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절(라틴어)
Temporal clause (Latin)라틴어 문법 |
---|
시간절은 시간의 부사절, 즉 문장의 주동사의 작용이 발생한 시간을 독자에게 알려주는 절이다.그래서 "내가 이 말을 하고 나서 그는 나갔다"와 같은 문장에서 첫 번째 절은 시간적 절이다.그 이름은 라틴어 tempus, genitive todis, 'time'에서 유래되었다.
일반적으로 라틴어에서 시간 절은 절의 시작이나 그 근처에 cum "when" 또는 postquam "후"와 같은 시간의 결합을 가지고 있고, 끝에는 동사가 있다.라틴어 시간절의 동사는 가끔, 특히 접속사가 um으로 되어 있을 때는 하위절에도 있지만, 보통 지시적인 분위기에 있다.그러나 그 조항이 간접언어의 일부라면 동사는 거의 항상 부차적인 분위기에 있다.[1]
시간적 조항을 도입하는 데 사용되는 접속사에는 때때로 다른, 비임시적 의미가 있다.예를 들어, cum은 "when", "when" 또는 "sm"을 의미할 수 있고, dum은 "while", "till" 또는 "proved that"을 의미할 수 있으며, ubi는 "when" 또는 "where"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라틴어에서 시간표현을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또 다른 가능성은 참여형 구절이다.예를 들어, 시간절 idquam udvit (네포스)[2] "이 말을 들은 후"와 쿼드 udvisset (시케로)[3] "이 말을 들었을 때"는 둘 다 참여 구절인 quo udvitto ([4]플리니) (문학적으로, "듣고 있는")과 같은 의미를 지닌다.
시간 절은 역사와 같은 라틴어의 특정 양식에서 매우 빈번하며, 시간 절의 참여 구절과 종종 혼합된 두세 개의 시간 절에 의해 소개된 문장을 발견하는 것은 드문 일이 아니다.
시간 절의 분류
시간 절의 일반적인 분류 방법은 시간 절에 기술된 작용이나 상황이 선행인지, 동시대인지, 또는 주동사의 후속인지에 따라 이루어진다.[5][6]
A. 시간절 동사의 작용은 주동사의 작용에 선행한다.
- 시간 절은 주동사 이전에 완료된 사건을 설명한다.
- 예: "신호 부여 후, 그들은 싸우기 시작했다"
- 시간 절은 주동사 이전에 시작되어 그것과 중복될 수 있는 상황을 설명한다.
- 예) "군인들이 일단 자리를 잡으면 장군들이 나섰다"
B. 시간절 동사의 작용은 주동사와 동시대적이다.
- 두 가지 사건이 공존한다.
- 예: "그가 넘어졌을 때, 그는 다쳤다"
- 두 가지 상황이 공존한다.
- 예: "그는 살아 있는 한 행복했다"
- 주요 조항 사건은 시간적 조항 상황 중에 발생한다.
- 예: "그가 자는 동안 그들이 도착했다"
- 시간적 절 사건은 주요 절 상황 중에 발생한다.
- 예: "그들이 도착했을 때 그는 자고 있었다"
- 주요 조항 상황은 시간적 조항 사건에 의해 중단된다.
- 예: "그는 자고 있었는데, 갑자기 그들이 도착했다"
- 시간적 조항은 상황의 시작점을 정의한다.
- 예: "그는 태어날 때부터 그곳에서 살았었다"
- 시간적 조항은 상황의 끝점을 정의한다.
- 예: "죽을 때까지 그곳에서 살았다"
C. 시간절의 작용은 주동사의 작용에 따른다.
- 시간적 절 사건이 발생했다.
- 예: "내가 도착하기 전에 그가 떠났다"
- 시간 절 사건은 발생하지 않았다.
- 예: "내가 말하기 전에 그가 떠났다"
시간적 조항을 분류하는 두 번째 방법은 위의 예에서와 같이 문장이 확정 시간을 참조하는지 아니면 무기한 시간에 일반화 또는 반복적인 행동을 기술하는지 여부다.
- 예: "승리하면 희생을 한다"
세 번째 분류는 주동사와 따라서 문장 전체가 과거, 현재 또는 미래 시간에 위치하는지 여부다.
이 글에서 따르는 네 번째 분류 방법은 사용된 다른 접속사들에 따른다.
접속사선택
로마 작가들은 문체가 서로 다르며, 이것은 다른 접속사들에 대한 선호도에 의해 다른 것들 사이에서 보여진다.아래[7] 표는 공화정 시대의 역사학자 3명, 줄리어스 시저, 코넬리어스 네포스, 살루스트, 그리고 다음 세대의 시인 버질, 오비드의 몇몇 가장 흔한 접속사들에 대한 시간 절의 수를 보여준다.접속사에는 cum "when, while," postquam "after", 유비 "when", ut "as, when," simulatque "so, when"이 있다.포스트에쿼람과 시뮬락의 수치는 포스트쿼람과 시뮬라큐에 포함되어 있다.
작가 | 겸 (기호) | 겸 (subj.) | 사후의 | 유수의 | UT | 모뮬라트케 |
---|---|---|---|---|---|---|
카이사르 | 10 | 147 | 22 | 55 | 5 | 6 |
네포스 | 13 | 181 | 45 | 4 | 26 | 4 |
살루스트 | 22 | 24 | 90 | 119 | 0 | 0 |
버질 | 51 | 11 | 19 | 30 | 22 | 1 |
오비드 | 35 | 13 | 30 | 25 | 36 | 13 |
여기서 um에 대한 수치는 인과관계나 양보를 생략하고 시간의 절만을 위한 것이다.[8]
이 표는 부전제와의 서사가 카이사르와 네포스에서 매우 흔하지만 다른 세 명의 저자가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준다.살루스트는 다른 어떤 접속사보다 유비쿼시를 많이 사용했지만, 네포스에 의해 피했다.반대로 네포스와 두 시인은 ut를 자주 사용하지만, ut는 결코 ut를 사용하지 않는다.카이사르는 다른 작가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포스트 콰이어를 거의 사용하지 않았다.
다음 표는[9] 포스트쿼람과 포스트에쿼람 "후"와 앤테쿼람 및 프리우스쿼람 "전"의 상대적 사용을 보여준다.
작가 | 사후의 | 사후의 | 안테캄 | 프리우스콰임 |
---|---|---|---|---|
키케로 | 57 | 187 | 203 | 90 |
카이사르 | 13 | 9 | 2 | 17 |
네포스 | 35 | 9 | 0 | 32 |
살루스트 | 89 | 2 | 1 | 14 |
리비 | 428 | 4 | 97 | 308 |
이 표를 보면, 키케로가 포스트 아퀘암에 대한 선호가 뚜렷한 반면, 다른 작가들은 포스트 퀘암을 선호했음을 알 수 있다.접속사 안테쿰은 키케로에서 프리우스쿰보다 더 흔하고, 리비에 의해 어느 정도 사용되었지만, 카이사르, 네포스, 살루스트에 의해 거의 완전히 피하게 된다.
"만날 때까지" 또는 "만날 때까지"를 의미하는 coosaad와 donec의 접속사 또한 변동을 보여준다.코오아드는 키케로에서 144번 발생하지만 타키투스에서는 2번만 발생한다.[10]호레이스에서 한 번, 루크레티우스에서만 두 번 일어나는 등 시에서는 드물다.반대로, 도넥은 공화정 시대의 작가들에서는 거의 찾아볼 수 없지만, 제국 하에서 인기를 얻게 되었다; 타키투스에서는 140번 일어난다.[11][12][13]
작가 | 보아드 | 도넥 |
---|---|---|
키케로 | 144 | 3 |
카이사르 | 7 | 0 |
살루스트 | 2 | 0 |
네포스 | 11 | 0 |
리비 1-10 | 4 | 54 |
타키투스 | 2 | 140 |
긴장감 및 분위기
시간절에서 사용하는 동사의 시제와 분위기는 의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예를 들어, cum vēnisset (pluffect subjunctive)는 "그가 온 후"를 의미하지만, cum vernerat (pluffect instructive)는 "그가 올 때마다"를 의미한다.또는 다시 말하지만, 덤 베넷(현재의 지시)은 "그가 오는 동안"을 의미하지만, 덤 베넷(불완전한 하위절제)은 "그가 올 때까지"를 의미한다.
시간적 절에서 사용되는 긴장감과 기분은 접속사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즉, 사후 쿼럼 오드빗("그가 들은 후")은 완벽한 지시어를 사용하지만, um 오드비셋("그가 들었을 때")은 의미가 매우 비슷하거나 동일하지만, 독과점 부제어를 사용한다.과거의 맥락에서, quam, ubi, ut, simulatque 접속사들은 완벽하거나 불완전한 지시자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 um은 보통 불완전하거나 취약한 부주사가 뒤따른다.
기원전 200년과 서기 100년 사이의 3세기에 걸쳐 시간 절에서 부절제 사용이 더 흔해졌다.접속사 쿰은 대부분 플라우투스에서 지시하는 것을 가지고 있지만, 카이사르에서는 대부분의 쿰 절이 부차적인 것을 가지고 있다.반복 조항(즉, "언제나"라는 의미)".) 보통 카이사르와 키케로에는 지시자가 있지만, 리비로부터는 부주사가 일상화되었다.[14]보조제의 유사한 증가된 사용은 덤 "while / will"과 프리우스쿼 " before"[15]를 포함하는 조항에서 볼 수 있다.
전체적으로, 시간적 조항은 간접적인 언어에 있지 않은 경우를 제외하고 지시적인 분위기를 사용한다.주요 예외는 불완전하거나 독단적인 부전사와 함께 um을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것과 미래의 어떤 사건을 예상하는 "X가 일어날 수 있기 전" 또는 "X와 같은 시간이 발생할 때까지" 형식의 조항이다.
영어 문법과의 한 가지 차이점은 미래를 언급하는 시간적 절(예: "이것을 받았을 때, 답장을 쓰세요")에서 미래 또는 미래 완벽한 시제는 보통 영어가 현재를 사용하는 라틴어에서 사용된다는 것이다.따라서 라틴어 등가물은 "이것을 받을 때, 답장을 쓰세요"이다.그러한 문장에서는 주동사가 필수라면, 미래의 필수(예: 스크러비토 "write (당시))"가 사용된다.sī "if"로 시작하는 조건문에도 동일한 시제가 사용된다.
- 유비니힐 에리트 콰드 스크러바, id ipsum 스크러비토(Cicero)[16]
- "있을 때(빛날 때)"will be") 쓸 것 없이, 그 사실 자체를 쓰세요."
- Sī quid acciderit... 스크래비토 (Cicero)[17]
- "만약 무슨 일이 생기면(불이 켜진다)."발생했을 것"), 기록"
워드 오더
시간적 절은 본조항 앞, 그 뒤에 또는 중간에 올 수 있다.그것은 또한 분리된 prius의 경우에도 가능하다... quam, 주동사를 접속사 중간에 배치하기 위해서.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시간적 조항이 수정 조항보다 선행된다.[18]화자가 소통하고자 하는 주요 정보, 즉 문장의 '집중'이 2위를 차지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그러나 만일 주요 정보가 시간 절(cum inversum 절과 마찬가지로)에 있다면, 그들은 주요 절 다음에 온다.
꽤 자주 시간절 접속 앞에 주제 단어가 선행된다.[19]주제어는 때때로 시간절 자체에서 유래하는 경우가 있는데, 예를 들면 o와 id는 다음과 같은 문장이다.
- o cum venio, praetor juiēscēbat (Cicero)[20]
- "내가 그곳에 도착했을 때 주지사가 시에스타를 복용하고 있었다."
- idubi vident, 돌연변이 콘실륨(Caesar)[21]
- "이걸 보고 계획을 바꿨어"
다른 문장에서 주제 단어는 아래 예에서 발범과 같은 주요 절에서 온다.
- 발범,[22] 후아콰투 에스 프로파펙투스, non vīdī (Ciceronon vīī
- "발버스에 대해서는, 당신이 떠난 이후로 그를 보지 못했소."
때때로 다음과 같이 시간 절 앞에 몇 개의 주제 단어가 선행될 수 있다.
- ibī음 Caeser cum vīdisset, nhil asperē, nhil acerbē dīxit (Cicero)[23]
- "카이사르는 그곳에서 그를 보았을 때, 가혹하거나 불친절한 말은 하지 않았다."
시간절의 동사는 대개 절의 끝에 오는데, 아래 예에서 알 수 있듯이 간혹 예외적인 경우가 있다.
다른 접속사
겸
시간절에서 가장 흔히 사용되는 철자는 쿰이다; 오래된 철자는 쿰으로, 상대 대명사 qī에서 파생된 것을 보여준다.통상적인 의미는 "when"이지만, "그 사실에 비추어" 또는 "그 사실에도 불구하고" (concessive cumulum)을 의미할 수도 있다.이 의미들은 어느 정도 중복될 수 있다.
문법학자들은 보통 두 가지 부류로 의미를 나뉜다: 지시적 기분 동사를 취하는 순시적 쿰과 부차적 분위기를 취하는 상황 쿰.그 정황은 역사적, 인과적, 양보적 사용으로 나뉜다.[24]
Plautus의 초기 라틴어에서는 두 종류의 um이 모두 지시적인 무드가 따랐지만, 고전 시대에는 그 의미가 인과적이거나 양보적일 때마다 um이 항상 부차적인 무드가 따르게 된다.그 뜻이 순전히 시간의 의미일 때, 현재 또는 미래 맥락에서, 지시하는 것은 통상적인 것이다. 과거의 맥락에서, 고전적 시대에서는 부차적 의미와 지시적 의미 둘 다 사용되지만, 부차적 의미는 훨씬 더 흔하다.[25]
cum이 부차적인 분위기를 가지고 있을 때, 그것은 보통 2차적인 중요성을 지닌 사실을 표현한다.그러한 조항에서 '필자의 마음은 항상 더 먼 곳에 고정되어 있는 것 같다, 그것이 그에게 더 중요하다.'[26]이것은 "실체적 누적"이라고 알려져 있다.
