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활절 둘째 주 일요일
Second Sunday of Easter부활절의 두 번째 일요일은 기독교의 부활절 기념일로부터 7일 후에 일어나는 날이다. 오늘날 특별한 의미를 지닌 교회들은 다양한 이름으로 그것을 인식한다. 로마 가톨릭 교회에서는 이 날을 일반적으로 신성한 자비의 일요일로 알려져 있다. 서양 기독교를 통틀어 이 날은 부활절의 옥타브 데이, 화이트 선데이[a](라틴어: 도미니카 인 알비스), 콰시모도 선데이, 브라이트 선데이, 로우 선데이.[1] 동방 기독교에서 이 날은 안티파스카, 뉴선데이(또는 리뉴얼 선데이), 토마스 선데이(Thomas Sunday)로 알려져 있다.
성서적 설명

부활절의 두 번째 일요일은 포괄적 셈법을 사용하는 부활절 다음 날이며, 이에 따르면 부활절 자체는 8일 중 첫 번째 날이다. 이날을 기념하는 기독교 전통은 원래 부활 후 8일째 되는 날 일어난 것으로 기록된 성경 이야기를 떠올린다.
8일 후, 그의 제자들은 다시 그 집에 있었고, 토마스는 그들과 함께 있었다. 문은 닫혔으나, 예수께서 와서 그 가운데 서서 `평화가 너와 함께 있기를 !'하고 말씀하셨다. 예수께서 토마스에게 말씀하셨다. `너희는 손가락을 여기에 놓고, 내 손을 보고, 손을 내밀어서, 내 옆구리에 놓아라. 믿음이 없는 것이 아니라, 믿지 말아라.' 예수께서 그에게 대답하셨다. `나의 주님, 나의 하나님 !' 예수께서 그에게 말씀하셨다. `너희는 나를 보아서 믿었느냐 ? 보지 못하고 아직 믿지 못한 자는 복이 있다."
이 날을 동양 전통에서 토마스 선데이라고 부르는 것은 이 스크립츄럴 에피소드 때문이다.[2]
서양 기독교
이름
화이트 선데이
초기 로마 제례의 소송 서적에서 부활절 주간은 부활절 자경회에서 세례를 받은 사람들이 그 주 동안 입었던 하얀 예복 때문에 "White Week"(라틴어: Ebdomada alba)로 알려졌었다.[3] 1474년에 출판된 가톨릭 교회의 로마 미살 이전 판은 알비스(Albis) 또는 알비스 디포넨디스(Albis debonendis)의 줄임말인 토요일로 불리며, 그 토요일을 위해 후속 트라이던트 버전의 미살(Missal)에 보관되어 있던 이름이다. 1604년판 트리덴타인 미살에서는, 그러나 1570년 원본에서는 그렇지 않지만, 다음 일요일인 부활절 옥타브 데이에도 알비스의 묘사가 적용되었다.[4]
1962년 로마 미살(현재는 가톨릭 교회의 로마 의례의 특별한 형태로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은 이 일요일을 옥타바 파슈의 알비스에서 도미니카로 지칭한다.[5] 알비스의 이름은 1969년 개정에서 삭제되었다.
콰시모도 선데이
콰시모도라는 이름은 1 베드로 2:2에 바탕을 둔 이 날의 전통적인 라틴어 입문서의 근간에서 유래되었다.[1]
준모도 게니티 인패턴트, 알레루아: 렙타빌레, 사인돌로 라크 콘쿠피스카이트, 알레루아, 알레루아, 알레루아.[5]
영어로 번역됨:
신생아들이 (알레루아) 하듯이, 돌기(알레루아, 알레루아, 알레루아) 없이 이성적인 우유를 탐낸다.
저지선데이

영어에서 전통적으로 오늘날에 붙여진 다른 이름은 Low Sunday이다. '낮다'는 말은 앞의 일요일 부활절의 '높은' 축제와 대조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6] 또는 '낮다'는 말은 역사적 사름 의식에서 사용된 수열의 첫 단어인 라틴어 로데스의 부패일 수도 있다.[7]
신의 은총의 일요일
2000년 4월 30일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성인의 탄원서에 근거하여 부활절의 두 번째 일요일을 신성한 자비로운 일요일로 지정하였다. 예수님이 유령을 통해 교회의 이런 요청을 했다고 말한 파우스티나 코왈스카(1905~1938)는 이렇게 말했다. 로마 미살에서 이 날의 공식 명칭은 "이스터의 두 번째 일요일, 또는 신성한 자비의 일요일"(라틴어: 도미니카 2세 파슈끄 수 데 디비나 미제리코르디아[8]).
