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니 셰리던
Tony Sheridan![]() |
토니 셰리던 | |
---|---|
![]() 토니 셰리던 라이브 공연, 2004년 11월 | |
배경 정보 | |
생년월일 | 앤서니 에스몬드 셰리던 맥기니티 |
태어난 | 노퍽, 노리치, 영국 | 1940년 5월 21일
죽은 | 2013년 2월 16일( 함부르크, 독일 | 72세)
장르 | |
직업 | 싱어송라이터, 뮤지션 |
기기 | 보컬, 기타, 바이올린 |
액티브 년수 | 1958–2013 |
라벨 | 폴리도르 |
웹 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토니 셰리던(Tony Sheridan, 1940년 5월 21일 ~ 2013년 2월 16일)은 영국의 록앤롤 싱어송라이터이자 기타리스트로 성인기 대부분을 [1]독일에서 보냈다.그는 비틀즈의 초기 공동작업자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이 음반에 "The Beat Brothers"라는 레이블이 붙어있음에도 불구하고), 비틀즈가 아닌 두 사람 중 한 명(다른 한 명은 빌리 프레스톤), 비틀즈가 아닌 유일한 비욘세는 비틀즈 음반에서 리드 싱어로 출연하여 싱글 차트화 되었다.
전기
셰리던은 노퍽주 노리치에서 태어나 소프 세인트 앤드류의 핸셀 로드 2번지에서 자랐고 시티오브노리치 [2][3]스쿨을 다녔다.
그의 부모님인 Alphonsus McGinnity와 Oudry J M Mann은 1939년 노리치에서 결혼했다.그의 어린 시절, 셰리단은 클래식 음악에 대한 그들의 관심에 영향을 받았고, 7살 때 그는 바이올린 연주를 배웠다.그는 결국 기타를 치게 되었고 1956년 그의 첫 밴드를 결성했다.그는 충분한 재능을 보였고 곧 런던의 "Two I's" 클럽에서 약 6개월 연속으로 뛰고 있는 자신을 발견했다.1958년, 18세의 나이로 ITV 도급업체 ABC가 만든 '오보이!'에 출연하여 "블루 스웨이드 슈즈", "글래드 올 오버", "마이티 마이티 맨" 그리고 "오, 보이!"와 같은 초기 록 클래식에서 일렉트릭 기타를 연주하기 시작했다.그는 [4]곧 진 빈센트와 콘웨이 트위티를 포함한 많은 가수들을 후원하는 일을 하게 되었다.1958년 조니 포스터는 클리프 리처드의 백밴드(곧 쉐도우로 개명)에서 기타 연주자로 셰리던을 영입하려 했으나 그를 2i의 커피바에서 찾지 못하자 행크 [5][6]마빈이라는 다른 기타리스트를 선택했다.1960년 초, 그는 빈센트, 에디 코크란과 함께 영국 투어 공연을 했다.4월 16일 빈센트와 코크란은 다음 장소로 함께 가자는 그의 요청을 거절했다.그래서 그는 코크란이 죽고 빈센트가 심하게 [7]다치는 교통사고를 피했다.
셰리던은 "Happy Organ" 녹음에서 체리 웨이너를 위해 기타를 연주했다.이러한 성공에도 불구하고, 그의 지각, 기타 없이 나타나는 그의 성향은 곧 그에게 약간의 "해이와이어"라는 평판을 가져다 주었고, 영국에서 그의 프로로서의 지위를 상당 부분 잃게 했다.덧붙여서, 독일 함부르크에 있는 브루노 코슈미더의 "카이저켈러" 클럽에서 영국 그룹이 [1]공연할 수 있도록 제안을 받았다.셰리던과 다른 사람들(콜린 "멜랜더" 크롤리 포함)은 즉시 "제트"로 불리는 특별 그룹에 합류하여 함부르크행 배에 실렸다.운명에 따라서는 법적 문제(즉, 제대로 된 서류가 부족함)로 인해 "제트"는 오래가지 못했지만 셰리단 (그리고 지금은 친구 크롤리)는 곧 [8]함부르크의 무대로 돌아왔다.