히스토리 쿰
종종 역사적인 글에서 발견되는 um의 가장 일반적인 사용 중 하나는 불완전하거나 독단적인 부제사와 함께 작용하여 어떤 행동이 일어난 상황을 제공하는 것이다.이것은 um의 "역사적" 또는 "사설적" 사용으로 알려져 있다.[27][28]
시제가 불완전한 부전제일 때는 대개 주동작전이 일어났을 때 이미 일어나고 있는 상황을 묘사한다.일반적인 번역 방법은 "while"이다.
- um sedērem domī trīstis, 정확도 venerius (Cicero)[20]
- "내가 집에 슬프게 앉아 있는 동안, 베니리우스가 갑자기 뛰어올라왔다."
- cum iam adpropquenquarret urbī, omnis s ssē multitudo ad cognooscendum effudit (Caesar)[29]
- "배가 도시로 접근하고 있는 동안 전 인구가 몰려와 그 소식을 알아냈다."
- cum Iter faceret facerete solus, keercum vddit proximē viam (Gellius)[30]
- "우연히 혼자 여행을 하고 있을 때, 그는 길 근처의 참나무 한 그루를 보았다."
이 독단적인 부전사로, 그것은 보통 "X가 일어난 후"를 의미한다.
- 아에이집트 안티오코스, lēgatī... 키프룸 나비간트 (리비)[31]
- "안디옥스가 이집트를 떠난 후 대사들은 키프로스로 항해했다."
- 임시 쿰 voce magnasa dīxisset, sē ex navv prooiēcit (Caesar)[32]
- "그가 큰 소리로 이렇게 말한 후, 그는 배 밖으로 몸을 던졌다."
- 헥쿰 크라수스 데옥시셋, 사일티움 에스트 코엔슈툼 (시케로)[33]
- "크라수스가 이런 말을 한 후 침묵이 뒤따랐다."
주절의 불완전한 표시
일반적으로 역사적인 긴급조항 이후의 주요 절에 있는 동사는 역사적 현재 또는 완벽한 지시일 것이다.그러나 때로는 주동사가 불완전 시제 속에 있을 때도 있는데, 이 경우 사건보다는 상황을 묘사한다.다음 문장에서는 주동사는 이미 존재하는 상황을 기술하지 않고 시간절의 작용 이후 시작된 상황을 기술한다.
- o um vēnisset, magna harda adficiēbar, qua raitione ad opervenīre posset (Caesar)[34]
- "그가 그곳에 도착한 후, 그는 어떻게 군대에 도달할 수 있는지에 대해 매우 곤경에 처했다.
- 시저는 아시암 vēnisset에 레퍼시바트 T. 암피움 코나툼 에스 페쿠니아스 톨레레레 에페소 epeso ex fanno dianae (Caesar)[35]
- "카이사르가 아시아에 도착한 후 티투스 암피우스가 에페소스에 있는 다이애나의 신전에서 돈을 훔치려 했다는 보고를 듣기 시작했다."
그러나 다음 문장은 애매하다.일부 번역가들은 카이사르가 도착했을 때 이미 상황이 시작되었다고 해석한다.
- o cum vēnisset, cohorthds quīnque praemissae a domitio ex oppido fluminis interrumpbant, quī erat ab ab appido mīlia passumpuscirit tria (Caesar)[36]
- "그는 그곳에 도착하자마자 도미티우스가 수비대로부터 분리하여 마을로부터 약 3마일 떨어진 다리를 부수는 데 고용된 다섯 명의 코호트를 발견했다.[37]
또 다른 해석은 카이사르가 도착한 후 코호트들이 다리를 해체하기 시작했다는 것이다.iam과 독설자가 있는 다음 문장에서는 이미 상황이 진행되고 있는 것이 분명하다.
- nam um Ilo vēnisset, iam Agēsilaus mults locations expugnaīs magna erat praeda potīus (Nepos)[38]
- "그가 그곳에 도착했을 때, 아게실라우스는 이미 많은 곳을 습격하여 다량의 부츠를 소유하게 되었다."
두 동사가 모두 불완전할 경우 상황은 시간적으로 겹친다.
- castra reciprent, 적으로 hostbus emerrēbant (Caesar)[39]
- "그들이 진영으로 후퇴하는 동안, 그들은 자신들을 향해 오는 적들을 계속 만났다.
인과응보
흔히 'when'이라는 뜻이 'when'으로 음영되어 주동사의 작용 원인을 알려준다.어떤 문장에서는 해석(주의 또는 시간)이 가능한 반면, 다른 문장에서는 "그것을 본다" 또는 "그 이후" 또는 "그 사실을 고려하여"가 더 좋다.
- Hīc Paulsper est Pugnadeum, um irrumper rost irrumper rost conantur, ilī castra dēfenderent (Caesar)[40]
- "이쯤에서 잠시 싸움이 있었는데/그동안/그동안/그동안/그동안 우리 병사들이 캠프에 침입하려고 했고, 다른 병사들은 그것을 방어하고 있었다.
- Lucius Petrosidius 대수층, cumma multiward hostium premerētur, aquilam inter vallum proiēcit (Caesar)
- "독수리 사냥꾼 루키우스 페트로시디우스는 수많은 적들에게 압박을 받고 있을 때/그 이후로 그의 독수리를 캠프 벽 안쪽으로 던졌다."
- Haeduī, cum sē suaque ab iīs dēfendere non positive, lēgatos ad Cesarem mittle rogattum ouxilium (Cesar)
- "해두이들은 자신들과 그들의 재산을 그들로부터 방어할 수 없었으므로 카이사르에게 사절을 보내 도움을 청했다."
- cum esset in bīna castra 캠퍼스 ..., Domitius castrrs Scspionis aciem suam subiicit (Caesar)[41]
- "두 진영 사이에 평원이 있었기 때문에 도미티우스는 스키피오의 진영 근처에 전선을 배치했다."
cum이 인과적일 때, 현재의 시간을 언급하더라도 항상 부주사를 필요로 한다.[42]
- quae um ita sint (Cicero)[43]
- "이러한 것들이 그렇다는 사실에 비추어" / "이러므로"
양허적금
또 다른, 덜 흔하지 않은 의미는 '하지만' 또는 '그렇지만'이다.하위 절은 항상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44]
- 니힐 mē adiuvit, cum posset (Cicero)[45]
- "그가 할 수 있는 일을 할 수는 있었지만, 그는 나를 돕기 위해 아무것도 하지 않았다."
- Hoc toto proelio, cum ab hora septima ad vesperum pugnatum sit, arversum hostem vidrere nmmo potuit (Caesar)
- "이 모든 전투에서, 비록 싸움은 일곱째 시간에서 저녁까지 계속되었지만, 아무도 적이 등을 돌리는 것을 볼 수 없었다."
qum의 양허적 의미를 갖는 부제사의 사용은 매우 초기 라틴어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46]
- 에데폴, 큐피도, 쿰 탐 푸실러스 sīs, 니미스 멀티um valēs (Naebius)[47]
- "하나님 맙소사, 큐피드, 비록 그렇게 작지만 너무 힘이 세요!"
상대적 컴
일부 문법학자들이 주장하는 또 다른 cum 절의 범주는 "반복적"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 경우 두 가지 상황이 대비된다.[48]
- hosts에서, 유비 prummum nosto는 conspexērunt, quorum erat V [qunnque] mlilium 숫자, cum 입sī non amplius DCCC [octingentos]는 habitrent...(세자르)[49]
- "그러나 적은, 그 수가 5000명인 우리 기병들을 보자마자, 그들 스스로도 800명 이하의 기병들을 거느리고 있었다.."
제네릭 쿰
상대 대명사 quī 뒤에 부제어가 붙는 것처럼 ("종류의 사람") 총칭적인 의미를 가질 수 있다."), so cum은 또한 일반적일 수 있다(즉, "과 같은 시기에...").다음 문장에서, quum 뒤의 동사는 불완전한 부차적인 것이다.[50]
- accitude enim aricum trent pretia praediorum (Cicero)[51]
- "그가 그 때에 그 농장을 받았는데, 그 때에 땅값이 낮았기 때문이다."
미래 시간에 위치하는 다음 항목에서는 부차적 요소가 있다.
- erit underd profecto um tu amisscissimī 자비심 dēsderēs (Cicero)[52]
- "훌륭한 친구의 봉사를 바라게 될 때가 올 것이라고 확신한다."
"누군가 말하는 것을 들었다."
라틴어로 "그 사람이 말하는 것을 들었다"는 부제사와의 쿰 절(cum 절)을 사용하여 "그가 말하는 동안 들었다"(또는 "그가 말하는 동안 그에게서 들었다")라고 표현할 수 있다.[53]이 구절의 회전은 Cicero에 의해 여러 번 사용된다.
- 오드비... Mētrodorum cum dē iīs ipsīs rēbus disputarret (Cicero)[54]
- "메트로도로스가 바로 이 문제들에 대해 토론하는 것을 들었다."
- 새페 eo [55]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 "나는 그가 익숙하지 않거나 그것들을 쓸 수 없다고 말하는 것을 자주 들었다.
또한 고발과 부정사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의미를 표현할 수도 있다.
또 다른 방법은 현재 분사를 사용하는 것이다.
- 호로뎀 아티쿰... Athēnīs differentem oudīī Graeca orartione (겔리우스)[57]
- 아테네에서 헤로데스 아티쿠스가 그리스어로 강의를 하는 것을 들은 적이 있다."
지시와 함께
지시적 분위기와 함께 사용되며, 접속사 쿰은 "그 때"를 의미할 수 있다.[58][59]이것은 '임시적 컴'으로 알려져 있다.
아래의 예에서, 사건은 정확히 동시에 발생하며, 부전제를 사용할 수 없었다.
- catacenter, clamant([60]시케로)
- "그들이 침묵할 때, (마치) 소리를 지르고 있을 때"
- 로코 일레 모투스 에스트, um esx ex urbe dēpulsus (Cicero)[61]
- "그는 (그 순간) 도시에서 쫓겨나면서 유리한 고지를 벗어나게 되었다."
시간절의 작용이 본절의 작용과 같기 때문에, 위와 같은 절은 때때로 "등가 작용의 제약"이라고 알려져 있다.[62]동일한 시간에 발생한 다른 동작에도 동일한 문법이 사용된다.
- 성관계의 비밀. 로시우스, 이부뎀 푸아룬트 (시케로)[63]
- "섹스투스 로시우스도 살해당했을 때, 그들도 거기 있었소."
- 넴페에오 로물루스 레기노네스 드r렉시트 텀 um urbem condidit (Cicero)[64]
- "로물루스가 도시를 세울 당시 하늘의 지역을 표시한 것은 분명 이 (로드)와 함께입니다."
다음에서 동사는 동시적, 동시적으로 발생한 상황을 기술한다.주동사는 완벽한 지시형이고, 시간절 동사는 불완전한 지시형이다.
- Diss trīginta aut plus eo in navīfuī, um interrea semper mortem exspect abammer(테렌스)[65]
- "30일, 아니 그보다 더 많이, 나는 그 동안 내내 비참하게 죽음을 예상하고 있었던 동안 배 안에 있었다."
시간 절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완벽하고, 본 절에는 불완전한 것이 있다.
- 술라쿰 다마시품 외... Iugulari iussit, quis non factum eiuslaudabat? (Sallust)[66]
- "그 때 술라가 다마시푸스 등을 사형에 처하도록 명령했을 때, 그의 행동을 칭찬하고 있지 않은 사람은 누구인가?"
다음에서 두 조항 모두 불완전한 지시 시제를 가진다.
- gladios gladios hostium vidbbant Deciī, cum in aiem eoum inrubbant (Cicero)[67]
- "데키족은 전열을 향해 돌진하는 것과 동시에 적의 번쩍이는 칼을 볼 수 있었다."
- tum, cum dīcēbas, vidēbam (Cicero)[68]
- "그때도 볼 수 있었는데, 네가 말을 하고 있을 때 말이야."
다음은 불완전한 지시와 함께 있지만, 주 절에서 완벽한 지시와 함께 있다.
- ad outsidemum vēro, cum iste iam dēcēdēbat, ...requets ad ad ad ad eos mīsit (Cicero)
- "마지막에, 피고가 이미 지방을 떠나고 있을 때, 카르피나티우스는 그들에게 편지를 보냈다.."
그러나 다른 문장에서는 cum 절이 더 정황적으로 보인다.
- 갈로 autem narrav,, cum proximē Romae fuī, Quid oudssem (Cicero)[69]
- "내가 갈루스에게, 지난번에 로마에 갔을 때 들은 얘기야."
- 막심합리학(maxima sum laetitiatia adpectus, cum udd audvī consulm t fact factum esse (Cicero)[70]
- "당신이 영사로 임명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나는 가장 큰 기쁨에 휩싸였다."
문맥이 유사한 다음의 예들은 부차적인 예와 함께 있다.
- quibus dē rēbus ... Nuper, Tuscularanno의 cum essem, disputtatum est (Cicero)
- "최근 내가 투스쿨럼에 있는 내 별장에 있을 때 우리가 논의했던 주제"[71]
- cum ud audsset dē suo (fīlio), 프랙투스 에스트 (Cicero)[72]
- "그가 자기 아들 이야기를 들었을 때, 그는 마음이 아팠다."
주 절이 불완전한 임시 um
다음의 예에서 시간 절은 사건을 기술하는 반면, 주 절은 그 당시 이미 존재했던 상황을 기술한다.시간절 동사는 완벽하거나 역사적 현재를 나타내며, 주절 동사는 불완전하다.
- 갈리암 vēnit의 Cum Caesar, alterīus factionis prīncipēs erant Aeduī, alterīus Sēquanī (Caesar)[73]
- "(당시) 카이사르가 가울에 들어왔을 때 한 파벌의 우두머리는 아에두이, 다른 파벌의 리더는 세카니였다."
- o cum venio, praetor juiēscēbat (Cicero)[20]
- "내가 그곳에 도착했을 때 주지사는 낮잠을 자고 있었다."
