툴롱 토너먼트

Toulon Tournament
툴롱 토너먼트
Toulon tournament logo.jpg
설립.1967
지역 프랑스.
팀 수12
현재 챔피언 프랑스(13번째 타이틀)
가장 성공한 팀 프랑스(13개 타이틀)
웹 사이트공식 웹사이트
2022년 모리스 리벨로 토너먼트

툴롱 토너먼트(Festival International "Espoirs"Tournoi Maurice Revelo)는 전통적으로 U-17부터 U-23까지의 청소년 선수들로 구성된 초청된 국가 대표팀이 참가하는 축구 토너먼트이다.1967년 대회를 시작해 2016년 세상을 떠난 모리스 리벨로의 이름을 딴 대회다.1967년 첫 번째 토너먼트는 클럽 팀들이 참가했지만 1975년부터는 국가 대표팀으로 제한되었다(INF 비시[1]초청된 1986년과 1989년은 예외이다.이 대회는 프로방스-알페-코트다쥐르 주변에서 열리며 결승전은 보통 툴롱에서 열린다.

역사

툴롱 토너먼트는 FIFA나 개별 국가 협회의 감독 하에 운영되지 않는다.따라서, 청소년 팀이 참가하는 모든 친선 대회 중 가장 권위 있는 대회로 여겨지며,[1] FIFA가 1977년 공식 월드컵이 도입되기 전까지 비공식적인 세계 선수권 대회로 여겨졌습니다.하지만 FIFA U-20 월드컵과 그 이후 FIFA U-17 월드컵이 설립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툴롱 토너먼트는 여전히 청소년 축구 팀들에게 주요 대회 중 하나로 남아있다.

규칙.

Toulon 토너먼트는 보통 40분짜리 두 경기로 진행되었다.2019년에는 모든 경기가 45분씩 두 번의 경기로 구성되었다.한 경기에서, 모든 팀은 11명의 지명된 교체선수를 가지고 있으며, 최대 4명의 교체선수가 허용된다.

녹아웃 스테이지에서는 규정 시간 종료 시 동점일 경우 연장전을 치르지 않고 승부차기로 승부를 가린다.

결과.