1960년에서 1963년 사이에 함부르크에서 공연하는 동안 셰리던은 다양한 백업 밴드를 고용했는데, 대부분은 그룹 본연의 그룹이 아니라 다양한 뮤지션의 혼합 밴드였다(그러나 거의 항상 현재 베이시스트 콜린 "멜랜더" 크롤리와 보통 톱피아니스트 로이 [1]영을 포함).그러나 1961년 두 번째 방문 때 함께 일했던 젊은 비틀즈(존 레논, 폴 매카트니, 조지 해리슨, 스튜어트 수트클리프, 피트 베스트 당시 라인업)는 1960년 함부르크에 처음 왔을 때 셰리던을 만나 흠모했다.[1]비틀즈는 때때로 셰리던을 후원했고, 셰리던은 차례로 그들의 기타로 그들을 후원하는 동안 종종 비틀즈에 합류했다.그들은 심지어 셰리던의 집을 방문했고 뒷마당에서 [9]잼 세션을 가졌습니다.
독일 폴리도르 프로듀서/A&R의 베르트 켐퍼트의 동료가 무대에서 페어링을 보았을 때, 그는 셰리단과 비틀즈가 함께 [10]녹음할 것을 제안했다.켐퍼트는 셰리던을 "스타" 잠재력을 가진 사람으로 보고, 비록 그들이 셰리던의 음반으로 연주하기로 비틀즈와 계약했지만, 계약서에는 네 명의 비틀즈 (레논, 매카트니, 해리슨, 베스트)가 최소 두 곡의 곡을 연주할 수 있도록 보장되어 있었다.1961년 6월 폴리도르를 위해 이틀 동안 셰리던이 녹음한 7곡 중 때때로 셰리던을 후원하는 밴드는 단 두 명의 비틀즈(폴 매카트니와 피트 베스트)로 줄어들곤 했다.반대로[who?], 어떤 사람들은 그들의 두 솔로 곡에서만 네 명의 비틀즈가 연주하고, 반면 셰리던은 그의 모든 트랙에서 연주한다고 말한다.존 레논의 리듬 기타는 두 개의 비틀즈 솔로 트랙에서만 들을 수 있다(그의 목소리는 배경 보컬로 들리고 셰리던의 트랙에서 그의 손뼉도 들린다). (크리스토퍼 엥겔하르트의 "Beatles Deeper Undercover, 페이지 302) 이 세션들은 셰리던의 "My Bonnie"와 비틀즈의 "The Saints"를 제작했다."Shadow" (이전의 타이틀은 "Beatle Bop"), 그 외 3곡.
셰리던의 스타덤에 대한 폴리도르의 믿음은 너무 강해서 그들은 훨씬 늦게까지 두 개의 솔로곡인 비틀즈를 묻어버렸다.게다가 존 레논, 피트 베스트, 토니 셰리던은 모두 이틀간의 세션 동안 녹음된 비틀즈 곡이 몇 곡 더 있다고 맹세했지만,[11] 표면화되지는 않았다.1962년 봄, 계약상의 의무를 이행하기 위해 살아남은 네 명의 비틀즈 (그리고 로이 영을 포함하지만 셰리던 없이)는 Sweet Georgia Brown의 Instrumental 버전을 녹음했다; 후에 셰리던은 스튜디오에서 솔로 활동을 하는 동안 그의 보컬 오버더브를 잘라냈다.(보고에 따르면 "Swanee River"는 비틀즈와 로이 영에 의해서도 녹음되었다고 합니다만, 폴리도르는 1962년에 쉐리단의 앨범 My Bonnie에 버전을 발매했지만, 폴리도 이 마지막 녹음은 결코 찾지 못했다고 합니다.)그날의 신문 기사에는 셰리던이 비틀즈와 함께 "You Are My Sunshine"을 싱글로 녹음했다고 언급되어 있었다.
1962년, 일련의 싱글곡 (첫 번째 "My Bonnie") 이후/The Saints'는 독일 차트 5위에 올랐다.) 이 음반은 데카에서 검정색 레이블과 핑크색 레이블로 미국에서 발매되었다.이 레코드는 가장 비싼 45rpm의 수집품 중 하나이며, 블랙 라벨은 2007년에 15,000달러에, 핑크 라벨은 3,000달러에 판매되었다.링고 스타는 로리 스톰과 허리케인즈로 돌아오기 전인 1962년 초 셰리던의 후원 밴드에서 잠시 연주를 했다.보도에 따르면 스타는 셰리던이 그의 밴드와 함께 연습하지 않은 곡들을 연주하는 것에 불만을 품었다고 한다(다른 음악가들은 셰리던의 주먹 [12]싸움 성향에 대해 같은 불만을 제기했다).