임시변통으로 임시변통하다
puit tempus quum "time was time"이라는 문구는 지시적 또는 부차적 표현으로 이어질 수 있지만 부차적 표현은 더 흔하다.[53]다음 예에는 불완전한 징후가 있다.
- 농경지의 puit Quoddam tempus, pum in agrams passim bestiam modo bagbantur (Cicero)[74]
- "어떤 때는 사람들이 야생동물처럼 시골에서 무작위로 돌아다녔던 때가 있었다."
다음과 같은 불완전한 부차적 요소가 있다.
- tempus, cum Germanos Gallī virtute superarent (Caesar)[75]
- "전에는 독일군보다 전투정신이 뛰어난 자가 가울족이었던 적이 있었소."
얼마나 오랜 시간
cum을 사용하는 또 다른 관용구는 다음과 같이 특정 상황이 얼마나 오래 지속되었는지를 나타낸다.[53][76]두 절의 동사는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 aere meo 에스트(Cicero)[77]에서 multu anna sunt cum in aere meo est
- "그는 수년간 나에게 빚을 졌다"
- apud Graecos Quidem iam annī 프로펠러 쿼드링엔트 쑨트 콰도르(Cicero)[78]
- "그리스인들 중에서 이것이 승인받은 것은 이제 거의 500년이다."
- Iam diu est, cum Quaerimus (Gellius)[79]
- "우리는 오랫동안 그것을 찾고 있다"
시간 길이는 또한 서수 번호를 사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 vcēsimus annus etstum mē petunt (Cicero)[80]
- "그들이 나를 공격한 것은 이제 20년이 되었다."
그러한 문장에서 cum 절은 다음 예에서와 같이 완벽한 시제를 가질 수도 있다.
- nondum centum 등 감속 sunt cum dē pecuniīs 반복 lata lēx est (Cicero)[81]
- "갈취에 관한 법률이 통과된 지 아직 백 십 년이 되지 않았다."
- - quīndecim diēs sunt, quom pro hīsce aedibus mina sadrginta accus accus a Callicle (Plautus)[82]
- "이 집 앞에 있는 캘리클레스로부터 40 minae를 받은 지 보름도 안 돼."
다음 예제는 과거 시간에 위치한 동일한 유형의 조항을 보여주고 불완전한 지시 및 취약성 지시 시제를 사용한다.
- permultī anna erant um in inter patricios 치안판사 trivunosque nuella certa mina fuerant (리비)[83]
- "오랫동안 귀족의 치안판사와 호민관 사이에는 아무런 분쟁도 없었다."
그러나, 어떤 상황이 지속된 기간도 cum 조항을 사용하지 않고 표현할 수 있다.주동사는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 iam diugnooro kuid aga; 니힐 엔님 스크레비스 (Cicero)[85]
- "지금 오랫동안 네가 뭘 하고 있는지 전혀 몰랐어, 네가 아무것도 쓰지 않으니."
반복적 누적
명확한 경우는 없지만 일반화 또는 반복적인 행동을 가리키는 조항("언제나..."), 일반적으로 지시적인 분위기를 사용한다. 비록 리비 이후로는 부차적인 분위기도 사용될 수 있다.[86]
현재 또는 무기한 시간에 두 사건이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 현재 시제는 다음 두 가지 모두에 사용된다.
- Ferē cotīdianīs proeliouss cum Germahn contends, cum aut suss fnnibus eos eos eoeum possuce in eorum fīnibus bellum gerunt (Caesar)[87]
- "그들은 독일과 거의 매일 전투를 벌인다. 그들이 독일 영토에서 그들을 멀리하거나 독일 영토에서 싸울 때마다 말이다."
- hī, cum est usus... , bello versantur (Caesar)[88]의 옴므나스.
- "이것들은, 필요할 때마다, 모두 전쟁에 참가하라"
- ea quae nobs, cum Romae sumus, narrar nēmo oudet (시케로)
- "내가 로마에 있을 때 아무도 감히 내게 말할 수 없는 것들"
단, 시간절 사건이 주절 사건보다 선행하는 경우, 시간절에는 완벽한 지시시제가 사용된다.[89]
- cum superviērunt, animalia capta 불변(Caesar)[90]
- "승리(light)할 것"이라고 말했다."이겼다") 전투, 그들은 포획된 동물들을 희생한다."
- oppidum autem britannī voicant, cum silvas delivertas vallo atque fossa muniērunt (Caesar)[91]
- "영국인들은 성곽과 도랑으로 울창한 삼림지대를 요새화 할 때마다 그곳을 "마을"이라고 부른다."
과거의 맥락에서 사건이 동시대적인 경우 불완전한 지시자는 두 조항에서 모두 사용된다.
- ego, cum or quo cotone laudabar, refddī mē ē ā ās facily patibarbar (Cicero)[92]
- "개인적으로, 우리 친구 카토에게 칭찬을 받을 때마다, 나는 다른 사람들로부터 비난을 받는 것에 대해 전혀 개의치 않았다(조명. "나는 쉽게 괴로워했다").
그러나 한 사건이 다른 사건보다 더 이른 경우, 시간적 절에는 독단적인 징후가 있는 반면, 주요 절은 불완전하다.
- cum quaepiam cohors ex orbe impetum f impcerat, hosts velocissim vel refugiēbant (Caesar)[93]
- "어떤 코호트라도 서클을 떠나 공격을 한다면 적은 매우 빨리 후퇴할 것이다."
- cum Rosam vīderat, tum incipere vrr chicabar(시케로)[94]
- "그가 (불을) 보았을 때야 비로소 그랬다."보았었다") 봄이 시작되는 줄 알았던 장미 한 송이"
그러나 리비 시대 이후의 저자들에서는 부제어가 반복 절에 쓰이기도 한다.
- um in ius ducī dēbitorem vīdissent, unique convolaabant (리비)[95]
- "그들은 (불을) 봤지."본 적이 있다") 채무자가 법정으로 끌려가는 것을 보고 사방에서 모여들곤 했다."
미래의 맥락에서.
유사한 구성이 반복적이든 아니든 미래를 언급하는 조항에도 사용된다.영어가 시간 절에서 현재 시제를 사용하는 미래 문장에서 라틴어 관용구는 두 절에서 미래 시제를 사용하는 것이다.
- 나랴보(Cicero) qualificid habēbo novī (Cicero)
- "언제라도 (불이) 나면 알려 주겠다."있어야 할 소식"
- Tu velimum prermum poteris tua consilia add mē scrības (Cicero)[96]
- "가능한 한 빨리 (불을) 켠다는 계획서를 써주었으면 좋겠다."할 수 있을 것""
그러나 카툴루스의 유명한 시에서처럼 시간적 절의 사건이 본행사에 앞서면 미래의 완벽한 지표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 데인, cum mīlia multa fcerīmus, conturbarabimus ila (Catullus)[97]
- "그럼, 우리가 (불을) 피운 후에야."만들었을 것") 수 천명, 우리는 회계처리를 엉망으로 만들 것이다."
- 플뤼부스 동사 ad t ad scrībam, cum plus otiī nactus ero (Cicero)
- "내가 (불이) 나면 더 긴 편지를 쓸게."더 많은 자유시간을 가질 수 있었을 것"
역cum 절(cum inversum)
어떤 문장에서는 상황이 주요 절에 주어지는 반면, 주요 사건은 항상 2위가 되는 cum 절에 있다.이를 "cum inversum"[98] 또는 역cum 절이라고 한다.[99]여기서 um은 완벽하거나 역사적인 현재를 나타낸다.
- 한니발 iam subbat muros, um ērumpunt Romanī (리비)[100]에서 누적 뉘우침
- "한니발은 이미 성벽으로 다가가고 있었는데, 그때 로마인들이 갑자기 그에게 덤벼들었다."
- 퓌블리쿰 프뢰큐르룬트(Caesar)[101]에서 쿰 마트르족(Caesar) 가족의 회개
- "그들은 이미 밤에 이것을 할 준비를 하고 있었는데, 그때 몇몇 유부녀들이 갑자기 거리로 뛰쳐나왔다."
- Vix ea fa aptus erat, cum pallefusa 회개, scindit sē nubēs (Virgil)[102]
- `그가 이런 말을 할 때에, 갑자기 주위로 쏟아진 구름이 갈라졌다.'
누적된 종류의 시간적 조항은 라틴어의 혁신이며 다른 초기 인도유럽 언어에서는 찾아볼 수 없다는 주장이 제기되어 왔다.[103]이런 유형의 문장에서는 일반적으로 본조항에는 iam "지금까지"나 vix "scarcely" 또는 modo "just"와 같은 부사가 있고, 위의 예와 같이 종종 cum-clause에 회개하거나 subito "subidly"와 같은 단어가 있다.[104]
아첨하다
cum prīmum이라는 말은 "즉각"을 의미하며, 보통 ut나 simulatque처럼 지시적인 분위기를 취한다.[105]다음 예는 완벽한 지시사항을 나타낸다.
- um prīmum potuit, ad opercitum clicititit (Caesar)[106]
- "할 수 있자 마자 서둘러 입대했다.
그러나 때로는 보통의 역사적 쿰과 같은 부전동사를 필요로 한다.아래의 동사 삽입구는 불완전한 부차적 표현이다.
- um prīmum pabulī copia esce incipret, ad opercitum vēnit (Caesar)[107]
- "충분한 사료 공급이 시작되자마자 그는 군대에 왔다."
그 조항이 간접언어의 일부인 경우에도 부차적 표현을 사용한다.다음 문장에서 두 동사는 모두 역사적 현재 시제, 즉 첫 번째 부제이다.
- um prīum pussit, 베네치아 proficīscī iubet (Caesar)[108]
- "그는 가능한 한 빨리 베네치아를 향해 출발하라고 명령했다."
지시자와도 같은 또 다른 의미는 "처음일 때"이다.
- 마이너 에스타 콰메 에고 푸ī, 쿰 프룸 버럼 패스 합? (페트로니우스)[109]
- "내가 처음 남자와 잤을 때보다 젊어?"
- o sī hbērmusmus Ilnos leonēs, quos ergo hīc invnī, cum prīmum ex Asia vēnī (페트로니우스)[110]
- "아, 내가 처음 아시아에서 왔을 때 여기서 발견한 사자들만 있다면!"
"언제였는지 기억나."
"I remember"를 최소화한 후 임시 um 조항을 사용할 수 있다.[53]
- fama tamen meminminum fuit ista mea (Ovid)[111]
- "하지만 그 명성이 내 것이었던 때가 기억나!"
- meminī cum mihī dēsipere vidēbarare (Cicero)[112]
- "상식이 부족한 것 같던 시절이 생각나네."
메미닌은 또한 고발 및 부정사구조가 뒤따를 수 있으며, 시간적 누적 조항과 결합된다.
- 다광등 dīxisse miniī, cum introductus est ex carcere in senatum (Seneca the Elder.[113]
- "감옥에서 원로원으로 끌려가던 그 기회에 오랫동안 웅변적인 연설을 한 것으로 기억한다."
또는 메미니스트는 다음과 같은 부차적인 상황 요약 조항을 수반하는 고발 및 부정사를 취할 수 있다.
- 메미니스트, 마케도니아 쿤설 에셋 등 카스트롱의 에센스무스, 섭동 노스트룸 et metu (Cicero)[114]
- "아버지가 마케도니아에 영사로 있으면서 우리가 수용소에 있을 때 우리 군대는 미신과 공포로 동요했던 것을 기억하오."
- Memin m mē inter solaram eius, Milonem의 cum recittauturus essset (장로 세네카)[115]
- "그가 밀로에 반대하는 연설을 막 암송하려던 때에 그의 학교에 들어간 기억이 나네."
추억은 개인적인 것이기 때문에 현재의 부정사(Perturbara), interre)는 이 마지막 두 예에서 사용된다.[116]
지시자는 조항이 더 확실할 때("나는 그때를 기억한다...")와 하위조항은 덜 확실할 때("나는 그때를 기억한다" 또는 "나는 그때 중 하나를 기억한다...")를 사용한다.
um … tum
um ... tum의 조합은 때때로 시간적 조항을 도입하기도 하지만, 더 자주 "... 그리고" 또는 "...뿐만 아니라" 또는 "...와 마찬가지로"를 의미한다.
- 옴니버스 Rēbus tell in rē mīlitaraī potest fortuna (Caesar)[117]
- "룩은 다른 모든 문제에서 그렇듯이 전쟁에서 중요한 요소다."
사후/사후
완벽한 표시와 함께
또 다른 매우 일반적인 시간적 접속사로는 포스트쿼럼(주로 키케로에서 덜 흔하게 포스트 어콰임 또는 포스트 어 콰임) "후"이다.가장 일반적인 용도는 한 사건이 다른 사건을 뒤따를 때인데, 이 경우 사후 쿼럼은 보통 완벽한 지시자가 뒤따른다.[105]
- o 포스트콰임 시저 퍼브브니트, obsidēs popooscit (Caesar)[118]
- "시저가 그곳에 도착한 후 인질을 요구했다"
- Postquam tuas lēgī, Postumia tua mē convnnit (Cicero)[119]
- "내가 네 편지를 읽고 나서 네 포스미아가 나를 찾아왔다."
- id postquam resciit, excanduit (Cicero)[120]
- "그가 이 사실을 알았을 때, 그는 격노했다"
언급된 시간 간격
보통 포스트콰임과 함께 사용되는 시제는 완벽한 지시로, 시제가 주어지면 대개 다음과 같이 강조된다.[121]
- (Hamilcar) 히스파니암 vēnerat occsus est (Nepos)에 있는 nono Anno postquam in Hisparniam vēnerat occus est (Nepos)[122]
- "하밀카는 스페인에 온 지 9년 만에 살해당했어."
- trcēsimo die, postquam a Persepolī profectus erat, eodem redit (쿠르티우스)[123]
- "그가 페르세폴리스에서 출발한 지 삼십 일째 되는 날에, 그는 같은 곳으로 돌아왔다."
때로는 포스트와 쿼럼이 분리되어 고발사건에 시간이 투입된다.
