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석산 에피머라아제
Tartrate epimerase주석산 에피머라아제 | |||||||||
---|---|---|---|---|---|---|---|---|---|
식별자 | |||||||||
EC 번호 | 5.1.2.5 | ||||||||
CAS 번호 | 37318-33-5 | ||||||||
데이터베이스 | |||||||||
인텐츠 | IntEnz 뷰 | ||||||||
브렌다 | 브렌다 엔트리 | ||||||||
ExPASy | NiceZyme 뷰 | ||||||||
케그 | KEGG 엔트리 | ||||||||
메타사이크 | 대사 경로 | ||||||||
프라이머리 | 프로필 | ||||||||
PDB 구조 | RCSB PDB PDBe PDBum | ||||||||
진 온톨로지 | AmiGO / QuickGO | ||||||||
|
효소학에서 주석산 에피머라아제(EC 5.1.2.5)는 화학 반응을 촉매하는 효소이다.
- (R,R)-타르트레이트 { \메소타르트레이트
따라서 이 효소는 (R,R)-타르트산염 기질 1개와 메소-타르트산염 1개를 가진다.
이 효소는 이성질화효소, 특히 히드록시산 및 유도체에 작용하는 레이스마아제 및 에피머라아제 계열에 속합니다.이 효소 클래스의 계통명은 주석산염 에피머라아제이다.이 효소는 주석성 라세마제라고도 불린다.이 효소는 글리옥실산염과 디카르본산염 대사에 관여합니다.
레퍼런스
- Ranjan S, Patnaik KK, Laloraya MM (1961). "Enzymic conversion of meso-tartrate to dextro-tartrate in tamarind". Naturwissenschaften. 48 (10): 406. doi:10.1007/BF00609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