또한 1962년 폴리도르는 독일 전역에 앨범 My Bonnie를 발매했다."비틀즈"라는 단어는 음경을 뜻하는 속어인 함부르크 사투리 단어 "피델스" ("peedles"로 발음됨)와 너무 비슷하다고 판단되어 "토니 셰리던과 비트 브라더스"[13][14]라는 이름으로 만들어졌다.비틀즈가 유명세를 탄 후, 이 앨범은 영국에서 재발매되었고, 그 크레딧은 "토니 셰리던과 비틀즈"로 바뀌었다.비틀즈의 함부르크 스튜디오 녹음과 같은 시기의 몇몇 라이브 녹음은 여러 [15]번 재발매되었다.
차후 경력
1960년대 중반 셰리던의 음악 스타일은 그의 로큰롤에서 벗어나 블루스와 재즈 지향의 사운드로 급격한 변화를 겪었다.이 음반들은 일부 사람들에 의해 칭찬받았지만, 그의 초기 작품의 많은 팬들은 크게 실망했다.이러한 변화는 1964년 그의 앨범 Just a Little Bit of Tony Sheridan의 라이너 노트에 의해 예견되었다. 이 앨범에서 그의 음악적 선호는 록이 아닌 "재즈와 클래식"으로 나열되었다.이 라이너 노트는 또한 그가 "원래 흑인 음악을 직접 듣고 [15]그가 매우 좋아하는 흑인 재즈와 영적인 음악을 만들어내는 데 중요한 분위기를 경험하기 위해" 미국을 방문하고 싶다고 언급하고 있다.폴리도르는 1967년까지 독일 음반 제작자 지미 보위엔과 함께 토니 셰리던 싱글을 계속 발매했다.
1967년까지 셰리던은 비틀즈가 낳은 명성에 환멸을 느끼게 되었다.그가 베트남 전쟁과 공산당의 추가 침략에 대해 더 걱정하자, 그러한 셰리단은 연합군을 위해 공연하는 것에 동의했다.그러나 베트남에 있을 때 그가 결성한 밴드가 총격을 받아 멤버 중 한 명이 사망했다.연합군을 즐겁게 한 공로로 셰리던은 미국 [15]육군 명예 대위가 되었다.거기서 몇 번이나 포탄이 터지면서 셰리던은 어떤 폭발음도, 심지어 불꽃 소리에도 매우 민감하게 반응했다.
폴리도르 계약이 사라지자 셰리던은 살아남기 위해 할 수 있는 일을 했다.1970년대 초, 그는 캐롤 벨과 함께 팀을 이룬 팝 듀오로 싱글 앨범을 만들 수 있었고, 그들은 상당한 성공을 거두며 유럽 투어를 함께 했다.그 후 그는 독일(보통 함부르크)이나 런던에서 뛰었다.1970년대 중반, 그는 서독의 블루스 음악 라디오 프로그램을 디제이하는 것을 보았고, 이는 좋은 반응을 얻었다.그 후 어떻게 해서든 그는 초기 록 클래식의 라이브 앨범 전체를 녹음할 수 있었습니다.그 중 상당수는 그와 젊은 비틀즈 초기 라이브 공연의 일부였지만 녹음된 적은 없었습니다.
1978년 미국의 한 음반 제작자는 (젊은 비틀즈가 있든 없든) 셰리던의 초기 Polydor 음반을 듣고 셰리던의 노래와 연주에 감명을 받았다.즉시 셰리던은 로스앤젤레스에 와서 스튜디오 앨범을 녹음하겠다는 제안을 받아들였다.당시 활동하지 않았던 엘비스 프레슬리의 TCB 밴드는 최고의 베이시스트(그리고 함부르크의 전 친구) 클라우스 부만과 함께 이 앨범을 연주하기 위해 고용되었다.록 클래식과 몇몇 컨트리 곡으로 구성된 앨범이 나왔지만, 주요 레이블이 출시되지 않은 상태에서, 그것은 직접 TV 판매로 제한되었다.따라서 라스베이거스에서 오랜 미국 경력을 쌓을 가능성은 사라졌다.
