씽크 빅
Think Big![]() |
씽크빅은 뉴질랜드 제3국가의 개입주의 국가경제전략으로, 1980년대 초 로버트 멀둔(Robert Muldoon) 총리와 그의 국가정부가 추진했다. 씽크빅은 정부가 해외 차입을 많이 하고, 대외적으로 큰 적자를 내고, 대규모 산업 프로젝트에 자금을 사용하는 것을 보았다. 석유화학 및 에너지 관련 프로젝트는 뉴질랜드의 풍부한 천연가스를 활용하여 암모니아, 요소비료, 메탄올, 가솔린을 생산하기 위해 계획되었다.
앨런 히겟 국가 내각 장관은 1977년 한 전국당회의 연설에서 "Think Big"라는 꼬리표를 만들었다. 경제학자 브라이언 이스턴도 경제전략을 설명할 때 '큰 생각을 하라'는 표현을 썼다.[1]
역사
| ||
---|---|---|
총선 ![]() | ||
1970년대 후반 뉴질랜드 경제는 1973년 에너지 위기의 여파, 영국의 유럽 경제 공동체 가입에 따른 최대 수출 시장[2] 상실, 만연한 인플레이션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1978년 뉴질랜드는 석유 공급에 더 큰 위기를 맞았다. OPEC은 석유 가격을 계속 인상했다. 그 후 1979년 이란 혁명은 그 나라의 석유 산업과 마비되었고 하루에 570만 배럴(91만 m3)의 석유가 세계 공급에서 철수되었다.
1978년 빌 버치는 에너지부 장관이 되었다. 그는 타라나키 산하의 천연가스 매장량과 타라나키 연안의 연안에 있는 천연가스 매장량을 병든 경제에 활기를 불어넣을 기회로 보았다.
1979년에 석유 위기가 악화되었다. 1979년 상반기 OPEC은 유가를 배럴당 12달러에서 19달러로 인상했다. 뉴질랜드 정부는 주말 휘발유 판매를 금지했다. 1979년 7월 30일 정부는 자가용 없는 날을 도입했는데, 이 날은 개인 운전자들이 자동차를 운전할 수 없는 요일을 선택해야 했다. 지명된 차 없는 날에 운전을 하다 적발된 운전자들에게 무거운 벌금이 부과되었다.
유가 상승으로 그 나라의 이미 위태로운 교역조건이 실질적으로 악화되었다. 원유가격이 뉴질랜드 수지 적자의 주요 요소로 떠올랐다. 멀둔의 행정부는 뉴질랜드의 수입, 특히 석유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고 그에 따라 지불수지를 향상시키기 위해 씽크빅 프로젝트를 의도했다.
프로젝트
핵심 씽크빅 프로젝트에는 모투누이 모빌 합성페트롤 공장 건설, 환가리 인근 마스덴포인트 정유공장 보완 증설, 수출용 메탄올 생산을 위한 와타라 독립공장 건설 등이 포함됐다. 모투누이는 앞바다의 마우이(Maui) 밭에서 메탄올(Metanol)로 천연가스를 전환했고, 이후 현장에서 가솔린으로 전환했다. 유가 하락은 이 과정을 비경제적으로 만들었고 합성연료의 생산은 감소했지만, 그 산업은 이전 투자로 인해 여전히 큰 흐름을 유지했다. 뉴질랜드는 1997년 2월에 합성 가솔린의 제조를 포기하여 메탄올에 초점을 맞출 수 있게 되었다.[3]
클라이드 댐의 건설은 국가 전력망을 위한 전기를 생산하기 위한 계획의 일부를 형성했다. 오타고 항구에 있는 아라모아나에 제안된 제련소는 결코 건설되지 않았다. 그 결과 발생할 환경 훼손에 대한 저항으로 인해 대규모로 건설되었다.
프로젝트 목록
- 와타라의 메탄올 공장
- 카푸니의 암모니아/우레아 공장
- 모투누이의 합성-휘발유 공장
- 마스덴 포인트 정유공장 증설
- 글렌브룩 뉴질랜드 철강공장 증설
- 테 라파와 팔머스턴 노스사이의 북섬 간선 간선 철도 전기화
- 블러프 근처 티와이 포인트 알루미늄 제련소의 세 번째 감속선
- 클루샤 강의 클라이드 댐
측정결과
뉴질랜드 경제는 정부의 주요 투자로 어려움을 겪었다. 투자 인센티브와 거시경제 비율은 씽크빅 프로젝트를 위해 빌린 수십억 달러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물둔은 1982년 9월 27일 1983년 6월 22일까지 전국 규모의 임금과 물가를 동결하는 '임금 동결 규정'을 도입했다.[4] 이 정책은 인플레이션을 목표로 시도했지만, 결국 가격을 조정할 수 없는 수출업체들의 수익성이 감소했다.
적어도 씽크빅의 시행 기간 중과 직후에 씽크빅의 승인은 당 소속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었다(국민당 지지자들은 사업을 지지하고 노동당 지지자들은 처음에 반대했다).[citation needed] 빅 프로젝트가 인플레이션과 산업 문제의 추가와 동의어가 되었다고 생각한다. 리차드 프레블은 마오리 대출 사건 당시 노동당 내각에 "물둔이 (생각 빅을 위해) 빌린 70억 달러보다 그렇지 않은 6억 달러에 대해 말하는 것이 낫다"[5]고 말했다.
참고 항목
참조
- ^ Hembry, Owen (31 January 2011). "In the shadow of Think Big". The New Zealand Herald. Retrieved 29 August 2011.
- ^ "Fuel crisis 'not being taken seriously'". The Dominion Post. 27 March 2011. Retrieved 6 August 2012.
- ^ Pickford, Michael (2001). The Petrol Industry: Deregulation, Entry and Competition. Wellington: The NZ Trade Consortium. pp. 7, 20.
- ^ 뉴질랜드 정부(1982년). 1982년 임금 동결 규정, 개정 제3호(pp. 1-3). 웰링턴: 뉴질랜드 의회.
- ^ 2006년 7만 7,166페이지.
추가 읽기
- 이스턴, 브라이언(2001) , 오클랜드 대학 출판부 ISBN 1-86940-260-X
- Gustafson, Barry (2000). His Way: A Biography of Robert Muldoon. Auckland: Auckland University Press. ISBN 1-86940-236-7.
- Bassett, Michael; Bassett, Judith (2006). Roderick Deane: His Life and Times. Auckland: Viking/Penguin. ISBN 0 670 04567 5.
외부 링크
- 기술 기록: 씽크 빅
- 1970-2003년 세계 석유시장 사건 연대기(Oil-Market Events 1970-2003년)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