연도 수상자 스코어 차점자 3위 스코어 4위
1
1967년[2] 6 Belgium 안데를레흐트 1–0 Czechoslovakia 슬로반 브라티슬라바 3위 매칭 없음
2
1974 8 폴란드 1–1* 헝가리 체코슬로바키아 3–2* 브라질
3
1975년[3] 8 아르헨티나 1–0 프랑스. 이탈리아 2–0 멕시코
4
1976 8 불가리아 3–2 프랑스. 멕시코 2–1 포르투갈
5
1977 8 프랑스. 1–0 불가리아 네덜란드 3–1 헝가리
6
1978 8 헝가리 4–3 프랑스. 네덜란드 2–1 멕시코
7
1979 8 소비에트 연방 2–0 네덜란드 헝가리 2–0 프랑스.
8
1980 8 브라질 2–1 프랑스. 체코슬로바키아 1–1 소비에트 연방
9
1981 8 브라질 2–0 체코슬로바키아 소비에트 연방 0–0 프랑스.
10
1982 8 유고슬라비아 2–2 체코슬로바키아 네덜란드 1–1 동독
11
1983 8 브라질 1–1 아르헨티나 프랑스. 0 ~ 0 (a.e.t.) 4 ~ 3 (p) 독일.
12
1984 8 프랑스. 1–1 소비에트 연방 체코슬로바키아 2–0 네덜란드
13
1985 8 프랑스. 3–1 잉글랜드 스페인 1–0 카메룬
14
1986 8 불가리아 1–0 프랑스. 소비에트 연방 2–1 포르투갈
15
1987 8 프랑스. 1–1 불가리아 브라질 1–0 소비에트 연방
16
1988 8 프랑스. 4–2 잉글랜드 불가리아 1 ~ 1 (a.e.t.) 5 ~ 4 (p) 소비에트 연방
17
1989 8 프랑스. 3–0 불가리아 미국 2–0 잉글랜드
18
1990 8 잉글랜드 2–1 체코슬로바키아 브라질 2–1 포르투갈
19
1991 8 잉글랜드 1–0 프랑스. 3위 매칭 없음
20
1992 8 포르투갈 2–1 유고슬라비아
21
1993 8 잉글랜드 1–0 프랑스.
22
1994 8 잉글랜드 2–0 포르투갈
23
1995 8 브라질 1–0 프랑스.
24
1996 10 브라질 1–1 프랑스.
25
1997 10 프랑스. 2–1 포르투갈
26
1998 8 아르헨티나 2–0 프랑스. 포르투갈 2–0 중국
27
1999 8 콜롬비아 1 ~ 1 (a.e.t.) 6 ~ 5 (p) 아르헨티나 프랑스. 3–2 멕시코
28
2000 8 콜롬비아 1 ~ 1 (상세) 3 ~1 (p) 포르투갈 이탈리아 1–0 코트디부아르
29
2001 8 포르투갈 2–1 콜롬비아 프랑스. 2–0 네덜란드
30
2002 10 브라질 2–0 이탈리아 일본. 0 ~ 0 (a.e.t.) 5 ~ 4 (p) 잉글랜드
31
2003 10 포르투갈 3–1 이탈리아 아르헨티나 1–0 멕시코
32
2004 8 프랑스. 1–0 스웨덴 중국 1–0 브라질
33
2005 8 프랑스. 4–1 포르투갈 잉글랜드 1 ~ 1 (a.e.t.) 3 ~ 2 (p) 멕시코
34
2006 8 프랑스. 0 ~ 0 (a.e.t.) 5 ~ 3 (p) 네덜란드 포르투갈 1–0 중국
35
2007 8 프랑스. 3–1 중국 코트디부아르 0 ~ 0 (a.e.t.) 5 ~ 4 (p) 포르투갈
36
2008 8 이탈리아 1–0 칠리 코트디부아르 2 ~ 2 (a.e.t.) 4 ~ 3 (p) 일본.
37
2009 8 칠리 1–0 프랑스. 아르헨티나 1–0 네덜란드
38
2010 8 코트디부아르 3–2 덴마크 프랑스. 2–1 칠리
39
2011 8 콜롬비아 1 ~ 1 (a.e.t.) 3 ~ 1 (p) 프랑스. 이탈리아 1 ~ 1 (a.e.t.) 5 ~ 4 (p) 멕시코
40
2012 8 멕시코 3–0 터키 네덜란드 3–2 프랑스.
41
2013 10 브라질 1–0 콜롬비아 프랑스. 2–1 포르투갈
42
2014 10 브라질 5–2 프랑스. 포르투갈 1–0 잉글랜드
43
2015 10 프랑스. 3–1 모로코 미국 2–1 잉글랜드
44
2016 10 잉글랜드 2–1 프랑스. 포르투갈 1 ~ 1 (a.e.t.) 4 ~ 2 (p) 체코 공화국
45
2017 12 잉글랜드 1 ~ 1 (a.e.t.) 5 ~ 3 (p) 코트디부아르 스코틀랜드 3–0 체코 공화국
46
2018 12 잉글랜드 2–1 멕시코 터키 0 ~ 0 (a.e.t.) 5 ~ 3 (p) 스코틀랜드
47
2019 12 브라질 1 ~ 1 (a.e.t.) 5 ~ 4 (p) 일본. 멕시코 0 ~ 0 (a.e.t.) 4 ~ 3 (p) 아일랜드 공화국
2020 프랑스[note 1]COVID-19 대유행으로 인해 취소되었습니다.
2021
48
2022 12 프랑스. 2–1 베네수엘라 멕시코 2–0 콜롬비아
메모들
  1. ^ 2020년 대회는 2020년 6월 1일부터 6월 14일까지 열릴 예정이었으나 4월에 무기한 연기되었고 2020년 [4]10월 24일에 취소되었다.2021년 대회는 2021년 5월 30일부터 6월 13일까지 열릴 예정이었으나 4월에 무기한 연기되었고 11월에 취소되었다.