1978년 스타클럽이 다시 문을 열었고 셰리던은 엘비스 프레슬리의 TCB [16]밴드와 함께 그곳에서 공연을 했다.
1991년, 셰리던 전기 작가이자 당시 매니저였던 조 선세리는 노바디 차일드를 완성했습니다. 토니 셰리던 이야기.그러나 낙마로 인해 전기는 출판되지 않았다.'선생님'이라는 제목의 셰리던의 전기. ISBN0957528507)은 결국 2013년 셰리던의 어릴 적 친구였던 노퍽의 작가 앨런 맨에 의해 출판되었다.이 책은 본질적으로 이메일 질의응답 인터뷰였다.저자의 거듭된 탐문수사로 셰리던이 영국 감옥에서 보낸 2주 중 한 번은 나왔지만 안타깝게도 셰리던의 기억을 액면 그대로 받아들인다.2002년 8월 13일, 셰리단은 그의 첫 앨범에서 녹음한 곡인 "Skinny Minnie"의 새로운 커버 버전을 포함한 Vagabond를 발매했다.토니는 아르헨티나 록 뮤지션 찰리 가르시아를 위해 기타를 연주하고 노래를 불렀다.그 앨범은 인플루언시아라고 불렸고 [17]2002년에 발매되었습니다.2015년, 셰리던의 전 베이시스트인 콜린 "멜랜더" 크롤리는 또 다른 전기인 토니 셰리던 – 비틀즈 "선생님" (ISBN9781515092612)을 출판했다. 이 두 권의 전기 중에서 60년대 초반 셰리던의 주요 경력을 가장 잘 알 수 있다.
사생활
셰리던은 함부르크 북쪽 마을인 시테르뮈헤에 살았고, 음악 외에도 말년에 문장학에 관심을 가지고 [18]문장을 디자인했다.셰리던은 그의 사생활에 대해 극도로 비밀스러웠지만, 그가 마지막으로 안나 시버스와 세 번 결혼했고, 이전에 로시 하이트만과 헤이즐 빙과 결혼한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그의 친구이자 전 베이시스트였던 크롤리는 1960년 셰리던이 아일랜드-가톨릭과 유대인의 혼혈 배경에도 불구하고 그 당시 자신을 불교 신자로 보고 있었다고 털어놓았다고 말했다.후에 쉐리단은 바관 스리 라즈니쉬의 신자가 되었고 1980년대에 미국 오리건주에 있는 라즈니쉬푸람에서 살았다.
죽음.
토니 셰리던은 2013년 2월 16일 [19][20]함부르크에서 심장 [21]수술을 받은 후 사망했다.
음반 목록
![]() |
스튜디오 앨범
- 1961년: My Bonnie with The Beat Brothers (나중에 비틀즈가 성공을 거둔 후 비틀즈와 함께 읽도록 변경) #28 빌보드 - 1964년 미국에서 발매;왜 #88 빌보드 - 1964년 발매
- 1964년: 토니 셰리던과 빅6의 작은 부분
- 1984년 : Novus (덴마크)
- 1986: Ich lieb Dich so
- 1987년: Dawn Colors (이탈리아)[피트 베스트와 고 스튜어트 수트클리프는 제외되었지만 비틀즈 친구들에게 분명한 헌신을 담은 유일한 셰리단 앨범]"함부르크에서의 환상적인 광란의 나날들을 추억하며 존, 폴, 조지, 링고에게 헌정합니다.알버트 리에게 특별한 감사를 표합니다.마지막 곡 "Goodbye"는 비틀즈-매카트니가 쓴 곡이지만, 모든 오리지널 셰리던 곡들은 제목을 공유한다.
- 1989년: Here & Now! – 초기 록/리듬 앤 블루스 클래식 "Money Honey"와 "What'd I Say"와 "Skinny Minnie"의 신곡이 특징입니다.Sheridan의 웹사이트에는 1988년에 발매된 것으로 되어 있으며, 저작권 공지도 1994년으로 되어 있습니다.