- 포스트 디엠 테르티움 ēs 게스타 에스트 quam dīxerat (Cicero)[124]
- "그가 말한 지 사흘째 되는 날에 사업이 성사되었다."
드물게 쿼럼만 포스트쿼럼을 의미한다.
- sexto,quam profectus erat, m,nse Romam rediit (Suetonius)[125]
- "그는 출발 후 6개월 만에 로마로 돌아왔다."
- Postero diē, Quam Ila arant oxa (Cicero)[126]
- "이런 일이 일어난 다음 날"
주동사 불완전
때때로 후기조항 뒤에 나오는 주요 조항은 불완전 시제 안에 있다.이 경우 이는 이미 존재하는 상황을 나타내지 않고, 사건 이후 시작되었거나, 사후 조항에서 계속 발생하는 상황을 나타낸다.[127]
- quo postquam puga incluvit, ali ali arma foeded iactants in aquam caecī ruēbant (리비)[128]
- "대패가 이 방향으로 돌아선 후, 뻔뻔스럽게도 갑옷을 벗어던진 그들 중 몇몇은 맹목적으로 물속으로 뛰어들기 시작했다."
- Gallī postea quam propropius successfrunt, scrobves dēlatī transpar (Caesar)[129]
- "가울이 가까이 접근한 후에도 계속 참호 속으로 떨어져서 봉합당했지."
불완전한 자와 사별하다.
때때로 사후 쿼럼 뒤에 불완전한 지시 시제가 따른다.이 경우 시간적 절은 사건이 아니라, 아래의 첫 번째 예에서와 같이 주절의 작용과 시간적으로 겹치는 상황을 설명한다.[105]
- 후기 nnstructct utrimque staabant, medium ducēs procēdunt (리비)[130]
- "한 번은 양쪽에 있는 군사들이 전투 준비를 하고 있었는데, 귀족 몇 명을 거느린 장군들이 가운데로 나섰다."
그런 조항들은 종종 방관자("그것을 본 후...")를 암시한다. "그것이 명백해졌을 때...&[105]quot;;;;;라는 사실로 볼 때"로 간주될 수도 있다.."):[131]
- postquam nuella spēs er erat potiund cast castr,s, signum receptuī dedit (리비)[132]
- "(혹은 "그것이 확실해진 후) 진영을 사로잡을 가망이 없다는 것을 감안하여 퇴각하라는 신호를 준 것이다."
- Tu, postquam quī quī erant amīcī non poterant vincere, ut amīcī ut amīcī qu qu qu qu qu qu quinc quinc qu qu quinc qu qu qu ess ess eff eff eff eff eff eff eff eff eff ( ( ( ( ( [133]eff
- "친구들이 못 이기는 걸 보고 우승하는 사람들이 네 친구라는 걸 확실히 했구나."
시간 절의 상황은 또한 다음과 같은 독촉 시제를 사용하여 표현할 수 있다.
- postquam parum vīs aperta profēcerat, munītionēs postero diē calledant (리비)[134]
- "열린(열린) 무력이 성공하지 못한 것이 확실해지자, 다음날 그들은 방어선을 포위했다.
"그 때부터"
사후 쿼럼 또는 사후 쿼럼 연결은 또한 "이후"를 의미할 수 있다.[131]이 경우에 시간 절은 그 상황이 얼마나 오랫동안 진행되어 왔는지를 설명한다.주동사가 음수일 때는 다음과 같은 주절에서 완벽한 시제를 사용한다.
- 발범,[22] 후아콰투 에스 프로파펙투스, non vīdī (Ciceronon vīī
- "네가 떠난 뒤로 발부스를 못 봤어."
만약 그 행동이 영어가 완벽한 연속 시제를 사용하는 연속이라면 라틴어는 주요 절의 현재 시제를 사용한다.
- 호레오케 포스트쿼람 아스펙스 한크(테렌스)[135]
- "나는 이 여자를 본 이후로 계속 떨며 떨고 있다(빛을 켠다). "나는 떨고 떨고 있다."
이런 종류의 문장에서는 포스트쿼럼에 이어 현재 시제가 뒤따를 수 있다.마르티알의 시 중 하나에서 비너스 여신은 그녀의 애인 화성에 대한 그녀의 지배를 묘사한다.
- 사후 meus 에스트, nulla m pa paelice laesit (Martial)[136]
- "그가 내 것을 (빛을 쬐는) 이후로, 그는 나를 정부로 해친 적이 없다."
심지어 문장의 양쪽 반쪽에는 현재 시제가 있을 수도 있는데, 이 경우 키케로는 로마를 떠난 후 몇 자나 되는 편지를 받고 불평을 하는 애티커스로의 편지에서 나온 다음 예시처럼 말이다.
- 포미아노섬(시케로)의 나루 티브이, plang elēgotus mihī videor postea quam in Formiaano sum (Cicero)[137]
- "말하건대, 포미애에 있는 내 별장에서 (불을) 켠 후부터 나는 완전히 망명이라도 한 것처럼 느껴져 ("나 혼자 있는 것 같아")
"이젠."
이 문장들에서 가능한 또 다른 번역은 "지금 저것"이다.
- credēbam esse facile; totum est aliud posta quam sum a tē dīiunctior (Cicero)[138]
- "옛날에는 쉽다고 믿었는데, 이제는 너와 멀리 떨어져 있으니 전혀 다른 문제야."
- Sumam signital paviquanta porticus habbit, Quod mih nunnec dnnique appauit, posteaquam et eta patet et polītae sunt (Cicero)[139]
- "포장된 포르티코는 이제 마침내 내게 분명해졌듯이, 이제 포르티코 자체가 완전히 열리고 기둥들이 닦여진 것처럼 가장 우아했다."
다음의 예는 과거 맥락에서 시간 절의 독촉 시제를 사용한다.
- 변경 집정관, 사후 집정관 iam Romanīs perīculum esse dēsierat, et ip ab Roma profectus (Livy)[140]
- "이제 적군을 몰아내고 로마 성벽에 위험이 없어졌으므로 다른 집정관도 도시를 떠났다."
미래시간
Postquam은 대부분의 고전 작가들에게 미래의 시간에 사용되지 않지만,[141] 때때로 기술 작가들에게서 발견된다.[131]
- post diem tertium quam lēcta erit facito (카토)[142]
- (올리브가) 뽑힌 지 사흘째 되는 날에 (기름을) 만드시오. (빛을) 쬐시오."선정될 것이다"""
유수의
유비나 ubī의 본뜻은 "어디"(ibī '거기'와 관련됨)이며, 질문에서는 항상 "어디"("언제?"라는 말)를 의미한다.그러나, 그것은 또한 "언제" 또는 "즉시"를 의미하는 시간적 조항을 도입할 수 있다.시에서 i는 보통 짧지만, 때때로 i가 긴 원래의 발음 ubī이 발견되기도 한다.
- voltus ubī tuus / adfulsit populos, gratior it diss (Horace)[143]
- "얼굴이 사람들에게 빛났으니 하루가 더 즐겁다"
과거 이벤트
postquam과 마찬가지로, ubii가 과거 사건을 언급할 때, 그것은 보통 완벽한 지시자가 뒤따른다.
- id ubī dīxit, porcum saxo silice percocit (리비)[144]
- "그가 이렇게 말하고 나서 부싯돌로 새끼돼지를 때렸다."
다음 예에서와 같이 부전동사는 간접적인 말을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부전동사는 "신호가 주어졌을 때"라는 단어가 순서의 일부임을 나타낸다. 즉, 그들은 명령이 주어졌을 때가 아니라 함성이 올라갔을 때를 나타낸다.
- ubī signum datum sit Clamorem mons tollere iubet (리비)[145]
- "그는 그들에게 신호를 줘야 할 때 소리를 높이라고 명령했다."
과거 비이행적 유비조항을 따르는 주동사는 거의 항상 완벽하거나 역사적인 현재다.그러나 극히 드물게 불완전할 수 있다.이 경우, 사후 quam 조항 이후와 마찬가지로, 사전 존재하지는 않지만 시간 적인 조항 사건 이후에 발생하는 상황을 기술한다.
- ubī nuntiatum Coriolano est adeses ingnsns mulierum agmen, multo cancinatior erat (livy)
- "코리올라누스에게 거대한 여자 왕관이 참석했다는 소식이 전해졌을 때 그는 (이전 두 차례보다) 더욱 완고했다."
주동사는 또한 어떤 상황을 나타내는 역사적 부정사가 될 수 있다.
- 남시야누스유비 비데모템 드루슬트 모템 이눌탐 인터포텐토리부스, ...볼루타레 스쿰 쿰 쿰 쿰 쿰모도 게르마니쿠스 페르베레트 (타시투스)[146]
- "세야누스는 드루수스의 죽음이 자신의 살인범들에게 어쩔 수 없이 일어난 것을 보고 어떻게 게르마누스의 자식들을 몰락시킬 수 있는지 마음속으로 뒤집어대기 시작했다."
과거상황
사후 쿼럼과 마찬가지로 불완전한 지시자를 유비 후에 가끔 사용할 수 있지만, 이는 매우 흔하지는 않다.
- ubī lux addrivat arbat, ... dē impovīso... mīlitlits clamremrem tollere atque portquots erumpere iubet (Sallust)[147]
- "새벽이 밝아오는데 갑자기 군사들에게 고함지르라고 명령하고 성문 밖으로 뛰쳐나왔다."
아래의 예에서 "그동안"이 아닌 "그 후" 또는 "이후"를 의미한다.
- ubī nēmo premisius ībat, ad castra hostium tendunt (리비)[148]
- "그들을 마중하러 오는 사람이 없다는 것이 확실해진 후, 적의 진영으로 향했다."
- ubī absina absinatam vidēbat et nē mortis kuidem metu includenarī, addit addum dēdecus (livy)[149]
- "그는 그녀가 완고하고 죽음의 공포에도 움직이지 않는 것을 보고 두려움에 치욕을 더했다."
"언제나"
다른 접속사들과 마찬가지로, 유비 후 완벽한 지시 시제는 반복적일 수 있다.따라서 다음 예에서 유비 vēnī은 "내가 왔을 때"가 아니라 "올 때마다"를 의미한다.
- ubī vēnī, causam ut ibi man manrem repperit(테렌스)[150]
- "내가 올 때마다(불이 켜진다."왔다"), 그녀는 내가 그곳에 머무를 이유를 찾는다.
과거의 맥락에서 독단적이거나 불완전한 지시자는 반복적인 상황을 나타낸다.[141]
- unum sēs의 ante iugurtha quitits, ubii Roma ānorum turma īnsequi copperat, non con cnpertim neque in unnum sēsēsē recrecipibant(살루스트)[152]
- "주구르타에게 미리 훈련을 받은 기병대원들은 로마군 1개 중대가 추격하기 시작할 때마다 촘촘히 포진하거나 한 곳으로 후퇴하지 않았다."
그러나 리비 시대부터 하위절은 반복절에도 사용된다.다음 예에서 dīxisset의 시제는 독과점 부전제다.
- id ubī d dxisset, f,nēs eorum ēmittēbat (리비)[153]
- "그가 이렇게 말했을 때, 그는 창을 그들의 영토에 던지곤 했다."
반복 작용의 시간적 절에서 이러한 부전제의 사용은 일반적으로 리비 전에는 발견되지 않는다.[154]그러나 키케로는 다음 문장에서 완벽한 부차관을 사용하는데, 아마도 그는 실제 사건보다는 추측된 사건을 상상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155]
- ubī semel kuis pēieraverit, eī crēdī postea annon oportet (Cicero)[156]
- "누군가가 한번 자신을 변태시켰을 때, 그는 다시는 믿어서는 안 된다.
동사가 일반화 2인칭 단수인 경우, 부전어는 정기적으로 사용된다.[14]
- 보너스 세니어핏, ubī neglegas (Sallust)[157]
- "좋은 사람은 게으름을 피운다, 그를 소홀히 하면"
"어디"
유비무환의 다른 일반적인 의미는 "어디"이다.흔히 주절의 locus "place" 또는 eo 'to that place'와 같은 단어는 이러한 의미의 문맥을 제공한다.
- eodem loco spultus est, ubī vītam posuerat (Nepos)[158]
- "그는 목숨을 바친 바로 그 장소에 묻혔다"
- eo, ubī erat rēx, vēnit (네포스)[159]
- "그는 왕이 있는 곳에 도착했다."
우비쿰케
ubicumque의 긴 형태인 "wherever"는 거의 항상 시간이 아닌 고전 라틴어에서 사용된다.[160]
- 우비쿰케 v vit Romanus, 서식지(세네카)[161]
- "로마인들이 정복한 곳이면 어디든 거주한다"
UT
"언제, 언제?"
접속사 ut "as", "as"는 다양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그것이 시간적인 조항을 도입할 때 그것은 지시적인 무드가 뒤따른다.종종 "he saw" 또는 "he came"과 같은 완벽한 지시어가 뒤따른다.
- Pompēius ut et equitatum sum pulsum v vdit, acii overtit (Caesar)[162]
- "폼페이오스는 자신의 기병대가 대패한 것을 보자마자 전열을 떠났다."
공통적인 의미는 "즉시"이며, 다른 이벤트는 바로 다음이다.
- ut herī mē salutavit, stataim Romam profectus est (Cicero)[163]
- "그는 어제 나에게 조의를 표하자마자 즉시 로마로 출발했다."
"As, while."
또한 "있는 그대로" 또는 "그동안"을 의미할 수 있으며, 불완전한 지시자가 뒤따른다.[131]
- ut Hortēnsius domum leducēatur camp campo, fit freasyam eī C. 쿠리오 (시케로)[164]
- "호르텐시우스가 선거장에서 집으로 인도되고 있을 때 가이우스 쿠리오와 만나게 되었다."
주동사 불완전
완벽한 지시자가 있는 UT 조항은 불완전한 지시자가 따를 수 있다.완벽한 지시자가 있는 cum 절에 뒤이어 불완전한 것이 뒤따를 때, 불완전한 것은 이미 존재하는 상황을 다음과 같이 기술한다.
