톰 브라운 (테니스)
Tom Brown (tennis)나라(스포츠) | ![]() |
---|---|
태어난 | 미국 워싱턴 D.C. | ) 1922년 9월 26일
죽은 | 2011년 10월 27일 미국 캘리포니아 주 카스트로 밸리 | (89세)
프로로 전향했다. | 1939년 (1939년 여행) |
은퇴한 | 1969 |
플레이스 | 오른손(한손 백핸드) |
싱글스 | |
경력기록 | 314–96 |
경력직명 | 34 |
최고 순위 | 7번(1946년, 피에르 길루)[1] |
그랜드 슬램 단식 경기 결과 | |
오스트레일리아 오픈 | SF(1947) |
프렌치 오픈 | SF(1946, 1947) |
윔블던 | F(1947년) |
US 오픈 | F(1946) |
복식 | |
그랜드 슬램이 2배 더 많은 결과를 낳다 | |
오스트레일리아 오픈 | SF(1947) |
프렌치 오픈 | F(1947년) |
윔블던 | W(1946) |
그랜드 슬램 혼합 복식 결과 | |
프렌치 오픈 | F(1946) |
윔블던 | W(1946) |
US 오픈 | W(1948년) |
토머스 P. 브라운 주니어(Brown Jr. 1922년 9월 26일 ~ 2011년 10월 27일)는 1940년대 아마추어 테니스 선수 중 한 명이며, 베테랑과 시니어 대회에서 한결같은 우승자였다. 그는 토마스 P의 아들이었다. 신문 특파원 브라운은 이후 철도 홍보부장을 맡았고, 톰이 소년이었을 때 학교 교사가 된 힐다 제인 피셔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비록 워싱턴 D.C.에서 태어났지만, 톰은 두 살 때 부모님(두 캘리포니아 사람 모두)에 의해 서쪽으로 데려온 후 평생 산 프란치스코인으로 여겨졌다.
전기
톰 브라운 주니어는 주말이면 부모님이 놀던 샌프란시스코 금문공원에서 테니스를 치기 시작했고 톰은 따라붙었다. 그는 곧 이 스포츠에 흥미를 갖게 되었고, 곧 부모님을 물리치고 도시 전역의 어린이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하게 되었다. 그는 로웰 고등학교와 캘리포니아-버클리 대학교에서 테니스 팀의 주장이었다.
테니스가 결코 인생의 주종목이 아니었던 한 사람에게, 그는 법 연습에 전념하고 가정을 꾸리기 전에 그 종목에서 성공적인 기록을 세웠다. 기껏해야 그는 당대 최고의 선수들을 제치고 우승했다. 1945년 10월 명문 태평양 연안선수권 단식 우승을 차지한 브라운 일병(Private First Class Brown)이 미국 브라운에서 두 번째로 오래된 테니스 토너먼트가 단식 2회, 복식 2회 등 총 4회 우승했다. 그 후, 제2차 세계 대전 후, 그는 1946년 윔블던 준결승에 진출했고, 그는 그 해의 최종 우승자인 프랑스의 이본 페트라를 2세트 차로 앞서 패했다.[2]
세계 최강의 복식 파트너로서 수요가 많은 브라운은 잭 크레이머와 함께 1946년 윔블던 복식 경기에서 호주의 제프 브라운과 다이니 페일을 상대로 우승했다. 그는 또한 도로시(도도) 번디와 제프 브라운을 상대로 루이스 브루와 팀을 이룬 혼합 복식에서 우승했다. 같은 해 프랑스에서도 '도도'와 혼성 결승전을 치르며 단식(자로슬라프 드로브니에게 패함)의 세미스에 도달했다. 미국 전국대회에서는 프레드 코발레스키, 톰 팔켄버그, 비트시 그랜트, 허비 플람, 프랭크 파커, 가드나르 뮬로이 등을 꺾고 단식 결승에 올랐다가 크라머에게 패했다.[2]
1947년 호주 선수권대회에서 브라운은 아드리안 퀘이스트를 꺾은 뒤 준결승에서 디니 패일스에게 패했다.[3] 1947년 윔블던 단식에서 브라운은 디펜딩 챔피언 페트라와 미래의 챔피언인 버즈 패티를 꺾은 뒤 결승전에서 크라머에게 쉽게 졌다.[4] 프랑스(윔블던 이후 마지막으로 열린)에서 준결승에서 패해 최종 우승자인 조제프 아스투르에게 패했고, 호주의 빌리 시드웰과 복식 결승에 올랐다.[2]
1948년 윔블던에서 가드나르 멀로이와 팀을 이뤄 호주 듀오 존 브로미치와 프랭크 세그만에게 복식 결승에서 패했다. 브라운은 또한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파트너인 루이스 브루와 함께 미국 혼합 복식 타이틀을 차지했다.[2]
그가 윔블던에 다시 한 번 슛을 날리기까지는 16년 전이었다. 1964년과 1965년. 그는 단식 2라운드에서 탈락했다; 1965년 존 뉴콤비에 의해, 몇 년 후, 3번의 윔블던 챔피언이 되었다. 그는 휴 스튜어트, 진 스콧과 함께 그 해의 두 배를 뛰었다. 둘 다 일차적인 손실이었다.