- 2002: 방랑자
- 2018년 토니 셰리던과 오퍼스3[22] 아티스트
라이브 앨범
- 1963: 스타 클럽 함부르크에서의 트위스트 라이브 앨범 셰리던은 "Skinny Minny"와 "What'd I Say"("댄 셰리"라는 필명으로 "STAR COMBO" (로이 영, 콜린 "멜랜더" 크롤리, 리키 반즈 및 조니 왓슨을 포함한 그룹)를 부르고 연주합니다.그는 또한 "The Star Combo"의 다른 네 곡에서도 연주한다.이번 발매는 필립스에서는 보기 드문 LP였다.셰리던은 "댄 셰리"로 인정받고 있지만, 그의 사진이 '스타 클럽'에서 분명히 노래하고 있다(베이스 연주자 콜린 "멜랜더" 크롤리와 색소폰 연주자 리키 반즈와 함께.(다른 4개 그룹의 곡도 있습니다).
- 1974년: 토니 셰리던, 1973년 베를린 라이브
- 1976년 : On My Mind (프라이빗 릴리즈)
- 1996년: 토니 셰리던 & 더 비트 브라더스 라이브 앤 디저블(Rock Masters: Rock Masters:Feel It" [비트 브라더스 – 로이 영, 하우 케이시 – "굿 골리 미스 몰리" 등의 녹음.1995년 실황 녹음에서 리드 보컬은 로이 영(일명 "영국의 리틀 리처드")이 맡았다.
- 2004년: Chantal과 토니 셰리던의 만남– 초기 매카트니/셰리던 노래 "Tell Me If You Can"의 라이브 녹음만 알려져 있습니다.
- 2007년: 토니 셰리던 라이브 2007 – 엘비스 클래식 "Don't Be Cruel", 비틀즈 "Yesterday", 척 베리의 "Little Queenie"와 "Johnny B"가 혼합된 유일한 셰리던 음반입니다. '좋아요.버디 홀리의 'Not Fade Away'와 제임스 테일러의 'You've Got A Friend'도 선보입니다.셰리던의 젊은 아내 안나 셰리던이 찍은 앨범 사진.
EP
- 1962년: 미스터 트위스트 [ EP,[23] 프랑스에서 발매.
- 1962년: Ya Ya EP,[24] 독일에서 발매.
- 2001년: 토니 셰리던과 로드 데이비스(존 레논의 쿼리맨에서) EP/CD
- 2005: 할 수 있으면 말해 주세요(EP) Chantal feature. Geff Harrison – Tony Sheridan – 이 Sheridan 버전은 6분 24초에 상영되며 애비 로드 스튜디오에서 녹화되었습니다.이 CD/EP의 다른 세 가지 버전은 Sheridan이 만든 것이 아닙니다.
컴파일
- 1964년 : 1961년 녹음된 비틀즈의 'She Sweet(Side 1) 아니야?
- 1966년: Meet the Beat (10인치, 12인치, CD의 두 가지 버전, 그러나 트랙은 근본적으로 다르며 두 곡만 공유합니다.12인치에는 1966년 녹음된 "Jailhouse Rock", "Fever" 및 "Shake, Rattle and Roll")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싱글
- 1962년 : "이치립의 Dich So (Ecstasy)" / "Der Kiss - Me Song"
- 1965년: "My Babe" (빅6와 함께)
- 1965년: "Vive L'Amour" (토니 셰리던 & 더 빅 식스, 프로듀서: 지미 보웬)
- 1967년: '이치 라스 디크니 위더 게인'(제작자: 지미 보웬)
기타 녹음
- 1996 & 2001: 쉐리던 인 컨트롤 (부틀레그, 'Fab Four Collection'으로도 발매) "with the Beat Brothers-Roy Young, Howie Casey" – 1995년 "Johnny B" 녹음. Goode, Money, My Bonnie, Skinnie
- 2002년 : Influencia (아르헨티나 뮤지션 찰리 가르시아의 게스트 아티스트로서)
- 2008년: ...Dave Humphries의 작품입니다.Sheridan은 11개의[25] 트랙 중 5개의 트랙에서 연주합니다.
레퍼런스
- ^ a b c d Colin Larkin, ed. (1997). The Virgin Encyclopedia of Popular Music (Concise ed.). Virgin Books. p. 1079. ISBN 1-85227-745-9.