5년 후,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2005년 4월 2일 토요일 신성한 자비의 일요일 전날 저녁에 사망했다. 그의 후계자인 교황 베네딕토 16세는 2011년 5월 1일 신성한 자비로운 일요일에도 그를 구타했다.[9]
축하
가톨릭교회에서는 이날 특별한 신성한 자비로운 행사가 종종 열리는데, 화해의 성찬이 행해지는 경우가 많다.[10]
이날은[11][12][13][14] 헨족 여신의 이탈리아 연회와 칠레 쿠아시모도 의[15] 행사가 열린다 두 축제 모두 성찬식을 포함한다.
동방 기독교
동방 기독교에서는 이번 일요일을 안티파스카라고 부르는데, '이스터 대신'[16]이라는 뜻이다. 신성한 교회에서 읽은 복음서 구절 때문에 토마스 선데이라고도 불린다.[17] 동방 기독교에서 이 날의 또 다른 이름은 "뉴 선데이"[18]이다.
대중문화에서
- 빅토르 위고의 1831년 프랑스 소설 노트르담 드 파리(또는 노트르담의 꼽추)의 소설 주인공 콰시모도는 이 소설에서 부활절 이후 일요일 노틀담 대성당 문계단에 버려진 채 발견됐다.[19] 그 이야기에서, "그는 입양된 아이에게 세례를 주고 콰시모도라고 불렀다. 왜냐하면 그가 그를 발견한 날, 또는 그가 그 이름을 그 불쌍한 작은 생물이 얼마나 불완전하고 반쯤 완성되었는지를 상징하기 위해서였다."[20]
참고 항목
메모들
참조
- ^ a b Alston, George Cyprian (1913). Catholic Encyclopedia. New York: Robert Appleton Company. . In Herbermann, Charles (ed.).
- ^ "Sunday of Thomas". Greek Orthodox Archdiocese of America. Retrieved 2021-01-01.
- ^ Regan, Patrick (2012). Advent to Pentecost. Liturgical Press. pp. 242–243.
- ^ Regan, Patrick (2012). Advent to Pentecost. Liturgical Press. pp. 246–249.
- ^ a b Missale Romanum (in Latin). Libreria Editrice Vaticana. 1962. p. 341.
- ^ "Low Sunday". Chambers Dictionary. Allied Publishers. 1998. p. 954.
- ^ Barbee, C. Frederick; Zahl, Paul F. M., eds. (2006). The Collects of Thomas Cranmer. Eerdmans. p. 52. ISBN 978-0-80281759-4.
- ^ Missale Romanum (in Latin) (3rd revised ed.). Midwest Theological Forum. 2015. p. 314.
- ^ Holdren, Alan (January 14, 2011). "John Paul II's beatification approved for May 1, Divine Mercy Sunday". Catholic News Agenc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November 21, 2016. Retrieved January 1, 2021.
- ^ Matysek Jr., George P. (April 18, 2020). "Divine Mercy Sunday seen as opportunity to receive Christ's mercy "anew"". Crux.
- ^ Swinburne, Henry (1790). Travels in the Two Sicilies. 3 (2 ed.). London: J. Nichols. p. 166. Retrieved 2021-02-18.
- ^ Feldman, Martha (2015). The Castrato. UC Press. p. 27. ISBN 9780520962033. Retrieved 2021-02-18.
- ^ Hughes, Jessica (2014-05-13). "Votive chickens". The Votives Project. Retrieved 2021-02-18.
- ^ "Pagani". Valle del Sarno. Soprintendenza Beni Archeologici Salerno-Avellino e Benevento.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6-08-19. Retrieved 2021-02-18.
- ^ Chambers, Jane (April 27, 2017). "After Easter, Chileans on horseback take sacraments to homebound". Crux.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anuary 1, 2021. Retrieved January 1, 2021.
- ^ "Antipascha". Orthodox Church in Americ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November 25, 2020. Retrieved January 1, 2021.
- ^ Sokolof, Archpriest Dimitrii (2001) [1899]. Manual of the Orthodox Church's Divine Services. Jordanville, New York: Holy Trinity Monastery. p. 109. ISBN 0-884-65067-7.
- ^ "Thomas Sunday (New Sunday)". Antiochian Orthodox Christian Archdiocese of North America.
- ^ "Quasimodo Sunday: How the Hunchback got his name". Catholic News Agency. April 28, 2019.
- ^ Hugo, Victor (1996) [1831]. The Hunchback of Notre-Dame. Penguin Books. pp. 147–148. ISBN 978-01-4062-2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