- ut vēro domum vēnī, iacēbat mīles meus in 렉토(페트로니우스)[165]
- "집에 도착했을 때 병사가 침대에 누워 있었다"
불완전한 시제가 이후의 상황을 설명하는 경우(위 참조) 후 쿼럼 또는 유비 조항 뒤에 사용된 시제를 대조한다.
"As"(마너)
지시자와 ut의 또 다른 빈번한 비임시적 의미는 "as"이다.
- utte dēmonstravimus (Caesar)[166]
- "앞으로도 보여드렸듯이"
Ut는 미래 시간에는 문장에 사용되지 않는다.[141]
utcumque
utcumque라는 단어는 보통 "어떤 식으로든"을 의미하지만, 뮤즈의 찬송가처럼 "언제나"라는 뜻으로 시간적 의미로 사용되는 곳이 몇 군데 있다.
- utcumque mēcum vos eritis, libēns īsannentem navita Bosporum timpad avo (Horace)[167]
- 네가 나와 함께 있을 때마다 나는 선원으로서 기꺼이 맹렬한 보스포루스에게 도전하겠노라."
시뮬 atque/시뮬 ac
과거 컨텍스트
접속사 simul atque 또는 simul ac는 한 단어로도 쓰여져 있으며, postquam이나 ubi와 같은 방법으로 사용된다.문장이 과거에 단 하나의 경우를 가리킬 때, 시간 절의 시제는 다음 예에서와 같이 완벽하게 지시된다.[105]
- 시뮬 atque in exilium iussus est, pauit (Cicero)[168]
- "유배령을 받자마자 순종했다"
- non dubitavit, simulac conspext hostem, conflīgere (Nepos)[169]
- "적을 보자마자 주저하지 않고 전투에 임했다"
- Verrēs, simul ac tetigit provinciam, stataim Messana letterta dedit (Cicero)[170]
- "그 지방에 손을 대자마자 베레스가 메시나로부터 편지를 보냈다."
다음과 같은 예에서와 같이 시뮬만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127]
- 콧구멍, 시물, 아리도 콕스룬트, 호스트 impetum fēcērunt (Caesar)[171]
- "우리의 병사들이 마른 땅에 서자마자 적을 공격했다."
미래 컨텍스트
미래 완벽은 미래 시간과 관련하여 사용될 수 있다.여기서 키케로는 그의 친구 애티커스에게 다음과 같이 편지를 쓴다.
- Simul ac cnmittuero, ad tē srcambam (Cicero)[173]
- "내가 결정하자마자 너에게 편지를 쓰겠다"
반복적
알키비아데스의 성격을 기술한 다음의 예에서 과거 반복문장의 시간절에서 독단적이고 불완전한 시제가 사용된다.
- cum tempus possret, laboriossus, patinsns... qum tempus possret; ; īdem, simulac sē remserserat neque causaa suberat querr anim animoī laborem perferret, 룩수리오수스, dussutus, libīdinosus, intemperans 레퍼토리바투르 (Nepos)[174]
- "사건이 요구했을 때, 그는 열심히 일하고 고난을 참아낼 수 있었다...;그러나 그가 긴장을 풀고 특별한 노력을 할 이유가 없자, 그는 사치, 방탕한 생활, 정욕, 무절제에 굴복했다."
얼간이 같은
"그동안"
dum이 주요 절에서 작용의 배경 상황을 설명하면서 "이러한 동안"을 의미할 때, 과거 맥락에서 조차도 현재의 지시적 상황이 뒤따르는 경향이 있다.[175][176]
- 리구리버스 게르방 벨럼(리비)[177]에 있는 첸술루스의 암보(Ambo)
- "이러한 일들이 로마에서 행해지고 있는 동안 두 영사는 리구리아인들 사이에서 전쟁을 벌이고 있었다."
- 헥 덤 아간투르, interrea Cleomenēs iam ad Pelorī lītus pervenerat (Cicero)[178]
- "그 동안에 클레오메네스는 펠로루스 해안에 도착했다."
- 더모 레도, 호르틴시우스 vner네랏 (시케로)[179]
- "돌아오는 길에 호텐시우스가 왔었소."
다음의 예에서, "그녀는 도망쳤다"는 완벽한 시제지만, "그녀는 도망가고 있다"라는 짧은 u를 가진 푸짓 "그녀는 도망가고 있다"는 시제가 존재한다.
- antrum의 fugit, dumque pugit, tergogo vāla mina lapsa relīquit (Ovid)[180]
- "(이베가) 동굴로 도망갔는데 도망치는 동안(불이)..."도망한다"고 했고, 그녀의 망토는 그녀의 등에서 미끄러져 떨어져 그녀는 그것을 남겨두고 떠났다."
그러나 다음 예에서 완벽과 같은 다른 시제가 가능할 때도 있다.
- 헥 카푸에 덤 푸우 코냑(시케로)[181]
- "카푸아에 있는 동안 이런 사실을 알게 되었소."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182]
- unam partem ochulos animoosque hostium certa men averterat, scarlss capitur murus (livy)[183]
- "대회는 적의 눈과 마음을 한 방향으로 돌려놓았지만, 사다리(사다리)를 이용해 성벽이 포획되었다."
다음과 같은 경우 불완전한 지시자를 사용한다.
- 카스트라 프로피치스크(Nepos)에서 퀘이 데브르, 콰이슈비트(Quae dvvichiēbat), 콰이 벨렘네 스쿰(A m m vellemne sēcum in castra proficīscī (Nepos)[184]
- "제물이 진행되는 동안, 그는 나에게 캠프를 위해 그와 함께 출발하고 싶은지 물었다."
덤이 있는 조항도 반복될 수 있다.
- 덤 레고, 어센티오르 (시케로)[185]
- "독서를 할 때마다 (글에) 동의하는 경향이 있다."
현재 지시자가 있는 덤은 미래 맥락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젊은이는 아픈 친구와 자주 편지를 쓰기 위해 애원한다.
- ero enim sēcurior dum lego, stataimque timēbo cum lēgero (플리니)[186]
- "내가 주의 편지를 읽는 동안에는 마음이 놓이겠지만, 다 읽기만 하면 즉시 다시 두려워할 것이다."
하위절제술로 "while"을 만들다.
공화당 라틴어에서는 다른 시간적 절과 마찬가지로 덤 절의 동사가 간접적인 말씨(과거의 맥락에서 불완전한 하위절, 현재나 미래의 맥락에서 현재의 하위절)에서 부차적인 분위기로 바뀌었다.
- Sē quisque conspicī, dum tale facinus faceret, etright arbat(살루스트)[187]
- "모든 사람들은 그가 그러한 착취를 하는 동안 주목 받기를 간절히 바랐다."
- eius pontis, dum ipse assesset, customods relīquit prīncips (Nepos)[188]
- "그가 없는 동안 그는 왕자들을 그 다리를 맡겼다." (즉 그가 돌아올 때까지)
그러나 타키투스에서는 현재의 지시자가 그대로 남아 있을 때 몇 가지 예외가 있다.[189]
또한 리비와 이후의 작가들과 버질 같은 시인들뿐만 아니라 일부 작가들에서도 덤은 다음과 같은 불완전한 부제어를 사용하여 간접적인 화법이 아닐 때에도 정황과 같은 구조를 상당 부분 취할 수 있다.[190]
- 일라, 덤 투게렛, 허바(Virgil)[191]의 하이드럼 노앤 vīdit
- "그녀가 당신에게서 도망치는 동안, 그녀는 풀밭에서 뱀을 보지 못했다."
"만일"
완벽하지 않은 애프터 덤은 대개 "X가 일어나고 있는 한"을 의미하며, 동일한 시기에 발생한 두 가지 상황을 가리킨다.[192][193]
위의 예에서 완벽한 표현형 긴장완화 "그랬었다"는 것은 스파르타의 위대함의 시대는 이제 끝났음을 암시한다.[193]
다음에서 두 조항 모두 불완전한 지시 시제를 가진다.
- necim, dum eram vobīscum, animum meum vidēbatis (Cicero)[195]
- "또한, 그 동안 너와 함께 있었는데, 내 영혼을 볼 수 있었니?"
- 듀미우스 아브 므누니티오네 이상 갈레, 플뤼스 멀티투딘 ēlorum proficiēbant (Caesar)[196]
- "가울족이 요새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한, 무기의 수가 월등히 많아 더 큰 효과를 내고 있었다.
다른 시제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음 예시 중 두 가지 모두에 미래 표시가 있는 시제를 사용할 수 있는 시제는 다음과 같다.
- Graccus tam diu laudabitur, 덤 암기 Rērum Romaanarum manbitbit (Cicero)[197]
- "그라쿠스는 로마 역사에 대한 기억이 남아있는 한 계속 찬사를 받을 것이다."
다음은 현재를 두 부분으로 나누어 나타낸다.
- dum anima est, spēs esse dīitur (Cicero)[198]
- "생명이 있는 한 희망이 있다고 한다."
다음에서 두 시제는 모두 완벽히 나타낸다.
- sparrarvimus ista,dum fortuna fuit[199]
- "우리는 행운이 함께 있는 한 그런 것들을 바랐다"
- iī, dum parī certamine rēs gerī potuit, magnum hostiumum paucum sustinuere (Caesar)[196]
- "평등한 조건으로 싸울 수 있는 한, 몇 사람이 많은 적을 견뎌냈다."
"전까지"
접속사 덤은 또한 "전까지"를 의미할 수 있다.다음과 같은 경우 현재 지시자와 함께 사용한다.
- Dllberberara hot dume leado (Terrence)
- "내가 돌아올 때까지 이것에 대해 생각해봐"
이 뜻에서 더 자주 그것은 부차적으로 뒤따른다.이런 종류의 문장에는 종종 "무슨 일이 일어나기를 기다린다"는 생각이 있다.[11][200]
- 루푸스 관찰 dum domoritarent canēs (Plautus)[201]
- "늑대는 개들이 졸을 때까지 감시했다"
- n exspectētis dum hac domum leadam via (Plautus)[202]
- "이 길로 내가 집에 돌아올 거라고 기대하지 마"
- Dum rēs conficerētur, proculum in praesidio fuit (Nepos)[203]
- "살인이 진행되는 동안(즉, 사업이 완료될 때까지) 그는 멀리 경계 근무를 서고 있었다."
- Vergīnius dum collēgam conshulsret morahtus (est) (Livy)[204]
- "베르기니우스는 동료와 상의할 기회가 있을 때까지 기다렸다."
- Italia tē moraratum dum tibī litterae mee veniant (Cicero)[205]
- "나한테 온 편지가 도착할 때까지 이탈리아에 머무르려고 한다고 쓰고 있어"
"그것을 제공했다"
하위절제(subjunction)의 또 다른 의미는 "제공된 것"(dummodo도 이 의미에 사용될 수 있음)이라는 의미에서 "만일"이다.[206]
그러한 잠정 조항에서 부정적인 점은 다음과 같다.[176]
- sī cui videor segnior fuises, dumnnē tib tib videar, non laboro (Cicero)[208]
- "내가 좀 게을렀던 것 같으면 걱정 안 해, 너한테 그렇게 보이지 않는 한."
도넥
dum과 비슷한 의미를 가진 다른 접속사로는 donec과 quoad가 있다.도넥은 카이사르가 사용한 적이 없고, 거의 키케로가 사용한 적도 없지만, 리비, 장로 플리니, 타키투스 같은 후기 작가들에게 매우 흔하다.[209]
"전까지"
docec의 원래 의미는 "will"이다.다음 예에서 미래 상황을 언급하면 미래 완전 시제가 뒤따른다.
- Haud dēsinam donec perfectcerohort (Terrence).[210]
- "이 일을 마칠 때까지 멈추지 않겠다."
과거를 언급하면서 완벽한 지시자를 사용할 수 있다.
- Ille pero viam facere, donec ad portam perrēxit(리비)[211]
- "칼을 들이대어 대문에 다다를 때까지"
덤(dum)과 마찬가지로, 어떤 일이 일어나기를 기다린다는 어떤 생각이 있을 경우, 부전제(subjunctive)를 사용한다.[212]
- Trace Nihil Sē movērunt, Donec Romanī transīrent (리비)[213]
- "스라시아인들은 로마인들이 건너갈 때까지 전혀 움직이지 않았다."
- Iubet Sp. Larcium ad portam Collīnam stare doeck hostis praeteatre (Livy)[214]
- "그는 스푸리우스 라르시우스에게 적이 지나갈 때까지 콜라인 게이트에 서 있으라고 명령했다."
- oosque ibīre sedēre atcue atcue atcue addiem, donec discipulīnocturnum vīnum vīnum vīnum ēdomant (겔리우스)[215]
- (그가 말하길) 그들은 거의 정오까지 앉아 기다렸는데, 동공이 전날 밤의 포도주를 몽땅 털어 먹을 기회가 있을 때까지."
- Do nec cicatracx sit, vīnctum esse dēbet (켈서스)[216]
- "흉터가 남을 때까지 붕대로 감아두어야 한다"
"그동안, 그 동안"
아우구스투스 시대 이후로는[217] "그동안" 또는 "그동안"을 의미할 수도 있다.
- Do nec grattus eram tibī... 페르사비구오르(Horace)[218]
- "내가 당신을 기쁘게 하는 한...페르시아의 왕보다 더 축복받은 내가 번성했소."
- Do nec armátī conpertīque abbant, peditum in persequendo fuit(리비)[219]
- "그들이 여전히 무장하고 포장을 하고 후퇴하는 한, 그들을 추격하는 것이 보병의 임무였다."
위의 예에서 불완전한 시제는 어떤 상황에 대해 기술하기 때문에 시간 절에 사용되지만, 어떤 상황이 지속된 시간이 주어질 때 라틴어에서 보통 그렇듯이 완전한 시제는 주 절에 사용된다.[220]
도니쿰, 도니크
초기 형태의 도넥은 거의 사용되지 않았지만, 도니쿰(Cato, Plautus, 그리고 네포스에서 한 번 발견된다)이었다.다음 예에서 미래를 언급할 때, 도니쿰은 미래 완벽을 따른다.