통계 정보

국가별 실적

팀. 제목 차점자 3위 4위
프랑스. 13 (1977, 1984, 1985, 1987, 1988, 1989, 1997, 2004, 2005, 2006, 2007, 2015, 2022) 14 (1975, 1976, 1978, 1980, 1986, 1991, 1993, 1995, 1996, 1998, 2009, 2011, 2014, 2016) 5 (1983, 1999, 2001, 2010, 2013) 3 (1979, 1981, 2012)
브라질 9 (1980, 1981, 1983, 1995, 1996, 2002, 2013, 2014, 2019) 2 (1987, 1990) 2 (1974, 2004)
잉글랜드 7 (1990, 1991, 1993, 1994, 2016, 2017, 2018) 2 (1985, 1988) 1 (2005) 4 (1989, 2002, 2014, 2015)
포르투갈 3 (1992, 2001, 2003) 4 (1994, 1997, 2000, 2005) 4 (1998, 2006, 2014, 2016) 5 (1976, 1986, 1990, 2007, 2013)
콜롬비아 3 (1999, 2000, 2011) 2 (2001, 2013) 1 (2022)
불가리아 2 (1976, 1986) 3 (1977, 1987, 1989) 1 (1988)
아르헨티나 2 (1975, 1998) 2 (1983, 1999) 2 (2003, 2009)
헝가리 2 (1974*, 1978) 1 (1979) 1 (1977)
이탈리아 1 (2008) 2 (2002, 2003) 3 (1975, 2000, 2011)
멕시코 1 (2012) 1 (2018) 3 (1976, 2019, 2022) 6 (1975, 1978, 1999, 2003, 2005, 2011)
러시아[a] 1 (1979) 1 (1984) 2 (1981, 1986) 3 (1980, 1987, 1988)
코트디부아르 1 (2010) 1 (2017) 2 (2007, 2008) 1 (2000)
칠리 1 (2009) 1 (2008) 1 (2010)
세르비아[b] 1 (1982) 1 (1992)
폴란드 1 (1974*)
벨기에 1 (1967)
체코 공화국[c] 4 (1967, 1981, 1982, 1990) 3 (1974, 1980, 1984) 2 (2016, 2017)
네덜란드 2 (1979, 2006) 4 (1977, 1978, 1982, 2012) 3 (1984, 2001, 2009)
중국 1 (2007) 1 (2004) 2 (1998, 2006)
일본. 1 (2019) 1 (2002) 1 (2008)
터키 1 (2012) 1 (2018)
스웨덴 1 (2004)
덴마크 1 (2010)
모로코 1 (2015)
베네수엘라 1 (2022)
미국 2 (1989, 2015)
스코틀랜드 1 (2017) 1 (2018)
스페인 1 (1985)
독일.[d] 2 (1982, 1983)
카메룬 1 (1985)
아일랜드 공화국 1 (2019)

컨페더레이션별 실적

컨페더레이션 제목 차점자
UEFA 29 (1974, 1976–1979, 1982, 1984–1994, 1997, 2001, 2003–2008, 2015–2018, 2022) 36 (1967, 1975–1982, 1984–1998, 2000, 2002–2006, 2009–2012, 2014, 2016)
접속하다 15 (1975, 1980–1981, 1983, 1995–1996, 1998–2000, 2002, 2009, 2011, 2013–2014, 2019) 6 (1983, 1999, 2001, 2008, 2013, 2022)
CAF 1 (2010) 2 (2015, 2017)
북대서양조약기구(CONCACAF) 1 (2012) 1 (2018)
AFC 2 (2007, 2019)

