ^ NEW AIRLOCK ATTACHED TO THE SPACE STATION, retrieved 27 May 2021
- ^ CRS-21 Mission (YouTube Video). SpaceX. 6 December 2020.
- ^ "SSEP Mission 14 to the International Space Station (ISS) SSEP Student Spaceflight Experiments Progr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