- ego mē ámittī, donicum ille huc redierit, non postulo (Plautus)[221]
- "그가 돌아오기 전까지 석방 요청은 하지 않는다"
또 다른 희귀한 형태는 도니크인데, 루크레티우스에서는 네 번, 비트루비우스에서는 네 번 사용되었지만 그 외에는 발견되지 않았다.[11]이 예에서는 다음과 같은 독단적인 지시자가 뒤따른다.
- 호리페르(호리페르)는 Vocibus Orcum, / Donique eos vs prta pr prvant vermina saeva(루크레티우스)[222]
- "살벌한 고통으로 목숨을 빼앗길 때까지 그들은 죽음을 부르짖을 것이다."
보아드
"만일"
coosaad라는 단어는 비임시적 의미("한도까지")를 가질 수 있지만 "만일"이라는 뜻의 시간적 의미로도 사용될 수 있다.[223]과거를 언급할 때, 그것은 정기적으로 완벽한 지시 시제가 뒤따른다.
- 쿠아드 포투이트, fortissimē restitit (Caesar)[224]
- "그가 할 수 있는 한, 그는 매우 용감한 저항을 했다."
- Italiara fuit, spēraar non dēitte(시케로)[198]의 Pompēius.
- "폼페이오스가 이탈리아에 있는 한 나는 희망을 버리지 않았다."
"전까지"
또 다른 의미는 "전까지"이다.
- 마일로... Sentau fuisset eo do do doesuad senatus est dīmissus (Cicero)[225]에서
- "밀로는 원로원이 해임될 때까지 그날까지 원로원에 있었다."
미래를 언급할 때, cum 절과 마찬가지로, 미래 또는 미래 완전 시제는 영어가 현재 시제를 가지는 경우에 사용된다.
- Non faciam fnnem rogandī coauad nobss nuntiátum erit id fēcisse (Cicero)[226]
- "듣기 전까지(불이 켜질 때까지) 묻지 않을 거야."당신이 그것을 했다는 것이 우리에게 보고될 것이다")
다음 문장에서는 마치 문장이 "가상 오라티오 주구"로 알려진 연설("배울 때까지 있을 것")을 보고하는 것처럼 독단적인 부제어를 사용한다.[227]
- Ipse interrea, coosaad munīta hīberna cognovisset, Galia morararī conitude (Caesar)[228]
- "그 자신도 겨울 사방이 요새화되었다는 것을 알게 될 때까지 가울에 머물기로 결심했다."
콰디우
"그동안" 또는 "그동안"을 의미하는 또 다른 접속사는 Quamdiu 또는 Quamdiu이다.과거를 언급할 때, 종종 다음과 같은 완벽한 지표가 뒤따른다.
- 테누이트 sē uno loco, quamdiu hiēms fuit (네포스)[229]
- "그는 겨울인 만큼 한곳에 머물렀다"
또한 현재를 나타낼 수 있으며, 현재를 다음과 같이 긴장시킬 수 있다.
- quamdiu inta muros fluit, nomen suum retinet (쿠르티우스)[230]
- "그것이 성벽 안으로 흐르는 한, (강물은) 그 이름을 간직하고 있다."
다음 예에서 시제는 미래다.
- 디스크, Quam diu vol vols (Cicero)[231]
- "네가 원하는 만큼 배우게 될 거야"
다음과 같은 경우 불완전한 지시자를 사용한다.
- Ita senēscere oportet virum, quī ...totum sē rēī publicae diam decbatbat obtulerit (플리니)[232]
- "이것이 사람이 늙어야 하는 길인데, 그는 적합하게 오랫동안 공화국을 위해 온전히 헌신했다."
본래의 의미는 "얼마나?" 또는 "얼마나...!"이며, 이 의미도 발견된다.
인용구/인용구 nscsq
부사 인용문은 "얼마나 자주" 또는 "얼마나 자주"를 의미하지만, 다음 예와 같이 "언제나"를 의미하는 접속사로도 사용할 수 있다.
- āre volo, mē retinēs(플로투스)[233]에 대한 인용문
- "내가 나가고 싶을 때마다 날 제지해"
키케로는 종종 이런 뜻으로 인용 nscnscumque를 쓴다.다음 예에서 동사는 완전시제다.
- adhibuī dīligentam, quotiēnscumque senatus fuit, ut ut adessem (Cicero)
- "상원 회의가 있을 때마다 출석하도록 했다"
"언제나"를 의미하는 다른 접속사들과 마찬가지로, 리비는 반복 절에 하위 부제어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 cum abessem, mentem venīret의 quoti innscumque patria, haec omnia emerrbant(리비)
- "내가 없는 동안, 조국을 기억할 때마다 이 모든 일들이 내게 떠올랐지."
퀀도/퀀도쿰크
콴도라는 단어는 종종 의문스럽지만("언제?") 때로는 특히 초기 라틴어에서 일시적 접속사가 될 수 있다.보통 다음과 같은 지시 동사가 뒤따른다.
- 베르시펠렘 Sē facit Quando lubet (Plautus)[234]
- "그는 기분이 좋을 때마다 외모를 바꾼다"
다른 문장에서 의미는 "그것을 본다" 또는 "그 이후"로 음영된다.
- 콴도 하베오 멀티 코냑, 퀴드 오푸스는 mihī līberīs? (플라우투스)[235]
- "친척들이 많으니까/내가 아이를 가질 필요가 뭐가 있겠어?"
Quandocumque라는 반복 형식은 일부 저자에 의해 사용되지만 드물다.
- (febris) Quandocumque non accessit, 대하압 tutum est (Celsus)[236]
- "열이 나타나지 않아 목욕을 해도 안전하다"
Quandocumque는 또한 Quandocumque erit의 줄임말인 것처럼 "언젠가 (언제든지)"를 의미하는 부사가 될 수 있다.
- sī tamen haec super super cernunt... 퀀도쿰케 mihī poenaas dabis (Ovid)[237]
- "하지만 만약 신들이 이런 것들을 본다면, 언젠가 당신은 나에게 벌금을 지불할 것이다."
프리우스쿼암/안테쿼암
접속사 priusquam(또는 prius quam)과 antequam(ante quam)은 모두 "이전"을 의미한다.본절의 음동사 뒤에 「전까지」로 번역할 수 있다.비록 일부 작가들이 하나를 선호하지만(예를 들어, 카이사르는 거의 항상 프리우스쿼람을 사용한다) 두 작가 모두 매우 흔하다.아주 드물게 퀘엄을 발견한다.또 다른 유사한 접속사로는 "전일 prēdi "quam"이 있다.
프리우스와 쿼럼의 분리
주절부터가 되면 접속사가 분할되는 경우가 많으며, 주절의 동사 앞에 프리우스나 ante가 놓인다.이는 특히 다음 예에서와 같이 우선순위가 강조되는 경우에 그러하다.
- 갈리암 vēnisse quam populum Romanum (Cesar)[238]의 prius.
- "(그가) 로마인보다 더 일찍 가울에 왔었다고 했어(그랬어)."
이 구분은 음의 문장에서도 흔히 볼 수 있다.
- non prius abunt quamiquid srcsperint (Apuleius)[239]
- "그들은 뭔가를 쓸 때까지 사라지지 않는다"
과거참조
과거를 언급할 때, 프리우스콰임이나 안테콰임과 함께 하는 시간적 절은 대개 하위 절이 있는데, 특히 아우구스투스 황제 때부터 더욱 그러하다.그러나 일부 문장은 다음과 같이 완벽한 지시어를 사용하며, 특히 음의 문장은 특히 다음과 같다.[240]
- Neque prius pugere dēmitrunt, Quam ad flumen Rhēnum pervēnērunt (Caesar)[241]
- "그리고 그들은 라인 강에 도착할 때까지 도망치는 것을 멈추지 않았다"
- 네켄드러운트 벨럼 프리우스 콰 인툴러룬트 (리비)
- "그들은 실제로 침략하기 전까지 전쟁의 기미를 보이지 않았다"[242]
- Ration ads ad aerarrium, antequam Dolarbella criticala est, non audet referre (Cicero)[243]
- "돌라벨라가 비난을 받을 때까지 그는 감히 회계 장부를 국고에 돌려주지 않았다."
때때로 동사는 심지어 긍정적인 문장으로도 지시된다.
- vēnistī īrātus omnibus; quod egō, simul ac tē aspexī, prius quam loquī coepistī, sēnsī atque prōvīdī (Cicero)[244]
- `너는 모든 사람에게 화를 냈다. 나는 네가 말을 하기 전에, 너를 보자마자 알아차리고 미리 예감하였다.'
문장이 시간 간격을 언급하는 경우, 지시자를 사용할 가능성이 더 높다.[245]
- id ad abtum est praetore mē, quīnquenio ante quam consul factus sum (Cicero)[246]
- "영사가 되기 5년 전, 내가 찬사를 받을 때 이런 일이 있었다."
- 호라클레오, 알리칸토 앙테 에스트 모르투우스, 옴니아 트라디데라트(시케로)[247]
- "죽기 전에 그는 헤라클리우스에게 모든 것을 넘겨주었소."
- Prīdiē quam ego Athēnas vīnī Mytilēnas profectus erat (Cicero)[248]
- "내가 아테네에 도착하기 전날, 그는 이미 미틸렌으로 떠났었다."
그러나 공화정 시대에도 하위조직을 요구하는 문장의 유형도 있는데, 예를 들어 한 가지 행동이 다른 것을 막겠다는 희망으로 행해지는 경우다.
- (collem) 셀러레이터, 프리우스콰 ab ab 적대자, sendariīs sentiaar, communit (Caesar)[249]
- "그는 적의 눈에 띄기 전에 재빨리 언덕 주위에 요새를 두었소.
이와 유사하게, 부전제(subjunctive)는 "어떤 일이 일어날 기회가 있기 전에"라는 의미일 경우 사용된다.
- antequam verbum facerem, dē sella surrēxit atque abiit (Cicero)[250]
- "내가 뭐라고 말하기도 전에 그는 의자에서 일어나 떠났다."
- Multi prius incendio absumpti sunt, quam hostium adventum senturrent (리비)[251]
- "적들의 도착을 알아차리기 전에 많은 사람들이 화재로 죽었다."
다음은 독단적인 부차적인 것이다.
- Deinde Serapion cum epistula tua; quam prius quam aperuisem, dīxx eī add m m do scrsisse antea (Cicero)[252]
- 그 때에 세라피온이 네 편지를 가지고 왔다. 내가 편지를 뜯기도 전에, 네가 전에 나에게 그에 대해 쓴 적이 있다고 그에게 말하였기 때문이다.'
부차적인 또 다른 이유는 고집("그는 정복하기 전에 떠나기를 거부했다.."):[253]
- Neque prius exd discessit, Quam totam īsulam bello dēvinceret (Nepos)[254]
- "그는 섬 전체를 정복할 때까지 그곳에서 떠나지 않았다"
하위절제는 더욱 보편화되었고, 리비 시대부터 작가들 사이에서는 특별한 명분 없이 자주 사용된다.[245]예를 들어, 다음 문장에서는 관계가 순전히 일시적이다.
- Ducents ante quam quam ormam caprent, Italiam Gallī tarnscend trrunt (리비)[255]
- "그들이 로마 시를 점령하기 200년 전, 가울이 이탈리아로 건너간 것은"
- prius quam provincia dēcderret, consilium iniit nefandae atrocitatis (Suetonius)[256]
- "그가 그 지방을 떠나기 전에, 그는 끔찍한 잔혹행위의 계획에 착수했다."
일반화 현재
현재 프리우스쿼람 또는 앤테쿼람을 사용한 일반화 문장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경우 현재의 부차적 의미를 갖는다.[253]
- ante vidēmus fulgorem quam sonum ouudamus (장로 세네카)[257]
- "우리는 소리를 듣기 전에 섬광을 본다"
다음의 일반화는 um 이후의 현재 지시와 대조된 현재의 하위조직을 보여준다.
- 듀럼 에스트, 섹스테, 니게르, 컴 로가리스,
콴토 두리우스, 안테콰 로게리스! (Martial)[258] - "Sextus, 당신이 물으면 거절하기 어렵다.
그러나 그대에게 묻기도 전에 더욱 열심히!"
그러나 때로는 다음과 같이 완벽한 지시자를 일반화에 사용할 수 있다.[259][260]
- Membrīs utimur priusquam didicimus ua ea utilitatisa causa habeamus (Cicero)[261]
- "우리는 배우기 전에 사지를 사용한다. (빛을 켠다.)"우리는 배웠다") 어떤 목적을 위해 그들이 있는지"
주동사가 음수일 때 완벽한 지시자는 규칙적이다.
- os initecta glaeba est, locusille, ubious creamatum est, nhil habet religionionis (Cicero)[262]
- "지구가 뼈에 던져질 때까지 화장한 곳은 거룩하지 않다."
미래참조
미래를 언급하면 다음과 같은 문장에서 시간 절에 간단한 현재 지시자를 사용할 수 있다.[206]
- antequam addentiam reado, dē mē pauca dīcam (Cicero)[263]
- "본론으로 돌아가기 전에 내 자신에 대해 몇 마디 말하겠다."
- numquid prius quam quam abeo mē rogauturus es? (플라우투스)[264]
- "내가 가기 전에, 나한테 물어보고 싶은 거 있어?"
미래 단순화는 이 조항에서 사용되지 않는다.[260]그러나 주동사가 음수일 경우 미래완벽이 사용된다.[265]
- 니힐 콘트라스트 dispā prib priusqu ( ( ( ( ( ( ((시케로)[266]
- "나는 그가 말할 때까지 어떤 반론도 하지 않을 것이다. ("그가 말하기 전에")"
- Certī Conturere nhil pusum priusum quam tē vīdero (Cicero)
- "(불을 켜서) 보기 전에는 확실히 아무것도 결정할 수 없어. "보고 올게""
간접화법
간접적이거나 보고된 말에서 부차성은 시간 절에서 사용된다.그러나, 다음 문장에서는 동사 redīrent를 문맥에서 이해하며, 오직 ablative albsolution만이 남는다.