- ^ "Who Backed the Beatles?". Something Books. Retrieved 23 February 2013.
- ^ James, Derek (18 February 2013). "Leave your memories of Tony Sheridan, the man who taught The Beatles to rock". Norwich Evening News. Retrieved 23 February 2013.
- ^ Kozinn, Allan (17 February 2013). "Tony Sheridan, Colleague of Beatles, Is Dead at 72".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20 April 2015.
- ^ "The Shadows: biography". Billboard.
- ^ Turner, Steve (1993). Cliff Richard: The Biography (1st ed.). Oxford, UK: Lion. ISBN 978-0-7324-0534-2.
- ^ https://www.rte.ie/radio/doconone/771586-are-you-tony-sheridan Martin Duffy.당신이 Tony Sheridan입니까? (RTE Doc on One 라디오 다큐멘터리), 2010년 7월 17일.
- ^ "Elmore Magazine – R.I.P. Tony Sheridan". Elmore Magazine.
- ^ 2004년 횡단, 페이지 38
- ^ Lewisohn, Mark: All Thes Years 제1권:비틀즈 튠인, 리틀 브라운, 런던 2013ISBN 978-0-316-72960-4
- ^ "The Beatles with Tony Sheridan". Friktech.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7 July 2015. Retrieved 19 April 2015.
- ^ 인포사이트: Beatlesource.com, 2015년 4월 19일 접속.
- ^ Coleman, Miriam (17 February 2013). "Beatles collaborator Tony Sheridan dead at 72". Rolling Stone. Retrieved 23 February 2013.
- ^ "One-time Beatles frontman Tony Sheridan dies". Nme.com. 18 February 2013. Retrieved 23 February 2013.
- ^ a b c "Tony Sheridan obituary". The Daily Telegraph. Retrieved 19 April 2015.
- ^ Laing, Dave. "Tony Sheridan obituary". The Guardian. Retrieved 19 April 2015.
- ^ "Influencia - Charly García Songs, Reviews, Credits". AllMusic.
- ^ "Beatles mentor Tony Sheridan dies in Hamburg". Dw.de (in German).
- ^ "Hamburg: Beatles-Lehrer Tony Sheridan ist tot". Spiegel Online (in German). 17 February 2013. Retrieved 23 February 2013.
- ^ "Tony Sheridan, Colleague of Beatles, Is Dead at 72". The New York Times. 18 February 2013. Retrieved 19 February 2013.
- ^ Laing, Dave (18 February 2013). "Tony Sheridan obituary". The Guardian. Retrieved 23 February 2013.
- ^ "Tony Sheridan and Opus 3 Artists". Opus3records.com.
- ^ "Virtua Beatles Music: Polydor 21914: Mister Twist - Tony Sheridan". Virtuabeatlesmusic.blogspot.com. 27 October 2010.
- ^ "Sweet Georgia Brown". www.beatlesbible.com. 26 July 2020.
- ^ "Dave Humphries Entry". San Diego Reader. Retrieved 23 February 2013.
추가 정보
- Leigh, Spencer (1 February 2013). "Tony Sheridan". Retrieved 31 May 2020.
- Tony Sheridan's Web 사이트에서 가져온 Sheridan 전기, 2007년 8월 27일 스냅샷
- 대니얼스, 프랭크(1998, 2000, 2001) 토니 셰리던과 함께한 비틀즈는 2005년 1월 1일을 되찾았다.
- Cross, Craig (2004). Day-By-Day Song-By-Song Record-By-Record. iUniverse. ISBN 978-0-595-31487-4.
- Thorsten Knublauch와 Axel Korinth: Komm, Gib Mir Deine Hand – Die Beatles in Deutschland 1960-1970.온 디맨드 북스 Gmbh: 2008; ISBN 978-3-8334-8530-5
- 크라스커, 에릭The Beatles – Fact and Fiction 1960-1962, 파리, 세귀에, 2009; ISBN 978-2-84049-523-9
- 만, 앨런"선생님:토니 셰리던 이야기" (AMPS 노리치, 2013), ISBN 978-0-9575285-0-5
- 크롤리, 콜린토니 셰리던:비틀즈 '선생님'이라는 작품, 2015년, ISBN 978-15150926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