어워드

연도 주요 목표 달성자 토너먼트의 선수 최고의 골키퍼
1967 Czechoslovakia 요제프 차프코비치[a] Belgium 자크 튜겔스[b] Czechoslovakia 아우구스틴 이반치크[a]
1974 Hungary 요제프 시페츠(4) Hungary 티보르 니일라시 England 존 터너[c]
1975 Hungary 안드라스 토르시크 (2) Italy 로베르토 안토넬리 Hungary 유즈세프 콜라르
1976 Bulgaria 라도슬라프 즈드라브코프(4) Bulgaria 크라시미르 마놀로프 Bulgaria 보리스 마놀코프
1977 France 제라르 솔러(4) France 제라르 솔러 Bulgaria 보리스 마놀코프
1978 Hungary 라즐로 P 나기(4) France 앙리 잠벨리 Mexico 알베르토 아길라
1979 Argentina세르히오 포투나토
NetherlandsRoger Schouwenaar
Hungary 라슬로 기메시 Soviet Union 발레리 노비코프
1980 Czechoslovakia 루보미르 포클루다(4) France 호세 투레 Czechoslovakia 루독 미클로슈코
1981 Italy 사우로팟토리(3) Soviet Union 바자즈바니아 Brazil 마롤라
1982 Czechoslovakia스타니슬라프 그리가
France로랑 파가넬리 (4)
East Germany 레이너 에른스트 Czechoslovakia 루독 미클로슈코
1983 Republic of Ireland Eamonn O'Keefe ( 4 ) Brazil 루바노르 Soviet Union 스타니슬라프 루덴코
1984 Algeria 메지아네 자그히지(5) Soviet Union 미하일 루시아예프 Soviet Union 알렉산드르 지드코프
1985 France 장피에르 파팽(3) Cameroon 프랑수아 오맘비익 France 장 클로드 나동
1986 Hungary 유즈세프 즈바라(3) France 장뤼크 리바르 Bulgaria 이브코 간체프
1987 Bulgaria 류보슬라프 페네프(3) France 데이비드 지놀라 Brazil 타파렐
1988 France 데이비드 지텔리(6) England 마이클 토머스 England 나이젤 마틴
1989 Bulgaria 페타르 미타르스키(5) Bulgaria 라드코 칼라이지예프 France 프랑크 샤우민[d]
1990 England 마크 로빈스(6) Czechoslovakia 라딤 네차스 Czechoslovakia 토마시 베르나디
1991 England 앨런 시어러(7) England 앨런 시어러 England 데이비드 제임스
1992 Portugal 루이 코스타 (4) Portugal 루이 코스타 Socialist Federal Republic of Yugoslavia 젤리코 시코비치
1993 France 플로리안 모리스 (4) France 플로리안 모리스 England 폴 제라드
1994 Belgium 밥 피터스(3) Belgium 레기스 제노 France 그레고리 쿠페
1995 France 프랑크 히스토롤(5) France 비카슈 도라수 Brazil 파비오 노론하
1996 Brazil아달톤
Portugal누노 고메스(5)
Brazil 아달톤 Brazil 파비오 노론하
1997 Colombia구스타보 빅토리아
France티에리 앙리
Portugal칼리토스
United States조시 울프(3)
France 티에리 앙리 Portugal 누노 산토스
1998 Argentina프란시스코 게레로
England에밀 헤스키(3)
Argentina 후안 로만 리켈메 Portugal 누노 산토스
1999 France 페기 루인둘라(5) Argentina 기예르모 페레이라 Argentina 세바스티안 사하
2000 Colombia 트레서 모레노(5) Colombia 트레서 모레노 Portugal 세르지오 레이테
2001 France지브릴 시세
Portugal루렌소(3)
Colombia 펠리페 차라 Colombia 네코 마르티네스
2002 Italy알레산드로 펠리코리
나카야마 Japan사토시(3)
Brazil 핑가 Brazil 루비뉴
2003 Argentina제르만 에레라
Italy프란체스코 루폴로
Portugal루렌소(3)
Argentina 하비에르 마스체라노 Portugal 브루노 베일