크레이머는 1979년 자서전 《The Game, My 40 Years in Tenness》에서 브라운이 '프리스코 플레일러'(당시 우리는 그와 같은 별명을 가지고 있었고, 뛰어난 러닝 포핸드로 그라운드에서 강했지만, 그는 항상 나의 비둘기였다고 썼다.) 크라머는 브라운을 9경기 연속으로 꺾으며 '소유'한 유일한 선수였다.한 세트를 잃다
브라운은 또한 미국 데이비스컵 3개 팀에 속해 있었으며, 1950년 호주와의 경기에서 두 번째 챌린지 라운드 단식 경기를 펼치며 1951년 윔블던 단식 결승전과 1952년 호주 단식 챔피언이 된 켄 맥그리거를 꺾고 5세트 만에 미국 유일의 포인트를 획득했다.
브라운은 평생 여행에 대한 열정을 가지고 있었는데, 그가 두 살 때 아버지와 함께 워싱턴 D.C.에서 캘리포니아 머세드로 기차를 타고 떠났을 때 얻은 방랑자였다. 그 후 그 가족은 샌프란시스코에 정착했다. 그는 법률 연습 기간 동안 테니스 토너먼트를 여행할 기회가 있을 때마다 그것을 가져갔고, 30대에는 세계 최고의 아마추어 대회를 제쳤다. 브라운은 현역 선수 생활을 넘어 1946년부터 1958년까지 8차례나 미국 톱10에 올라 1946년 3위까지 올랐다.[5] 1946년 피에르 길루, 1947년 존 올리프와 해리 홉맨에 의해 세계 7위에 올랐다.[1][6]
47세와 48세의 나이에 브라운은 전국 남자 45세 이상의 하드 코트 단식에서 우승했다. 그는 또한 아트 라센과 한 번, 토니 트래버트와 두 번, 45번 이상 미국 국가대표 복식 경기를 세 번 치렀다. 그는 은퇴 후 시니어 테니스를 완전히 받아들였고, 1987년 65세 때 65세 이상 단식에서 USTA 내셔널 그랜드 슬램을 우승하여 단단한 진흙, 잔디, 실내 표면에서 승리를 거두었는데, 이는 미국 베테랑 테니스 역사상 거의 독특한 업적이다. 1988년 국제테니스연맹은 그를 세계 최고의 베테랑 선수로 선정했다.
브라운은 보비 리그스와 3번, 프레드 코발레스키와 8번 짝을 이뤄 24번의 단식, 11번의 복식 등 시니어 선수로서 수많은 전국 타이틀을 거머쥐었다. 브라운의 마지막 국가 타이틀은 1998년이었다. 2007년에 그는 "톰이 지나갈 때"라는 제목의 회고록을 출간했다.
톰 브라운은 2011년 10월 27일 카스트로 계곡에서 89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그랜드 슬램 결승전
싱글(2위)
결과 | 연도 | 챔피언십 | 표면 | 상대 | 점수 |
---|---|---|---|---|---|
손실 | 1946 | 미국 전국 선수권 대회 | 잔디 | ![]() | 7–9, 3–6, 0–6 |
손실 | 1947 | 윔블던 | 잔디 | ![]() | 1–6, 3–6, 2–6 |
복식(1위, 준우승 2회)
결과 | 연도 | 챔피언십 | 표면 | 파트너 | 반대자 | 점수 |
---|---|---|---|---|---|---|
이기다 | 1946 | 윔블던 | 잔디 | ![]() | ![]() ![]() | 6–4, 6–4, 6–2 |
손실 | 1947 | 프랑스 선수권 대회 | 점토 | ![]() | ![]() ![]() | 4–6, 6–4, 4–6, 3–6 |
손실 | 1948 | 윔블던 | 잔디 | ![]() | ![]() ![]() | 7–5, 5–7, 5–7, 7–9 |
혼합복식(2개 타이틀, 준우승 1개)
결과 | 연도 | 챔피언십 | 표면 | 파트너 | 반대자 | 점수 |
---|---|---|---|---|---|---|
이기다 | 1946 | 윔블던 | 잔디 | ![]() | ![]() ![]() | 6–4, 6–4 |
손실 | 1946 | 프랑스 선수권 대회 | 점토 | ![]() | ![]() ![]() | 5–7, 7–9 |
이기다 | 1948 | 미국 전국 선수권 대회 | 잔디 | ![]() | ![]() ![]() | 6–4, 6–4 |
참조
- ^ a b 미국 잔디 테니스 협회 (1972년) 테니스 공식 백과사전 (초판), 425-6페이지.
- ^ a b c d Collins, Bud (2010). The Bud Collins History of Tennis (2nd ed.). [New York]: New Chapter Press. pp. 403, 419, 436, 439, 460, 482. ISBN 978-0942257700.
- ^ "Australian Open 1947". www.tennis.co.nf.
- ^ "The Championships 1947 – Gentlemen's Singles" (PDF). Wimbledon. AELTC.
- ^ 1946년 12월 15일 세인트 페테르부르크 타임스 "크레이머 탑 테니스 랭킹"
- ^ 1947년 2월 3일 "세계 테니스 최고 10위" "The Courier-Mail"
원천
- The Game, My 40 Years in Tenney, Jack Kramer with Frank Deford
- As Tom Goes By: A Tennish Review(2007) Tom Brown with Lee Tyl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