- Negant Sē 외설적인 prius quam capta ourbe hostium redituros esse (리비)[267]
- "그들은 적들이 잡혀갈 때까지 그곳으로부터 돌아오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명령과 소망
주동사가 명령어인 경우 하위절차는 보통이다.[253]
- Sī mē amas, prius quam proficivicharis effice (Cicero)[268]
- "나를 사랑한다면 떠나기 전에 하라"
- priusquam hoc circulo excēdas, ... redde responsum (리비)[269]
- "이 원 밖으로 나가기 전에 응답하라"
그러나 다음과 같은 지표가 있다.
- 사비움 식전(Parvium etiam priumus quam abbes)([270]플라우투스)
- 가기 전에 뽀뽀해줘
주동사 자체가 다음과 같은 소원을 표현하는 부동사일 경우에도 부동사를 사용할 수 있다.[259]
- Hunc vīcīnum prius conviam quam domum leadam (Plautus)[271]
- "집에 가기 전에 이 이웃을 만나고 싶어."
그러나 다음 소원은 시간 절에 현재를 나타낸다.
- patter 옴니포톤은 admine add umbrasa / ante, pudor, Quam tē violo (Virgil)[272]
- "전능하신 신부가 벼락으로 나를 그림자까지 태워다 주시기를 빕니다, 오 모디여!"
시간 절 등가물
시간 절뿐만 아니라 라틴어는 문장 속에 주요 작용의 시간을 표현하는 다른 방법을 가지고 있으며, 시간 절 대신할 수 있다.
분사구
분사구, 즉 단순한 분사구는 라틴어의 시간 절과 동등한 것으로 자주 사용된다.모든 유형의 시간 절이 분사로서 대체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대체될 수 있는 유형은 cum이 있는 상황 조항이거나 때로는 미래의 무기한 조항이다.[273]
현재분사
현재 분사량은 불완전한 하위 절제와 qum에 해당한다.
- 플라토 스크르빈스 에스트 모르투우스 (시케로)[274]
- "플라토는 글을 쓰다가 죽었어"
분사란 어떤 명사와 동의하느냐에 따라 어떤 경우에도 있을 수 있다.다음 문장에서 그것은 일반적 경우에 해당된다.
- Haec dīcentis latus hasta tarnsfīxit (Curtius)[275]
- " (리토스)가 이런 말을 하는 동안, (왕이) 창으로 그의 옆구리를 찔렀어."
말 그대로 "이런 말을 하는 그의 옆구리를 창으로 뚫었다"고 했다.
퍼펙트 분사
완벽한 분사(fulfit disple)는 um과 plucerfect subjunctive의 등가물이다.
- 오르코메니스는 보조, 오크수스 에스트 아 타바나스 (네포스)[276]
- "오코메노스의 백성을 도우러 파견된 후 테반족에게 살해당했다."
Ablative 절대자
이 구절이 아래 예에서와 같이 애절함에 있을 때 애절절함이라고 한다.이러한 구절은 가장 일반적으로 완벽한 분사를 사용하지만 현재 분사를 사용할 수도 있다.
- cognito Caeseris addom additu Ariovistus lēgatos ad amum mitt.
- "그가 카이사르의 도착을 알게 되었을 때(불이 켜졌다)"케사르의 도착을 알게 된 것과 함께" 아리오비스토스는 그에게 사절을 보냈다.
- Fīs nobilium tu quoque 폰티움 mē dīente cavss inpositam liclicem saxīs (Horace)[277]
- `너희들도 너희의 움푹한 바위 위에 있는 옻나무에 대해 말하면, 고귀한 샘 가운데 하나가 될 것이다.'
- nec dubito qu legn regente t ē has letters a conpecta iam rēs futura 앉는다.(시케로)[278]
- "그리고 나는 당신이 이 편지를 읽을 때쯤이면 사업이 완성될 것이라는 것을 의심하지 않는다."
라틴어로 동사 합 "나는 존재한다"의 현재 참여가 부족하다는 관점에서, 때때로 동사 없이 홀로 절교 구절은 시간적 절의 의미를 가질 수 있다.
- 푸에룰로 mē (네포스)[279]
- "내가 어렸을 때"
전치사 후
분사 구절은 때때로 시간의 전치사를 따를 수 있다.[280]
- 파시토 안테 소렘 오컴 우트 베니아(Plautus)[281]
- "해가 지기 전에 꼭 와라"
- 햅 포스트 엑소 rēgēs domī mīlitiaeque 게슈타 prīmo anno (리비)[282]
- "이것들은 왕들이 쫓겨난 첫 해에 집에서나 유세에서나 행해진 일들이다."
언어명사
어드벤투스 "도착"과 같은 일부 언어 명사는 시간 문구로 사용할 수 있다.
- 아이우스 어드벤투 비투리히스 ad Aeduoos lēgatos 벙어리장갑 보조 로가툼 (Caesar)[283]
- "비투리게스는 도착하자마자 아에두이에게 사절을 보내 도움을 청했다."
- 아프라니우스 파네 옴네 프루멘텀 안테 카이사르아데움 일레르담 볼록세라트 (Caesar)[284]
- "아프라니우스는 카이사르가 도착하기 전에 일레르다에 있는 옥수수를 거의 다 모았었다."
상대조항
ablative relative 대명사 quo "which"는 'what' 또는 'which which'를 의미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역사가 커티우스의 다음 예에서와 같이 준임시조항을 도입한다.이 조항들은 간접적인 언어의 문장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독단적인 부제어가 사용된다.
- at ille clāmitare coepit eōdem temporis mōmentō quō audīsset ad Philōtān dēcucurrisse (Curtius)[285]
- "그러나 그는 그 일을 필로타스에게 보고하기 위해 달려갔다는 말을 들은 바로 그 순간부터 소리를 지르기 시작했다."
- Rursusque īnmitt Quaeree, quotus diss esset ex ncomcomacus ad an eum disstulisset incisum dētulisset incentium.(쿠르티우스)[286]
- 그는 "니코마쿠스가 자신에게 고발을 한 이후 며칠이 지났는지 다시 물었다"고 말했다.
여성적인 콰는 비슷하게 밤을 가리키는 데 사용된다.
- 일라녹테, 쿰티아스 퓌크룬트 (페트로니우스)[287]
- "그날 밤, 그들이 결혼한 날"
- ncte, qua proficitscēbartur legio (Tacitus)[288]
- "군단이 출발하던 날 밤"
조정
시간적 절의 누적된 종류는 버질로부터 다음 예에서처럼 et, atque 또는 -que "and"로 결합한 두 문장으로 단순하게 시에 표현되기도 한다.[289]
- dxerat Ille, et iam per moenia carrior disagnis ud audtur(비르길)[290]
- "그가 말을 했는데, 이제 불이 벽을 따라 더욱 크게 들렸다."
다중 시간 절
시간 절과 시간 절의 서열을 나타내는 참여 구절은 특히 역사적 글에서 흔히 볼 수 있다.너팅은[291] 줄리어스 시저로부터 다음과 같은 전형적인 예를 인용하는데, 여기서 qu가 포함된 시간 절이 두 분사구 사이에 위치한다.
- Germanī, post tergum clamore oudto, cums interfocietic advidēent, armīs abiectīs ....sē ex castrīs ēiēcēt. (Caesar)[292]
- "독일이 뒤에서 고함치는 소리를 들은 후, 전우들이 살해되고 무기를 버리는 것을 보고...진영 밖으로 몸을 던졌소."
네포스에서 이 문장은 시간절, 절교절, 주동사와 함께 나온다.[293]
- 퀘임 ut baravanitium incendium effugisse vīdērunt, tēlīs ēminus misss, interputcērunt (Nepos)[294]
- "야만인들은 그가 불을 피한 것을 보고 장거리에서 미사일을 던져서 죽였다."
리비는 또한 참여 절과 시간 절이 혼합된 문장을 쓴다.다음 문장은 네 개의 미립자 또는 참여 구절, cum절, postquam 절이 있고, 그 뒤에 본동사가 있다.
- 유비무환성 예외 아비 이그나리스 첸실리, 호스피스타 큐빅쿨룸 에세트, 아모레 아르덴, 사후 사티스 투타(Postquam satis tuta circa sopītq circus vididtur, righto gladientem Lucriam vtinit (Livy)[295]
- "어디서, 그의 계획을 모르는 사람들에게 공손히 환영받았는지, 저녁식사 후에 그는 사랑으로 불타는 손님 침실로 안내되어, 모든 것이 안전하게 둥글게 보이고 모든 사람들이 그의 칼을 뽑아들고 잠들어 있는 것처럼 보이자, 그는 잠든 루크레티아로 왔다."
키케로의 다음 문장에서는 ut과 qum으로 서로 다른 두 개의 시간 절이 서로 따른다.
- ut v vnī in Arpīnas, cum ad m ad frater vēnisset, prīmīs nobīs sermo(isque multus) dē t fu fuit.(시케로)[296]
- "내가 아르피눔에 있는 내 별장에 도착하자마자, 내 동생이 합류한 후에, 처음에 우리의 대화(그리고 긴 대화)는 당신에 관한 것이었소."
앨런과 그리노는 두 개의 시간 절과 여섯 개 이상의 완벽한 미립자로 구성된 리비의 이 문장을 인용한다.[293]
- Volscī, exiguam spem in armīs aliā undique abscīsā cum temptāssent, praeter cētera adversa locō quoque inīquō ad pugnam congressī, inīquiōre ad fugam, cum ab omnī parte caederentur, ad precēs ā certāmine versī, dēditō imperātōre trāditīsque armīs sub iugum missī, cum singulīs vestīmentīs ignōminiae clādisque plēnī dīmittuntur.(리비)[297]
- "볼시족, 그들이 다른 희망에 일일이 품었던 작은 희망, 그들이 (그것을) 시험해 본 후에, 그들이 (그것을) 시험해 본 후에, 그들이 사방에서 싸움에서 기도로, 그들의 쉼표로, 그리고 사방에서 살육을 당한 후에, 싸움에 적합하지 않고 도망가기에 더 적합하지 않은 곳에서 전투에 참가했던 다른 어려움과는 별개로, 그들이 품속에 품었던 작은 희망인 볼시족.은더가 항복하고, 그들의 무기가 굴복하여, 멍에를 메고,[298] 각각 한 벌씩의 옷을 입고, 치욕과 재앙으로 가득 찬 채로, 그들은 떠날 수 있게 되었다.'
다수의 종속절과 분사구 뒤에 주동사가 따르는 이 긴 문장들을 "주기"라고 한다.[293]
참고 문헌 목록
- 베넷, 찰스 에드윈(1895년).보스턴의 라틴어 문법; 페이지 187–191.
- Gildersleve, B. L. & Gonzalez Lodge (1895)Gildersleve의 라틴어 문법.제3판.(맥밀란); 페이지 359–376.
- 그린, 존 (1907)"Latin Acidis in Latin Acident.1907년 11월 학교평론집 제15권 제9호 페이지 643–654.
- 그리노우, J. B. 외 연구진(1903)알렌과 그린로의 새로운 라틴어 문법 학교와 대학들.보스턴과 런던; 350-359페이지.
- 헐리헨, 월터(1911a)."미발표 라틴어 구문의 한 장, 사전 토론"고전 주간지, 제4권, 제25권(1911년 4월 29일, 페이지 194–196. (안테콰임/프리우스콰임 조항에 대한 논의)
- 헐리헨, 월터(1911b)."발표되지 않은 라틴어 구문의 한 장, 사전 토론(컨커블)이 있음."고전 주간지 제4권 제26호(1911년 5월 6일), 페이지 203-205.
- 케네디, 벤자민 홀 (1871년).The Revision Latin Primer. 라틴어 입문서.Longman 1930년 James Mountford 경에 의해 편집 및 추가 수정; 1962년 인쇄; 페이지 184–186.
- 루이스, C.T. & Short, C.(1879년).라틴어 사전.
- 견과류, H. C. (1916)."라틴 문법이 실패한 곳"《Classic Weekly》, 제9권, 제20호(1916년 3월 18일), 페이지 153~157.
- 너팅, 허버트 C. (1920)"Cum-Construction에 대한 참고 사항".고전학 저널, 16권, 1권 (1920년 10월), 페이지 26~33.
- 견과류, H. C. (1933)"컴퍼니 건설의 역사에 대하여.미국 문헌학 저널, 54권, 1위(1933년), 29~38쪽.
- 피터슨, 월터(1931년).'Cum-Clauss의 부제어에 관한 초기 라틴어의 증거'고전적 문헌학 1931년 10월 26일자 제4권 386-404쪽.
- 슐리허, J. J. (1909).'시간적 누적 절충과 라이벌'고전 문헌학 제4권, 제3권 (Jul, 1909), 페이지 256–275.
- 스미스, W. & 홀, T. D. (1871)영어-라틴어 사전
- 스틸, R. B. (1910)"상대적 시간적 진술(Relative Temporary Statements in Latin)".미국 문헌학 저널, 1910, 31권, 3권 265–286.
- 비티, 카를로타(2013년).'위반과 라틴어 종속의 특이성'In: Bodelot, Colete, Gruet-Skrabalova, Hana, Trouillux, Francois.모폴로지, 구문 et semantique des serfonnants.Clermont-Ferrand: Blaise Pascal, 페이지 115-130을 누른다.
- 우드콕, EC (1959), 새로운 라틴어 구문 (Bristol Classic Press), 페이지 172–195.
참조
- ^ 베넷(1908), 페이지 206.
- ^ 네포스, Ep 9.4.
- ^ 키케로, 3.112.
- ^ 플린. 7.6.11.
- ^ Gildersleve & Lodge(1895), 페이지 359.
- ^ 우드콕(1959), 페이지 172–187.
- ^ Schlicher(1909), 페이지 266.
- ^ 너팅(1916), 페이지 156.
- ^ 스틸(1910), 페이지 266.
- ^ 페르세우스 필로 로직 현상액.
- ^ a b c Gildersleve & Lodge(1895), 페이지 367.