2004 France 브라이언 버그누(4) France 리오 마부바 France 제레미 가바논
2005 Portugal Vaz Té(3) France 아놀드 음부엠바 France 스티브 만단다
2006 France 데이비드 질리오티(3) France 리카르도 파티 France 휴고 요리스
2007 France 케빈 가메이로(5) France 케빈 가메이루 Ivory Coast 이브라힘 코네
2008 Ivory Coast 세이쿠 시세(4) Italy 세바스찬 지오빈코 Italy 다비데 바시
2009 Argentina디에고 부오나노테
Chile거슨 마르티네스 (4)
Argentina 디에고 부오나노테 Argentina 아구스틴 마르친
Chile 크리스토퍼 토셀리
2010 Denmark 니키닐슨(5) Ivory Coast 세르주 데블레 Denmark 미켈 안데르센
2011 France 스티븐 조셉 먼로즈(5) Colombia 제임스 로드리게스 France 프랑크 로스티스
2012 Mexico 마르코 파비안(7) Mexico 엑토르 에레라 Netherlands 닉 마스먼
Turkey 에르투룰 타슈키란
2013 Brazil비니쿠스 아라우호
Mexico호세 아벨라
Portugal알라제(3)
Brazil 유리 마모테 France 재커리 바우처
2014 France 크리스토프 바헤벡(4) Brazil 로드리고 카이오 France 폴 나디
2015 France엔조 크리벨리
MoroccoAchraf Bencharki(4)
Morocco 왈리드 엘 카르티 Morocco 바드레딘 베나추어
2016 England 루이스 베이커(4) England 루벤 로프투스 치크 Portugal 조엘 페레이라
2017 Angola치코 반자
England하비 반스
England조지 허스트(4)
England 데이비드 브룩스 Wales 루크 필링
2018 Mexico 에두아르도 아기레(7) Mexico 디에고 라이네즈 England 프레디 우드먼
2019 Brazil 마테우스 쿠냐(4) Brazil 더글러스 루이스 China 천웨이
2022 France 세쿠 마라(5) Venezuela 텔라스코 세고비아 Japan 기무라 료야
a 슬로반 브라티슬라바에서 뛰고 있다.
b 안데를레흐트를 위해 뛴다.
c 더비 카운티에서 뛰고 있다.
d INF VICHY에서 뛰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및 메모

  1. ^ a b Garin, Erik; Pierrend, José Luis (9 June 2016). "Tournoi Espoirs de Toulon". RSSSF.com. Rec.Sport.Soccer Statistics Foundation. Retrieved 21 January 2017. A tournament for U-21 players, usually played in several cities in the Region du Var (southern France), with the final in Toulon. Participation is by invitation. Has been disputed yearly since 1974 with national teams, but the first (1967) edition featured clubs. The most prestigious of all friendly tournaments involving U-21 teams, and considered an unofficial world championship before FIFA introduced the official World Youth Cup in 1977.
  2. ^ 1967년 판은 국가 대표팀이 출전하지 않은 첫 번째이자 유일한 토너먼트였다.
  3. ^ 1975년 대회는 국가 대표 팀만을 특집으로 하는 첫 번째 토너먼트였다; 이 전통은 그 이후로 계속 남아 있다.
  4. ^ "Announcement : the Maurice Revello Tournament 2020 is cancelled". Toulon Tournament. 24 October 2020.
  1. ^ 소련 포함
  2. ^ 유고슬라비아 포함
  3. ^ 체코슬로바키아 포함
  4. ^ 서독 및 동독 포함

외부 링크