- ^ 페르세우스 필로 로직 도이치죠
- ^ 스틸(1910), 페이지 268–9.
- ^ a b 우드콕(1959), 페이지 175.
- ^ 우드콕(1959), 페이지 180, 181, 186.
- ^ 키케로, 4.8A.4.
- ^ 키케로, 10.1.3.
- ^ 그린(1907), 페이지 646.
- ^ 스페박, 올가(2010년).고전 라틴어 산문 헌법 제정, 페이지 14.
- ^ a b c 시케로, 버러 2.4.32.
- ^ 시저, 시민 2.11.2.
- ^ a b 키케로, 6.19.2항.
- ^ 키케로, 13.29.4.
- ^ Gildersleve & Lodge(1895), 페이지 370–1.
- ^ 너팅(1916), 페이지 157.
- ^ Schlicher(1909), 페이지 275.
- ^ 너팅(1920), 페이지 26.
- ^ 우드콕(1959년), 페이지 187ff.
- ^ 시저, 2.7.3.
- ^ 겔리우스, 15.16.2.
- ^ 리비, 45.12.
- ^ 시저, Gal. 4.25.4.
- ^ 키케로, 데 오라트 1.160
- ^ 시저, Gal. 7.6.2.
- ^ 시저, 3.105.1.
- ^ 시저, 1.16호
- ^ W. A. McDevitte와 W. S. Bohn(1869년)이 번역했다.
- ^ 네포스, 아지 3.5.
- ^ 시저, Gal. 2.23.1.
- ^ 시저, 3.67.5.
- ^ 시저, 3.37.2.
- ^ Gildersleve & Lodge(1895), 페이지 374-5.
- ^ 키케로, 142번지
- ^ Gildersleve & Lodge(1895), 페이지 375.
- ^ 시케로, 9.13.8.
- ^ 피터슨(1931), 페이지 396.
- ^ 내비우스, 컴 55번지
- ^ 너팅(1933), 페이지 32.
- ^ 카이사르, 갈 4.12.1.
- ^ 우드콕(1959), 페이지 191.
- ^ 키케로, 로스크 오전 33시
- ^ 시케로, 밀 69.
- ^ a b c d Gildersleve & Lodge(1895), 페이지 372.
- ^ 키케로, 오랏 2.365
- ^ 키케로, 브루투스 56.205.
- ^ 겔리우스, 3.1.5.
- ^ 겔리우스, 19.12.1.
- ^ Gildersleve & Lodge(1895), 페이지 370-373.
- ^ 그리노우(1903), 페이지 352.
- ^ 키케로, 고양이 1.21호
- ^ 키케로, 고양이 2.1.
- ^ Schlicher(1909), 페이지 271.
- ^ 시케로, S.
- ^ 키케로, 1.30번 구역
- ^ 테렌스, 헤시라 420호
- ^ 살루스트, 고양이 51세
- ^ 키케로, 투스. 2.59.
- ^ 키케로, 데 오라트 1.234.
- ^ 키케로, 13.49.2.
- ^ 키케로, 15.7.1번 가족
- ^ 키케로, 1.8부
- ^ 키케로, 투스 3.71
- ^ 카이사르, 갈 6.12.1.
- ^ 키케로, 데 발명품 1.2호
- ^ 시저, Gal. 6.24.1.
- ^ 우드콕(1959년), 페이지 194.
- ^ 키케로, 15.14.1.
- ^ 오랏, 키케로 51.1.71
- ^ 겔리우스, 1.25.12.
- ^ 시케로, 필 12.24.
- ^ 시케로, 2.75번 출구
- ^ 플로투스, 트린 401호
- ^ 리비, 9.33.3.
- ^ 시케로, 버러 2.4.38.
- ^ 키케로, 7.9.1번 가족
- ^ 우드콕(1959년), 페이지 190.
- ^ 카이사르, 갈 1.1.4.
- ^ 시저, Gal. 6.15.
- ^ Gildersleve & Lodge(1895), 페이지 363.
- ^ 카이사르, 6.17.3.
- ^ 시저, Gal. 5.21.3.
- ^ 시케로, 오라토르 40.
- ^ 시저, Gal. 5.35.1.
- ^ 시케로, Verr. 5.27.
- ^ 190페이지 우드콕(1959년)에서 인용한 리비 2.27.8.
- ^ 시케로, 5.10.5.
- ^ 카툴루스 5.10
- ^ Gildersleve & Lodge(1895), 페이지 581.
- ^ 우드콕(1959), 페이지 193.
- ^ 리비, 29.7.8.
- ^ 시저, Gal. 7.26.3.
- ^ 버질, 아이네이드 1.586.
- ^ 비티(2013), 페이지 117.
- ^ 비티(2013), 페이지 118.
- ^ a b c d e Gildersleve & Lodge(1895), 페이지 360.
- ^ 카이사르, 갈. 3.9.2.
- ^ 시저, Gal. 2.2.2.
- ^ 카이사르, 갈 3.11.5.
- ^ 페트로니우스, 25일 토요일
- ^ 페트로니우스, 새터 44번지
- ^ 오비드, 오전 1.14.50.
- ^ 키케로, 7.28.1.
- ^ 장로 세네카 8.4.20.
- ^ 키케로, 르 펍 1.23번지
- ^ 장로 세네카 3.7.16
- ^ Lewis & Short, 라틴 사전, s.v. meminmin.
- ^ 카이사르, 갈. 6.30.2.
- ^ 시저, B.G. 1.27.3.
- ^ 키케로, 4.2.1번 가족
- ^ 키케로, 8.12.2.
- ^ Gildersleve & Lodge(1895), 페이지 361.
- ^ 네포스, 22.4.2.
- ^ 커티우스, 5.6.19.
- ^ 키케로, 프로 밀 16.44
- ^ 수토니우스, 클라우드 17.2.
- ^ 키케로, 드 오랏 2.12
- ^ a b 우드콕(1959), 페이지 174.
- ^ 리비 1.27.11
- ^ 시저, 갤 7.82.1.
- ^ 리비, 1.23.6.
- ^ a b c d 우드콕(1959년), 페이지 176.
- ^ 리비, 21.59.
- ^ 시케로, 쿰크 22.70
- ^ 리비, 3.26.4.
- ^ 테렌스, 은 84.
- ^ 무술, 6.21.7.
- ^ 키케로, 2.11.1.
- ^ 키케로, 13.11.1.
- ^ 키케로, 3.1.1.
- ^ 리비, 3.23.6.
- ^ a b c Gildersleve & Lodge(1895), 페이지 362.
- ^ 카토, R. R. 65.
- ^ 호레이스, 오데스 4.5.
- ^ 리비, 1.24.9.
- ^ 리비, 3.28.2.
- ^ 타키투스, 앤 4.12.
- ^ 살루스트, 아이그 99.
- ^ 리비, 9시 45분 14초
- ^ 리비, 1.58.4.
- ^ 테렌스, 유럽 510번지
- ^ 살루스트, 이그 55.4.
- ^ 살러스트, 주그 50호
- ^ 리비, 1.32.14.
- ^ 우드콕(1959), 페이지 175, 190.
- ^ 스미스 & 홀, s.v. "when".
- ^ 키케로, 랍. 포스트 13.36
- ^ 살루스트, 주그 31.28.
- ^ 네포스, 파우스 5.5
- ^ 네포스, 3.1번 도로
- ^ 루이스 & 쇼트, S.V. 유비쿰크
- ^ 세네카, 콘스 헬프 11.7.7
- ^ 시저, 기원전 3.94.5.
- ^ 키케로, 12.18.1.
- ^ 시케로, 1.18번지.
- ^ 페트로니우스, 새터 62번지
- ^ 시저, Gal. 2.21.1.
- ^ 호레이스, 오데스 3.4.
- ^ 시케로, 고양이 2마리 12마리
- ^ 네포스, 펠 5.3.
- ^ 시케로, Verr. 2.1.27.
- ^ 시저, Gal. 4.26.5.
- ^ 키케로, 13.22.2.
- ^ 시케로, 12.40.5.
- ^ 네포스, 알크 1.4
- ^ Gildersleve & Lodge(1895), 페이지 366.
- ^ a b 우드콕(1959), 페이지 179.
- ^ 리비, 39.1.1.
- ^ 시케로, Verr. 5.91.
- ^ 시케로, 10.16.5.
- ^ Ovid, Metaorphoses 4.100–101.
- ^ 시케로, 7.21.1.
- ^ Lewis & Short, S.V. dum.
- ^ 리비, 32.24.
- ^ 네포스, 2.4.
- ^ 키케로, 1.24번지
- ^ 플리니, Ep. 6.4.5.
- ^ 살루스트, 고양이 7.6.
- ^ 네포스, 밀트 3.1.
- ^ 우드콕(1959), 페이지 180–181.
- ^ 우드콕(1959), 페이지 180.
- ^ 버질, 조지 4.457–8.
- ^ Gildersleve & Lodge(1895), 페이지 365.
- ^ a b 우드콕(1959), 페이지 178.
- ^ 키케로, 1.101번지
- ^ 시케로, 드 79세
- ^ a b 시저, Gal. 7.82.
- ^ 시케로, 2.43번 출구
- ^ a b 시케로, 9.10.3.
- ^ 버질, 에이엔 10.42–3.
- ^ 우드콕(1959), 페이지 182.
- ^ Plautus, Trin. 180.
- ^ Plautus, Phyolus 1234.
- ^ 네포스, 티몰 1.4
- ^ 리비, 4.21.10
- ^ 키케로, 11.24.2.
- ^ a b Gildersleve & Lodge(1895), 페이지 368.
- ^ Acius, Off. 1.28.97의 Cicero에서 인용.
- ^ 키케로, 8.11B.
- ^ 우드콕(1959), 페이지 177.
- ^ 테렌스, 박사 2, 3, 73
- ^ 리비, 3.48.6.
- ^ 우드콕(1959), 페이지 182–183.
- ^ 리비, 38.40.9.
- ^ 리비, 2.11.7.
- ^ 겔리우스 7.10.5.
- ^ 켈수스, 7.25.1b.
- ^ Lewis & Short, 라틴어 사전, s.v. dondc.
- ^ 호레이스, 오데스 3.9.
- ^ 리비, 6.13.4.
- ^ Gildersleve & Lodge(1895), 페이지 158.
- ^ 플로투스, 함장 335호
- ^ 루크레티우스, 5.996–7.
- ^ Lewis & Short, s.v. coosaad.
- ^ 카이사르, 갈 4.12.5.
- ^ 키케로, 밀 28번지
- ^ 키케로, 16.16E.2.
- ^ 우드콕(1959), 페이지 183.
- ^ 시저, Gal. 5.24.8.
- ^ 네포스, 음 5.7.
- ^ 커티우스 3.1.5.
- ^ 키케로, 1.2번 출구
- ^ 플리니, Ep. 4.23.2.
- ^ 플라우투스, 남자 114.
- ^ Plautus, 오전 120.
- ^ 플로투스, 밀 3.1.110.
- ^ Celsus, 2.17.3.
- ^ 오비드, 6.544.
- ^ 시저, 갈. 1.44.7.
- ^ 아풀리오스, 아폴로 75번길
- ^ Gildersleve & Lodge(1895), 페이지 369.
- ^ 시저, 갈 1.53호
- ^ 리비, 1.11.5.
- ^ 시케로, Verr 2.1.98.
- ^ 시케로, 바트 4호
- ^ a b 헐리헨(1911b), 페이지 204.
- ^ 시케로, 라엘 96번길
- ^ 시케로, Verr. 2.18.46.
- ^ 시케로, 5.11.6.
- ^ 시저, 시민 1.54.4.
- ^ 시케로, 버러 2.4.147.
- ^ 리비, 35.27.7.
- ^ 키케로, 10.17.1.
- ^ a b c 헐리헨(1911b), 페이지 205.
- ^ 네포스, 차 2.2.
- ^ 리비, 5.33.5.
- ^ 수토니우스, 칼 48.1.
- ^ 세네카, N. Q. 2.12.6.
- ^ 무술, 2.44.11–12.
- ^ a b 우드콕(1959), 페이지 184.
- ^ a b 헐리헨(1911b), 페이지 203.
- ^ 키케로, 핀 3.66
- ^ 키케로, 데 레그 2.57
- ^ 키케로, 고양이 4.10.20.
- ^ Plautus, Trin 198.
- ^ 우드콕(1959), 페이지 185.
- ^ 키케로 51번길
- ^ 리비, 5.7.7.
- ^ 키케로, 5.4.3.
- ^ 리비, 45.12.5.
- ^ Plautus, 940.
- ^ 플로투스, 메르카 559번지
- ^ 버질, 에이엔 4.25–7.
- ^ 우드콕(1959), 페이지 72, 192.
- ^ 키케로, 5번 상원의원
- ^ 커티우스, 8.1.52세
- ^ 네포스, 리스 3.4
- ^ 호레이스, 오데스 3.13
- ^ 키케로, 6.12.3 가족
- ^ 네포스, 2.3.
- ^ 우드콕(1959), 페이지 76.
- ^ 플로투스, 남자 435.
- ^ 리비, 2.8.9.
- ^ 시저, Gal. 7.5.1.
- ^ 시저, 1.48.5.
- ^ 커티우스, 6.7.28.
- ^ 커티우스 6.7.26
- ^ 페트로니우스, 112번지
- ^ 타키투스, 히스 2.66
- ^ 비티(2013), 페이지 123, 쿠너와 스테그먼(1914) 페이지 340을 인용했다.
- ^ 버질, 아이네이드 2.705.
- ^ 견과류(1920).
- ^ 시저, B.G. 4.15.1.
- ^ a b c 그리노우(1903), 페이지 400.
- ^ 네포스, 알크 10.6.
- ^ 리비, 1.58.2.
- ^ 키케로, 5.1.3.
- ^ 리비, 4.10.4.
- ^ 이 연습은 다음을 참조하십시오.파울러, W. 워드(1913)."요크 아래 지나간다"고전적 리뷰, 제27권, 제2권, 페이지 48-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